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189A -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189A
KR20160076189A KR1020140186068A KR20140186068A KR20160076189A KR 20160076189 A KR20160076189 A KR 20160076189A KR 1020140186068 A KR1020140186068 A KR 1020140186068A KR 20140186068 A KR20140186068 A KR 20140186068A KR 20160076189 A KR20160076189 A KR 20160076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afety door
screw
door system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936B1 (ko
Inventor
노경원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은행 filed Critical 한국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4018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9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Abstract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는 승강장에 차량 이동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지주와, 지주와 다른 지주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를 포함한다. 도어부를 승강장측과 차량측 간의 통행을 차단하는 폐쇄위치와 통행을 허용하는 개방위치 간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에 의해 도어부가 승강하면서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또한 도어부의 승강이동을 물리적으로 저지하는 락킹메커니즘을 포함함으로써 안전성이 높아진다.

Description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VERTICAL TYPE SAFETY DOOR SYSTEM}
본 발명은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하강 동작으로 개폐되는 안전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은 한 번에 대량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체증이 없기 때문에 현대 도시에서는 필수적인 교통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그 동력원을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공해가 없고, 또한 도시에서는 주로 지하시설로 설치되기 때문에 확장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대도시에서는 거미줄과 같은 전철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주력 대중교통 수단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이러한 철도차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루에도 수많은 승객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기 때문에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한다. 특히 플랫폼에 많은 사람들이 대기하기 때문에 과거에는 승객이 플랫폼 아래로 낙하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많은 도시철도 플랫폼에는 소위 ‘스크린 도어’ 유형의 안전도어 시스템이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스크린 도어는 정차한 철도차량의 도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상 투명한 슬라이딩 도어를 배치하고, 철도차량의 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철도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스크린 도어가 설치된 플랫폼에서는 승객이 낙하하는 대형사고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
다만, 기존의 스크린 도어는 설치 제약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테면, 스크린 도어는 좌우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직선이 아닌 곡선형의 플랫폼에는 설치가 매우 까다롭다. 또한 철도차량의 도어 위치가 통일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철도차량이 정차하는 역의 플랫폼에는 설치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철도차량의 도어와 스크린 도어가 동일한 위치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스크린 도어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을 정확한 위치에 정차시켜야 하는 다소 높은 숙련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등록특허 10-0601112는 로프타입의 안전 도어를 제안하였다. 이는 양쪽 지주에 다수개의 로프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 후 철도차량의 플랫폼에 정차될 때 승강시켜서 개방하고 승객이 승하차한 후에는 다수개의 로프를 하강시켜서 폐쇄하는 도어 시스템이다. 이러한 로프타입 안전 도어는 곡선 플랫폼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다양한 종류의 철도차량의 도어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술한 로프타입 안전 도어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로프형 도어의 승강에 모터의 동력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개방 한계점 또는 폐쇄 한계점에서 주로 모터의 동력에 의해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원이 차단될 경우 개방 한계점에 있는 도어는 중력에 의해 낙하될 수밖에 없고, 폐쇄 한계점에 있는 도어는 쉽게 열릴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또한, 로프 도어는 본질적으로 늘어짐이 발생하게 되는 데에다 다양한 사람들이 플랫폼을 이용하기 때문에 로프에 다양한 외력이 가해질 수밖에 없어서 매우 자주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이 특허기술의 로프형 도어는 각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은 구조를 갖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601112
본 발명은 로프타입의 안전 도어 시스템에서 로프형 도어를 이동을 락킹할 수 있는 락킹장치가 구비된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로프를 포함하는 로프타입 안전 도어에서 개별 로프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로프타입 안전 도어에서 로프의 처짐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는: 승강장에 차량 이동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지주; 지주와 다른 지주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를 승강장측과 차량측 간의 통행을 차단하는 폐쇄위치와 통행을 허용하는 개방위치 간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도어부의 승강이동을 물리적으로 저지하는 락킹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지주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너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부는: 상기 스크류에 나사결합된 너트; 및 상기 너트의 회전을 한정하면서 홀딩하는 너트포크;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는: 지주에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너트포크에 결합된 이동플레이트부; 및 지주에 설치된 이동플레이트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지주에 설치된 이동플레이트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로프 각각은, 일단이 탄성부재를 통해 이동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이동플레이트부에 결합된다.
