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808B1 -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808B1
KR102509808B1 KR1020220081686A KR20220081686A KR102509808B1 KR 102509808 B1 KR102509808 B1 KR 102509808B1 KR 1020220081686 A KR1020220081686 A KR 1020220081686A KR 20220081686 A KR20220081686 A KR 20220081686A KR 102509808 B1 KR102509808 B1 KR 102509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ight turn
signal
traffic light
pedestrian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차현우
박기범
이창훈
김용훈
Original Assignee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석 filed Critical 이종석
Priority to KR1020220081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회전 신호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횡단보도를 포함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차량이 진입하는 제1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제1 보행자 신호등; 차량이 우회하는 제2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제2 보행자 신호등;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에 점등 신호를 제공하는 교통신호 제어기; 제1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는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 및 상기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을 제어하는 우회전 신호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의 제1 점등 신호에 기반하여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TRAFFIC LIGHT CONTROL SYSTEM DEDICATED TO RIGHT TURNS FOR VEHICLES AT INTERSECTIONS WHERE CROSSWALKS EXIST}
본 발명은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삼거리 또는 사거리 교차로에서 차량에게 우회전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는 인명과 관련되는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각종 안전시스템들이 강구되고 있고, 특히 교통 신호등과 관련된 많은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횡단보도는 보행자가 차선을 가로질로 맞은편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차선에 표시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로상에 횡단보도를 운영하고 있음에도 보행자가 보행자신호를 확인하고 횡단보도를 진행하는 경우 운전자가 횡단보도의 신호를 확인하기 어려워 접촉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횡단보도상에서의 보행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교통신호체계에 관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1904762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횡단보도의 양쪽에 설치하되, 상부에 적색램프가 구비되고 하부에 녹색램프가 구비되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교통신호에 따라 선택된 적색램프 또는 녹색램프가 점등되어 보행자의 통행 가능여부를 알려주는 보행자 신호등에 있어서, 우회전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우회전 가능여부를 알려주는 우회전경고 표시부 및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전면에 설치되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적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황색점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도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적색점등 또는 적색점멸로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 상에 존재하는 보행자의 진행방향을 판단하고, 횡단보도를 벗어나는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우회전경고 표시부에 잔여시간이 숫자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등록특허 제10-1904762은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적색점등으로 표시되고,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램프가 점등된 경우에는 우회전경고 표시부가 황색점등으로 표시되는 단순한 점소등방식으로서 운전자가 교차로에 진입 전 횡단보도에서 정지하여야 하는지 교차로 진출 후 횡단보도에서 정지해야하는지 정확한 의미 파악이 쉽지 않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도로상에서 하나의 횡단보도 상에서 하나의 보행자 신호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삼거리 또는 사거리 교차로와 같이 복수의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거리 교차로의 경우 중앙 분전반에서 제어하는 방식으로 4개의 우회전 신호등을 추가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이 경우 중앙 분전반에 이를 구동하기 위한 4개의 시스템(LSU:Load Switch Unit)을 추가하고 각 횡단보도에 추가 전기 공사(신호등 제어 전기선)를 진행하여 신호등을 설치한 후에 제어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해야 하지만 이는 설치비용이 비싸고 설치 시간 역시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4762호(2018. 09. 28.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있어서 중앙 분전반에 4개의 LSU 장치를 설치하고 추가의 전기 공사 및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없이 이용가능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횡단보도를 포함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차량이 진입하는 제1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제1 보행자 신호등; 차량이 우회하는 제2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제2 보행자 신호등;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에 점등 신호를 제공하는 교통신호 제어기; 제1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는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 및 상기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을 제어하는 우회전 신호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의 제1 점등 신호에 기반하여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양태에서,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제1 보행자 신호등의 제1 점등 신호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의 제1 점등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제1 보행자 신호등의 제1 점등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제1 점등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제1 점등 신호는 제1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이고,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면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을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면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을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우회전 신호등의 황색등을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점등한 후 우회전 신호등의 녹색등을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은 제1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녹생등 