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004B1 -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004B1
KR101142004B1 KR1020110134511A KR20110134511A KR101142004B1 KR 101142004 B1 KR101142004 B1 KR 101142004B1 KR 1020110134511 A KR1020110134511 A KR 1020110134511A KR 20110134511 A KR20110134511 A KR 20110134511A KR 101142004 B1 KR101142004 B1 KR 101142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rod
vehicle
main body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태
Original Assignee
주원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원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보호구역 내에 설치되어 건널목을 건너는 보행자 및 건널목을 통과하는 차량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여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설정된 보행신호에 따라 차량 및 보행자를 통제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에 있어서, 건널목에 설치되고 측면에 수납공간(10)이 형성된 본체(1);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10)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형성된 튜브형식의 차단봉(20); 상기 차단봉(20)의 수축시 차단봉(20)이 상기 수납공간(10)에 수납되도록 작용하는 와이어부재(30);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고 전환수단(102)을 통해 상기 차단봉(20)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기압생성수단(101);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보행신호에 따라 상기 전환수단(102)과 기압생성수단(101)을 제어하는 차단봉구동부(201)로 이루어지는 제어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1) 외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고 속도를 측정하는 차량감지수단(111); 상기 본체(1) 상측에 차량의 접근방향을 향해 설치되되 상기 차량의 속도와 차량통제신호를 출력하여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수단(121);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차량감지수단(111) 및 디스플레이수단(121)을 제어하며 보행신호에 따라 차량통제신호를 생성하는 차량통제부(2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SYSTEM FOR SAFTY CROSSING GATE IN SCHOOL ZONE}
본 발명은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어린이보호구역 내에 설치되어 건널목을 건너는 보행자 및 건널목을 통과하는 차량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여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마다 증가하는 어린이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어린이의 통행이 잦은 학교주변을 어린이보호구역(일명 스쿨존)으로 지정하고 구역 내 엄격한 교통법규를 통한 규제와 함께 다양한 물리적 사고방지수단을 마련하여 관리하고 있다.
상술한 어린이보호구역 내의 사고방지수단으로는 건널목이 없는 구역에서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울타리, 차량의 감속을 유도하는 과속방지턱, 어린이보호구역 안내표지판 및 경고판, 과속감시카메라,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일반도로와 차별화된 도로색상, 차량의 보행로 진입을 막는 돌출 구조물 등이 있으며, 법규를 통한 규제로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차량의 운행속도를 30킬로로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보행자가 드물거나 과속방지수단이 없을 경우 차량들이 제한속도인 30킬로를 초과하여 운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의 사고방지수단은 고정구조물로서 차량 및 보행자 통행상황을 능동적으로 반영하지 못하여 통행에 불편함만 초래하는 경우도 많은 상황이다.
또한, 어린이 보호구역 내의 불법주정차를 비롯하여 도로의 구조적인 문제가 더해짐으로 어린이 안전구역은 여전히 안전취약지대로 남아 있으며, 어린이 보호구역 내 교통사고 건수에 대한 통계 또한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를 위해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상황을 반영하여 효과적으로 보행자와 차량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 보호구역의 건널목에 설치되어 차량 및 보행자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위험요인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 및 경고함으로 경각심을 고취시켜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설정된 보행신호에 따라 차량 및 보행자를 통제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에 있어서,
설정된 보행신호에 따라 차량 및 보행자를 통제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에 있어서, 건널목에 설치되고 측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형성된 튜브형식의 차단봉; 상기 차단봉의 수축시 차단봉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도록 작용하는 와이어부재;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전환수단을 통해 상기 차단봉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기압생성수단;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보행신호에 따라 상기 전환수단과 기압생성수단을 제어하는 차단봉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 외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고 속도를 측정하는 차량감지수단; 상기 본체 상측에 차량의 접근방향을 향해 설치되되 상기 차량의 속도와 차량통제신호를 출력하여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감지수단 및 디스플레이수단을 제어하며 보행신호에 따라 차량통제신호를 생성하는 차량통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본체는 보행자의 차로 진입을 감지하는 물체인식수단과; 음향을 통한 보행자통제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인식수단과 음향출력수단을 제어하고, 보행신호와 물체인식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보행자통제신호를 생성하는 보행자통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 및 관제센터와 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하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구동수단을 갖춘 영상감시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기 웹서버 또는 