상기 락킹메커니즘은 적어도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도어부가 승강이동을 물리적으로 저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락킹메커니즘은: 몸체에 걸림바를 가지는 상기 너트; 및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너트부의 상기 걸림바가 삽입되어 락킹상태가 되는 걸림홈을 가지는 락킹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는 외주면에 배치되는 캠부위를 가지고, 상기 너트포크는 상기 너트를 회전가능하도록 홀딩하되 회전의 양방향에서 각각 상기 캠부위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부위를 가짐으로써 상기 너트의 회전을 한정하며,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때 락킹상태가 되고,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될 때 해제상태가 되어 상기 너트가 상기 스크류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너트가 상기 스크류의 회전을 따라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락킹상태가 되고, 상기 너트가 상기 스크류의 회전을 따라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하여 해제상태가 되며, 상기 해제상태에서 상기 캠부위가 상기 저지부위에 접하여 너트의 회전이 저지되어 상기 너트가 상기 스크류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락킹메커니즘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는 비상완해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비상완해장치는: 상기 스크류에 고정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락킹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면 상기 걸림바를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푸시바; 및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어 당겨지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비상와이어;를 포함한다.
지주와 지주 사이에는 상기 다수개의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상하로 승강하여 개폐되는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도어 시스템은 승강장의 형태나 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승강장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도어 시스템이 철도 차량 플랫폼에 설치될 경우에 철도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 시스템은 스크류와 너트를 이용하여 승강구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이고 정숙한 동작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시스템은 락킹메커니즘을 채용함으로써 도어가 낙하되거나 쉽게 오픈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더구나 락킹메커니즘을 기계적인 구성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수많은 횟수를 반복 동작하는 플랫폼 안전도어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로프의 장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와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를 채용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에서 내부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에 채용된 승강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승강구동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에 채용된 락킹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에 채용된 장력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처짐방지수단을 채용한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의 실시예는 철도차량 플랫폼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버스 승강장, 택시 승강장 등과 같이 다른 승강장에도 특별한 제약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은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내부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에서 내부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은 승강장에 차량 이동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지주(1)와, 지주(1)와 다른 지주(1)에 각기 양단부위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2)와, 도어부(2)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을 포함한다. 도어부(2)는 승강구동부(3)에 의해 승강장측과 차량측 간의 통행을 차단하는 폐쇄위치와 통행을 허용하는 개방위치 간을 승강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에 채용되는 도어부(2)는 다수개의 로프(21)를 포함한다. 이러한 로프(21)는 지주(1)와 다른 지주(1)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폐쇄위치에서 통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로프(21)를 채용함으로써 지주(1)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곡선 플랫폼 또는 곡선 승강장에도 특별한 제약 없이 설치가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로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프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물이 적용될 수 있다.
지주(1)는 승강구동부(3)가 설치되는 지주와 승강구동부가 설치되는 않는 가이드지주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는 승강구동부(3)가 설치된 것은 지주(1)라고 칭하고, 그 외 승강구동부(3)가 설치되지 않은 지주는 가이드지주라고 칭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에 채용된 승강구동부(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지주(1)에 승강구동부(3)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승강구동부(3)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에 채용되는 승강구동부(3)는 지주(1)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정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스크류(31)를 포함한다.
스크류(31)에는 스크류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부(32)가 연결 설치된다. 모터부(32)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크류(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크류(31)에는 너트부(33)가 나사결합되어, 스크류(31)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너트부(33)는 너트(331)와 너트포크(332)를 포함한다. 너트(331)는 스크류(31) 나사결합되고, 너트포크(332)가 회전을 한정하면서 너트(331)를 홀딩한다. 따라서 스크류(31)가 회전할 때 회전이 저지된 너트(33)는 스크류(31)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부(32)가 스크류(31)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너트(331)가 스크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예컨대, 정방향의 회전에서는 너트(33)를 상승시키고, 역방향의 회전에서는 너트(331)를 하강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고, 그 역으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채택하는 스크류(31)와 너트부(33)를 이용한 승강구동부(3)은 다른 승강구동부 보다 운행 중에 도어부(2)가 급격히 낙하되는 등의 사고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정숙하고 안정적인 동작도 구현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어부(2)를 설명한다. 