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99123A1 -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99123A1
WO2019199123A1 PCT/KR2019/004448 KR2019004448W WO2019199123A1 WO 2019199123 A1 WO2019199123 A1 WO 2019199123A1 KR 2019004448 W KR2019004448 W KR 2019004448W WO 2019199123 A1 WO2019199123 A1 WO 20191991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unit
crosswalk
elevating
pedestri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44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준형
노준우
Original Assignee
노준형
노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8286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21656B1/ko
Application filed by 노준형, 노준우 filed Critical 노준형
Publication of WO20191991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991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crossing safety walk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visually strongly alert and physically control the pedestrian crossing without accidental or intentional passage by a pedestrian or driver in an inadvertent situa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walk safety pedestrian system that more reliably prevents safety accidents,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o pedestrians around the crosswalk, and also provides public / commercial advertising effects.
  • various types of traffic light aids are installed around the crosswalk to prepare for safety accidents in advance, such as a voice guidance device that calls the pedestrians' attention to the pedestrian's attention without leaving the road side too close. Not only unauthorized crossings but also countermeasures against driver's safety accidents are necessar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edestrians and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crosswalk to have a visual alert and cross-cutting to prevent safety accidents more thoroughly by physically blocking indiscriminate entry To provide a sidewalk safety walking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pedestrians to wait for a crosswalk to expose various forms of public and commercial advertising and to convey a variety of useful information.
  • a pedestrian crossing safety walking system the posts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rosswalk access road; Horizontal members are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illar; Blocking unit which is installed to be lifted and lifted to the shor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A driving unit driving the blocking unit;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or vehicle;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prop and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by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or the vehicl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to operate the blocking unit.
  • the blocking portion is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pedestrian blocker for allowing or blocking the entry of pedestrians while lifting up and down; include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to allow the entry of the vehicle while rotating vertically Alternatively, the vehicle blocking unit may be further blocked.
  • the safety walking system includes a display unit which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or horizontal member,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with an advertising member for displaying a message to the pedestrian, in addition to the walking signal is changed A remaining time display member for displaying the remaining time is further provided.
  • the display unit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pillar, or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or rear of the horizontal member, or may be installed on all of them.
  • the display unit may allow the pedestrian to guide the walk by voice or text without displaying the remaining time on the remaining time display member 3 to 5 seconds before the signal change.
  •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is installed in each of the both sides of the pillar and the X-shaped expansion bar is installed in a continuous conn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rop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lifting lift configured to stretc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oth lifting lifts It is characterized by.
  •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wal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rlocking with the traffic light to open or block the front of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at is, vertically up and down pedestrian blocker and selectively perpendicular thereto
  • the pedestrian crossing and the unauthorized entry of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in advance to further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also promote various traffic safety to pedestrians waiting for crosswalks and pedestrians passing by.
  • phrases and commercial / public advertising you can not only raise safety awareness, but also obtain various useful information. Also, you can prevent illegal parking of vehicles on crosswalks or sidewalks.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mooth traffic. .
  • FIG.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locked state of a pedestrian crossing safety wal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blocking part of FIG. 1;
  • Figure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safety wal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edestrian b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of FIG. 4;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block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wal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and 9 are flowchart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afety wal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crosswalk access road; Horizontal members are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illar; Blocking unit which is installed to be lifted and lifted to the shor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A driving unit driving the blocking unit;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or vehicle;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and operating the cutoff unit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by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or the vehicl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wherein the cutoff unit is horizontally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st, Pedestrian crossing safety protection system for allowing or blocking the pedestrians to enter the pedestrian crosswalk including a pedestrian crossing on the side of the crosswalk to ensure that the pedestrian crossing and the unauthorized entry of the vehicle in advanc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further It can be strengthened.
  • FIG.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locking state of a crosswalk safety wal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blocking portion of Figure 1
  • Figure 3 is an open state of the safety wal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of FIG. 4
  • FIG.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block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wal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8 and 9 sh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safety wal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WSD refers to a wired safety door.
  •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walking system (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osswalk access road;
  • Blocking unit 30 is installed to be elevated or rotatable on the shor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or vehicle;
  • a driving unit 40 driving the blocking unit;
  • Sensing unit 5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or vehicle;
  • a controller 60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to lift or rotate the blocking unit.
  • the strut 10 is made of steel and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installed upright on both sides of the crosswalk access road. These struts 1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pedestrian crossing ramps (both sides of sidewalks on which pedestrian crossings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 the strut 10 serves to support the blocking unit while the driving unit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therein.
