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028A -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028A
KR20210143028A KR1020200059927A KR20200059927A KR20210143028A KR 20210143028 A KR20210143028 A KR 20210143028A KR 1020200059927 A KR1020200059927 A KR 1020200059927A KR 20200059927 A KR20200059927 A KR 20200059927A KR 20210143028 A KR20210143028 A KR 20210143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pedestrian
pedestrian traffic
crosswalk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3394B1 (ko
Inventor
윤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한이엔지
윤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한이엔지, 윤재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한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5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39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횡단보도가 형성되는 인도측에 마련되는 보행자 신호등,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구비되어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메인 카메라,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설치되며,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상태 및 상기 메인 카메라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차단부재 및 상기 보행자 신호등, 상기 메인 카메라 및 상기 차단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OF CROSS WALK}
본 발명은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이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행 중 주변을 살피지 않고 스마트폰만 들여다보며 길을 걷는 사람들을 칭하여 스마트폰 좀비(smartphone zobie) 또는 스몸비(smombie)라고 한다. 주로 스마트폰만 쳐다보며 주위에 집중하지 않고 느리게 걷는 보행자이다. 산만한 보행자는 사고를 유발하기 때문에 이들은 주요 안전에 대한 위협으로 보고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충칭이나 안트베르펜과 같은 도시는 2014년과 2015년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보행자에게 방향을 지시하고 이들을 관리하기 위해 특수한 보도를 도입하였다. 2014년 대한민국 국내에서 스마트폰에 의해 다수의 사고가 일어나자 서울에서는 교차로의 포장 도로 위에 경고 기호를 그려 넣기도 하였다.
이러한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보행자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횡단보도 근처 LED 또는 경보알람 등을 활용한 사례가 있으나, 시각적 혹은 청각적 안전에만 적용하고 있어 실질적인 예방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0991호(발명의 명칭: 스쿨존 내의 로봇을 이용한 교통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공고일자: 2010년 6월 3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횡단보도를 건너려는 보행자와 횡단보도를 통과하기 위해 진입하는 우회전 차량을 감지하여 에어봉 형태의 차단부재를 작동시킴으로써 횡단보도 주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야간 시 보행자가 없는 경우 또는 우회전 차량의 진입 시 보행자가 없는 경우 차단부재의 작동을 중지하여 도로 위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횡단보도가 형성되는 인도측에 마련되는 보행자 신호등,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구비되어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메인 카메라,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설치되며,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상태 및 상기 메인 카메라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차단부재 및 상기 보행자 신호등, 상기 메인 카메라 및 상기 차단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단부재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유연한 재질의 공기튜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행자 신호등은 상기 횡단보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을 포함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상태가 적색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상기 제2 보행자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카메라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각 보행자 신호등의 차단부재는 보행자를 차단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행자 신호등은 상기 횡단보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을 포함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상태가 녹색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상기 제2 보행자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카메라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각 보행자 신호등의 차단부재는 보행자를 통과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간 시 상기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상기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메인 카메라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각 보행자 신호등의 차단부재는 모두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회전 차량의 진입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된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구비되어 상기 우회전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서브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횡단보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카메라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보행자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보행자 차단부재 및 상기 횡단보도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 카메라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우회전 차량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차량 차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브 카메라로부터 상기 우회전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되되, 상기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상기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메인 카메라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행자 차단부재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브 카메라는 메모리의 버퍼에 기저장된 동영상 정보로서 상기 우회전 차량의 진입을 촬영한 구간촬영 동영상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우회전 차량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횡단보도를 건너려는 보행자와 횡단보도를 통과하기 위해 진입하는 우회전 차량을 감지하여 에어봉 형태의 차단부재를 작동시킴으로써 횡단보도 주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야간 시 보행자가 없는 경우 또는 우회전 차량의 진입 시 보행자가 없는 경우 차단부재의 작동을 중지하여 도로 위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신호등과 메인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신호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신호등과 메인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10)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보행자 신호등(100), 메인 카메라(200), 차단부재(310) 및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행자 신호등(100)은 도로 상의 횡단보도(10)가 형성되는 인도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보행자가 대기하는 횡단보도(10)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보행자 신호등(100)은 횡단보도(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보행자 신호등(110)과 횡단보도(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보행자 신호등(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행자 신호등(100)은 보행자가 횡단보도(10)를 건널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적색등과 녹색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황등이 추가로 더 구성될 수 있다. 보행자 신호등을 구성하는 각 색상등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인 카메라(200)는 보행자 신호등(100)에 구비되어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인 카메라(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신호등(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본체 전체가 회동하거나 일부가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인 카메라(200)는 CCTV 등의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10) 주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녹화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카메라(200)는 횡단보도(10) 대기선에서 대기하는 보행자 또는 횡단보도(10)로 접근하는 보행자의 모습 등을 녹화할 수 있다.