도어부(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로프(21)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수개의 로프(21)는 서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로프(21)는 이동플레이트(221)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이동플레이트부는 다수개의 이동플레이트(221)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로프(21)는 여러 개의 군으로 나뉘어서 각각의 이동플레이트(2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이동플레이트(221)를 이용하여 도어를 폴딩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이동플레이트부의 하단 이동플레이트(221)가 너트포크(332)에 결합되어 너트(331)가 이동할 때 함께 승강 이동하게 된다. 상승할 때 도어부(2)가 개방되고, 하강할 때 도어부(2)가 폐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지주(1)는 가이드레일 부위(11)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가이드레일 부위(11)에는 상술한 이동플레이트(221)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나아가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로울러 등의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에 채용된 락킹메커니즘과 비상완해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승강구동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승강구동부 외에 락킹메커니즘과 비상완해장치를 보여준다. 도 7은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너트부(33)가 스크류(31) 상에서 상승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락킹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락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은 도어부(2)의 승강이동을 물리적으로 저지하는 락킹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락킹메커니즘은 적어도 최대 개방위치나 폐쇄위치에서 도어부(2)의 이동을 물리적/기계적으로 정지시킨다. 물리적 정지는 락킹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방 또는 하방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락킹메커니즘은 상단의 개방위치에서 도어부(2)가 낙하되거나 폐쇄위치에 있는 도어부(2)를 물리력으로 쉽게 들어 올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메커니즘은 몸체에 걸림바(333)를 가지는 너트(331)와, 걸림바(333)가 삽입가능한 걸림홈(411)을 가지는 락킹가이드(41)를 포함한다. 걸림바(333)가 락킹가이드(41)의 걸림홈(411)에 삽입되면 너트(331)가 상하방향, 즉 스크류(31) 상에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331)의 몸체에는 캠부(334)가 더 구비되고, 너트포크(332)는 너트(331)를 회전가능하게 홀딩하되 캠부(334)의 회전범위를 한정하는 포크구조(저지부위)를 가진다. 이러한 너트포크(332)가 너트(331)의 회전범위를 한정하면서 홀딩하기 때문에, 스크류(31)가 회전할 때 너트(331)는 포크구조가 허용하는 범위에서만 회전하게 된다. 너트(331)가 스크류(3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포크구조에 다다르게 되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며, 회전하지 않는 너트(331)는 스크류(31) 상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331)가 폐쇄위치 또는 완전 개방위치에 도달할 때 락킹가이드(41)의 경사면을 따라 걸림바(333)가 내려오다가 스크류(31)의 회전방향(제1방향)을 따라 락킹가이드(41)의 걸림홈(411)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걸림바(333)가 걸림홈(411)에 삽입된 상태가 도 8에 도시한 락킹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승객 등이 물리력을 가하더라도 도어부(2)가 들리지 않는다.
해제(완해) 동작은 스크류(31)가 반대로 회전하면(제2방향) 너트(331)도 같은 방향으로 따라서 회전하면서 걸림바(333)가 걸림홈(411)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도 캠부(334)는 반대측의 포크구조(저지부위)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한정된 범위에서만 회전하게 된다. 걸림바(333)가 걸림홈(411)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이고 캠부(334)가 포크구조에 접촉하여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도 7 상태), 스크류(31)가 회전하면 너트(331)는 스크류(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어부(2)를 개방하게 된다. 최대 개방위치에서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락킹되거나 완해된다.
본 발명의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은 또한 비상완해장치(6)를 포함한다. 이는 도 6 및 도 7에서 잘 보이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비상완해장치(6)는 스크류(31)에 고정된 회전판(61)과, 회전판(61)에 설치되어 회전판(61)이 회전할 때 걸림홈(411)에 삽입된 걸림바(333)를 푸시하는 푸시바(62)와, 회전판(61)에 연결되어 당겨지면 회전판(61)을 회전시키는 비상와이어(미도시)를 포함한다. 정상적인 락킹상태에서는 푸시바(62)가 걸림바(333)의 뒤쪽에 있다가 승무원이나 승객이 비상와이어를 당겨서 회전판(61)을 회전시키면 푸시바(62)가 걸림바(333)를 푸시하여 걸림홈(411)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따라서 락킹메커니즘이 해제되고 승강구동부(3)가 구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기계식 락킹메커니즘은 매우 높은 동작 안전성을 가지게 되며, 이는 개폐 동작을 수없이 반복하는 안전도어에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스크류(31)와 너트(331)를 포함하는 승강구동부(3)과 더불어 도어부가 낙하되거나 쉽게 개방되거나 하는 문제점을 거의 완벽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도 10a 및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로프(2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장력조절부는 각각의 로프(21)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21)의 일단은 탄성부재(51)를 통해 이동플레이트(221)에 연결되고, 도 10a와 같이 타단은 경첩볼트와 같은 길이조절수단(52)에 의해 다른 이동플레이트(2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프(21)마다 장력조절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로프(21)의 장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실제 사용 시에는 일반적으로 로프(21)마다 각각 처짐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은 작업자가 간편하게 처지거나 늘어진 로프(21)만을 선별적으로 장력조절을 하여 균일한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처짐방지수단을 채용한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처짐방지수단(7)은 지주(1)와 지주(1)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지주에 구비되거나 가이드지주 없이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처짐방지수단(7)은 다수의 로프(21)를 세로방향으로 지지하여 로프(21)가 처지거나 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한 하나의 예로서, 처짐방지수단(7)은 지주(1)와 지주(1)의 상단 위치에 배치되는 가로대(71)와, 다수개의 로프(21)를 가로지르도록 세로로 배치되고 각각의 로프(21)가 결합되는 지지판부재(72)와, 지지판부재(72)를 견인할 수 있도록 가로대(71)에 설치되는 견인장치(73)을 포함한다.
