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3410A -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3410A
KR20150013410A KR1020140187577A KR20140187577A KR20150013410A KR 20150013410 A KR20150013410 A KR 20150013410A KR 1020140187577 A KR1020140187577 A KR 1020140187577A KR 20140187577 A KR20140187577 A KR 20140187577A KR 20150013410 A KR20150013410 A KR 20150013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oor
pulley
block
rotary
rotary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3410A/ko
Publication of KR2015001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스크린도어를 구동하는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기둥; 상기 복수 개의 스크린도어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블록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회전활차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 개의 회전활차의 원주 상의 회전선속도는 각각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Apparatus for elevating screen doors of vertical open-close type}
본 발명은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또는 철도의 플랫폼은 승객들이 전동차에 탑승할 수 있도록 선로측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승객들이 선로 내로 떨어지는 추락사고 및 진입하는 전동차와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플랫폼의 지면에 노란색으로 안전선을 구획표시하여 승객들이 안전선 뒤쪽으로 물러나 대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안전선은 단지 개인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선 뒤쪽으로 물러날 수 있도록 경각심만 일으켜 줄 뿐, 실질적으로 승객들이 선로 내에 떨어지거나 전동차와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차단기능은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플랫폼과 선로 사이에 고정 벽과 가동문을 설치하여 전동차의 정차시 그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상기 가동문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승객들의 추락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크린도어는 전동차의 출입문 위치에 대응되도록 수십 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제작 및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전동차의 정차위치에 따라 스크린도어가 작동되므로, 전동차의 정차위치가 스크린도어의 위치와 일치되지 못할 경우에는 스크린도어가 작동이 되지 않게 되고, 결국 전동차의 승하차 시간이 지연되어 승객들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특히 지하철 내의 화재사고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는 스크린도어가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이로 인해 승객이 탈출할 수 있는 출구가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대형 참사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 상기 스크린도어는 전동차와 ATO(Automatic Train Operating)시스템에 의해서 제어되는데, 이러한 ATO시스템은 현재 신설중이거나 최근에 건설된 지하철의 플랫폼에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과거에 건설되어 현재 ATO시스템을 적용하지 않고 있는 지하철에서는 스크린도어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결국 스크린도어의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로서 국내특허등록 제0601112호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용 승하강수단"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용 승하강수단"은 다수의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를 고정하여 승하강하기 위한 이동체(블록)가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중심위치가 서로 달라서 부하가 한쪽 방향으로 집중되면서 비틀림 현상 및 편하중으로 인한 마모가 발생하여 잦은 고장이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위 아래로 설치된 두 개 이상의 스크린도어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승하강 장치의 구조가 복잡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위의 기술에서는 스크린도어로서 와이어로프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와이어로프의 벌어짐 및 처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 아래로 배열된 두 개 이상의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를 효율적으로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승하강 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도어가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는 경우, 와이어로프의 벌어짐 및 처짐을 방지하여 와이어로프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승하강시켜 승객들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용 스크린도어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도어가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는 경우, 와이어로프의 장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승하강 장치의 비틀림 및 변형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는, 스크린도어가 연결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에 연결된 지름이 서로 다른 활차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스크린도어가 서로 겹치거나 또는 서로 엇갈리도록 승하강거리를 결정하여, 스크린도어가 승객의 출입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를 위해,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기둥이 직립되게 설치된다. 그 기둥의 일측에는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기둥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블록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된 일측의 기둥에서부터 타측의 기둥에 이르기까지 연이어지게 설치되며, 그 끝단은 상기 기둥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블록과 연결 설치하여 된 스크린도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가 2줄 이상의 와이어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된 기둥의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지주가 설치되고, 그 지주에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로프 처짐 방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기둥과, 상기 기둥에 설치되어 제1 회전활차 또는 제2 회전활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스크린도어가 고정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과 연결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제1 회전활차와, 상기 제1 회전활차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블록과 연결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활차의 지름보다 더 작거나 또는 크게 형성된 제2 회전활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가 2줄 이상의 와이어로프로 구성된 경우, 상기 와이어로프의 표면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이 피복되고, 와이어로프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승하강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승객들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벌어짐 방지수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측에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가 2줄 이상의 와이어로프로 구성된 경우, 상기 레일과 롤러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와이어로프와 중심이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재는 실린더를 사용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는 중량물이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상기 제1 회전활차 또는 제2 회전활차의 사이에는 연결구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회전활차와 제2 회전활차는 상기 블록의 형성개수에 따라서 동일한 개수가 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지름이 다르게 제작하여 상기 구동부재의 