차단부재(310)는 보행자 신호등(100)에 설치되며, 보행자 신호등(100)의 점등상태 및 메인 카메라(200)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횡단보도(10)로 접근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단부재(310)는 보행자 신호등(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면과 접촉된 별도의 케이스 또는 지주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단부재(3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차단부재(310)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유연한 재질의 공기튜브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을 긴박하게 차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상, 사고 등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재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로, 차단부재(310)의 일단은 보행자 신호등(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보행자 신호등(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참고로, 상하방향은 보행자 신호등(10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한다.
차단부재(310)는 보행자 신호등(100)의 점등상태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자 신호등(100)이 적색일 경우, 차단부재(31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동하여 보행자 신호등(10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다. 이에 따라, 횡단보도(10)와 인도가 격리됨으로써 보행자가 횡단보도(10)로 접근하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보행자 신호등(100)이 녹색일 경우, 차단부재(310)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동하여 보행자 신호등(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다. 이에 따라, 횡단보도(10)와 인도가 연결됨으로써 보행자가 횡단보도(10)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차단부재(310)는 메인 카메라(200)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행자 신호등(100)의 점등상태가 적색인 상태에서, 제1 보행자 신호등(1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120)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카메라(200)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각 보행자 신호등(110,120)의 차단부재(310)는 보행자를 차단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즉, 보행자 신호등(100)이 적색인 경우에 횡단보도(10)의 양측 중 일측에서라도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차단부재(31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동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10)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횡단보도(10) 양측 중 타측에서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아 해당 측의 차단부재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로, 보행자 신호등(100)의 점등상태가 녹색인 상태에서, 제1 보행자 신호등(1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120)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카메라(200)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각 보행자 신호등(110,120)의 차단부재는 보행자를 통과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즉, 보행자 신호등(100)이 녹색인 경우에 횡단보도(10)의 양측 중 일측에서라도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차단부재(310)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동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10)로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횡단보도(10)의 양측 중 일측의 보행자 신호등(100)의 메인 카메라(200)에서만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더라도 보행자가 횡단보도(10)를 건너 타측에 마련된 차단부재(310)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야간 시 제1 보행자 신호등(1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120)의 메인 카메라(200)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각 보행자 신호등(110,120)의 차단부재(31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주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행자가 지나다니지 않는 야간에 보행자의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차단부재(310)를 미작동시킴으로써 부재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실시예는 보행자 신호등(100)의 점등상태 조건을 우선시하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보행자 신호등(1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120)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카메라(200)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더라도, 보행자 신호등(100)이 적색인 경우에 차단부재(31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보행자 신호등 구동부(410), 차단부재 구동부(420) 및 카메라 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보행자 신호등(100), 메인 카메라(200) 및 차단부재(3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제어부(400)는 보행자 신호등(100)의 내부에 소정의 MCU(Micro Controller Unit)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차량 신호등(미도시)으로부터 점소등에 관한 제1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 신호등 구동부(410)를 통해 보행자 신호등을 적색 또는 녹색으로 점소등할 수 있다. 이후, 보행자 신호등(100)의 점소등에 관한 제2 신호에 따라 차단부재 구동부(420)를 통해 차단부재(310)를 구동시켜 횡단보도(1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메인 카메라(200)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에 관한 제3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신호 및 제3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따라 차단부재(3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400)는 카메라 구동부(430)를 통해 메인 카메라(200)의 전원, 회동상태, 녹화상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신호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보행자 신호등(100), 메인 카메라(200), 서브 카메라(250), 차단 부재(310,320) 및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보행자 신호등(100) 및 메인 카메라(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보행자 신호등(100) 및 메인 카메라(20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서브 카메라(250)는 우회전 차량의 진입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된 보행자 신호등(120)에 구비되어 우회전 차량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브 카메라(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신호등(120)의 측면에 설치되되 본체 전체가 회동하거나 일부가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브 카메라(250)는 CCTV 등의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10)로 접근하는 우회전 차량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녹화할 수 있다.
