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363A -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363A
KR20190013363A KR1020170097860A KR20170097860A KR20190013363A KR 20190013363 A KR20190013363 A KR 20190013363A KR 1020170097860 A KR1020170097860 A KR 1020170097860A KR 20170097860 A KR20170097860 A KR 20170097860A KR 20190013363 A KR20190013363 A KR 20190013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alking
signal
state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찬승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3363A/ko
Publication of KR2019001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보행 구역을 통과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보행 신호를 생성하는 보행 감지부; 상기 보행 구역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 및 상기 보행 감지부 및 상기 조명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보행 감지부로부터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SYSTEM FOR PEDESTRIAN SAFETY}
아래의 설명은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야간에 횡단보도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구에서 차와 사람 간의 충돌 사고는 매년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야간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횡단보도의 높이를 돌출형으로 설치하는 방법들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기 설치된 횡단보도가 아닌 새로운 횡단보도를 설치해야 한다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고, 횡단보도를 돌출형으로 설치한다 하더라도 차량이 미리 보행자를 인지 못할 경우 사고를 예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야간 교통사고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횡단보도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구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보행 구역 내의 보행자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차량과 보행 구역 사이의 간격에 따라 단계적인 위험 레벨을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보행 구역을 통과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보행 신호를 생성하는 보행 감지부; 상기 보행 구역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 및 상기 보행 감지부 및 상기 조명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보행 감지부로부터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광량을 상향 조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을 점멸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보행 감지부는, 상기 보행 구역의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보행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 감지부는, 상기 보행 구역의 도입부에 돌출 형성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은, 상기 보행 구역을 향해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상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명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 및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 감지부는, 상기 보행 구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설치되는 제 1 차량 압력 센서와, 상기 보행 구역 및 제 1 차량 압력 센서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차량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상태를 제 1 설정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상태를 제 2 설정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의 상태 변경은, 광량의 상향, 깜박거림 및 색상의 변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광량을 제 1 설정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광량을 상기 제 1 설정값 보다 높은 제 2 설정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광량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을 점멸시키거나, 상기 조명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은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 경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음향 경보기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은 상기 보행 구역의 주변의 차로를 촬영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보행 구역에 접근하고 있는 지 여부에 대한 보행 신호를 생성하는 보행 감지부; 상기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보행 구역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 및 상기 보행 감지부, 차량 감지부 및 조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행 감지부 및 차량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작동 방법은, 보행 구역 내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보행 구역으로 차량이 접근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자의 존재 여부와, 상기 차량의 접근 여부에 기초하여 조명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보행 구역 내의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행 구역과 차량 사이의 간격에 따라 조명의 상태가 단계적으로 변화됨으로써, 운전자 및 보행자로 하여금 단계적인 위험 레벨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100)은 보행자가 보행하는 공간(이하, "보행 구역"이라고 함)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100)은 보행자가 차로 상에서 통행하는 구간에 설치된 횡단보도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100)은 지하주차장 내부, 지하주차장 출입구 주변 및 자전거 도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100)이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100)은 보행자가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거나, 보행자가 보행 구역을 지나갈 때,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운전자 및/또는 보행자에게 위험 레벨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100)은 조명과 같은 시각 매체 및/또는 알람과 같은 청각 매체를 통해 운전자 및/또는 보행자에게 위험 레벨을 알려줄 수 있다.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100)은 신호등(110), 가로등(120), 보행 감지부(130), 차량 감지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등(110)은 차량의 운전자에게 교통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등(110)은 인도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신호등 지지대(111)와, 신호등 지지대(111)의 일측에 마련되는 신호 유닛(112)과, 신호등 지지대(111)의 일측에 마련되는 카메라(113)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등 지지대(111)는, 예를 들어, 인도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신호등 수직 바와, 상기 신호등 수직 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신호등 수평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등 수평 바는 신호등 수직 바로부터 횡단보도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신호 유닛(112)은 신호등 지지대(111)의 일측, 예를 들어, 신호등 수평 바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 유닛(112)은 직진, 좌회전, 일단 정지 및 정지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113)는 보행 구역의 주변의 차로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13)는 차량이 신호를 위반한 지 여부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3)는 신호 유닛(112)의 신호가 정지 신호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차로의 정지선(180)을 지나갈 경우, 해당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다.
