KR101904762B1 -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 Google Patents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762B1
KR101904762B1 KR1020160183264A KR20160183264A KR101904762B1 KR 101904762 B1 KR101904762 B1 KR 101904762B1 KR 1020160183264 A KR1020160183264 A KR 1020160183264A KR 20160183264 A KR20160183264 A KR 20160183264A KR 101904762 B1 KR101904762 B1 KR 101904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right turn
lamp
signal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493A (ko
Inventor
박상운
Original Assignee
충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주시 filed Critical 충주시
Priority to KR102016018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7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우회전 가능여부를 알려주는 우회전경고 표시부를 구비하는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횡단보도의 양쪽에 설치하되, 상부에 적색램프가 구비되고 하부에 녹색램프가 구비되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교통신호에 따라 선택된 적색램프 또는 녹색램프가 점등되어 보행자의 통행 가능여부를 알려주는 보행자 신호등에 있어서,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우회전 가능여부를 알려주는 우회전경고 표시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적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황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PEDESTRIAN TRAFFIC SIGNAL LAMP HAVING A SIGNAL FOR WARNING ENTRANCE OF TURN TO RIGHT}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행자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측차선을 진행하여 우회전 하고자 하는 차량운전자에게 보행자의 통행여부를 표시하여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횡단보도 교통사고의 방지 및 보행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보행자 신호등에 적용되는데 한정되지 아니하며, 교차로에 설치되어 보행자 신호등과 별도로 우회전 가능여부를 표시하는 우회전 신호등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조사기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교통사고의 약 2건 중 1건은 교차로 또는 교차로 부근에서의 교통사고로서 불합리한 신호체계에 기인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교차로 주변에 설치된 횡단보도에서는 우회전 차량의 통행 허용에 따라 보행자와 차량 간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행의 교통신호체계에서 우회전 차량은 직진 또는 좌회전 신호가 적색인 경우에도 보행자의 횡단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보행신호가 녹색신호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통행이 가능토록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에 설치된 보행자 신호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전면을 향해 적색램프 및 녹색램프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적색램프 및 녹색램프에는 각각 빗물 등을 막을 수 있는 갓이 씌워진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보행신호를 사전에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전은 가장 우측 차선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좌회전차선 및 직진차선에 대형 버스 또는 트럭이 신호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건너편 보행자 신호등의 상태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결국,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는 횡단보도에 아주 근접하게 접근한 때 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 통행을 시작하는 시점에서야 보행신호를 확인하여 급정거하게 되어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보행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보행자 신호등이 특허등록번호 제10-0963810호 "측면에서도 볼 수 있는 보행자신호등" 및 특허등록번호 제10-0963428호 "신호등 사면 배열식 보행자신호등"으로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반사판 및 보조등을 구비하거나, 입체식 신호등을 설치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로 제작비용이 많이 증가하며, 기존 신호등을 전부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보행자들이 횡단보도를 건너는 도중에 신호가 녹색램프에서 적색램프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에게 우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보행자와 차량 간 교통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특히, 보행자들은 횡단보도를 건너는 도중에 신호가 바뀌게 되면 갑자기 달리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고, 어린이들은 신호가 변경되기 직전에 횡단보도로 뛰어드는 경우가 있어서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항상 존재한다.