  • a space in which the driving unit can be installed is formed in the support, and sliding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duce a stable ascent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is supported. Play a supportive role.
  •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10).
  • the horizontal member 2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illar 10.
  • the horizontal member 20 has a length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ts and the strut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rosswalk an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ickness).
  • the horizontal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fixed frame 21 to prevent the lifting of the lifting lift by fixing the lifting lift upper portion of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such a fixing frame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10, not the horizontal member. .
  • the support 10 and the horizontal member 2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blocking unit 30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support to control the entry of pedestrians, and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pedestrian traffic light, and such a blocking unit includes a vertical lifting pedestrian blocking unit 31.
  •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31 is horizontally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both shores to allow or block the pedestrians entering and going up and down, and between the lifting lifts 311 and the two lifting lifts respectively installed inside the both shores 10.
  • Rope 312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nnected to.
  •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3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such as a telescopic shutter of the applicant's patent application 2016-123881 or a telescopic frame of 2018-21796.
  • the lifting lift 311 is used that is made so that the X-type expansion bar that is connected vertically in a bellows type is folded upward or unfolded downward.
  • a pair of bar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astened in the form of an X-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the X-shaped expansion bar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vertical direction
  • the bar is configured to be elastic, and the left and right upper ends of the X-shaped elastic bar located at the lowe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upper ends of the X-shaped elastic bar located at the lower side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a rhombus shape by being axially coupled, such a lifting type lifting lift 311. Is axially rotated by the lift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is folded upward or unfolded downward.
  • the rope 312 is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ifting lifts 3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open and block the front of the pedestrian while the vertical lifting and spacing is stretch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ifting lift.
  • the X-shaped expansion bar is the same size as the pedestrian does not pass between the rope and the rope as a whole or only the size of the X-shaped expansion bar located at the top to form a stretch of the lifting lift (folding By expanding the spreading width), when the lifting lift is completely folded, the overall vertical length can be shortened so that the height between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pedestrian can be secured to some extent.
  • the elevating lift 311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orm, and if the plurality of ropes 312 are driven to move up and down to allow or block pedestrians entering the crosswalk in a horizontally arranged state, It may also be in the form.
  • the blocking unit 30 further includes a vertical rotary vehicle blocking unit 32 to control the entry of the vehicle.
  • the vehicle blocking unit 32 is install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pillars to allow or block the vehicle while rotating vertically.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vehicle blocking unit 32 is installed on the sides of the pillars 10 to support the pillars. It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plate 322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bar 321, the rotation bar 321 to rotate the axis.
  • Rotating bar 321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open the front of the vehicle while rotating 90 ° to form a parallel (vertical) or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horizontal) with th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10) The vehicle driver may easily recognize whether a walking signal is present even if the vehicle driver does not look at the traffic light by the rotation bar 321.
  •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bar 321 is attached to the block 322 of a predetermined size to inform the blocking of the entry of the vehicle can be more sure that the vehicle driver is a walking signal to stop the driving, such block plate Characters such as "stop” and "STOP" may be displayed.
  • the blocking unit 3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traffic light but operates safety of pedestrians first based on a danger signal of a sensing unit described later.
  • the blocking unit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31 and the vehicle blocking unit 32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lights, but may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around the crosswalk.
  • a locking means including a locking member 35 for maintaining the open or blocked state of the blocking unit 30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lock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support (10) a plurality of ropes 312 constituting the pedestrian block (31) as part of the lifting lift 311 so that the gap is narrowed or the expanded state is fixed while falling. Can be fixedly coupled or detachable on the support.
  • the locking means may be coupled or detachab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bar on the support so that the state in which the lifting bar 321 constituting the vehicle blocking unit 32 is raised to form a parallel state with the support.
  • the locking means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drive unit 40 is installed inside the prop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lift or rotate the pedestrian blocker or vehicle blocker.
  • Such a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and receives a blocking control signal by a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to operate the blocking unit.
  • the elevating member 45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elevating lift 311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elevating body described later, while the elevating elevating elevating lift is moved up and down while the rope 312 is spaced. It is to narrow or open the gap.
  • the lifting means includes a driving motor 41, a screw 42, and a lifting body 43 provided with a cam part.
  • the drive motor 41 is installed on the support to drive the screw to rotate in the form of rotation to provide power to lift the pedestrian block 31, this drive motor is always rotated while the screw 42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 Encoders can be installed in tandem to deliver constant power to the screws, and these encoders can also adjust the power and speed of the motor.
  • the screw 42 is install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post and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drive motor.