신호를 감지하고 우회전 차량용 신호를 제어하므로, 추가 전기공사나 시스템 추가 그리고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없이 즉시 이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하나의 횡단보도에 설치된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뿐만 아니라 우회전 방향에 존재하는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를 동시에 감시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보행자의 안전과 운전자의 안전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에서 교통 신호 제어기, 보행자 신호등, 및 우회전 신호 제어기 사이에서의 신호 연결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우회전 신호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우회전 신호 제어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우회전 신호등 제어 시스템 이라고 함)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회전 신호등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횡단보도를 포함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100)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 제어 시스템으로서, 차량이 진입하는 제1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 차량이 우회하는 제2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제2 보행자 신호등(220); 제1 보행자 신호등(2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20)에 점등 신호를 제공하는 교통신호 제어기(300); 제1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는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100); 및 상기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100)을 제어하는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를 포함하고,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의 제1 점등 신호에 기반하여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100)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우회전 신호등(100)은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의 신호 제어에 따라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111), 우회전 신호등의 황색등(112) 및 우회전 신호등의 녹색등(113)을 온/오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보행자 신호등(210)은 제1 횡단보도, 예를 들면 차량의 진입 방향에 설치된 횡단보도에 설치되고,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은 제2 횡단보도, 예를 들면 차량의 진입방향으로부터 우측도로(우회전 도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보행자 신호등(2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은 교차로에 설치된 교통신호 제어기(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여 적색등 및 녹색등을 온오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회전 신호등(100) 및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횡단보도측에 설치되고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횡단보도에 설치된 제1 보행자 신호등(210)으로부터 우회전 신호 제어에 필요한 제1 보행자 신호등(210) 정보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20) 정보를 제1 점등 신호로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우회전 신호등(100)은 제1 보행자 신호등(2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의 제1 점등 신호(또는 점등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점등 신호란 제1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10, 220)으로부터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로 입력되어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의미하며, 제1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10, 220)의 녹색등 점등 신호 또는 제1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10, 220)의 적색등 점등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에서 교통 신호 제어기, 보행자 신호등, 및 우회전 신호 제어기 사이에서의 신호 연결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 제1 및 제2 보행자 신호(210, 220) 및 교통 신호 제어기(300)에서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신호 제어기(300)는 그 내부에 설치된 단자를 통해 제1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10, 220)에 전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교통신호 제어기(300)는 하나의 신호등{제1 보행자 신호등(210) 또는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을 제어하기 위해 5선 중 3개의 신호선(S11,S12,S13; S21,S22,S23) 만을 이용하고 2개의 신호선(S14,S15; S24,S25)에는 어떤 신호도 인가되지 않고 남겨진다.
본 발명에서는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가 설치되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으로부터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의 점등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신호 제어기(300)의 제2 보행자 신호등(220) 단자로부터 녹색등 신호 라인(S22) 또는 적색등 신호 라인(S21)을 교통신호 제어기(300) 내부의 제1 보행자 신호등(210) 단자의 비어있는 신호 라인에 연결함으로써 별다른 배선 공사 없이 하나의 보행자 신호등{예를 들면 제1 보행자 신호등(210)}으로부터 다른 보행자 신호등{예를 들면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의 제1 점등 신호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의 보행 신호(녹색등 신호)를 제1 보행자 신호등(210) 단자에 연결하여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가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행금지 신호(적색등 신호)를 제1 보행자 신호등(210) 단자에 연결하여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가 획득할 수 있다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교통 신호 제어기(300) 내에서의 결선 없이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20)에 독립적으로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원하는 제1 점등 신호(예를 들면 적색 또는 녹색)를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으로부터 제1 보행자 신호등(210)의 제1 점등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보행자 신호등(220)으로부터 제1 점등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우회전 신호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의 신호가 전기적으로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의 내부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10,220)으로부터 제1 점등 신호(녹색등 신호 또는 적색등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감지부(121); 감지부(121)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점등부(123)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MCU(122); 및 MCU(12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111), 우회전 신호등의 황색등(112) 및 우회전 신호등의 녹색등(113)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점등부(123)를 포함한다.
