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468B1 - 턴버클을 이용하여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로프타입의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 Google Patents

턴버클을 이용하여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로프타입의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468B1
KR101740468B1 KR1020150084941A KR20150084941A KR101740468B1 KR 101740468 B1 KR101740468 B1 KR 101740468B1 KR 1020150084941 A KR1020150084941 A KR 1020150084941A KR 20150084941 A KR20150084941 A KR 20150084941A KR 101740468 B1 KR101740468 B1 KR 10174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door
support member
vertical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293A (ko
Inventor
김현
신판주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5014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한 쌍의 홀더부, 와이어로프, 상기 한 쌍의 홀더부와 상기 와이어로프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장력조절 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홀더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수직계폐형 스크린도어로서,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대응하는 홀더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절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지지부재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갖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를 공개한다.

Description

턴버클을 이용하여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로프타입의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Rope-type vertical screen door with turnbuckle for adjusting tension of rope}
본 발명은 플랫폼의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크린도어가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스크린도어로서, 스크린도어가 로프로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열차를 위한 플랫폼 상에 있는 승객들이 선로 내로 떨어지거나 움직이는 차량에 부딪힐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랫폼과 선로 사이에 상하로 개폐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스크린도어, 플랫폼 안전장치, 플랫폼 안전도어, 또는 플랫폼 스크린 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1112호에는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플랫폼의 양 단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본체와, 본체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린도어, 및 스크린도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이때, 스크린도어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다. 그리고 스크린도어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도어, 및 상기 제1도어의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하여 좌우로 연장되어 있는 제2도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도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정차하는 플랫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스크린도어는 플레이트형 부재 또는 로프형 부재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로프형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로프(와이어로프)가 충분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로프의 텐션을 조절해야 한다. 그런데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기술 중 현재 공개된 기술에서는 로프의 텐션을 조절하는 것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로프타입의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있어서,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효과적인 구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로프를 한 쌍의 홀더부 사이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로프의 양 단 각각을 턴버클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홀더부에 연결하는 구성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스크린도어는, 한 쌍의 홀더부(310, 320), 와이어로프(35), 상기 한 쌍의 홀더부와 상기 와이어로프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장력조절 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홀더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어셈블리(4100)를 포함하는 수직계폐형 스크린도어이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3310); 상기 대응하는 홀더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3320);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장력조절부(3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부의 일단부(3211)는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의 타단부(3212)는 상기 제2 지지부재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스크린도어는, 한 쌍의 홀더부(310, 320), 와이어로프(35), 상기 한 쌍의 홀더부와 상기 와이어로프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장력조절 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홀더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어셈블리(4100)를 포함하는 수직계폐형 스크린도어이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와이어로프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3310); 상기 대응하는 홀더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3320);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턴버클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장력조절부를 감싸는 튜브형상의 보호커버(2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커버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의 수평방향 폭은 상기 복수 개의 주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로프타입의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있어서,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효과적인 구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행어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가 나란히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C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행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가 결합하여,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이때, 도 10a는 복수 개의 행어가 결합되기 전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10b는 복수 개의 행어가 결합된 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2171, 2172, 2173)가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2171, 2172, 217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2171, 2172, 2173)가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저면도이다.
도 16a는 도 14의 좌측프레임(100)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b는 도 14의 좌측프레임(100)의 일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c는 도 16b의 반대편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6d는 도 14의 도어들을 지지하는 3개 블록들의 상호 연결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는 도 14의 좌측프레임(100) 상단부와 수평프레임(300)의 연결부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a는 도 14의 제2도어(20)와 제3도어(3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b는 도 14의 제2도어(20)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8c는 도 14의 제3도어(30)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8d는 도 18c의 홀더부(31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e는 도 18c의 홀더부(310)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도 16a의 하단블럭(31)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1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1071, 1072, 1073)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1071, 1072, 1073)가 나란히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C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1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1100)는, 플랫폼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1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1010)의 상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두 개의 수평프레임(1020)이 플랫폼 스크린도어(110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한다. 수평프레임(102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1010)은 연결보강재(102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020)에는 토션 브라켓(1031), 벨트 처짐 방지 브라켓(1041), 그리고 구동부(1030)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030)는 수평벨트(104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수평벨트(1040)에 결합될 수 있다. 풀리(1032, 1042)는 수평벨트(1040)의 텐션을 유지시키도록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수평벨트(1040)는 풀리(1051)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풀리(10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평벨트(1040)는 체인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수평벨트' 또는 '체인'을 통칭하여 '수평연결구'라고 지칭할 수 있다.
한 개의 수직프레임(1010)에 설치된 한 쌍의 풀리(1051)는 상부풀리(1051)와 하부풀리(1051)로 구분된다. 수직벨트(1050)는 한 쌍의 풀리(1051)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구동부(1030)의 동작에 의해 수직벨트(1050)의 운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벨트(1050)는 벨트로 구성되는데, 이와 달리 체인 또는 로프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직프레임(1010)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수직벨트(1050) 및 그 균등한 대체 구성물인 체인 또는 로프를 통칭하여 '수직연결구'라고 부를 수 있다.