  • the lifting body 43 is mounted on the screw to be raised or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and is provided with a cam portion.
  • the cam portion 43a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cam portion protrudes more than the other portion, and the lifting body 43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crew while the other end portion 45a of the eleva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am portion.
  • the cam portion 43a rotates together with the elevating body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42, and whe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am portion is caught by the other end 45a of the elevating member during the rotation of the elevating body 43, the elevating member is elevated.
  • the body is prevented from further rotation and raised or lowered along the screw 320.
  • the driving unit for elevating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 the detector 5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prop or pedestrian crossing to detect the movement state of the pedestrian or the vehicle,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or the vehicl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rop or the pedestrian crossing, and detects the pedestrian detected by the detector. Alternatively,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 the sensing unit 5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and transmits the first sensor 51 to transmit the data to the controller (first controller) and the vehicl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ransmit the data to the controller (second controller). It includes two sensors 52, the first sensor 51 detects whether the pedestrian has entered the crosswalk, the second sensor 52 detects whether the vehicle has enter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rosswalk. .
  • the sensing unit 50 may include a CCTV installed in the holding or horizontal member to monitor the damage of the walking system or the surround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prevent crime.
  • the control unit 60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stalled inside the prop to control the driving unit.
  • the control unit 60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40 by motion data of the pedestrian or vehicl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50 to operate the blocking unit. Let's do it.
  • the control unit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is installed in the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edestrian block 31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vehicle block 32 by the motion data of the pedestrian transmitted by the first sensor.
  • a second control unit 62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61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vehicle blocking unit 32 and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31 by the movement data of the vehicle transmitted by the second sensor. ).
  • the controller 6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40 to suspend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unit 30 even if the signal is changed when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or the vehicle is detected by the detecting unit.
  •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31 may be restricted from being opened when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pproaching the crosswalk is sensed without decreasing the speed. Even if it is not operated by a failure, the safety of the pedestrian can be secured in advance in the pedestrian blocking unit 31.
  • the control unit 60 may be configured as a control box.
  • control unit 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0, the sensing unit 50, and a display unit to be described later.
  • the display unit 70 includes an advertisement member 71 installed on the prop and / or the horizontal member to display a message transmitted to the pedestrian,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a message such as guidance, promotion, or advertisement by the controller 60. Controlled to display.
  • the advertising member 71 may be installed a plurality of holding and / or horizontal members, preferably horizontal members 20, the message constituting the advertising member 71 is a guide for the safety and caution statement Or various advertisements, promotions, and cautions (warnings), such as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for campaigns such as the environment or smoking cessation, news from locations like the county, election campaigns, and commercial advertisements for schools, kindergartens, and hospitals in nearby areas where pedestrian crossings are installed.
  • the message for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by means of letters, numbers, figures, and the like.
  • various advertisement texts are display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rizontal member 20 so that the pedestrian can wait to see the pedestrians.
  • the phrase "in the middle of CCTV shooting" can be placed in front of the pedestrians to block pedestrian hearings or desires, or to prevent vandalism or other crimes.
  • the display unit 70 includes a signal cycle remaining time display member 72 indicating a time remaining until the walking signal is changed from a green signal to a red signal, either numerically or graphically, and the remaining time display member 72 is displayed. I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art, preferably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or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20, more preferably in the center.
  • the remaining time display member 72 may be used as a part of the advertisement screen of the display unit, or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support 10 or the horizontal member 20.
  • the remaining time display member 72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edestrian's gaze) as well as the rear of the strut or the horizontal member (the side of the gaze of the pedestrian standing across the pedestrian crossing), and thus the crosswalk Pedestrians standing in front of the access road can be checked through the remaining time display member 72 'installed across the crosswalk without having to lift the head on purpose to check the remaining time.
  • the display unit 70 may include a setting key for arbitrarily setting a remaining time by a user such as a traffic police in accordance with a situation occurring near a crosswalk.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of.
  • the camera device when the blocking unit 30 does no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traffic light, the camera device (not shown) separately installed may detect a green signal or a red signal and count down the signal change time.
  • control unit 60 stops the countdown of the remaining time displayed on the remaining time display member 72 of the display unit in advance, preferably 3 to 5 seconds before the signal is changed and no longer displays the remaining time. .
  • the display unit 70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or rear or side of the support and / or the front or rear of the horizontal member, in particular,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face facing the pedestrian) or both. In such a display unit, an LED module may be used.
  • the safety pedestria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in any pedestrian crossing, but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o apply to child protection zones, accident multiple areas, general roads more than five lanes.