감지부(121)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20)으로부터 제1 신호(녹색등 신호)를 감지하여 중앙 처리 장치에 전달하도록 기능한다. 이와 유사하게 감지부(121)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20)으로부터 제2 신호(적색등 신호)를 감지하여 중앙 처리 장치에 전달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MCU(122)는 우회전 신호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회전 신호등의 점등 제어를 수행하도록 동작하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점등부(123)는 MCU(122)로부터 발행된 또는 제어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우회전 신호등(110)으로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여 우회전 신호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도록 동작하며 릴레이(Relay), 펫(FET), SSR, TRIAC 등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의 적색등 및 녹색등 신호로부터 전류를 전원으로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124); 및 전원 입력부(124)로부터의 전류를 충전한 후 점등부(123)에 공급하기 위한 충전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24)는 차량 우회전 신호등(100)의 전원 및 우회전 신호등 시스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고, AC를 DC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부(125)는 상시 전원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를 전원으로 입력 받은 후 점멸 신호나 신호가 바뀌는 시간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보행자 신호등(210)으로부터의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 신호 및 녹색등 신호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녹색등 신호가 점멸 동작(깜박임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점등부(123)에 의한 우회전 신호등(100)에서의 점등 역시 깜박임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충전부(125)를 전원 입력부(124)와 점등부(123) 사이에 제공하고 충전부(125)로부터의 일정한 전원을 점등부(123)에 제공함으로써 제1 보행자 신호등(210)의 신호를 전원으로 이용하더라도 우회전 신호등(100) 점등 동안 깜박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 입력부(124)에는 상시 전원이 입력될 수 있다. 상시 전원은 별도의 전원 공사를 요구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신호 제어기(300)에 제공된 AC 200V 전원 단자를 제1 보행자 신호등(210)의 여분의 신호 라인(S15)에 연결하고 여분의 신호 라인(S15)을 우회전 신호등 제어기(120)의 전원 입력부(124)에 전원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우회전 신호 제어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에서의 우회전 신호등(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을 보여 주고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00에서 먼저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20)으로부터 제1 보행자 신호(녹색등 신호)를 수신한다.
이어진 단계 S110에서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차량의 진입로 측에 위치된 제1 보행자 신호등(210)의 녹색등이 점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보행자 신호등(210)에 녹색등이 켜진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15로 진행하여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111)을 점등시킨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점등 신호는 제1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10, 220)의 녹색등 점등 신호이고,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10, 220)의 녹색등 점등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보행자 신호등(210)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면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111)을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단계 S110에서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의 녹색등이 꺼진 것으로 판단되면(녹색등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20에서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차량 진입로의 우측에 위치된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의 신호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단계 S130에서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의 녹색등이 점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 S130에서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의 녹색등이 점등된 것으로 판단되면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단계 S135로 진행하여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111)을 계속하여 점등시키는 반면 단계 S130에서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의 녹색등이 점등된 것으로 판단되면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단계 S140으로 진행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3초) 우회전 신호등의 황색등(112)을 점등시킨다. 즉,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면,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111)을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진 단계 S150에서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났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경우 우회전 신호등의 황색등(112)을 오프시키는 동시에 좌회전등(또는 녹색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이후 좌회전등은 1번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이 턴온 될 때까지 유지되면 1번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이 턴온 되면 우회전 신호등의 녹색등(113)을 턴오프하고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111)을 턴온하여 단계 S110으로 복귀하여 단계 S160까지의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즉, 우회전 신호 제어기(120)는 제1 보행자 신호등(210)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제2 보행자 신호등(220)의 녹색등 점등 신호도 감지되지 않으면 우회전 신호등의 황색등(112)을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점등한 후 우회전 신호등의 녹색등(113)을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은 제1 및 제2 보행자 신호등(210, 220)의 녹생등 신호를 감지하고 우회전 차량용 신호를 제어하므로, 추가 전기공사나 시스템 추가 그리고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없이 즉시 이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하나의 횡단보도에 설치된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뿐만 아니라 우회전 방향에 존재하는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를 동시에 감시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보행자의 안전과 운전자의 안전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우회전 신호등 111: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