관제센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영상감시수단이 취득한 영상을 웹서버 또는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영상감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 및 관제센터와 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수단과;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위급상황 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비상신호입력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신호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비상신호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비상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상신호입력수단은 소정의 음성패턴을 인식하여 비상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음성인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외측으로 설치되는 조명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수단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봉은 하측에 연결되어 차단봉의 팽창과 함께 펼쳐지고, 차단봉의 수축과 함께 접히도록 구성된 안내깃발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어린이 보호구역 내의 건널목에서의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능동적으로 차량 및 보행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통행을 통제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단단한 재질이 아닌 에어 튜브방식의 차단봉을 사용함으로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의 차량손상 및 보행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및 보행자의 위반행동을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경고신호를 발생시켜 위반행동을 중단시키고 교통사고예방을 위한 경각심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긴급상황 발생시 보행자가 원거리의 관제센터 또는 학교 상황실의 웹서버에 비상신호와 주변영상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교통사고를 비롯하여 유괴, 실종 등의 각종 아동 범죄예방에 기여하고 안전한 통학로 확보로 대민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의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차단봉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작동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차단봉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공기압축기가 적용된 전환수단과 기압성성수단 및 차단봉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의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차단봉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는 교통사고 발생률이 높은 어린이 보호구역의 건널목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행신호등(500)이 없는 건널목일 경우 건널목 입구 측 통행로 가장자리에 본체(1)가 설치되고, 보행신호등(500)이 설치된 건널목일 경우 본체(1)를 보행신호등(500)의 기둥과 일체로 설치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을 통해 차량 및 보행자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기 위한 보행신호를 필요로 한다. 상기 보행신호는 보행신호등이 있을 경우 보행신호등의 파란불 신호가 될 수 있으나, 보행신호등이 없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간격으로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널 수 있도록 설정되는 타이머의 신호 또는,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기 위해 별도로 입력하는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어린이 보호구역 내 건널목의 통행로 가장자리에 본 발명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의 본체(1)가 설치된다. 첨부된 도 1에서는 건널목의 폭 방향 끝 부분으로 두 개씩 본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건널목의 폭이 길 경우 가운데 부분에 추가로 본체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1)의 측면에는 보행자를 통제하기 위한 차단봉(2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0)이 형성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왼쪽 본체의 오른쪽 측면에, 오른쪽 본체의 왼쪽 측면에 각각 수납공간(10)이 형성되며, 중앙에 추가로 설치되는 본체의 경우에는 왼쪽과 오른쪽 양 측면에 모두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단봉(2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는 에어 튜브형식으로 구성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차단봉(20)의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10)에 설치되되 차단봉(20)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차단봉(20)에 공기가 주입되면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팽창된다. 또한, 차단봉(20)이 팽창된 상태에서 내부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차단봉(20)이 일측 방향으로 수축하면서 상기 수납공간(10)에 수납된다.
기존에는 차단봉이 합성수지 등의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어 어린이들이 부딪혀 상해를 입는 경우가 있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부딪히더라도 다치지 않는 에어 튜브 형식으로 차단봉(20)을 구성하여 어린이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차단봉(20)에는 차단봉(20)을 상기 수납공간(10)으로 당기도록(수축하는 방향) 힘이 작용하는 와이어부재(30)가 구비된다. 특히, 도 3에서는 차단봉(20) 외측으로 감긴 스프링의 형태의 와이어부재(30)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 형태의 와이어부재(30)는 주입되는 공기압력에 따라 차단봉(20)의 팽창은 비교적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나, 반대로 수축은 느리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보다 차단봉(20)을 신속하게 수축시켜 수납공간(10)에 수납되도록 작용한다.
만일, 와이어부재(30) 없이 상기 차단봉(20)만 구성될 경우 차단봉(20)의 팽창시에는 내부 공기 압력으로 인해 견고히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차단봉(20) 수축시에는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힘없이 흔들릴 수 있고, 외부 물체와의 접촉으로 파손될 위험이 있다.