  •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wal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or manu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행자나 운전자가 부주의한 상황에서 실수나 고의로 횡단보도를 무단으로 통행하지 않도록 시각적으로 강하게 경각심을 줌과 아울러 물리적으로 통제하여 횡단보도 내 안전사고를 더욱 확실하게 예방하도록 하고, 횡단보도 주변의 보행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공익적/상업적 광고 효과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본 발명은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행자나 운전자가 부주의한 상황에서 실수나 고의로 횡단보도를 무단으로 통행하지 않도록 시각적으로 강하게 경각심을 줌과 아울러 물리적으로 통제하여 횡단보도 내 안전사고를 더욱 확실하게 예방하도록 하고, 횡단보도 주변의 보행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공익적/상업적 광고 효과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횡단보도 주변에는 보행자 신호등과 차량 신호등이 상호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보행자와 차량의 이동을 통제하고 있음에도 횡단보도나 그 주변에서 종종 사고가 발생한다.
이는 보행자의 부주의나 운전자의 과실, 질서의식 부족, 교통 혼잡, 도로 구조나 교통 신호체계 문제 등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컨대, 보행자의 경우 녹색신호로 바뀌기 전에 급한 마음에 미리 건너려고 하거나 적색신호로 바뀐 후에도 무단으로 횡단하는 일이 있고, 특히 스쿨존과 같이 어린이 보호구역에 위치한 횡단보도에서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의 돌발적 행동에 의해 사고가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차량의 경우에는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남아 있더라도 녹색신호로 바뀌자마자 그대로 주행하거나 적색신호로 바뀌는 순간에도 무리하게 통과하는 일이 있었다. 심지어 차량을 횡단보도에 접하도록 정차하여 통행을 방해하는 등 안전의식의 결여로 사고를 유발하거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한편, 서울시의 통계에 따르면, 교통사고 사망자의 50% 이상이 차량과 보행자와의 사고에 의해 발생하여 보행자 안전에 대한 문제가 심각한 상태이고, 전체 보행자의 사망사고 중 보행자의 무단횡단에 의한 사고가 가장 많은데다가 운전자의 안전운전 불이행에 의한 사고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일반도로의 경우 통행속도가 높은 5차로 이상의 일반도로에서 사고가 더 많이 발생하였고, 5차로 이상의 일반도로에서 발생한 보행자 사망사고는 대부분 보행자의 무단횡단에 의한 것인 반면, 4차로 이하의 일반도로에서는 운전자의 안전운전 불이행에 의한 사고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횡단보도 주변에는 보행자가 도로 측으로 지나치게 접근하지 않고 안전선 안으로 물러나도록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음성 안내 장치와 같이 안전사고에 미리 대비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신호등 보조장치가 설치되고 있기는 하나, 보행자의 무단횡단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대응책도 반드시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특허등록 제1810662호의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과 같이 횡단보도 양측에 도로 방향과 평행인 방향 또는 보행자 진행방향으로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진행 또는 정지 여부를 인식시키도록 하거나, 한국 특허등록 제1532554호의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시스템과 같이 차량이 횡단보도 근처에서 서행하거나 일시 정지 의무를 지키도록 차도와 횡단보도 블록의 높이를 달리하고, 보행자가 통행 중인 경우 이동 중인 차량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게 신호를 발생하여 교통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선행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의 행동에 제한을 두어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는 있으나, 어디까지나 스스로 보행이나 주행을 멈추는 등의 운전자나 보행자가 자신의 행동을 제어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폰에 시선을 빼앗기거나 일행과 잡담을 나누는 등 매우 부주의한 상태에 있는 보행자나 운전자 또는 주변을 살피지 않고 무작정 횡단하거나 질서의식이 낮은 보행자나 운전자를 통제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고, 또한 종래의 보행 안전장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기능만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횡단보도를 통과하는 보행자 및 차량으로 하여금 시각적인 경각심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무분별한 진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더욱 철저하게 방지하도록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가 횡단보도에서 대기하는 중에 다양한 형태의 공익적, 상업적 광고를 노출시키고 여러 가지 유익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은, 횡단보도 진입로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지주; 좌우 양측 지주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재; 보행자의 이동을 통제하도록 지주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 차단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지주 내부에 설치되고 감지부에서 감지된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차단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는 좌우 양측 지주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하 승강하면서 보행자의 진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보행자 차단부;를 포함하며, 좌우 양측 지주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면서 차량의 진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차량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시스템은 상기 지주 또는 수평부재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보행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광고부재를 구비하고, 여기에 더하여 보행 신호가 변경되는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잔여시간 표시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지주의 전면이나 후면,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수평부재의 전면이나 후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는 신호 변경 3~5초 전에 잔여시간 표시부재에 잔여시간을 표시하지 않고 보행자에게 음성 안내나 문자로써 보행을 안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보행자 차단부는 양측 