작동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의 승하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전활차 또는 제2 회전활차의 일측에는 라쳇트 휠이 결합되고 상기 기둥의 일측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걸림구가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라쳇트 휠과 맞닿아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1 회전활차 또는 제2 회전활차와 연결되는 연결구와 맞닿아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블록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연결구와 연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로프 처짐 방지수단은 플랫폼의 천정에 설치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로드에는 연결구가 설치되어 제1 회전활차 또는 제2 회전활차와 연결된 실린더와, 상기 기둥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블록과 연결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제1 회전활차와, 상기 제1 회전활차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블록과 연결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활차의 지름보다 더 작거나 또는 크게 형성된 제2 회전활차와, 다수의 와이어로프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고정된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하철 안전선에 설치되어 전동차의 진입 여부에 따라서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와이어로프를 설치함으로써 승객이 고의 또는 실수로 지하철 선로 내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지름이 서로 다른 다수의 활차가 동시에 회전하여 다수의 블록을 원활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의 처짐과 벌어짐을 방지하여 와이어로프의 길이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과 승객들이 와이어로프를 강제로 벌려서 들어가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동차 플랫폼은 물론 지하철 및 산업현장에서 적용하여 승객 또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용 스크린도어 승하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용 스크린도어 승하강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스크린도어 승하강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쳇트 휠과 걸림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과 걸림턱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처짐 방지수단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크린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크린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실시예 1>
도 1은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용 스크린도어 승하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용 스크린도어 승하강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스크린도어 승하강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쳇트 휠과 걸림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과 걸림턱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처짐 방지수단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용 스크린도어 승하강 장치는, 전동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기둥이 직립되게 설치되고, 그 기둥의 일측에는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기둥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블록을 설치하여 된 스크린도어 승하강 장치(100)와, 상기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된 일측의 기둥에서부터 타측의 기둥에 이르기까지 연이어지게 설치되며, 그 끝단은 상기 기둥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블록과 연결 설치하여 된 2줄 이상의 와이어로프(200)와, 상기 플랫폼의 입구에서부터 출구의 선택된 부분에 설치된 기둥의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지주가 설치되고, 그 지주에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로프 처짐 방지수단(300)으로 구성되는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로서, 스크린도어 승하강 장치(100)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기둥(110)과, 기둥(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회전활차(150) 또는 제2 회전활차(15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20)와, 기둥(110)의 내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일측에는 다수의 와이어로프(200)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고정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130,140)과, 기둥(11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블록(130)과 연결구(15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제1 회전활차(150)와, 제1 회전활차(150)의 일측에 고정되어 블록(140)과 연결구(15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제1 회전활차(150)의 지름보다 더 작거나 또는 크게 형성된 제2 회전활차(151)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승하강 장치(100)는 승객이 전동차의 승차를 위하여 대기하는 지하철 또는 철도의 안전선상에 설치되어 전동차가 승차위치에 도달하면 와이어로프(200)를 상승시켜 상기 플랫폼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이 전동차에 승차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승차가 완료되어 전동차가 출발하고자 할 때에는 와이어로프(200)를 하강시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회전활차(150) 및 제2 회전활차(151)는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서, 하나의 구동부재(120)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블록(130,140)을 원활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다. 즉, 블록(130,140)은 승객이 출입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올라간 상태를 유지하다가 승객을 차단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내려오면서 블록(130,140)이 서로 상부와 하부로 엇갈리도록 위치를 유지하여 와이어로프(200)가 승객의 진출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는 서로 지름이 다르게 형성되어, 구동부재(120)의 작동으로 제1 회전활차(150)와 제1 회전활차(150)의 지름보다 더 작거나 더 크게 형성된 제2 회전활차(151)가 동시에 회전할 경우 회전거리가 서로 다르므로, 결과적으로 블록(130,140)의 승하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활차(150) 및 제2 회전활차(151)의 지름은 와이어로프(200)의 이동거리 및 위치에 따라서 와이어로프(200)가 상승할 경우에는 서로 겹치고, 하강할 경우에는 서로 엇갈릴 수 있도록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는 블록(130,140)의 형성개수에 따라서 동일한 개수가 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지름이 다르게 제작하여 구동부재(120)의 작동에 따라서 와이어로프(200)의 승하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컨대 기둥(110)에 설치된 블록이 N개인 경우에는 활차도 N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기어 또는 풀리 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연결구(152)로서, 제1 회전활차(150) 및 제2 회전활차(151)의 외경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벨트 또는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로프(200)의 표면에는 절연을 위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이 피복되고, 와이어로프(200)를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승하강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승객들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벌어짐 방지수단(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벌어짐 방지수단(220)는 천 또는 합성수지재질 등으로 제작하여 다수의 와이어로프(200)를 전체적으로 연결하여 벌려지거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승객의 신체에 닿았을 경우 유연성을 확보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와이어로프(200)의 일측에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210)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하였다.