도 3에서와 같은 스프링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와이어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차단봉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작동도로서, 와이어부재(30)의 일단을 차단봉(20)에 연결하고 와이어부재(30)의 타단을 본체(1) 내부에 형성된 와이어드펌(32)에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드럼(32)을 통해 상기 와이어부재(30)를 감아 상기 차단봉(20)이 수납공간(10)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물론 와이어부재(30)가 본체(1)의 구조물에 닿아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부재(30)를 상기 와이어드럼(32)으로 유도하는 도르래(31)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드럼(32)은 태엽 방식을 적용하여 상시 와이어부재(30)를 감는 힘이 작용하도록 하고, 차단봉(20)의 팽창시 차단봉(20)에 주입되는 공기압력을 상기 와이어드럼(32)의 회전 작용력보다 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차단봉(20)에 유입되었던 공기가 빠져 차단봉(20)이 수축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드럼(32)의 회전 작용으로 수축된 차단봉(20)은 상기 수납공간(10) 내부에 수납된다.
또 다르게 별도의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드럼(32)이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동모터는 보행신호(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도록 하는 신호)에 맞춰 상기 와이어부재(30)를 감도록하고, 반대로 상기 차단봉(30)이 팽창할 경우에는 와이어부재(30)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전동모터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본체(1) 내부에는 상기 차단봉(20)을 팽창 또는 수축하기 위한 기압생성수단(101)이 설치된다. 상기 기압생성수단(101)은 공기 압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 3에서는 송풍팬의 형태로 구현된 기압생성수단(101)이 도시되었다. 이때 기압생성수단(101)은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전환수단(102)을 구비하게 된다. 공기의 흐름을 조절한다는 의미는 상기 차단봉(20)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공기를 흐르게 하거나, 차단봉(20)에 주입된 공기를 뽑아내도록 공기를 흐르도록 조절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기압생성수단(101)으로 송풍팬이 적용될 경우 상기 전환수단(102)은 송풍팬의 회전방향을 조정하는 수단이 된다. 즉 상기 전환수단(102)을 통해 송풍팬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차단봉(20)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한다고 가정하면, 전환수단(102)을 통해 송풍팬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단봉(20) 내에 주입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부재(30)의 작용과 함께 상기 전환수단(102)을 통해 신속하게 차단봉(20)의 수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공기압축기가 적용된 전환수단과 기압성성수단 및 차단봉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3에서는 기압생성수단을 송풍팬을 통해 구현된 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더욱 신속한 차단봉(20)의 팽창 또는 수축을 위해 공기압축기(C)를 통해 기압생성수단(101)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에어라인은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되며, 공기압축기(C) 출구의 압축공기가 차단봉(20)에 주입되고, 차단봉(20) 내부의 공기를 공기압축기(C)가 흡입하도록 연결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공기압축기(C)의 입구측, 출구측, 차단봉의 에어라인이 3-way밸브(V)를 통해 연결되어 공기압축기(C) 입구 - 차단봉(20) 또는 공기압축기(C) 출구 - 차단봉(20)의 연결구조가 이루어지게 되며, 공기압축기(C)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전자밸브(A, B)를 연결하여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차단봉(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경우에는 좌측의 전자밸브(A)가 열리고 차단봉(2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경우에는 우측의 전자밸브(B)가 열려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도 5는 공기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계통도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술한 보행신호에 따라 본 발명의 기능을 제어하는 회로형태의 제어부(20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환수단(102) 및 기압생성수단(101)을 제어하는 차단봉구동부(201)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봉구동부(201)는 차단봉(20)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구성으로,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지 못하도록 하는 보행신호(보행신호등의 빨간 신호)에 따라 상기 기압생성수단(101)을 작동시키고 상기 전환수단을 통해 차단봉(20)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한다. 이후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도록 하는 보행신호(보행신호등의 파란 신호)에 따라 상기 기압생성수단(101)을 작동시키고 상기 전환수단(102)을 통해 차단봉(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에 별도의 타이머를 구성하여 차단봉(2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시간 및 차단봉(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 외측에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갖춘 차량감지수단(111)이 설치되어 차량의 접근 여부와 차량의 이동 속도의 측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감지수단(111)은 본체(1)의 외측에 설치되어도 기능수행에는 지장이 없지만 외부의 접촉으로부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체(1)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 상측에는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차량의 접근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수단(121)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21)은 후술될 