지주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X자형 신축바가 수직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승강리프트 및 양측 승강리프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로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에 따르면, 신호등과 연동 작동하여 상황에 따라 보행자 및 차량의 전방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차단부 즉, 상하 승강식 보행자 차단부와 여기에 선택적으로 수직 회전식 차량 차단부를 설치하여 보행자의 무단횡단 및 차량의 무단진입을 사전에 확실하게 통제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을 더욱 강화할 수 있고, 또한 횡단보도에서 대기하는 보행자나 그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들에게 각종 교통안전 홍보 문구나 상업적/공익적 광고 등을 노출시킴으로써 안전의식을 제고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횡단보도 진입로나 그 주변 인도에 차량을 불법으로 주정차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의 원활한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의 차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차단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 보행 시스템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행자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보행자 차단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횡단보도 진입로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지주; 좌우 양측 지주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재; 보행자의 이동을 통제하도록 지주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 차단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지주 내부에 설치되고 감지부에서 감지된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차단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좌우 양측 지주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하 승강하면서 보행자의 진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보행자 차단부;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을 횡단보도의 진입로 측에 설치함으로써 보행자의 무단횡단 및 차량의 무단진입을 사전에 확실하게 통제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의 차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단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 보행 시스템의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보행자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보행자 차단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 중에서 WSD는 Wired Safety Door를 가리킨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S)은, 횡단보도 진입로 양측에 설치되는 지주(10); 보행자 또는 차량의 이동을 통제하도록 지주에 승강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30); 차단부를 구동하는 구동부(40);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50); 및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차단부를 승강 또는 회전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는 강재로 이루어지고 소정 높이를 가지며 횡단보도 진입로의 좌우 양측에 직립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지주(10)는 서로 대향하는 횡단보도 진입로(횡단보도가 설치된 인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지주(10)는 그 내부에 후술하는 구동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차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지주 내부는 구동부가 설치 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보행자 차단부의 일부가 지지 결합된 상태에서 안정된 승강을 유도하도록 내측면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보행자 차단부의 승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행자 신호등은 지주(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좌우 양측 지주(10)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수평부재(20)가 설치된다.
수평부재(20)는 횡단보도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지주와 지주 사이의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짐과 아울러 소정 높이(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재에는 후술하는 보행자 차단부의 승강리프트 상부를 고정하여 승강리프트의 상승을 저지하도록 고정프레임(2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프레임은 수평부재가 아닌 지주(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주(10)와 수평부재(20)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차단부(30)는 지주에 지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행자의 진입을 통제하는 것으로서, 보행자 신호등과 연동하여 작동되며, 이러한 차단부는 상하 승강식 보행자 차단부(31)를 포함한다.
보행자 차단부(31)는 좌우 양측 지주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하 승강하면서 보행자의 진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것으로, 양측 지주(1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승강리프트(311) 및 양측 승강리프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로프(31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행자 차단부(31)로는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2016-123881호의 신축형 셔터 또는 제2018-21796호의 신축프레임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되듯이, 승강리프트(311)는 자바라 타입으로 수직으로 다수 연결되는 X형 신축바가 상방으로 접히거나 하방으로 펼쳐지도록 이루어진 것이 사용된다.
상기 승강리프트(311)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정 길이를 가진 한 쌍의 바가 중앙의 축을 기준으로 X자 형태로 체결되되, 이러한 X자형 신축바가 수직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바, 상측에 위치하는 X자형 신축바의 좌우 하단부에, 하측에 위치하는 X자형 신축바의 좌우 상단부가 각각 축 결합되어 마름모 형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신축 타입의 승강리프트(311)가 후술하는 승강수단에 의해 축 회전되어 상방으로 접히거나 하방으로 펼쳐지게 된다.