수직벨트(1050)의 일 지점(one spot)에는 클램프(1052)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1052)는 결합편(1522)을 통해 제1행어(1071)에 형성된 클램프(1722)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030)의 동작에 의해 수직벨트(1050)가 움직일 수 있으며, 제1행어(1071)는 수직벨트(1050)의 상기 일 지점의 변위와 동일한 변위만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수직프레임(1010)에는 제1레일(1061), 제2레일(1062), 및 제3레일(1063)이 형성되어 있다. 제1행어(1071), 제2행어(1072), 및 제3행어(1073)는 각각 제1레일(1061), 제2레일(1062), 및 제3레일(1063)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행어(1071), 제2행어(1072), 및 제3행어(1073)에는 각각 한 개 이상의 롤러(1055)가 결합되어 있으며, 롤러(1055)의 축은 롤러홀(1066)에 결합된다. 도 3에서 제2행어(1072), 및 제3행어(1073)에 결합되는 롤러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제1행어(1071), 제2행어(1072), 및 제3행어(1073)는 각각 좌측 수직프레임(1010)과 우측 수직프레임(1010)에 한 개씩 결합되어 있으며, 한 쌍의 제1행어(1071), 한 쌍의 제2행어(1072), 그리고 한 쌍의 제3행어(1073) 사이에는 각각, 제1도어(1081), 제2도어(1082), 및 제3도어(1083)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행어(1071), 제2행어(1072), 및 제3행어(1073)에는 도어 연결홀(108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도어(1081), 제2도어(1082), 및 제3도어(1083)는 이들 도어 연결홀(1088)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행어(107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풀리(1091)를 위한 풀리 축(1723)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풀리(1091)는 한 쌍의 풀리 축(17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풀리(1091)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벨트(1009)가 결합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벨트(1009)는 '회전 연결구'라고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연결구'는 벨트가 아닌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1행어(1071)의 상단부에는 제1결합부(1092)가 형성되어 있고, 제3행어(1073)의 하단부에는 제3결합부(1093)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1092)는 벨트(1009)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제3결합부(1093)는 벨트(1009)의 다른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구동부(1030)의 동작에 따른 제1행어(1071), 제2행어(1072), 및 제3행어(1073)의 운동 원리를 설명한다.
구동부(1030)가 회전하면 수평벨트(1040)는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좌측 수직프레임(1010)과 우측 수직프레임(1010)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벨트(1050)도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수직벨트(1050)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결합된 클램프(1052)는 수직벨트(1050)를 따라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합편(1522) 및 클램프(1722)를 통해 클램프(1052)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행어(1071)는 클램프(1052)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행어(1071)의 제1결합부(1092)와 벨트(1009)가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1091)를 통해 벨트(1009)와 결합되어 있는 제2행어(1072)도 제1행어(107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만, 이때 한 쌍의 풀리(moved pulley)(1091)(특히 아래쪽의 풀리)가 움직 도르래(즉, 동활차)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2행어(1072)의 수직방향 이동속도는 제1행어(1071)의 수직방향 이동속도의 절반이 된다. 따라서 제1행어(1071)와 제2행어(1072)가 각각 최하단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행어(1071)와 제2행어(1072)의 수직중심부들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있으나, 위쪽으로 상승할수록 그 수직중심부들 사이의 거리가 줄어든다.
한편, 제1행어(1071)의 하단부에는 제1돌출부(17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행어(1071)와 상기 제2행어(1072)는 상술한 움직 도르래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행어(1071)가 제2행어(1072)보다 두 배의 속도로 승하강하는데, 제1돌출부(1711)가 제2행어(1072)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면 이때부터 제1행어(1071)와 제2행어(1072)는 동일한 속도로 함께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1행어(1071)는 제2행어(1072)보다 높이 상승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2행어(1072)의 하단부에도 제2돌출부(17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행어(1072)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면, 제2돌출부(1721)는 제3행어(1073)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때부터 제3행어(1073)는 제2행어(1072)에 결합되어 제2행어(1072)와 동일한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그 이전까지는 제3행어(1073)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제1돌출부(1711)가 제2행어(1072)의 하단부에 걸리고, 제2돌출부(1721)가 제3행어(1072)의 하단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부터 제1행어(1071), 제2행어(1072), 및 제3행어(107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반면, 제1행어(1071), 제2행어(1072), 및 제3행어(1073)가 각각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이격 상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레일(1061)과 제2레일(1062)에는 각각 제1스토퍼(1611)와 제2스토퍼(16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행어(1072)의 하단부는 제1스토퍼(1611)에 걸려 제1스토퍼(1611) 아래쪽으로는 이동할 수 없으며, 제3행어(1073)의 하단부는 제2스토퍼(1621)에 걸려 제2스토퍼(1621)의 아래쪽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그 다음, 제1행어(1071), 제2행어(1072), 및 제3행어(1073)가 최상부에 있는 상태에서, 구동부(103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벨트(1040)는 반시계(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1행어(1071), 제2행어(1072), 및 제3행어(1073)는 상승할 때와는 반대의 동작으로 하강하게 된다.
제1도어(1081), 제2도어(1082), 및 제3도어(1083)는 각각 제1행어(1081), 제2행어(1082), 및 제3행어(1083)와 함께 움직인다.