제어부(200)의 차량통제신호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을 통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해 보여주는 구성으로, 주로 차량의 속도, 진행(PASS), 정지(STOP)의 신호를 표시하게 되며, 일반 사람들의 손이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21)은 상술한 차량속도, 진행, 정지의 신호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운전자가 더욱 쉽게 확인하도록 진행신호는 청색, 정지신호는 적색으로 표시하되 속도의 표시는 제한속도인 30킬로 이하일 경우에는 청색, 30킬로 이상일 경우에는 적색 글자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차량감지수단(111) 및 디스플레이수단(121)을 제어하며 차량통제신호를 생성하는 차량통제부(211)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차량통제부(211)는 차량을 통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지 못하도록 하는 보행신호 중에는 건널목을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를 상기 차량감지수단(111)을 통해 측정하고 즉각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21)을 통해 운전자가 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제한속도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적색으로, 제한속도 미만일 경우에는 청색으로 속도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도록 하는 보행신호 중에는 차량이 건널목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정지" 또는 "STOP"라는 차량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21)을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적색 글자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도록 하는 보행신호가 종료되면, 차량이 건널목을 통과하도록 "통과" 또는 "PASS"라는 차량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21)을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청색 글자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는 보행자의 차로 진입을 감지하는 물체인식수단(13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체인식수단(131)은 일종의 동작센서로서 특히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지 못하도록 하는 보행신호 중 보행자가 건널목에서 차로로 진입하는 동작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즉, 보행신호등이 빨간불이거나 상기 차단봉이 팽창된 상태에서 보행자가 무의식 또는 의식적으로 차로로 진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후술될 음향출력수단(141)을 통해 보행자통제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음향출력수단(141)은 보행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음향신호, 구체적으로는 보행자통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로서 보행자가 통행하는 방향의 본체(1)측면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물체인식수단(131)과 음향출력수단(141)을 제어하고,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지 못하도록 하는 보행신호 중 물체인식수단(131)으로부터 보행자의 차로 진입을 감지하여 보행자통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음향출력수단(141)을 통해 출력하는 보행자통제부(221)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음향통제신호는 "위험하오니 뒤로 물러나세요."라는 경고문구로 이루어져 보행자에게 경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발명의 수요대상 관청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행자통제부(221)는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도록 하는 보행신호 중에 "좌, 우를 살피면서 건너가세요."라고 보행자통제신호를 출력하여 신호위반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도록 하는 보행신호가 종료되기 전(보행자 신호등의 파란신호가 깜빡이는 때)에는 "다음 신호를 이용하세요."라고 보행자통제신호를 출력하여 보행자가 건널목을 무리하게 건너지 않고 안전하게 다음 신호에 건널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상기 보행자통제부(221)를 상기 차량통제부와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보행자가 건널목을 건너도록 하는 보행신호 중 차량이 제한속력을 초과하여 접근하거나, 차량이 건널목으로 진입할 경우 보행자가 신속하게 이를 인지하여 조심하도록 하는 보행자통제신호를 출력하게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소정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를 관리하는 웹서버(300) 및 교통관제센터(400)와 연결하는 통신수단(15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유무선 통신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터넷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인트라넷 또는 휴대전화통신망을 통해 CDMA 또는 WCDMA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상측에는 건널목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감시수단(161)이 설치된다. 상기 영상감시수단(161)은 건널목 주변이 최대한 촬영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높이로 설치되는 감시카메라로서,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구동수단(162)을 갖추어 촬영 사각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통신수단(151)을 통해 연결된 상기 웹서버(300) 또는 관제센터(4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162)을 제어하고 영상감시수단(161)이 취득한 영상을 상기 통신수단(151)을 통해 웹서버 또는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영상감시부(231)를 더 포함하게 된다. 