로프(312)는 양측 승강리프트(31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다수 연결되어 승강리프트의 신축에 의해 상하 승강 및 간격이 신축되면서 보행자의 전방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X자형 신축바는 보행자가 로프와 로프 사이를 넘어가지 못한 정도의 크기로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단에 위치하는 X자형 신축바의 크기만 크게 형성하여 승강리프트의 신축 정도(접히고 펼쳐지는 폭)를 확장함으로써 승강리프트를 완전히 접었을 때 전체적인 수직 길이를 짧게 줄일 수 있으므로 수평부재와 보행자 사이의 높이를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승강리프트(311)는 상기와 같은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로프(312)가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횡단보도로의 보행자 진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동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단부(30)는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도록 수직 회전식 차량 차단부(32)를 더 포함한다.
차량 차단부(32)는 좌우 양측 지주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면서 차량의 진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지주(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지주를 축으로 90°회전하는 회전바(321)를 포함하고, 회전바의 선단부에 결합된 차단판(322)을 더 포함한다.
회전바(321)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지주(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지주와 평행(수직)을 이루거나 직각을 이루도록(수평) 90°로 회전하면서 차량의 전방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며, 상기 회전바(321)에 의해 차량 운전자는 신호등을 따로 보지 않더라도 보행 신호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바(321)의 타단부에는 차량의 진입 차단을 알리는 소정 크기의 차단판(322)이 부착되어 차량 운전자가 보행 신호임을 더욱 확실하게 인식하고 주행을 멈추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차단판에는 "정지", "STOP"와 같은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차단부(30)는 신호등과 연동하여 작동하되 후술하는 감지부의 위험신호를 기반으로 보행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차단부는 보행자 차단부(31)와 차량 차단부(32)가 신호등과 연동하여 동시에 작동될 수도 있으나, 횡단보도 주변의 상황에 따라 각각 개별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아울러, 차단부(30)의 개방 또는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재(35)가 포함된 잠금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잠금수단은 지주(10)에 설치되어 보행자 차단부(31)를 구성하는 다수의 로프(312)가 상승하면서 간격이 좁혀지거나 또는 하강하면서 펼쳐진 상태가 고정되도록 승강리프트(311)의 일부를 지주 상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차량 차단부(32)를 구성하는 회전바(321)가 지주와 평행 상태를 이루도록 상승한 상태가 고정되도록 회전바의 상부를 지주 상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은 본 발명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는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40)는 지주 내부에 설치되어 보행자 차단부 또는 차량 차단부가 승강 또는 회전 작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부는 모터를 구비하며,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차단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차단부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보행자 차단부를 승강 구동하는 구동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리프트(311)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승강시키는 승강부재(45) 및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승강부재(45)는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부가 승강리프트(311)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후술하는 승강몸체에 체결되어 상하 이동에 의해 승강리프트를 신축 승강시키면서 로프(312)의 간격을 좁히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승강수단은 구동모터(41)와, 스크루(42)와, 캠부가 구비된 승강몸체(4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41)는 지주 상에 설치되어 스크루를 자전 형태로 회전 구동하여 보행자 차단부(31)가 승강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동모터는 스크루(42)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안 항상 일정한 동력을 스크루에 전달하기 위해 엔코더가 연계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엔코더를 통해 모터의 동력 및 속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스크루(42)는 지주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승강몸체(43)는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스크루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캠부가 구비된다.
캠부(43a)는 일부위가 타부위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캠부에 승강부재의 타단부(45a)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승강몸체(43)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즉, 스크루(42)의 회전에 의해 승강몸체와 함께 캠부(43a)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승강몸체(43)의 회전 시 상기 캠부의 돌출 부위가 승강부재의 타단부(45a)에 걸리게 되면 승강몸체는 더 이상의 회전은 저지되고 스크루(32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행자 차단부를 승강하는 구동부는 상기 예시된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부(50)는 지주 또는 횡단보도에 인접 설치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지주 또는 횡단보도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의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부에서 감지된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은 제어부로 전송된다.