이하, 제1도어(1081), 제2도어(1082), 및 제3도어(1083) 각각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가 동시에 승강 또는 하강을 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설치된 플랫폼 스크린도어(11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한 쌍의 수직벨트(1050)는 모두 플랫폼 쪽에 설치되거나 또는 모두 선로 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 도 3, 및 도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수평벨트(1040)와 한 쌍의 수직벨트(1050)의 회전방향은 항상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좌측 수직프레임(1010)에서는 클램프(1052)가 수직벨트(1050)의 두 개의 수직 세그먼트 중 바깥쪽(1500)의 반대방향(또는 바깥쪽 방향(1500))에 고정 결합되고, 도 6에 나타낸 우측 수직프레임(1010)에서는 클램프(1052)가 수직벨트(1050)의 두 개의 수직 세그먼트 중 바깥쪽(1500) 방향(또는 바깥쪽(1500)의 반대방향)에 고정 결합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좌측 수직프레임(1010)의 좌측 수직벨트(1050)(즉, 좌측 수직연결구) 중 클램프(1052)가 고정 결합된 부분을 '제1지점(a first spot)'이라고 지칭하고, 우측 수직프레임(1010)의 우측 수직벨트(1050)(즉, 우측 수직연결구) 중 클램프(1052)가 고정 결합된 부분을 '제2지점(a second spot)'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하우징(1090)은 실시예 1에 나타낸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11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하우징(1090) 중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은 광고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는 제1행어(1071), 제2행어(1072), 및 제3행어(1073)와 제1도어(1081), 제2도어(1082), 및 제3도어(1083)의 무게를 보상해줄 균형추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균형추가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3행어(1073), 제3레일(1063), 제3도어(1083)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행어(1071)와 제2행어(1072)의 운동 상태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부 청구항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중 제3행어(1073), 제3레일(1063), 및 제3도어(1083)가 생략된 구조를 전제로 한 청구항도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도 7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2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행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2171,2172,2173)의 상호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10의 (a)는 복수 개의 행어(2171, 2172, 2173)가 결합되기 전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10의 (b)는 복수 개의 행어(2171, 2172, 2173)가 결합된 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2171, 2172, 2173)가 상호 결합되는 지점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2171, 2172, 2173)가 상승하여 서로 포개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나타낸 복수 개의 행어(2171, 2172, 2173)가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3을 함께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2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실시예 2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2200)를 도 1에 도시한 실시예 1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1100)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도 7에 도시한 플랫폼 스크린도어(2200)는 'D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 1에 도시한 플랫폼 스크린도어(1100)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2200)는 플랫폼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0)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120)이 기본 골격을 형성한다. 수평프레임(212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0)은 연결보강재(212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0), 수평프레임(2120), 및 연결보강재(2121)은 도 1에 도시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1010), 수평프레임(1020), 및 연결보강재(1021)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각각의 구성요소, 구조, 및 구동 방법 또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수평프레임(2120)에 고정되어 설치된 토션 브라켓(2131), 벨트 처짐 방지 브라켓(2141), 및 구동부(2130)는 도 1에 도시된 토션 브라켓(1031), 벨트 처짐 방지 브라켓(1041), 및 구동부(103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수평벨트(2140), 풀리(2132, 2142, 2151), 수직벨트(2150), 및 클램프(2152)는 도 1에 도시된 수평벨트(1040), 풀리(1032, 1042, 1051), 수직벨트(1050), 및 클램프(1052)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2110)에는 제1레일(2161), 제2레일(2162), 및 제3레일(2163)이 형성되어 있다.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및 제3행어(2173)는 각각 제1레일(2161), 제2레일(2162), 및 제3레일(2163)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및 제3행어(2173)에는 각각 한 개 이상의 롤러(2155)가 결합되어 있으며, 롤러(2155)의 축은 롤러홀(2166)에 결합된다.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및 제3행어(2173)는 각각 좌측 수직프레임(2110)과 우측 수직프레임(2110)에 한 개씩 결합되어 있으며, 한 쌍의 제1행어(2171), 한 쌍의 제2행어(2172), 그리고 한 쌍의 제3행어(2173) 사이에는 각각 제1도어(2181), 제2도어(2182), 및 제3도어(2183)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및 제3행어(2173)에는 각각 한 개 이상의 도어 연결홀(218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도어(2181), 제2도어(2182), 및 제3도어(2183)는 각각의 행어(2171, 2172, 2173)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 연결홀(2188)에 결합된다.
제2행어(217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풀리(2191)를 위한 풀리 축(2723)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풀리(2191)는 한 쌍의 풀리 축(27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풀리(2191)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벨트(2019)가 결합되어 있다.
제3행어(217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도 각각 풀리(2195)를 위한 풀리 축(2724)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풀리(2195)는 한 쌍의 풀리 축(27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풀리(2195)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벨트(2029)가 결합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한 쌍의 풀리(2191, 2195) 중 상단부에 위치한 풀리(2191, 2195)는 '활차'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하단부에 위치한 풀리(2191, 2195)는 '움직도르래'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a, 도 10b,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행어(2171)의 상단부에는 제1결합부(2192)가 형성되어 있고, 제2행어(2172)의 상단부에는 제2결합부(219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3행어(2173)의 하단부에는 제3결합부(2194)가 형성되어 있고, 수직프레임(2110)의 일붕는 제4결합부(219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결합부(2192)는 벨트(2019)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제2결합부(2193)는 벨트(2029)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되며, 제3결합부(2194)는 벨트(2019)의 다른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제4결합부(2196)는 벨트(2029)의 다른 일부분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구동부(2130)의 동작에 따른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및 제3행어(2173)의 운동 원리를 설명한다.
구동부(2130)가 회전하면 수평벨트(2140)는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좌측 수직프레임(2110)과 우측 수직프레임(2110)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벨트(2150)도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수직벨트(2150)에 고정되어 결합된 클램프(2152)는 수직벨트(2150)를 따라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합편(2522) 및 클램프(2722)를 통해 클램프(2152)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행어(2171)는 클램프(2152)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행어(2171)의 제1결합부(2192)와 벨트(2019)의 일부분이 고정 결합되어 있고, 제2행어(2172)의 제2결합부(2193)와 벨트(2029)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제3행어(2173)의 제3결합부(2194)와 벨트(2019)의 다른 일부분이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2191)를 통해 벨트(2019)와 결합되어 있는 제2행어(2172)와 풀리(2195)를 통해 벨트(2029)와 결합되어 있는 제3행어(2173)도 제1행어(217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만, 이때 한 쌍의 풀리(2191)와 다른 한 쌍의 풀리(2195)가 움직도르래(즉, 동활차)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행어(2171)의 수직방향 이동속도, 제2행어(2172)의 수직방향 이동속도, 및 제3행어(2173)의 수직방향 이동속도의 비율은 3:2:1의 비율을 갖게 된다. 이때, 한 쌍의 풀리(2191) 중 특히 하측의 풀리(2191)와 다른 한 쌍의 풀리(2195) 중 특히 하측의 풀리(2195)가 움직도르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그리고 제3행어(2173)가 각각 최하단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및 제3행어(2173)의 수직중심부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있으나, 위쪽으로 상승할수록 그 거리가 줄어든다.