또한, 기둥(110)의 내부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레일(111,112)이 설치되고, 블록(130,140)의 내부에는 레일(111,112)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131,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1,112)과 롤러(131,141)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와이어로프(200)와 중심이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인 와이어로프(200)를 승하강시키는 과정에서 레일(111,112)과 롤러(131,141)의 중심위치와 와이어로프(200)의 중심위치가 서로 달라질 경우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는 편하중 및 비틀림현상이 집중되어 블록(130,140)과 와이어로프(200)가 원활하게 승하강할 수 없음은 물론 잦은 고장이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히 롤러(131,141)는 레일(111,112)을 따라서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는 LM블록 및 LM가이드 등과 같은 직선운동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재(120)는 제1 회전활차(150) 또는 제2 회전활차(1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신속하고 원활한 승하강을 유도할 수 있도록 실린더를 사용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rod)에는 중량물(121)이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제1 회전활차(150) 또는 제2 회전활차(151)의 사이에는 연결구(122)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는 양측에 로드가 형성되어 일측의 로드에는 중량물(121)을 장착하고 타측의 로드에는 연결구(122)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의 중량물(121)을 설치하고 중량물(121)의 상부에 연결구(122)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중량물(121)은 정전 또는 비상시 자중에 의해서 실린더의 로드를 하강시켜 블록(130,140)과 와이어로프(200)를 상승시켜 승객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이때 중량물(121)은 작업자가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일정 중량을 갖는 다수로 형성하여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구(122)는 상기 제1 회전활차(150) 또는 제2 회전활차(151)와 연결되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벨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둥(110)의 내부 상측에는 보조회전활차(123)가 형성되어 구동부재(120)와 연결된 연결구(122)가 원활하게 순환하여 제1 회전활차(150) 또는 제2 회전활차(151)와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120)의 작동과 동시에 블록(130,140) 및 와이어로프(200)의 자체하중으로 하강하면서 승객의 출입을 차단하고, 반대로 구동부재(120)의 반대 작동으로 블록(130,140) 및 와이어로프(200)를 상승시켜 승객이 출입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활차(150) 또는 제2 회전활차(151)의 일측에는 라쳇트 휠(153)이 결합되고 기둥(110)의 일측에는 힌지축(16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걸림구(160)가 형성되어 일측이 라쳇트 휠(153)과 맞닿아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되며 타측은 제1 회전활차(150) 또는 제2 회전활차(151)와 연결되는 연결구(122)와 맞닿아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롤러(16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평소에는 지지롤러(162)가 연결구(122)와 맞닿아 회전하면서 걸림구(160)가 라쳇트 휠(153)과 맞닿지 않도록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연결구(122)가 절단될 경우 지지롤러(162)의 자중에 의해서 힌지축(161)을 중심으로 걸림구(160)가 회전하면서 라쳇트 휠(153)과 맞닿아 끼워져 제1 회전활차(150) 및 제2 회전활차(151)를 정지시켜 블록(130,140) 및 와이어로프(200)가 갑작스럽게 하강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170)과, 블록(130,140)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17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연결구(152)와 연결되는 걸림턱(17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연결구(152)가 절단될 경우 걸림턱(171)이 회동축(172)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걸림홈(170)에 끼워져 블록(130,140) 및 와이어로프(200)가 갑작스럽게 하강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 처짐 방지수단(3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의 천정에 고정된 기둥(310)과, 기둥(3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로드에는 연결구(321)가 설치되어 제1 회전활차(330) 또는 제2 회전활차(331)와 연결된 실린더(320)와, 기둥(31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블록(350)과 연결구(33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제1 회전활차(330)와, 제1 회전활차(330)의 일측에 고정되어 블록(340)과 연결구(33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제1 회전활차(330)의 지름보다 더 작거나 또는 크게 형성된 제2 회전활차(331)와, 다수의 와이어로프(200)가 고정된 블록(340,350)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와이어로프 처짐 방지수단(300)은 지면에 설치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의 전동차 플랫폼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와이어로프(200)가 고정된 블록(340,350)을 하나의 실린더(320)를 이용하여 상승시에는 서로 겹치도록 이동시키고 하강시에는 서로 엇갈리도록 이동시켜 승객의 진출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제1 회전활차(330)와 제2 회전활차(331)는 서로 지름이 다르게 형성되어 실린더(320)의 작동으로 제1 회전활차(330)와 제1 회전활차(330)의 지름보다 더 작게 형성된 제2 회전활차(331)가 회전할 경우 회전거리가 서로 다르므로, 결과적으로 블록(340,350)의 승하강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활차(330) 및 제2 회전활차(331)의 지름은 와이어로프(200)의 이동거리 및 위치에 따라서 와이어로프(200)가 상승할 경우에는 서로 겹치고, 하강할 경우에는 