감지부(50)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제어부(제1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센서(51) 및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제어부(제2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센서(52)를 포함하며, 제1센서(51)는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진입한 상태인지 감지하고, 제2센서(52)는 차량이 횡단보도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진입한 상태인지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50)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시스템 또는 주변의 시설물의 훼손을 감시 및 범죄를 예방하도록 지주 또는 수평부재에 설치되는 CCTV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지주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감지부(50)에서 감지된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 데이터에 의해 구동부(4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차단부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제어부(60)는 제1센서에 연결 설치되어 제1센서에 의해 전송되는 보행자의 움직임 데이터에 의해 보행자 차단부(31)의 승강 및 차량 차단부(32)의 회전 이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61) 및 제2센서에 연결 설치되어 제2센서에 의해 전송되는 차량의 움직임 데이터에 의해 차량 차단부(32)의 회전 및 보행자 차단부(31)의 승강 이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6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감지부에 의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신호가 바뀌더라도 차단부(30)의 작동을 보류하도록 구동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 신호가 점등되었음에도 속도가 줄지 않고 횡단보도 쪽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을 때 보행자 차단부(31)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만일의 경우 차량 차단부(32)가 고장에 의해 작동되지 않더라도 보행자 차단부(31)에 보행자의 안전을 미리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차량 신호가 점등되었을 때 횡단보도를 미처 통과하지 못한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을 때 보행자가 안전하게 다 건널 때까지 보행자 차단부(31)의 개방 상태를 유지 및 차량 차단부(32)의 개방을 보류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차량 신호등을 적색신호에서 녹색신호로 변경하는 것을 보류하고 황색신호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60)는 콘트롤박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상기 구동부(40)와 감지부(50) 및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70)는 지주 및/또는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광고부재(71)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60)에 의해 안내나 홍보, 광고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광고부재(71)는 지주 및/또는 수평부재, 바람직하게는 수평부재(20)를 구획하여 다수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광고부재(71)를 구성하는 메시지로는 안전을 위한 안내 및 주의 문구 또는 환경이나 금연 등 캠페인 홍보를 위한 공익광고, 시군과 같은 소재지의 소식, 선거 관련 홍보, 횡단보도가 설치된 인근 지역의 학원이나 유치원, 병원 등의 상업적 광고와 같이 다양한 광고나 홍보, 주의(경고)를 위한 메시지가 문자나 숫자, 도형 등의 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횡단보도 대기 보행자가 볼 수 있도록 수평부재(20)의 전면 및 후면에 각종 광고 문구가 부착 표시되어 보행자가 신호가 변경되기를 기다리는 동안 이러한 문구를 접하도록 노출시킬 수 있으며, 또는 지주(10)의 전면에 "CCTV 촬영 중"이라는 문구를 명시하여 보행자의 무단횡단 심리나 욕구를 차단하거나 또는 기물 파손이나 기타 범죄를 예방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보행 신호가 녹색신호에서 적색신호로 변경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숫자 또는 도형으로 나타내는 신호주기 잔여시간 표시부재(72)를 포함하며, 상기 잔여시간 표시부재(72)는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되, 바람직하게는 수평부재(20) 상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이나 좌우 일측,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잔여시간 표시부재(72)는 디스플레이부의 광고 화면 일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지주(10)나 수평부재(20)와는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잔여시간 표시부재(72)는 지주 또는 수평부재의 전면(보행자의 시선이 닿는 면) 뿐만 아니라 후면(횡단보도 건너편에 서있는 보행자의 시선이 닿는 면)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횡단보도 진입로 바로 앞에 서있는 보행자가 잔여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일부러 고개를 들어 올릴 필요 없이 횡단보도 건너편에 설치된 잔여시간 표시부재(72')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70)는 횡단보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따라 교통경찰과 같은 사용자가 잔여시간을 임의로 설정하도록 조작하는 설정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설정키에서 조작한 설정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면서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차단부(30)가 신호등과 연동하여 작동하지 못할 경우 별도로 설치되는 카메라 장치(미도시)에 의해 녹색신호 또는 적색신호를 감지하고 신호 변경시간을 카운트다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디스플레이부의 잔여시간 표시부재(72)에 표시되는 잔여시간의 카운트다운을 미리, 바람직하게는 신호가 변경되기 3~5초 정도 전에 멈추고 더 이상 잔여시간을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잔여시간 표시부재(72)에 잔여시간을 표시하지 않고 "곧 신호가 변경됩니다", "주변을 살피고 안정보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음성 안내를 하거나 이를 디스플레이부(70)에 문자로써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가 잔여시간을 예측하고 성급하게 횡단보도를 건너려는 행동을 억제함과 아울러 신호등과 연동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치단부의 작동 시간 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70)는 지주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측면 및/또는 수평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며, 특히, 전면(보행자와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거나 이들 모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LED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전 보행 시스템은 어떠한 횡단보도에도 설치 가능하나, 특히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 다발구역, 5차선 이상의 일반도로 등에 적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은 주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예컨대, 횡단보도 주변에 신호등이 없거나 심야 시간대, 황색신호가 점멸 시 또는 유치원 앞에서 교사가 어린이들을 인솔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조작함이 바람직하다.