한편, 제1행어(2171)의 하단부에는 제1돌출부(2711)가 형성되어 있다. 제1행어(2171)와 제2행어(2172)는 상술한 움직도르래(ex: 풀리(2191))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행어(2171)가 제2행어(2172)보다 3/2 배의 속도로 승하강하는데, 제1돌출부(2711)가 제2행어(2172)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면 이때부터 제1행어(2171)와 제2행어(2172)는 동일한 속도로 함께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1행어(2171)는 제2행어(2172)보다 높이 상승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2행어(2172)의 하단부에도 제2돌출부(27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행어(2172)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면, 제2돌출부(2721)는 제3행어(2173)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때 제3행어(2173)는 제2행어(2172)에 결합되어 제2행어(2172)와 동일한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도 12는 제1돌출부(2711)가 제2행어(2172)의 하단부에 걸리고, 제2돌출부(2721)가 제3행어(2172)의 하단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부터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및 제3행어(217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반면,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및 제3행어(2173)가 각각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이격 상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레일(2061)과 제2레일(2062)에는 각각 제1스토퍼(2611)와 제2스토퍼(26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행어(2072)의 하단부는 제1스토퍼(2611)에 걸려 제1스토퍼(2611) 아래쪽으로는 이동할 수 없으며, 제3행어(2073)의 하단부는 제2스토퍼(2621)에 걸려 제2스토퍼(2621)의 아래쪽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그 다음,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및 제3행어(2173)가 최상부에 있는 상태에서, 구동부(213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벨트(2140)은 반시계(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및 제3행어(2173)는 상승할 때와는 반대의 동작으로 하강하게 된다.
제1도어(2181), 제2도어(2182), 및 제3도어(2183)는 각각 제1행어(2181), 제2행어(2182), 및 제3행어(2183)와 함께 움직인다.
<실시예 3>
이하 도 14 내지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정면도이다.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전체적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플랫폼(500) 상에서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100), 제2수직프레임(200), 및 제1수직프레임(100)과 제2수직프레임(200)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수평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수직프레임(100)은 ‘제1프레임’ 또는 ‘좌측 수직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2수직프레임(200)은 ‘제2프레임’ 또는 ‘우측 수직프레임’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수평프레임(300)의 좌측하단부에는 레이저 스캔 센서(60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프레임(100)과 우측프레임(200) 사이에는 3개의 도어(10, 20, 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3개 도어의 개략적인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3개 도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14, 도 18a, 도 18b, 및 도 18c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어(10)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으며, 제3도어(10)에는 광고영역(1001~1004)과 각종 모양 형성을 위한 패턴부(1005)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3도어’는 ‘상단도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2도어(20)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5줄의 로프(25)가 형성되어 있는데, 로프의 양쪽 끝부분은 홀더부(210, 22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도어’는 ‘중단도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1도어(30)도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5줄의 로프(35)가 홀더부(310, 32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도어’는 ‘하단도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 도어의 자세한 구성]
이하, 도 18c, 도 18d, 및 도 18e를 함께 참조하여 제1도어(30)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로프(35)의 단부는 홀더부(310)의 제1체결부(3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부(310)의 제2체결부(312)를 통해 홀더부(310)와 제1블록(3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로프의 양쪽 끝단부에는 로프(25,35)와 홀더부(210, 220, 310, 320)를 연결하는 부분을 보호하는 보호커버(280, 38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도어(30)의 홀더부(310, 320) 하단에 배치된 센서 설치부(501)에는 초음파센서(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8b에 나타낸 제2도어(20)는, 제1도어(30)와 비교하여 볼 때에, 제1도어(30)에 포함된 센서 설치부(501)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도어(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도어(20)도 제1도어(30)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되고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도어(10)는 로프가 아닌 플레이트형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2도어(20) 및 제1도어(30)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3개 도어의 개폐에 따른 상대적 위치의 설명]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3개 도어의 개폐에 따른 상대적 위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10, 20, 30)가 닫힌 상태일 때에는 제3도어(10)와 제2도어(20), 및 제1도어(30)가 위에서 아래쪽으로 순서대로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2도어(20)의 가장 아래 쪽 로프는 제1도어(30)의 가장 위쪽 로프와 겹쳐질 수 있다.
도어(10, 20, 30)가 열리는 도중에는 상기 3개의 도어가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때 3개의 도어(10, 20, 30)는 서서히 서로 겹치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열리면 상기 3개의 도어가 서로 완전히 겹칠 수 있다. 이때, 각 도어의 이동거리를 살펴보면, 제3도어(10)보다는 제2도어(20)가 이동거리가 길고, 제2도어(20)보다는 제1도어(30)의 이동거리가 길다.