이때, 서브 카메라(250)는 메모리의 버퍼에 기저장된 동영상 정보로서 우회전 차량의 진입을 촬영한 구간촬영 동영상 정보를 기준으로 우회전 차량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구간촬영 동영상 정보란 우회전 차량이 횡단보도(10)를 향해 진입하기까지 경로를 다수의 구간 별로 나누어 저장한 영상 정보에 해당한다.
차단부재(310,3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차단부재(310,320)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유연한 재질의 공기튜브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을 긴박하게 차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상, 사고 등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재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로, 차단부재(310,320)는 보행자 신호등(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면과 접촉된 별도의 케이스 또는 지주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행자 차단부재(310) 및 차량 차단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행자 차단부재(310)는 횡단보도(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메인 카메라(200)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횡단보도(10)로 접근하는 보행자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차량 차단부재(320)는 횡단보도(10)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브 카메라(250)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횡단보도(10)로 접근하는 우회전 차량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행자 차단부재(310) 및 차량 차단부재(320)의 일단은 각각 보행자 신호등(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보행자 차단부재(310)와 차량 차단부재(320) 간의 이격된 각도는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각 차단부재(310,32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보행자 신호등(110,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참고로, 상하방향은 보행자 신호등(110,12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한다.
보행자 차단부재(310) 및 차량 차단부재(320)는 보행자 신호등(100)의 점등상태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자 신호등(100)이 적색일 경우, 각 차단부재(310,32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동하여 보행자 신호등(10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다. 이에 따라, 횡단보도(10)와 인도가 격리됨으로써 보행자가 횡단보도(10)로 접근하지 못하고, 횡단보도(10)와 차량이 격리됨으로써 우회전 차량이 횡단보도(10)로 접근하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보행자 신호등(100)이 녹색일 경우, 보행자 차단부재(310)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동하여 보행자 신호등(110,1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고, 차량 차단부재(32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동하여 보행자 신호등(1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다. 이에 따라, 횡단보도(10)와 인도는 연결되어 보행자가 횡단보도(10)로 접근할 수 있고, 횡단보도(10)와 차량은 차단되어 우회전 차량이 횡단보도(10)로 접근할 수 없게 된다.
보행자 차단부재(310)는 메인 카메라(200)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하고, 차량 차단부재(320)는 메인 카메라(200) 및 서브 카메라(25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예컨대, 서브 카메라(250)로부터 우회전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되되, 제1 보행자 신호등(110) 및 제2 보행자 신호등(120)의 메인 카메라(200)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보행자 차단부재(310) 및 차량 차단부재(32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횡단보도(10) 주변의 보행자가 없는 상태에서 우회전 차량이 횡단보도(10)로 접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로, 각 차단부재(310,320)를 미작동시킴으로써 도로 상의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400)는 보행자 신호등 구동부(410), 차단부재 구동부(420) 및 카메라 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보행자 신호등(100), 메인 카메라(200) 및 차단부재(310,3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차단부재 구동부(420)는 보행자 차단부재(310)와 차량 차단부재(320)의 구동을 모두 제어할 수 있고, 카메라 구동부(430)는 메인 카메라(200)와 서브 카메라(250)의 구동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횡단보도를 건너려는 보행자와 횡단보도를 통과하기 위해 진입하는 우회전 차량을 감지하여 에어봉 형태의 차단부재를 작동시킴으로써 횡단보도 주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야간 시 보행자가 없는 경우 또는 우회전 차량의 진입 시 보행자가 없는 경우 차단부재의 작동을 중지하여 도로 위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횡단보도
100 : 보행자 신호등
110 : 제1 보행자 신호등
120 : 제2 보행자 신호등
200 : 메인 카메라
250 : 서브 카메라
310 : 보행자 차단부재
320 : 차량 차단부재
400 : 제어부
410 : 보행자 신호등 구동부
420 : 차단부재 구동부
430 : 카메라 구동부

Claims (9)

  1. 횡단보도가 형성되는 인도측에 마련되는 보행자 신호등;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구비되어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메인 카메라;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설치되며,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상태 및 상기 메인 카메라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차단부재; 및
    상기 보행자 신호등, 상기 메인 카메라 및 상기 차단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유연한 재질의 공기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신호등은 상기 횡단보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을 포함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상태가 적색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상기 제2 보행자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카메라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각 보행자 신호등의 차단부재는 보행자를 차단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신호등은 상기 횡단보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제2 보행자 신호등을 포함하고,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상태가 녹색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상기 제2 보행자 신호등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카메라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각 보행자 신호등의 차단부재는 보행자를 통과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야간 시 상기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상기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메인 카메라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각 보행자 신호등의 차단부재는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우회전 차량의 진입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된 상기 보행자 신호등에 구비되어 상기 우회전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서브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횡단보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카메라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보행자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보행자 차단부재; 및