가로등(120)은 야간의 보행자의 시야를 밝히기 위해, 인도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등(120)은 인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가로등(120)은 가로등 지지대(121), 조명(122) 및 음향 경보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등 지지대(121)는 예를 들어, 인도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로등 수직 바와, 상기 가로등 수직 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로등 수평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등 수평 바는 가로등 수직 바로부터 횡단보도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조명(122)은 가로등 지지대(121)의 일측, 예를 들어, 가로등 수평 바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122)의 광량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122)이 LED 조명일 경우,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조명의 광량이 조절되거나, DAC(digital to analog convert) 방식으로 조명의 광량이 조절될 수 있다. 조명(122)의 종류와 광량 조절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조명(122)의 광량은 위험 레벨이 높아질수록 밝아질 수 있다. 상기 위험 레벨은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차량과 보행 구역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차량과 보행 구역 사이의 거리는 차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조명(122)은 점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122)은 일정한 주기로 점멸될 수 있다. 조명(122)의 점멸 주기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122)은 위험 레벨이 높아질수록 빠른 속도로 점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122)은 초기 상태에서 깜빡거리지 않을 수 있고, 위험 레벨이 낮은 수준일 때 2hz로 점멸될 수 있고, 위험 레벨이 높은 수준일 때 10hz로 점멸될 수 있다.
조명(122)의 색상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122)은 노란색으로부터 빨간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122)의 색은, 위험 레벨이 점차 높아질수록, 빨간색에 가까워지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레벨이 낮은 수준일 때, 조명(122)의 색은 노란색일 수 있고, 위험 레벨이 보통 수준일 때, 조명(122)의 색은 주황색일 수 있고, 위험 레벨이 높은 수준일 때, 조명(122)의 색은 빨간색일 수 있다.
음향 경보기(123)는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위험 레벨이 높아질 때, 다시 말하면, 보행자가 보행 구역에 있을 때 차량과 보행 구역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는 경우,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음향 경보기(123)는, 예를 들어, 가로등 지지대(12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음향 경보기(123)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보행 감지부(130)는 사용자가 설정된 보행 구역을 통과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보행 신호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보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행 구역이란, 예를 들어, 횡단보도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구 등 보행자가 보행할 수 있는 구역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행 구역이 횡단보도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행 감지부(130)는 보행 압력 센서(131) 및 적외선 센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행 압력 센서(131)는 보행 구역의 지면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압력 센서(131)는 횡단 보도의 복수 개의 흰색 패턴 밑에 설치될 수 있다. 보행자가 보행 압력 센서(131) 위를 지나갈 때, 보행 압력 센서(131)는 보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행 압력 센서(131)와 제어부(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보행 압력 센서(131)는 보행 신호를 제어부(15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압력 센서(131)는 다이어프램과 같은 기계식 압력 센서, 정전용량식 압력 센서 및 역평형식 압력 센서과 같은 전기식 압력 센서 또는 압저항식 압력 센서 및 정전용량식 압력 센서와 같은 반도체식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적외선 센서(132)는 보행 구역의 도입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적외선 센서(132)는 보행 구역의 도입부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132)는 보행 구역에 인접한 영역, 예를 들어, 횡단보도에 접하고 있는 인도에 설치될 수 있다. 일측에 형성된 적외선 센서(132)가 적외선을 송출하면, 타측에 형성된 적외선 센서(132)가 상기 적외선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일측에 형성된 적외선 센서(132)로부터 송출된 적외선을 타측에 형성된 적외선 센서(132)가 수신하지 못할 경우, 적외선 센서(132)는 보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132)와 제어부(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적외선 센서(132)는 보행 신호를 제어부(150)로 송신할 수 있다.