[수직프레임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이하, 도 16a, 도 16b, 도 16c, 및 도 17을 함께 참조하여 수직프레임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좌측프레임(100)의 베이스부(191)는 플랫폼(500)에 직접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91)에는 H-빔(198, 199)의 하단부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H-빔(198, 199)의 상단부는 연결편(192, 193)에 의해 수평프레임의 하우징(301)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H-빔(198, 199)을 둘러싸는 하우징은, 하우징 전면부(151), 하우징 후면부(152), 하우징 측면부(153), 하우징 상면부(156), 및 하우징 코너부(154, 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은 이것이 감싸게 되는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H-빔(198)은 연결편(161)에 의해 하우징 측면부(153)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연결편(162)에 의해 슬릿부(1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슬릿부(11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3개의 슬릿(11, 21, 31)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슬릿(11, 21, 31)에 대응되는 각각의 블록(12, 22, 32)은 각 슬릿(11, 21, 31)의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슬릿(11, 12, 13)부분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며, 제3슬릿(11)이 제2슬릿(21)보다 짧고, 제2슬릿(21)은 제1슬릿(13)보다 짧다. 그리고 제3슬릿(11), 제2슬릿(21), 및 제1슬릿(31)의 상단부는 모두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슬릿(11)에 대응하는 제3블록(12)는 상단도어(10)와 결합되고, 제2슬릿(21)에 대응하는 제2블록(22)은 중단도어(20)와 결합되며, 제1슬릿(31)에 대응하는 제1블록(32)은 하단도어(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H-빔(199)의 상단부의 일 지점에는 회전축(130)을 지지하기 위한 홀(171, 17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H-빔(199)의 전면부에는 제2활차(132)가 상기 회전축(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H-빔(199)의 중단부에는 회전축(131)이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131)에는 제2활차(13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활차(132)와 제2활차(133)는 서로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수직연결구(제2수직벨트)(134)가 상기 한 쌍의 제2활차(132, 133)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제2수직연결구(134)의 일 지점은 제3블록(상단블록)(12)과도 서로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H-빔(199)의 후면부에는 활차(142)가 상기 회전축(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H-빔(199)의 하단부에는 회전축(141)이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141)에는 활차(14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활차(142)와 활차(143)는 서로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활차(142)와 활차(143)의 둘레의 길이는 제2활차(132)와 제2활차(133)의 둘레의 길이의 3배일 수 있다. 이때 수직연결구(수직벨트)(144)가 상기 한 쌍의 활차(142, 143)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수직연결구(144)의 일 지점은 제1블록(하단블록)(32)과도 서로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1블록, 제2블록, 제3블록의 운동 메커니즘]]
이하, 도 16b 및 도 16c를 참조하여 제1블록, 제2블록, 제3블록의 운동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상기 제2수직연결구(134)의 운동 원리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수평 프레임(300) 내에 설치된 구동부(예컨대 도 2의 1030)의 동작에 의해 수평벨트(302)가 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 수평벨트(302)가 회전축(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축(130)은 제2활차(1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활차(132)는 제2수직연결구(1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수직연결구(134)는 제2활차(1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3블록(12)에 연결된 제2수직연결구(134)의 상기 일 지점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제3블록(12)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제1블록(32)은 상술한 수직연결구(144)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블록(32)은 수직연결구(144)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활차(132)와 상기 활차(142)는 동일한 회전축(130)에 연결되어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한다. 제2활차(132)의 둘레의 길이가, 예컨대 활차(142)의 둘레의 길이의 1/3인 경우, 제2활차(132)에 연결된 제2수직연결구(134)의 이동 선속도는 활차(142)에 연결된 수직연결구(144)의 이동 선속도의 1/3이 된다.
이때, 도 16d를 살펴보면, 제2블록(22)은 제1블록(32)에 움직도르레(3191)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블록(22)에는 움직도르레(3191)와 제1활차(3192)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움직도르레(3191)와 제1활차(3192)에는 제1연결구(벨트)(3019)가 감겨있다. 제1블록(32)의 일부분(제1결합부, 3193)은 제1연결구(3019)의 일지점(검은 동그라미로 표시)에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고, 제3블록(12)에 형성된 일부분(3194)은 제1연결구(3019)의 타지점(검은 마름모로 표시)에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2수직연결구(144)가 제1블록(32)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제1블록(32)은 제1연결구(3019)를 통해 제2블록(22)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상기 제3블록(상단블록)(12)이 수직방향으로 L만큼의 거리를 이동할 때에 상기 제2블록(중단블록)(22)은 수직방향으로 2L만큼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운동 메커니즘을 종합하면, 제3블록(12), 제2블록(22), 및 제1블록(32)의 수직방향 이동속도는 1:2:3의 관계를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블록(12), 제2블록(22), 및 제1블록(32)은 슬릿부(110) 및 레일부(120)에 형성된 레일에 의해 인도되어 이동할 수 있다.