서로 엇갈릴 수 있도록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연결구(321,332)는 제1 회전활차(150) 및 제2 회전활차(151)의 외경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벨트 또는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기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한 개의 구동수단만을 사용하면 되므로 공간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이하,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를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는, 2개 이상의 스크린도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에 따른 구성을 갖는 제1 승하강 장치(101)와 제2 승하강 장치(102)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1 승하강 장치(101)와 제2 승하강 장치(102) 사이에 2개 이상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제1 승하강 장치(101)와 제2 승하강 장치(102) 사이에는 제1 스크린도어(181) 및 제2 스크린도어(182)가 설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스크린도어(181) 및 제2 스크린도어(182) 중 한 개 이상은, 다수 개의 열을 이루는 와이어로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 개의 열을 이루는 와이어로프(200)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제1 스크린도어(181) 및 제2 스크린도어(182)가 모두 와이어로프로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제1 승하강 장치(101) 및 제2 승하강 장치(102)는 기둥(110); 기둥(1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제1 스크린도어(181)와 제2 스크린도어(182)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제1 블록(133)과 제2 블록(134); 및 제1 블록(133)과 제2 블록(134)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 제1 블록(133) 및 제2 블록(134)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회전활차(150) 및 제2 회전활차(151)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승하강 장치(101) 및 제2 승하강 장치(102)의 기둥(110)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레일(111,112)이 설치되어 있고, 제1 블록(133) 및 제2 블록(134)의 내부에는 각각 레일(111,112)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롤러(131,141)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크린도어(181) 및/또는 제2 스크린도어(182)가 와이어로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블록(133) 및 제2 블록(134)의 내부에는 와이어로프(2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30)는 와이어로프(200)의 연장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활차(150)의 원주 상의 제1 회전선속도와 제2 회전활차(151)의 원주 상의 제2 회전선속도가 서로 다르도록,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는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의 지름은 서로 다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승하강 장치(101)와 제2 승하강 장치(102)는, 제1 회전활차(150)와 제1 블록(133)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구(156); 및 제2 회전활차(151)와 제2 블록(134)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구(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구(156)는 제1 회전활차(150)의 원주부에 감겨있고, 제2 연결구(157)는 제2 회전활차(151)의 원주부에 감겨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승하강 장치(101)와 제2 승하강 장치(102)는 각각, 기둥(110)에 설치되어 제1 블록(133) 및 제2 블록(134)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재(120)는, 제1 회전활차(150)를 구동하는 제1 모터 및 제2 회전활차(151)를 구동하는 제2 모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전선속도는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회전선속도는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재(120)는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를 함께 회전시키는 한 개의 모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는 제1 블록(133) 및 제2 블록(134)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이거나, 또는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에 연결된 회전모터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블록(133) 및 제2 블록(134)은 와이어로프(2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구성을 갖는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는 다수 개의 열을 이루는 와이어로프(200)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벌어짐 방지수단(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실시예 2에 따른 2개 이상의 승하강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개폐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는, 2개 이상의 스크린도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한 개의 승하강 장치(400)를 포함한다. 이때, 예컨대, 승하강 장치(400)는 제1 스크린도어(181) 및 제2 스크린도어(182)와 결합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승하강 장치(400)는, 기둥(110); 기둥(1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제1 스크린도어(181)와 제2 스크린도어(182)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제1 블록(133)과 제2 블록(134); 및 제1 블록(133)과 제2 블록(134)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 제1 블록(133) 및 제2 블록(134)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회전활차(150) 및 제2 회전활차(151)를 포함한다.