차량 감지부(140)는 보행 구역을 향해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감지부(140)는 제 1 차량 압력 센서(141) 및 제 2 차량 압력 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차량 압력 센서(141) 및 제 2 차량 압력 센서(142)는, 예를 들어, 싱글 다이어프램식 압력 센서 또는 이중 다이어프램식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제 1 차량 압력 센서(141) 및 제 2 차량 압력 센서는, 보행 구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차량 압력 센서(141)는 횡단보도의 경계를 이루는 2개의 선으로부터 제 1 거리(L1)만큼 이격된 곳에 설치될 수 있고, 제 2 차량 압력 센서(142)는 횡단보도의 경계를 이루는 2개의 선으로부터 제 2 거리(L2)만큼 이격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거리(L1)는 제 2 거리(L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거리(L1)는 차량이 보행자를 인지한 뒤에 충분한 제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거리(L1)는 25m 내지 30m일 수 있다. 제 2 거리(L2)는 예를 들어 3m 내지 5m일 수 있다. 제 2 차량 압력 센서(142)는 차로의 정지선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차량 압력 센서(141) 및 제 2 차량 압력 센서(142)와 제어부(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1 차량 압력 센서(141) 및 제 2 차량 압력 센서(142)는 생성된 차량 접근 신호를 제어부(15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보행 압력 센서(131) 및/또는 적외선 센서(132)를 포함하는 보행 감지부(130)와, 제 1 차량 압력 센서(141) 및/또는 제 2 차량 압력 센서(142)를 포함하는 차량 감지부(140)와 전기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조명(122), 음향 경보기(123) 및/또는 카메라(113)와 전기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 및 차량 접근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122)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조명(122)의 광량을 상향 조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가 보행 구역을 통과하거나 보행 구역으로 접근할 때, 조명(122)의 광량은 상대적으로 밝아질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조명(122)을 점멸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가 보행 구역을 통과하거나 보행 구역으로 접근할 때, 조명(122)은 일정한 주기로 점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조명(122)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가 보행 구역을 통과하거나 보행 구역으로 접근할 때, 조명(122)의 색상이 빨간색으로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인해,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무단 횡단하는 경우와 같이 돌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제어부(150)는 조명(122)의 상태를 변경시킴으로써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위기 상황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이더라도,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 조명(122)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보행자가 보행 구역을 통과하거나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더라도, 차량이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지 않을 경우, 조명(122)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 및 차량 접근 신호를 모두 수신한 상태에서만, 조명(122)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 방식에 의하면, 보행자는 조명(122)의 상태가 변화될 경우, 주변에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을 인지하여 주의를 기울일 수 있으며, 실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만 조명(122)의 상태를 변경시킴으로써 보행 안전을 위한 조명(122)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가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가 보행 압력 센서(131)로부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정 시간은 10초일 수 있다. 제어부(150)가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한 상태도 이와 마찬가지다.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 1 차량 입력 센서(141)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조명(122)의 상태를 제 1 설정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 2 차량 입력 센서(142)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조명(122)의 상태를 제 2 설정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조명(122)의 상태는, 광량의 상향, 깜박거림 및 색상의 변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 1 차량 압력 센서(141)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조명(122)의 광량을 제 1 설정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 2 차량 압력 센서(142)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조명(122)의 광량을 제 1 설정 값보다 큰 제 2 설정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 1 차량 압력 센서(141)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조명(122)의 광량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 2 차량 압력 센서(142)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조명(122)을 점멸시키거나, 조명(122)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은 보행 감지부에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410), 차량 감지부에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420), 조명이 상태 변경하는 단계(430) 및 카메라 또는 음향 경보기가 작동하는 단계(4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보행 감지부는 보행 구역 내의 보행자 존재 및/또는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감지부는 보행 구역의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 및/또는 보행 구역의 도입부에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행 감지부가 보행 신호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는 조명의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고, 카메라 또는 음향 경보기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단계(420)에서, 차량 감지부는 차량이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감지부는 차로의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제어부는, 보행 감지부가 보행 신호를 감지한 상태에서, 차량 감지부가 차량 신호를 감지할 경우, 조명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조명의 상태 변경은, 광량의 상향, 깜박거림 및 색상의 변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단계(440)에서, 제어부는 조명의 상태를 변경시킨 상태에서, 카메라 또는 음향 경보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정지선을 지키지 않은 차량을 촬영할 수 있고, 음향 경보기를 통해 청각적인 매체로 위험 상황임을 보행자 및/또는 운전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은 보행 감지부에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510), 제 1 차량 압력 센서에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520), 조명의 상태가 1차 변경하는 단계(530), 제 2 차량 압력 센서에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540), 조명의 상태가 2차 변경하는 단계(550) 및 카메라 또는 음향 경보기가 작동하는 단계(5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10)에서, 보행 감지부는 보행 구역 내의 보행자 존재 및/또는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보행자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보행 감지부가 보행 신호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는 조명의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고, 카메라 또는 음향 경보기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단계(520)에서, 제 1 차량 압력 센서는 차량이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차량 압력 센서는 차로의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단계(530)에서, 제어부는 조명의 상태를 1차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조명의 광량을 1차로 상향 조정함으로써, 보행 구역을 밝게 조정할 수 있고,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보행 구역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제 2 차량 압력 센서는 차량이 보행 구역으로 보다 가까이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차량 압력 센서는 정지선 아래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단계(550)에서, 제어부는 조명의 상태를 2차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의 광량을 2차로 상향 조정함으로써, 보행 구역을 보다 밝게 조정할 수 있고,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위험 신호를 알릴 수 있다.