[제1블록, 제2블록, 제3블록의 구조]]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제1블록(32)을 중심으로 제1블록, 제2블록, 제3블록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9의 (a), (b), 및 (c)는 각각 제1블록(32)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 제1블록(32)에는 회전축(323)을 지지하기 위한 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에서는 총 10개의 회전축(323)과 총 10개의 홀(322)가 제공된 예를 나타낸다. 홀(322)은 바퀴(320)를 결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수직방향을 따라 10개가 배치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이 중 한 개에만 참조번호를 표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23)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 바퀴(3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9의 (c)에서는 10개의 바퀴(320)를 모두 도시하였으나, 도면 제시의 편의를 위하여 도 19의 (b)에서는 바퀴(320)를 도시하지 않거나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제1블록(32)에 형성된 체결부(311)는 상술한 제1도어(30)의 홀더부(310)에 형성된 체결부(312)(도 18e 참조)와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19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블록(32)은 헤드부(1), 몸체부(2), 몸체부(2)의 좌측 일단에 연결된 바퀴(320), 몸체부(2)의 상측 중앙에 연결된 벨트 연결부(3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벨트 연결부(321)는 상술한 제2수직연결구(134)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1)와 몸체부(2)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블록(32)을 수직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해 다음의 단계를 밟을 수 있다. 우선, 몸체부(2)를 제1슬릿(31)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이때, 헤드부(1)는 제1슬릿(31)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된다. 그 다음, 몸체부(2)에 바퀴(320), 벨트 연결부(321)를 결합할 수 있다. 그 다음, 벨트 연결부(321)를 제2수직연결구(134)에 고정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바퀴(320)를 레일부(120)의 대응위치에 접촉하여 정렬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의 제1폭(W1)은 몸체부(2)의 제2폭(W2)보다 크다. 그리고 제1폭(W1)은 제1슬릿(31)의 제3폭보다 크고, 제2폭(W2)은 상기 제3폭보다 작다.
[제3도어에 설치된 센서에 대한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어(30)의 하단부에는, 즉, 홀더부(310)의 하단부에는 센서(50)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50)는 좌측 및 우측에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센서(50)는 제1도어(30)가 하강할 때에, 제1도어(30)의 바로 밑에 있을지도 모르는 사람의 머리 등을 감지하여, 스크린 도어의 동작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50)는 예컨대, 초음파 방식의 센서일 수 있으나, 구체적인 감지 방식으로 다른 기술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50)를 상술한 제1슬릿(31)의 안쪽, 즉 수직프레임의 내부쪽에 설치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제1슬릿(31)의 바깥쪽, 즉 수직프레임의 외부쪽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제1슬릿(31)을 통해 수직프레임 내로 먼지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슬릿(31)이 폭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슬릿(31)에 먼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브러시(brush)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런데, 센서(50)의 크기가 큰 경우에 있어서, 만일 센서(50)를 상술한 제1슬릿(31)의 안쪽에 설치한다면, 제1슬릿(31)의 폭이 좁기 때문에 센서(50)가 방출하거나 받아들여야 하는 신호가 제1슬릿(31)의 가장자리부에 위해 차단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50)를 제1슬릿(31)의 바깥쪽, 즉 수직프레임의 외부쪽에 설치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구조에 따르면, 홀더부(310)는 제1슬릿(31)의 바깥쪽에 배치되므로, 센서(50)를 홀더부(310)의 하단부에 제공된 센서 설치부(501)에 설치할 수 있다. 센서(50)에 연결되는 유선의 케이블 등은 상기 제1슬릿(31)을 통해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수평 프레임 및 수직프레임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 4>
이하, 도 7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대해 설명한다.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0)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0) 사이에 배치된 제1도어(2181) 및 제2도어(2182); 상기 제2도어(2182)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도어에 결합된 제1움직도르래(2191); 상기 제1움직도르래(2191)를 구동하는 제1연결구(2019); 및 상기 제1연결구(2019)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 어셈블리(1008, 100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도어(2181)는 상기 제1연결구(2019)의 구동 세그먼트 중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상기 제1연결구(2019)의 구동 세그먼트 중 일 지점은 상기 제1연결구(2019)의 좌측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제1활차(219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어(2182)에는 제1활차(219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구(2019)는 상기 제1움직도르래(2191)와 상기 제1활차(2191)를 연결하는 벨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2182)는 상기 제1움직도르래(2191)를 통해 상기 제1도어(2181)로부터 수직방향의 힘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2181) 및 상기 제2도어(2182)는 상기 수직프레임(2110)에 제공된 레일(2161, 2162)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0)의 상부에 배치된 수평프레임(2120); 및 상기 구동 어셈블리(1008, 1009)를 수평연결구(2140)를 통해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한 개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어셈블리(1008, 1009)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0) 중 좌측 수직프레임(21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도어(2181)의 좌측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8);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0) 중 우측 수직프레임(21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도어(2181)의 우측단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9)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8)와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9)는 상기 한 개의 구동부에 의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연결구(2140)는 벨트, 체인, 또는 로프로 되어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2120)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2120)에는 상기 수평연결구(2140)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한 풀리(104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어셈블리(1008, 1009)는, 한 쌍의 풀리(2151), 상기 한 쌍의 풀리(2151)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연결구(2150),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제1레일(2161), 상기 수직연결구(2150)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2181)를 서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제1레일(2161)을 따라 수직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제1행어(2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풀리(2151) 중 상측에 있는 제1풀리(2151)의 회전축은 상기 수평연결구(2140)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수평연결구(2140)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상기 제1도어(2181)의 좌우측에 연결되는 제1행어(2171); 상기 제2도어(2182)의 좌우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움직도르래를 포함하는 제2행어(2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구(2019)는 상기 제1행어(2171)로부터 상기 제2행어(2172)에게 수직방향의 힘을 상기 제1움직도르래(2191)를 통해 전달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행어(2171)에 형성된 제1결합부(2192)는, 상기 제1연결구(2019)의 일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8)는, 좌측 수직연결구(2150), 상기 좌측 수직연결구(2150)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2181)의 좌측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좌측 제1행어(217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9)는, 우측 수직연결구(2150), 상기 우측 수직연결구(2150)의 일부분과 상기 제1도어(2181)의 우측단부를 고정 결합하는 우측 제1행어(2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2181)의 상기 좌측단부는 상기 좌측 수직연결구(2150)의 제1지점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도어(2181)의 상기 우측단부는 상기 우측 수직연결구(2150)의 제2지점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지점은 그 이동방향이 항상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1008)와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1009)는 모두 플랫폼 쪽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모두 선로 쪽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5>
한편, 도 7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0) 사이에 배치된 제1도어(2181), 제2도어(2182), 및 제3도어(2183); 상기 제1도어(2181), 상기 제2도어(2182), 및 상기 제3도어(2183)의 각각 좌우측에 연결되는 제1행어(2171), 제2행어(2172), 및 제3행어(2173); 상기 제2도어(2182)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행어(2172)에 결합된 제1움직도르래(2191); 상기 제3도어(2183)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3행어(2173)에 결합된 제2움직도르래(2195); 및 상기 제1움직도르래(2191) 및 상기 제2움직도르래(2195)를 각각 구동하는 제1연결구(2019) 및 제2연결구(2029)를 포함한다.