이때, 승하강 장치(400)의 기둥(110)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레일(111,112)이 설치되어 있고, 제1 블록(133) 및 제2 블록(134)의 내부에는 각각 레일(111,112)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롤러(131,141)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제1 회전활차(150)의 원주 상의 제1 회전선속도와 제2 회전활차(151)의 원주 상의 제2 회전선속도가 서로 다르도록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는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의 지름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승하강 장치(400)는, 제1 회전활차(150)와 제1 블록(133)을 연결하는 제1 연결구(156); 및 상기 제2 회전활차와 제2 블록(134)을 연결하는 제2 연결구(157)를 더 포함하며, 제1 연결구(156)는 제1 회전활차(150)의 원주부에 감겨있고, 제2 연결구(157)는 제2 회전활차(151)의 원주부에 감겨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장치(400)는 제1 회전활차(150)를 구동하는 제1 모터; 및 제2 회전활차(151)를 구동하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선속도는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회전선속도는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승하강 장치(400)는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의 회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한 개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는 제1 블록(133) 및 제2 블록(134)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이거나, 또는 제1 회전활차(150)와 제2 회전활차(151)에 연결된 회전모터일 수도 있다.
또한, 승하강 장치(400)는 기둥(110)에 설치되어 제1 블록(133) 및 제2 블록(134)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4>
이하,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를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는, 블록(131,141); 및 다수 개의 와이어로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 개의 와이어로프(200)는 다수 개의 열을 이루도록 블록(131,141)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즉, 다수 개의 열을 이루는 와이어로프(200)는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고 각각 열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때, 블록(131,141)의 내부에는 와이어로프(2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부재(230)는 와이어로프(200)의 연장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는 와이어로프(2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210)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구성을 갖는 스크린도어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는 다수 개의 열을 이루는 와이어로프(200)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벌어짐 방지수단(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5>
이하,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를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는, 블록(135,136); 및 일체형 와이어로프(2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 4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스크린도어는 다수 개의 와이어로프(200)가 다수 개의 열을 이루며 블록(131,141)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스크린도어는 한 개의 와이어로프(201)가 블록(135,136) 사이를 번갈아가며 다수 개의 열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로프(201)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이때, 블록(135,136)에 와이어로프(201)가 연결되는 부분마다 와이어로프(20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블록(135,136)의 내부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지지부재는, 와이어로프(201)의 연장선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한 개 이상의 보조롤러(132)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135,136)은 와이어로프(201)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구성을 갖는 스크린도어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는 다수 개의 열을 이루는 와이어로프(201)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벌어짐 방지수단(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블록'과 '스크린도어'가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블록'과 '스크린도어'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한 개의 단일 구성요소로 파악할 수도 있다. 이때, 이 단일 구성요소는 상술한 '블록'과 '스크린도어'의 기능을 모두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둥은 한 개만 설치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이 쌍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기둥이 쌍으로 설치된 경우, 그 사이에는 와이어로프 처짐 방지수단(300)과 같은 보조기둥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6)

  1. 제1 스크린도어와 제2 스크린도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에 포함된 승하강 장치로서,
    기둥;
    상기 기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상기 제1 스크린도어와 상기 제2 스크린도어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제1 블록 및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회전활차 및 제2 회전활차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활차의 원주 상의 제1 회전선속도와 상기 제2 회전활차의 원주 상의 제2 회전선속도가 서로 다르도록 상기 제1 회전활차와 상기 제2 회전활차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활차와 상기 제2 회전활차는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활차와 상기 제2 회전활차의 지름은 서로 다른,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활차와 상기 제1 블록을 연결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제2 회전활차와 상기 제2 블록을 연결하는 제2 연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1 회전활차의 원주부에 감겨있고,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2 회전활차의 원주부에 감겨있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활차를 구동하는 제1 모터; 및 상기 제2 회전활차를 구동하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선속도는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회전선속도는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이 상기 기둥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의 내부에는 각각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롤러가 포함되어 있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도어 및 상기 제2 스크린도어 중 한 개 이상은, 다수 개의 열을 이루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다수 개의 열을 이루는 와이어로프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벌어짐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연장선상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열을 이루는 와이어로프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한 개 이상의 보조롤러인,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블록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인,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14.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스크린도어를 구동하는 승하강 구동장치로서,
    상기 복수 개의 스크린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스크린도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기둥;
    상기 복수 개의 스크린도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스크린도어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회전활차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회전활차의 원주 상의 회전선속도는 각각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제어되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구동장치.