Claims (10)

  1. 횡단보도 진입로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지주(10);
    좌우 양측 지주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재(20);
    보행자의 이동을 통제하도록 지주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30);
    차단부를 구동하는 구동부(40);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50); 및
    지주 내부에 설치되고 감지부에서 감지된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차단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30)는 좌우 양측 지주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하 승강하면서 보행자의 진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보행자 차단부(3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 또는 수평부재(20)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보행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광고부재(71)를 구비하되, 상기 메시지는 교통안전이나 주의 문구, 공익광고, 시군 소재지 소식, 선거 관련 홍보, 상업광고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보행 신호가 변경되는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잔여시간 표시부재(72)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지주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일면이나 수평부재의 전면이나 후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30)는 좌우 양측 지주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면서 차량의 진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차량 차단부(32);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50)는 보행자나 차량의 움직임, 주변 시설물의 훼손 감시, 범죄 예방을 하도록 지주(10) 또는 수평부재(20)에 설치되는 CCTV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신호 변경 3~5초 전에 잔여시간 표시부재(72)에 잔여시간을 표시하지 않고 보행자에게 음성 안내나 문자로써 보행을 안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차단부(31)는 양측 지주(1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X자형 신축바가 수직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승강리프트(311) 및 양측 승강리프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로프(31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차단부(31)를 승강 구동하는 구동부는 상기 승강리프트(311)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승강시키는 승강부재(45) 및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지주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크루(42); 지주 상에 설치되어 스크루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1); 및 스크루에 장착되고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몸체(4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PCT/KR2019/004448 2018-04-12 2019-04-12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WO201919912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2716 2018-04-12
KR10-2018-0042716 2018-04-12
KR10-2018-0082863 2018-07-17
KR1020180082863A KR102121656B1 (ko) 2018-04-12 2018-07-17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9123A1 true WO2019199123A1 (ko) 2019-10-17

Family

ID=6816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4448 WO2019199123A1 (ko) 2018-04-12 2019-04-12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991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9923A (zh) * 2022-01-21 2022-04-26 杭州安众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plc控制的隧道交通雷达警示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5Y1 (ko) * 2005-08-09 2005-11-04 한성무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100004407U (ko) * 2008-10-21 2010-04-29 (주)디엔테크 횡단보도 차단기
KR20100045022A (ko) * 2008-10-23 2010-05-03 대륙이엔지(주) 횡단보도용 차단기
KR20110037101A (ko) * 2009-10-05 2011-04-13 차창식 횡단보도용 복합신호등
KR101061583B1 (ko) * 2011-03-23 2011-09-02 (주) 미도랜드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5Y1 (ko) * 2005-08-09 2005-11-04 한성무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100004407U (ko) * 2008-10-21 2010-04-29 (주)디엔테크 횡단보도 차단기
KR20100045022A (ko) * 2008-10-23 2010-05-03 대륙이엔지(주) 횡단보도용 차단기
KR20110037101A (ko) * 2009-10-05 2011-04-13 차창식 횡단보도용 복합신호등
KR101061583B1 (ko) * 2011-03-23 2011-09-02 (주) 미도랜드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차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9923A (zh) * 2022-01-21 2022-04-26 杭州安众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plc控制的隧道交通雷达警示系统
CN114399923B (zh) * 2022-01-21 2023-02-21 杭州安众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plc控制的隧道交通雷达警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657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1879383B1 (ko)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계한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1446113B1 (ko) 횡단보도의 통행안전장치
KR200400235Y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0888640B1 (ko) 횡단 보도의 입구에 광고겸용 지능형 교통순경 로봇이설치된 교통안전 대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782931B1 (ko) 횡단보도 안전차단장치
KR101974985B1 (ko)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KR101923675B1 (ko) 전동식 진입차단바를 이용한 빗물펌프장 예경보시스템
KR20210011862A (ko)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CN102505648B (zh) 一种交通道路幕墙及其工作方法
KR102102271B1 (ko)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KR102148421B1 (ko)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는 도로 전광판(vms) 시스템
WO2015015264A1 (en) Improved road crossing system for pedestrians and cyclists
KR20180002976A (ko)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횡단보도 신호 제어 방법
WO2019199123A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ES2324143B1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incorporaciones de vehiculos mejorado.
KR100389501B1 (ko)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방법
KR102324942B1 (ko)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주차 차단기
KR101040769B1 (ko) 횡단보도용 차단기
KR101607318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KR102121656B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KR101142004B1 (ko)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KR100997484B1 (ko) 횡단보도 교통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스쿨존 교통신호 조경물
KR200255636Y1 (ko)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보호장치
KR102121063B1 (ko) 보행자 신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859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859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604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859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