상기 제1행어(2171)는 상기 제1연결구(2019)의 제1구동세그먼트 중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행어(2172)는 상기 제2연결구(2029)의 제2구동세그먼트 중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때, 예컨대, 상기 제1연결구(2019)의 제1구동세그먼트 중 일 지점은 상기 제1연결구(2019)의 좌측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구(2029)의 제2구동세그먼트 중 일 지점은 상기 제2연결구(2029)의 좌측부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 5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제1활차(219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행어(2172)에는 제1활차(219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구(2019)는 상기 제1움직도르래(2191)와 상기 제1활차(2191)를 연결하는 벨트일 수 있다. 또한, 제2활차(219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행어(2173)에는 제2활차(219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구(2029)는 상기 제2움직도르래(2195)와 상기 제2활차(2195)를 연결하는 벨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행어(2171)에 형성된 제1결합부(2192)는, 상기 제1연결구(2019)의 일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행어(2173)에 형성된 제2결합부(2194)는, 상기 제2연결구(2029)의 일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행어(2171), 상기 제2행어(2172), 및 상기 제3행어(2173)는 상기 수직프레임(2110)에 제공된 레일(2161, 2162, 2163)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6>
이하 도 14 내지 도 19를 함께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설명한다.
실시예 6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0,200)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1도어(30) 및 제2도어(20); 상기 제2도어를 수직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도어에 결합된 움직도르래(3191); 상기 움직도르래를 구동하는 제1연결구(3019); 및 상기 제1연결구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 어셈블리(4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1연결구의 구동 어셈블리의 일 지점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고정 결합'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제1도어가 상기 구동 어셈블리이 일 부분임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평연결구'와 '수직연결구'는 각각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수평연결구'가 반드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수직연결구'가 반드시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는, 와이어로프(35)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3310), 장력조절부(3210), 홀더부(210, 220, 310, 320)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3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커버(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렬조절부(3210)의 일단부(3211)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된 제1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산은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사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장렬조절부(3210)의 타단부(3212)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나사산은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사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일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310)의 일단부(3311)는 와이어로프(35)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부재(3310)의 일단부(3311)는 와이어로프(35)를 걸기 위한 갈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지지부재(3310)의 일단부(3311)는 와이어로프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만족하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310)의 타단부(3312)에는 제3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나사산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사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3 결합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320)의 일단부(3321)는 홀더부(210, 220, 310, 320)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320)의 타단부(3322)에는 제4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4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4 나사산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사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제4 결합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3210)는 턴버클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32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로프(35)가 트위스트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와이어로프(35)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321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로프(200)가 트위스트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와이어로프(35)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는, 제1 지지부재(3310), 제2 지지부재(3320), 및 장력조절부(3210)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커버(280)는 주름이 존재하는 튜브형상의 합성수지로 된 것일 수 있다. 보호커버(280)는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조절 어셈블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금속으로 형성된 경우 보호커버(280)에 의해 오염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를 와이어로프(35)와 홀더부(210, 220, 310, 320)에 결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첫째 단계에서, 먼저 와이어로프(35)를 보호커버(280)에 관통시킴으로써, 보호커버(280)가 와이어로프(35)를 커버할 수 있다.
둘째 단계에서, 와이어로프(35)의 상기 일단부를 제1 지지부재(3310)의 일단부(3311)에 연결한다.