112: 우회전 신호등의 황색등 113: 우회전 신호등의 녹색등
120: 우회전 신호 제어기 210: 제1 보행자 신호등
220: 제2 보행자 신호등 300: 교통신호 제어기
121: 감지부 122: MCU
123: 점등부 124: 전원 입력부
125: 충전부 127: LCD

Claims (6)

  1. 적어도 2개의 횡단보도를 포함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이 진입하는 제1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제1 보행자 신호등;
    차량이 우회하는 제2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제2 보행자 신호등;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에 점등 신호를 제공하는 교통신호 제어기;
    제1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는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 및
    상기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을 제어하는 우회전 신호 제어기, 상기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상기 우회전 신호등 및 상기 제1 보행자 신호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을 통해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의 제1 점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점등 신호에 기반하여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우회전 신호 제어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제2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교통신호 제어기의 제2 보행자 신호등 단자의 제1 점등 신호에 대응하는 녹색등 신호 라인 또는 적색등 신호 라인은 교통신호 제어기 내부의 제1 보행자 신호등 단자의 비어있는 신호 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등 및 녹색등 신호로부터 전류를 전원으로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 및 전원 입력부로부터의 전류를 충전한 후 우회전 신호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점등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전원 입력부가 제1 보행자 신호등의 적색등 및 녹색등 신호를 전원으로 입력 받은 후 제1 보행자 신호등이 점멸되는 동안 점등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등 신호는 제1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이고,
    상기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면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을 점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면, 우회전 신호등의 적색등을 점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전 신호 제어기는 제1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 점등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우회전 신호등의 황색등을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점등한 후 우회전 신호등의 녹색등을 점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1020220081686A 2022-07-04 2022-07-04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102509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686A KR102509808B1 (ko) 2022-07-04 2022-07-04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686A KR102509808B1 (ko) 2022-07-04 2022-07-04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808B1 true KR102509808B1 (ko) 2023-03-14

Family

ID=8550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686A KR102509808B1 (ko) 2022-07-04 2022-07-04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8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761Y1 (ko) * 2004-04-22 2004-07-07 이승철 교차로 차량 보조등
KR200446856Y1 (ko) * 2007-11-26 2009-12-04 이종명 교통신호 시스템
KR20110009222U (ko) * 2010-03-23 2011-09-29 윤철수 보행자 중심의 교차로 우회전신호등 및 신호제어기
KR20160003715U (ko) * 2016-06-20 2016-10-26 주식회사 창우 우회전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KR101904762B1 (ko) 2016-12-30 2018-10-05 충주시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102290649B1 (ko) * 2021-01-25 2021-08-18 (주)이엔씨파워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761Y1 (ko) * 2004-04-22 2004-07-07 이승철 교차로 차량 보조등
KR200446856Y1 (ko) * 2007-11-26 2009-12-04 이종명 교통신호 시스템
KR20110009222U (ko) * 2010-03-23 2011-09-29 윤철수 보행자 중심의 교차로 우회전신호등 및 신호제어기
KR20160003715U (ko) * 2016-06-20 2016-10-26 주식회사 창우 우회전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KR101904762B1 (ko) 2016-12-30 2018-10-05 충주시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102290649B1 (ko) * 2021-01-25 2021-08-18 (주)이엔씨파워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0501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
KR101027633B1 (ko)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보조시스템
CN111694362B (zh) 行驶路径规划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KR102134393B1 (ko) 버스전용차선 신호 제어시스템
KR101937905B1 (ko) 교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09808B1 (ko)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에서 차량용 우회전 전용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20210078092A (ko) 스마트 램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003801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09053923A (ja) 衝突判定装置
KR20120128826A (ko) 교통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20110009222U (ko) 보행자 중심의 교차로 우회전신호등 및 신호제어기
US20050110660A1 (en) Traffic control malfunction management unit with flashing don't walk monitoring
KR102167703B1 (ko) Ac/dc 겸용 교통신호 제어기
JP7451263B2 (ja) 管理装置および交通誘導システム
US20210094467A1 (en) Automated driving enabled vehicle
JPH10141963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よる自動車電装品の制御システム
US11670174B2 (en) Reserved vehicle control method, reserved vehicle control device, and reserved vehicle control system
KR200355761Y1 (ko) 교차로 차량 보조등
JPH10320688A (ja) 交通信号制御装置
KR20050075810A (ko) 가변최소녹색시간에 따른 신호등 점등주기 제어방법
KR100932029B1 (ko) 교차로 차량 보조등
JPH09312000A (ja) 右/左折車両接近警報方法、並びに右/左折車両接近警報システム
KR200367214Y1 (ko)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100367224B1 (ko) 횡단보도 정지선위반 정차차량 경고장치 및 그 방법
KR101277829B1 (ko) 교통신호제어기의 개폐기를 이용한 횡단보도용 조명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