조명의 1차 상태 변경 및 2차 상태 변경은 서로 다른 종류의 상태 변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상태 변경은 조명의 광량 상향 조정일 수 있고, 2차 상태 변경은 조명의 점멸 또는 조명의 색상 변경일 수 있다. 조명의 점멸 또는 조명의 색상 변경은, 운전자 및 보행자로 하여금 위기 상태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조명의 1차 상태 변경 및 2차 상태 변경은 같은 종류의 상태 변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상태 변경은 조명의 광량이 1차적으로 상향 조정되는 것일 수 있고, 2차 상태 변경은 조명의 광량이 2차적으로 더 상향 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명의 색상이 초기 상태에서 노란색일 경우, 1차 상태 변경은 조명의 색상이 주황색으로 변경되는 것일 수 있고, 2차 상태 변경은 조명의 색상이 빨간색으로 변경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560)에서, 제어부는 카메라 또는 음향 경보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사용자가 설정된 보행 구역을 통과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보행 신호를 생성하는 보행 감지부;
    상기 보행 구역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 및
    상기 보행 감지부 및 상기 조명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보행 감지부로부터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광량을 상향 조정시키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을 점멸시키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색상을 변경시키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감지부는, 상기 보행 구역의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보행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감지부는, 상기 보행 구역의 도입부에 돌출 형성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구역을 향해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이더라도, 상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 상기 조명의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 및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한 상태일 경우, 상기 조명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상기 보행 구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설치되는 제 1 차량 압력 센서와, 상기 보행 구역 및 제 1 차량 압력 센서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차량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상태를 제 1 설정 상태로 변경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상태를 제 2 설정 상태로 변경시키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의 상태 변경은, 광량의 상향, 깜박거림 및 색상의 변경 중 어느 하나인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광량을 제 1 설정값으로 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광량을 상기 제 1 설정값 보다 높은 제 2 설정값으로 조정하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의 광량을 상향 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조명을 점멸시키거나, 상기 조명의 색상을 변경시키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 경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음향 경보기를 작동시키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구역의 주변의 차로를 촬영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량 압력 센서로부터 차량 접근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14. 사용자가 설정된 보행 구역에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보행 신호를 생성하는 보행 감지부;
    상기 보행 구역으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보행 구역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 및
    상기 보행 감지부, 차량 감지부 및 조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행 감지부 및 차량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15. 보행 구역 내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보행 구역으로 차량이 접근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자의 존재 여부와, 상기 차량의 접근 여부에 기초하여 조명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작동 방법.
KR1020170097860A 2017-08-01 2017-08-01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KR20190013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60A KR20190013363A (ko) 2017-08-01 2017-08-01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60A KR20190013363A (ko) 2017-08-01 2017-08-01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363A true KR20190013363A (ko) 2019-02-11

Family

ID=6537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860A KR20190013363A (ko) 2017-08-01 2017-08-01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336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678B1 (ko) * 2020-02-26 2020-07-27 유한회사 비츠 보행자 안전 제공장치
KR102331250B1 (ko) * 2021-03-03 2021-12-01 정보경 Led 및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교차로 교통안전 경고 시스템
KR102438440B1 (ko) * 2022-03-18 2022-08-31 주식회사 피엔디 보행등과 연계작동되는 횡단보도 투광등 제어시스템
KR102484818B1 (ko) * 2022-10-25 2023-01-09 제온시스 주식회사 사고 방지용 모듈 장치 및 시스템, 위험 구역 진입에 대한 위험 경고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678B1 (ko) * 2020-02-26 2020-07-27 유한회사 비츠 보행자 안전 제공장치
KR102331250B1 (ko) * 2021-03-03 2021-12-01 정보경 Led 및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교차로 교통안전 경고 시스템
KR102438440B1 (ko) * 2022-03-18 2022-08-31 주식회사 피엔디 보행등과 연계작동되는 횡단보도 투광등 제어시스템
KR102484818B1 (ko) * 2022-10-25 2023-01-09 제온시스 주식회사 사고 방지용 모듈 장치 및 시스템, 위험 구역 진입에 대한 위험 경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1904762B1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101276385B1 (ko) 보행자 무단 횡단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알림 시스템 및 이의 사용방법
KR20190013363A (ko)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101673211B1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KR101829220B1 (ko) 횡단보도 안전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00007B1 (ko) 횡단보도 보행자를 위한 안전지킴 cctv 시스템
KR102484348B1 (ko)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KR20200082970A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200481229Y1 (ko)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KR20170139811A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27633B1 (ko)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보조시스템
KR102263867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20120119696A (ko) 좌회전 감지 신호등의 제어방법
KR20160067435A (ko) 횡단보도의 무단횡단 알림 시스템
KR101686820B1 (ko)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지능형 횡단보도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02976A (ko)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횡단보도 신호 제어 방법
KR20170139800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82788A (ko)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KR20170139807A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200249452Y1 (ko) 보행자 안전장치
KR102351316B1 (ko)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KR20220108835A (ko) 보행자 반응형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