상기 둘째 단계에서, 제1 지지부재(3310)는 장력조절부(3210), 제2 지지부재(3320), 및 홀더부(210, 220, 310, 320)과 이미 서로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둘째 단계에서, 제1 지지부재(3310)는 장력조절부(3210)에 아직 결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둘째 단계 이후에, 제1 지지부재(3310)를 장력조절부(3210)에 결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순서로 보호커버(280)를 결합한다면, 와이어로프(35),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 및 홀더부(210, 220, 310, 3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보호커버(280)는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다만, 보호커버(280)에 형성된 주름에 의해 보호커버(280)를 수축시키거나 신장시킬 수 있다. 보호커버(280)를 수축시키면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가 노출되기 때문에 장력조절부(3210)를 조작하여 와이어로프(35)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스크린도어는 와이어로프 및 여기에 결합된 홀더부를 포함하여 함께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홀더부를 제외한 와이어로프만을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3>
1008 : 좌측 구동 어셈블리((1071, 1061, 1051, 1052, 1050, 1522) 또는 (2171, 2161, 2151, 2152, 2150, 2522)의 결합체)
1009 : 우측 구동 어셈블리((1071, 1061, 1051, 1052, 1050, 1522) 또는 (2171, 2161, 2151, 2152, 2150, 2522)의 결합체)
<도 14 내지 도 19>
10: 제3도어20: 제2도어
30: 제1도어11: 제3슬릿
21: 제2슬릿31: 제1슬릿
12: 제3블록22: 제2블록
32: 제1블록3193: 제1결합부
100: 수직프레임(좌측)200: 수직프레임(우측)
300: 수평프레임302: 수평연결구
130: 회전축142, 143: 활차
144: 수직연결구, 수직벨트132, 133: 제2활차
134: 제2수직연결구, 제2수직벨트1030: 구동부(도 2)
1042: 풀리3019: 제1연결구, 벨트
3191: 움직도르레3192: 제1활차
4100: 구동 어셈블리(32, 142, 143, 144, 130, 302, 1030)
<도 20>
3310: 제1 지지부재
3320: 제2 지지부재
3210: 장력조절부, 턴버클
280: 보호커버
3600: 장력조절 어셈블리(3310 + 3320 + 3210 + 3500)

Claims (3)

  1. 수직프레임(100); 및 와이어로프(35), 장력조절 어셈블리, 및 홀더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도어(20);를 포함하는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를 상기 와이어로프(35)와 상기 홀더부(210)에 결합하는 장력조절 어셈블리 결합방법으로서,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는, 상기 와이어로프(35)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3310), 장력조절부(3210), 상기 홀더부(210)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3320), 및 보호커버(280)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 결합방법은,
    상기 와이어로프(35)를 상기 보호커버(280)에 관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지부재(3310), 상기 장력조절부(3210), 상기 제2 지지부재(3320), 및 상기 홀더부(210)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로프(35)의 일단부를 상기 제1 지지부재(3310)의 일단부(3311)에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210)는 상기 제2 지지부재(3320)의 일단부(3321)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3320)의 타단부(3322)는 상기 장력조절부(3210)의 타단부(3212)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장력조절부(3210)의 일단부(3211)는 상기 제1 지지부재(3310)의 타단부(3312)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장력조절부(3210)의 일단부(3211)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장력조절부(3210)의 타단부(3212)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며,
    상기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상기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하우징(1090),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H-빔(198), 상기 H-빔(198)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슬릿(21)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홀더부(210)는, 상기 슬릿(21)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블록(2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에서의 장력조절 어셈블리 결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280)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280)의 수평방향 폭은 상기 복수 개의 주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에서의 장력조절 어셈블리 결합방법.
  3. 수직프레임(100); 및 와이어로프(35), 장력조절 어셈블리, 및 홀더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도어(20);를 포함하는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35)의 장력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는, 상기 와이어로프(35)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3310), 장력조절부(3210), 상기 홀더부(210)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3320), 및 보호커버(280)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 결합방법은,
    상기 와이어로프(35)를 상기 보호커버(280)에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지지부재(3310), 상기 장력조절부(3210), 상기 제2 지지부재(3320), 및 상기 홀더부(210)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로프(35)의 일단부를 상기 제1 지지부재(3310)의 일단부(3311)에 연결하여 상기 보호커버(280)를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장력조절 어셈블리를 노출하기 위해 상기 보호커버(280)를 수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장력조절부(321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와이어로프(35)의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210)는 상기 제2 지지부재(3320)의 일단부(3321)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3320)의 타단부(3322)는 상기 장력조절부(3210)의 타단부(3212)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장력조절부(3210)의 일단부(3211)는 상기 제1 지지부재(3310)의 타단부(3312)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장력조절부(3210)의 일단부(3211)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장력조절부(3210)의 타단부(3212)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며,
    상기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는, 상기 수직개폐형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하우징(1090),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H-빔(198), 상기 H-빔(198)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슬릿(21)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홀더부(210)는, 상기 슬릿(21)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블록(22)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280)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280)의 수평방향 폭은 상기 복수 개의 주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에서의 와이어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방법.

KR1020150084941A 2014-06-16 2015-06-16 턴버클을 이용하여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로프타입의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KR101740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073 2014-06-16
KR20140073073 2014-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93A KR20150144293A (ko) 2015-12-24
KR101740468B1 true KR101740468B1 (ko) 2017-05-31

Family

ID=5508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941A KR101740468B1 (ko) 2014-06-16 2015-06-16 턴버클을 이용하여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로프타입의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4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0388A (ja) * 2009-02-20 2010-09-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パイプカバー
JP2014091410A (ja) * 2012-11-02 2014-05-19 West Japan Railway Co ホーム安全柵用ポストとホーム安全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0388A (ja) * 2009-02-20 2010-09-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パイプカバー
JP2014091410A (ja) * 2012-11-02 2014-05-19 West Japan Railway Co ホーム安全柵用ポストとホーム安全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93A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427B2 (ja) 動滑車によって駆動される多段垂直開閉型スクリーンドア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5872716B2 (ja) 列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5240687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振れ止め装置
KR101471543B1 (ko)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391453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TW201943587A (zh) 電車月臺安全裝置
KR20140007980A (ko) 장애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6085458B2 (ja) ホーム安全柵
KR20170039831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740468B1 (ko) 턴버클을 이용하여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로프타입의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KR101802496B1 (ko) 프레임과의 연결부에 가동연결부가 구비된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1500875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2223558B1 (ko) 수동개폐를 위한 구조를 갖는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JP2007002607A (ja)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JP2015137025A (ja) 鉄道ホーム用の安全装置
KR101306648B1 (ko) 상해방지장치를 갖는 로프형 플랫폼 안전장치
JP6976108B2 (ja) ホーム柵
KR101471545B1 (ko)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220011543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7169418B2 (ja) ホーム柵
JP2019194048A (ja) ホームドア
KR20170081533A (ko) 프레임과의 연결부에 가동연결부는 갖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를 갖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1487607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의 로프 흔들림 감지부재
KR102133232B1 (ko)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