특허등록번호 제10-0963810호 특허등록번호 제10-09634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우회전 가능여부를 알려주는 우회전경고 표시부를 구비하는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적색점등으로 표시되고,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황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항상 주의하면서 우회전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구비하여,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도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적색점등 또는 적색점멸로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행자와 차량 간의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횡단보도 상에 존재하는 보행자의 진행방향 및 횡단보도를 벗어나는 시간을 판단하여 우회전경고 표시부에 대기 잔여시간이 숫자로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행자와 운전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횡단보도의 양쪽에 설치하되, 상부에 적색램프가 구비되고 하부에 녹색램프가 구비되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교통신호에 따라 선택된 적색램프 또는 녹색램프가 점등되어 보행자의 통행 가능여부를 알려주는 보행자 신호등에 있어서,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우회전 가능여부를 알려주는 우회전경고 표시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적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황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전면에 설치되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도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적색점등 또는 적색점멸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상에 존재하는 보행자의 진행방향을 판단하고, 횡단보도를 벗어나는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에 잔여시간이 숫자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을 적용하면,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횡단보도 상의 교통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되어 우회전이 가능한 경우에는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황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항상 주의하면서 우회전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도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적색점등 또는 적색점멸로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우회전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을 차단하여 보행자와 차량 간의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행자의 진행방향 및 횡단보도를 벗어나는 시간을 판단하여 우회전경고 표시부에 대기 잔여시간이 숫자로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행자와 운전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보행자 신호등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교차로에서 우회전 차량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져 보행자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신호등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신호등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우회전 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신호등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행자 신호등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우회전 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은 상기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면, 횡단보도의 양쪽에 설치될 때 보행자가 보행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그 전면의 상부에 적색램프(10)가 구비되고 하부에 녹색램프(12)가 구비되어 있다.(도 3의 (a) 참조) 이때, 상기 적색램프(10) 및 녹색램프(12)에는 종래 기술의 갓을 제거하고 보행자 신호등에 지붕을 씌움으로써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도 용이하게 보행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측면에 우회전경고 표시부(20)가 설치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이때,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20)는 다수의 적색LED 및 황색LED로 구성되고, 각 LED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문자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 3에는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20)가 하나의 원형으로 형성된 예를 표시하였으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우회전 가능 또는 우회전 금지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여시간 표시부(22)를 더 포함하여 보행신호의 변경시간을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는 이를 통해 우회전 대기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신호등의 전면에 설치되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30)와, 상기 인체감지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10)가 점등된 경우에도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20)가 적색점등 또는 적색점멸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인체감지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상에 존재하는 보행자의 진행방향을 판단하고, 횡단보도를 벗어나는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잔여시간 표시부(22)에 잔여시간이 숫자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혹은 잔여시간 표시부(22)의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잔여시간은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20)에 표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부(5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통신호에 따라 적색램프(10) 또는 녹색램프(12)를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보행자의 통행 가능여부를 알려주는 보행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램프(12)가 점등된 경우에는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20)가 적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10)가 점등된 경우에는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20)가 황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중에,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램프(12)가 점등된 상태에서 적색램프(10)가 점등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는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40)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인체감지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상황으로 결정하여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10)가 점등된 경우에도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20)가 적색점등 또는 적색점멸로 표시되도록 하여 우회전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인체감지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상에 존재하는 보행자의 진행방향을 판단하고, 횡단보도를 벗어나는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20) 또는 잔여시간 표시부(22)에 잔여시간이 숫자로 표시하여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적색램프 12 : 녹색램프