즉, 상기 영상감시수단(161)은 상기 영상감시부(231)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웹서버(300) 또는 관제센터(400)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웹서버(300) 또는 관제센터(400)는 건널목 주변의 영상을 취득하여 보관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 유괴 및 실종과 같은 아동관련 범죄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고 정확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측면에 보행자가 위급상황 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비상신호입력수단(17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상신호입력수단(171)은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구현가능하나, 간편하게 버튼방식을 적용하여 보행자가 위급상황 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비상신호입력수단(171)을 통해 입력된 비상신호를 상기 통신수단(151)을 통해 관제센터(400)로 송신하는 비상신호생성부(241)를 더 포함한다. 즉, 보행자가 상기 비상신호입력수단(171)을 통해 입력한 비상신호는 비상신호생성부(241)를 통해 즉시 관제센터로 전송되며, 관제센터에서는 이를 가까운 경찰서 또는 지구대에 통보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수요관청의 요청에 따라 관제센터(400)가 아닌 가까운 지구대 또는 학교 상황실로 비상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비상신호입력수단(171)은 버튼방식이 아닌 소정의 음성패턴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172)로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음성패턴은 어린이의 구조요청신호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험에 처한 어린이가 "도와주세요."라고 외칠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172)가 이를 인지하고 비상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비상신호입력수단(171)은 상기 영상감시수단(161)과 함께 구성됨으로 관제센터(400)에서 비상신호를 수신 후 즉시 구동수단(162)을 제어하여 건널목 주변의 영상을 확인하거나, 관제센터(400) 모니터에 취득된 영상이 팝업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건널목 주변에 가로등이 없을 경우 상기 본체(1) 외측으로 야간 또는 구름이 짙어 어두운 날씨에 건널목 및 주변을 비추는 조명수단(18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조명수단(181)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251)를 더 포함하게 되며, 상기 조명제어부(251)는 현장조작 또는 타이머나 웹서버(300) 및 관제센터(400)에 신호에 의해 상기 조명수단(181)을 ON/OFF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차단봉(20)을 통해 보행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봉(20)의 하측에 안내깃발(4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깃발(40)은 차단봉(20)의 팽창과 함께 펼쳐지고, 차단봉(20)의 수축과 함께 접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1)의 측면에는 차단봉(20)이 수축하였을 때 안내깃발(40)을 함께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0)을 하측 방향으로 충분히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내깃발(40)은 경각심 고취를 위하여 '정지' 또는 'STOP'라는 문구과 함께 노란색 바탕에 적색 원과 백색 가로방향의 막대가 표시된 정지를 의미하는 도로교통 표지판용 표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본체 10: 수납공간
20: 차단봉 30: 와이어부재
31: 도르래 32: 와이어드럼
40: 안내깃발 101: 기압생성수단
102: 전환수단 111: 차량감지수단
121: 디스플레이수단 131: 물체인식수단
141: 음향출력수단 151: 통신수단
161: 영상감시수단 162: 구동수단
171: 비상신호입력수단 172: 음성인식부
181: 조명수단 200: 제어부
201: 차단봉구동부 211: 차량통제부
221: 보행자통제부 231: 영상감시부
241: 비상신호생성부 251: 조명제어부
300: 웹서버 400: 관제센터
500: 보행자신호등 M: 구동모터
A, B: 전자밸브 C: 공기압축기
V: 3-way밸브

Claims (8)

  1. 설정된 보행신호에 따라 차량 및 보행자를 통제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에 있어서,
    건널목에 설치되고 측면에 수납공간(10)이 형성된 본체(1);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10)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형성된 튜브형식의 차단봉(20);
    상기 차단봉(20)의 수축시 차단봉(20)이 상기 수납공간(10)에 수납되도록 작용하는 와이어부재(30);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고 전환수단(102)을 통해 상기 차단봉(20)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기압생성수단(101);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보행신호에 따라 상기 전환수단(102)과 기압생성수단(101)을 제어하는 차단봉구동부(201)로 이루어지는 제어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1) 외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고 속도를 측정하는 차량감지수단(111);
    상기 본체(1) 상측에 차량의 접근방향을 향해 설치되되 상기 차량의 속도와 차량통제신호를 출력하여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수단(121);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차량감지수단(111) 및 디스플레이수단(121)을 제어하며 보행신호에 따라 차량통제신호를 생성하는 차량통제부(2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보행자의 차로 진입을 감지하는 물체인식수단(131)과;
    음향을 통한 보행자통제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수단(141);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물체인식수단(131)과 음향출력수단(141)을 제어하고, 보행신호와 물체인식수단(131)의 감지신호에 따라 보행자통제신호를 생성하는 보행자통제부(2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웹서버(300) 및 관제센터(400)와 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수단(151)과;
    상기 본체(1)의 상측에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하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구동수단(162)을 갖춘 영상감시수단(161);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통신수단(151)을 통해 연결된 상기 웹서버(300) 또는 관제센터(4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162)을 제어하고 영상감시수단(161)이 취득한 영상을 웹서버(300) 또는 관제센터(400)에 전송하는 영상감시부(2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웹서버(300) 및 관제센터(400)와 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수단(151)과;