  15. 제1 스크린도어와 제2 스크린도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개폐 장치를 구성하는 승하강 장치로서,
    상기 제1 스크린도어와 상기 제2 스크린도어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크린도어와 상기 제2 스크린도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기둥; 및
    상기 제1 스크린도어와 상기 제2 스크린도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 상기 제1 스크린도어와 상기 제2 스크린도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회전활차 및 제2 회전활차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활차의 원주 상의 제1 회전선속도와 상기 제2 회전활차의 원주 상의 제2 회전선속도가 서로 다르도록 상기 제1 회전활차와 상기 제2 회전활차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
  16. 제1항, 제14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 장치에 따른 구성을 갖는 제1 승하강 장치와 제2 승하강 장치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승하강 장치와 상기 제2 승하강 장치 사이에 2개 이상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 개폐장치.
KR1020140187577A 2014-12-23 2014-12-23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50013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577A KR20150013410A (ko) 2014-12-23 2014-12-23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577A KR20150013410A (ko) 2014-12-23 2014-12-23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4849A Division KR20140134887A (ko) 2013-05-15 2013-05-15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410A true KR20150013410A (ko) 2015-02-05

Family

ID=5257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577A KR20150013410A (ko) 2014-12-23 2014-12-23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341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912A (ko)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3495224A1 (en) 2017-12-07 2019-06-12 Skd Hi-Tec Co., Ltd.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including passenger and obstacle detection function
KR20190120482A (ko)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22019377A1 (ko) 2020-07-21 2022-01-2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또는 보행자 안전 장치
KR20220011543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4001045A1 (en) 2020-11-23 2022-05-25 Skd Hi-Tec Co., Ltd. Safety device for electric locomotive platform capable of maintaining interval between ropes
KR2022013593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220138474A (ko) 2021-03-30 2022-10-1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912A (ko)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3495224A1 (en) 2017-12-07 2019-06-12 Skd Hi-Tec Co., Ltd.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including passenger and obstacle detection function
KR20190120482A (ko)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22019377A1 (ko) 2020-07-21 2022-01-2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또는 보행자 안전 장치
KR20220011543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220011544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승객 및 보행자 안전장치
EP4001045A1 (en) 2020-11-23 2022-05-25 Skd Hi-Tec Co., Ltd. Safety device for electric locomotive platform capable of maintaining interval between ropes
KR20220138474A (ko) 2021-03-30 2022-10-1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안전펜스를 구비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22013593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3410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KR20140134887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50013411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WO2011024612A1 (ja) ゲート装置
KR101391453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547650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2824010A1 (en) Safety apparatus for train platform
KR101345027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WO2019203524A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2886501A1 (de) Aufzug mit einem Absolutpositionierungssystem für eine Doppeldeckerkabine
KR101406018B1 (ko) 승하강 방식의 안전장치
KR101500875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306648B1 (ko) 상해방지장치를 갖는 로프형 플랫폼 안전장치
KR101195652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용 와이어로프 승하강수단
JP657076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KR20140141894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60076189A (ko)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KR101471545B1 (ko)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30126561A (ko)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669459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JP6676386B2 (ja) エレベーターにおける搬器扉の開閉装置
JP6472654B2 (ja) ホーム柵
EP4137381A1 (en) Safety apparatus for passengers or pedestrians
JP6300715B2 (ja) エレベータ用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