20 : 우회전경고 표시부 22 : 잔여시간 표시부
30 : 인체감지센서 40 : 제어부

Claims (3)

  1. 횡단보도의 양쪽에 설치하되, 상부에 적색램프가 구비되고 하부에 녹색램프가 구비되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교통신호에 따라 선택된 적색램프 또는 녹색램프가 점등되어 보행자의 통행 가능여부를 알려주는 보행자 신호등에 있어서,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우회전 가능여부를 알려주는 우회전경고 표시부 및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전면에 설치되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적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황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도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적색점등 또는 적색점멸로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상에 존재하는 보행자의 진행방향을 판단하고, 횡단보도를 벗어나는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에 잔여시간이 숫자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2. 삭제
  3. 삭제
KR1020160183264A 2016-12-30 2016-12-30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101904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264A KR101904762B1 (ko) 2016-12-30 2016-12-30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264A KR101904762B1 (ko) 2016-12-30 2016-12-30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493A KR20180078493A (ko) 2018-07-10
KR101904762B1 true KR101904762B1 (ko) 2018-10-05

Family

ID=6291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264A KR101904762B1 (ko) 2016-12-30 2016-12-30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76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649B1 (ko) 2021-01-25 2021-08-18 (주)이엔씨파워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KR20220010858A (ko) 2020-07-20 2022-01-27 오동근 차량 우회전시 보행자 알림 시스템
KR102448697B1 (ko) 2022-04-20 2022-09-29 엔에이치네트웍스 주식회사 우회전 차량에 의한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485471B1 (ko) 2022-06-02 2023-01-06 주식회사 엔키텍 우회전 차량을 위한 신호 제어 시스템
KR102509808B1 (ko) 2022-07-04 2023-03-14 이종석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20230088996A (ko) 2021-12-13 2023-06-20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우회전 차량 경고 시스템
KR102619901B1 (ko) 2023-07-21 2024-01-03 시스텍전기통신 주식회사 우회전 차량에 의한 보행자 사고를 방지하는 보행자용신호등
KR20240042745A (ko) 2022-09-26 2024-04-02 성창용 교차로에서의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을 위한 차량의 우회전 신호등 연동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953B1 (ko) * 2020-02-10 2020-06-09 박종원 보행신호등용 신호확인 보조기구
KR102417820B1 (ko) * 2020-10-13 2022-07-05 원윤섭 보행자 신호등
KR102486004B1 (ko) * 2020-11-26 2023-01-06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보행신호등
KR102422124B1 (ko) 2020-12-24 2022-07-20 김소연 보행자 안전을 위한 교통 신호 시스템
KR102353084B1 (ko) * 2021-08-04 2022-01-19 (주)애드텍 교차로 횡단보도 신호등 안전표시 전광판
KR102447742B1 (ko) * 2022-03-03 2022-09-27 주식회사 한국신호 카메라센서가 설치된 우회전 차량 전용 표시기
KR102483169B1 (ko) * 2022-08-18 2022-12-30 정준원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4891A (ja) 1999-11-05 2001-05-18 Toshiba Corp 交差点横断歩行者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56Y1 (ko) * 2007-11-26 2009-12-04 이종명 교통신호 시스템
KR20160114270A (ko) * 2015-03-24 2016-10-05 박성원 횡단보도 차량용 보조 신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3715U (ko) * 2016-06-20 2016-10-26 주식회사 창우 우회전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4891A (ja) 1999-11-05 2001-05-18 Toshiba Corp 交差点横断歩行者監視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858A (ko) 2020-07-20 2022-01-27 오동근 차량 우회전시 보행자 알림 시스템
KR102362875B1 (ko) 2020-07-20 2022-02-11 오동근 차량 우회전시 보행자 알림 시스템
KR102290649B1 (ko) 2021-01-25 2021-08-18 (주)이엔씨파워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KR20230088996A (ko) 2021-12-13 2023-06-20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우회전 차량 경고 시스템
KR102448697B1 (ko) 2022-04-20 2022-09-29 엔에이치네트웍스 주식회사 우회전 차량에 의한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485471B1 (ko) 2022-06-02 2023-01-06 주식회사 엔키텍 우회전 차량을 위한 신호 제어 시스템
KR102509808B1 (ko) 2022-07-04 2023-03-14 이종석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20240042745A (ko) 2022-09-26 2024-04-02 성창용 교차로에서의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을 위한 차량의 우회전 신호등 연동 시스템
KR102619901B1 (ko) 2023-07-21 2024-01-03 시스텍전기통신 주식회사 우회전 차량에 의한 보행자 사고를 방지하는 보행자용신호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493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762B1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101554971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101256041B1 (ko)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102290649B1 (ko)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CN104294723B (zh) 一种安全路口
KR20200082970A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101219094B1 (ko) 좌회전 감지 신호등의 제어방법
KR20120095538A (ko) 교통신호등과 연계되는 횡단보도의 교통신호 방법
KR20160029044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20150064547A (ko)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 유도장치
KR101045569B1 (ko) 횡단보도의 야간정보 제공시스템
KR20190013363A (ko)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KR20200089829A (ko) 가변구간 설치용 차선 변환시스템
KR100968042B1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53084B1 (ko) 교차로 횡단보도 신호등 안전표시 전광판
KR102351316B1 (ko)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KR100968040B1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방법
KR100968041B1 (ko) 교차로에서의 교통 신호등 제어 방법
KR20150086635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102268673B1 (ko) 유도신호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200468767Y1 (ko) 차량 정체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JP2017134490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101762871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KR102272398B1 (ko) 신호등 및 이를 이용한 신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