    상기 횡단보도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 카메라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우회전 차량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차량 차단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카메라로부터 상기 우회전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되되, 상기 제1 보행자 신호등 및 상기 제2 보행자 신호등의 메인 카메라로부터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행자 차단부재는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카메라는
    메모리의 버퍼에 기저장된 동영상 정보로서 상기 우회전 차량의 진입을 촬영한 구간촬영 동영상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우회전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0200059927A 2020-05-19 2020-05-19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43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927A KR102433394B1 (ko) 2020-05-19 2020-05-19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927A KR102433394B1 (ko) 2020-05-19 2020-05-19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28A true KR20210143028A (ko) 2021-11-26
KR102433394B1 KR102433394B1 (ko) 2022-08-23

Family

ID=7870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927A KR102433394B1 (ko) 2020-05-19 2020-05-19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369A (ko) 2022-02-09 2023-08-17 박병철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60B1 (ko) 2023-10-11 2024-02-20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에프 보행자 안전용 횡단보도 신호등 우회전 차단 및 알람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506B1 (ko) * 2006-09-14 2008-04-23 임정숙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화 시스템
KR101142004B1 (ko) * 2011-12-14 2012-05-02 주원통신 주식회사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KR101171268B1 (ko) * 2011-11-15 2012-08-20 (주) 미도랜드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130004561U (ko) * 2012-01-16 2013-07-24 (주)이디씨엔티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KR20190095995A (ko) * 2018-02-08 2019-08-19 이신구 주차 및 교통 통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506B1 (ko) * 2006-09-14 2008-04-23 임정숙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화 시스템
KR101171268B1 (ko) * 2011-11-15 2012-08-20 (주) 미도랜드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1142004B1 (ko) * 2011-12-14 2012-05-02 주원통신 주식회사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시스템
KR20130004561U (ko) * 2012-01-16 2013-07-24 (주)이디씨엔티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KR20190095995A (ko) * 2018-02-08 2019-08-19 이신구 주차 및 교통 통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369A (ko) 2022-02-09 2023-08-17 박병철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394B1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499B1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차단장치
KR102433394B1 (ko)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1800007B1 (ko) 횡단보도 보행자를 위한 안전지킴 cctv 시스템
KR200481229Y1 (ko)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84348B1 (ko)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WO2015015264A1 (en) Improved road crossing system for pedestrians and cyclists
KR102448697B1 (ko) 우회전 차량에 의한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0389501B1 (ko)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방법
CN207182671U (zh) 一种交通路口通行控制系统
KR100968042B1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83169B1 (ko)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KR20220107644A (ko) 단일 cctv의 영상에서 차량과 보행자를 동시 추적하여 교통신호대기 우선순위로 동시신호를 만들고, 실시간 교통상황을 표시하는 방법
RU2748091C1 (ru) Способ оповещения водителей о наличии пешеходов на нерегулируемом пешеходном переходе и на подходах к нему
KR100968041B1 (ko) 교차로에서의 교통 신호등 제어 방법
KR100968040B1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방법
KR102351316B1 (ko)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KR102427061B1 (ko) 객체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4219B1 (ko) 횡단보도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18038B1 (ko) 녹색 신호 변경 예고 기능을 가지는 차량 신호등
KR200408879Y1 (ko) 횡단보도용 보행 신호 장치
KR102357213B1 (ko) 난입 감지등을 이용한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816419B1 (ko) 신호등 영상분석을 이용한 자동 개폐 차단기
KR100720061B1 (ko) 경고등
US20110156927A1 (en) Vehicular traffic control system
KR102472223B1 (ko) 횡단보도 신호등 보행자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