    상기 본체(1)의 측면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위급상황 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비상신호입력수단(171);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비상신호입력수단(171)을 통해 입력된 비상신호를 상기 통신수단(151)을 통해 관제센터(400)로 송신하는 비상신호생성부(24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신호입력수단(171)은 소정의 음성패턴을 인식하여 비상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음성인식부(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 외측으로 설치되는 조명수단(181);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조명수단(181)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25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봉(20)은 하측에 연결되어 차단봉(20)의 팽창과 함께 펼쳐지고, 차단봉(20)의 수축과 함께 접히도록 구성된 안내깃발(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KR1020110134511A 2011-12-14 2011-12-14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KR101142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511A KR101142004B1 (ko) 2011-12-14 2011-12-14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511A KR101142004B1 (ko) 2011-12-14 2011-12-14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004B1 true KR101142004B1 (ko) 2012-05-02

Family

ID=4627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511A KR101142004B1 (ko) 2011-12-14 2011-12-14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0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1261A (zh) * 2015-11-03 2016-03-23 闫建君 人行横道自动拦截行人可反复突破式闸机路桩
KR20160002586U (ko) 2015-01-15 2016-07-26 화진기업(주) 유압시스템을 이용한 파력발전방법
KR101915412B1 (ko) 2017-10-13 2018-11-05 이수환 차량의 정차 상태를 알려주는 가로등 시스템
KR20210143028A (ko) * 2020-05-19 2021-11-26 주식회사 수한이엔지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375830B1 (ko) * 2021-09-07 2022-03-17 (주)피엘티 비상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재해복구로 진입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109B1 (ko) * 2005-03-31 2007-03-12 (주)필테라 스쿨존 안전 시스템
KR20100000306A (ko) * 2008-06-24 2010-01-06 이영우 스쿨존 종합 교통 관리 시스템
JP4482831B2 (ja) * 2007-06-19 2010-06-16 社団法人日本建設機械化協会 伸縮自在な遮断装置
KR101031995B1 (ko) * 2010-08-16 2011-05-02 (유)티에스산업개발 어린이보호구역내 명시적 안전교통 지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109B1 (ko) * 2005-03-31 2007-03-12 (주)필테라 스쿨존 안전 시스템
JP4482831B2 (ja) * 2007-06-19 2010-06-16 社団法人日本建設機械化協会 伸縮自在な遮断装置
KR20100000306A (ko) * 2008-06-24 2010-01-06 이영우 스쿨존 종합 교통 관리 시스템
KR101031995B1 (ko) * 2010-08-16 2011-05-02 (유)티에스산업개발 어린이보호구역내 명시적 안전교통 지도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586U (ko) 2015-01-15 2016-07-26 화진기업(주) 유압시스템을 이용한 파력발전방법
CN105421261A (zh) * 2015-11-03 2016-03-23 闫建君 人行横道自动拦截行人可反复突破式闸机路桩
KR101915412B1 (ko) 2017-10-13 2018-11-05 이수환 차량의 정차 상태를 알려주는 가로등 시스템
KR20210143028A (ko) * 2020-05-19 2021-11-26 주식회사 수한이엔지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433394B1 (ko) * 2020-05-19 2022-08-23 주식회사 수한이엔지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375830B1 (ko) * 2021-09-07 2022-03-17 (주)피엘티 비상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재해복구로 진입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296B1 (ko) 보행안전시스템
KR101276385B1 (ko) 보행자 무단 횡단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알림 시스템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142004B1 (ko)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KR101663929B1 (ko) 스쿨존 횡단보도 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07451B1 (ko)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2280338B1 (ko) 상황 예측 기반 교차로 위험 경보 시스템
KR101673211B1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US6267332B1 (en) Railroad safety system
KR101388872B1 (ko) 횡단보도 교통 안전 시스템
KR101750008B1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KR101145896B1 (ko) 다기능 교통 신호 제어장치
KR101679304B1 (ko)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KR101405398B1 (ko) 보행자친화형 안전 알림장치 및 방법
KR200481229Y1 (ko)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KR101456967B1 (ko) 횡단보도 신호등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70139811A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84348B1 (ko)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KR102362875B1 (ko) 차량 우회전시 보행자 알림 시스템
KR20200045165A (ko) 보행안전지원시스템
KR101142003B1 (ko)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KR101686820B1 (ko)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지능형 횡단보도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02976A (ko)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횡단보도 신호 제어 방법
KR20090124725A (ko) 횡단보도 경보장치
KR20170139800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