견인장치(73)는 도시한 하나의 예에서와 같이 지지판부재(72)에 연결된 와이어(731)를 감고 풀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풀리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지주 2: 도어부
3: 승강구동부 11: 가이드레일 부위
21: 로프 221: 이동플레이트
31: 스크류 32: 모터부
33: 너트부 331: 너트
332: 너트포크 333: 걸림바
334: 캠부 41: 락킹가이드
411: 걸림홈 51: 탄성부재
52: 길이조절수단 6: 비상완해장치
61: 회전판 62: 푸시바
71: 가로대 72: 지지판부재
73: 견인장치 731: 와이어

Claims (11)

  1.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으로서:
    승강장에 차량 이동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지주;
    지주와 다른 지주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를 승강장측과 차량측 간의 통행을 차단하는 폐쇄위치와 통행을 허용하는 개방위치 간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도어부의 승강이동을 물리적으로 저지하는 락킹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지주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는:
    상기 스크류에 나사결합된 너트; 및
    상기 너트의 회전을 한정하면서 홀딩하는 너트포크;를 포함하는 것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지주에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너트포크에 결합된 이동플레이트부; 및
    지주에 설치된 이동플레이트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지주에 설치된 이동플레이트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로프 각각은, 일단이 탄성부재를 통해 이동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이동플레이트부에 되는 것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메커니즘은 적어도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도어부가 승강이동을 물리적으로 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락킹메커니즘은:
    몸체에 걸림바를 가지는 상기 너트; 및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너트부의 상기 걸림바가 삽입되어 락킹상태가 되는 걸림홈을 가지는 락킹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외주면에 배치되는 캠부위를 가지고,
    상기 너트포크는 상기 너트를 회전가능하도록 홀딩하되 회전의 양방향에서 각각 상기 캠부위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부위를 가짐으로써 상기 너트의 회전을 한정하며,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때 락킹상태가 되고,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될 때 해제상태가 되어 상기 너트가 상기 스크류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너트가 상기 스크류의 회전을 따라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락킹상태가 되고, 상기 너트가 상기 스크류의 회전을 따라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하여 해제상태가 되며, 상기 해제상태에서 상기 캠부위가 상기 저지부위에 접하여 너트의 회전이 저지되어 상기 너트가 상기 스크류 상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락킹메커니즘의 락킹 상태를 해제하는 비상완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비상완해장치는:
    상기 스크류에 고정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바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락킹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면 상기 걸림바를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푸시바; 및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어 당겨지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비상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주와 지주 사이에는 상기 다수개의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가 배치되는 것인,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KR1020140186068A 2014-12-22 2014-12-22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KR10168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68A KR101689936B1 (ko) 2014-12-22 2014-12-22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68A KR101689936B1 (ko) 2014-12-22 2014-12-22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189A true KR20160076189A (ko) 2016-06-30
KR101689936B1 KR101689936B1 (ko) 2016-12-26

Family

ID=5635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068A KR101689936B1 (ko) 2014-12-22 2014-12-22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9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0695A (ja) * 2017-02-27 2018-09-13 株式会社石井鐵工所 ホームドア
CN109372406A (zh) * 2018-10-15 2019-02-22 北京慧诚广信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安全门、安全门系统及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974B1 (ko) * 2018-02-23 2020-03-03 노준형 승강식 자동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725A (en) * 1978-12-21 1980-10-14 Lindquist Morris W Sliding closure lock latch
JP2004162423A (ja) * 2002-11-14 2004-06-10 Hiroyuki Yoshimura 地下収納型ゲート装置
KR100601112B1 (ko) 2005-02-14 2006-07-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KR20130064954A (ko) * 2011-12-09 2013-06-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725A (en) * 1978-12-21 1980-10-14 Lindquist Morris W Sliding closure lock latch
JP2004162423A (ja) * 2002-11-14 2004-06-10 Hiroyuki Yoshimura 地下収納型ゲート装置
KR100601112B1 (ko) 2005-02-14 2006-07-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KR20130064954A (ko) * 2011-12-09 2013-06-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0695A (ja) * 2017-02-27 2018-09-13 株式会社石井鐵工所 ホームドア
CN109372406A (zh) * 2018-10-15 2019-02-22 北京慧诚广信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安全门、安全门系统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936B1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427598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KR101689936B1 (ko)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KR20150013411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40009813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50013410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100789706B1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용 승하강수단
KR101391453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3429953A1 (en)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maintaining an elevator system
KR20140134887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101345027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2016078657A (ja) 可動柵
KR101195652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용 와이어로프 승하강수단
KR101604863B1 (ko) 로프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KR101258334B1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CN113047761B (zh) 一种升降式站台门机构
KR200389410Y1 (ko) 지하철용 스크린도어 개폐장치
CN108979698B (zh) 一种矿井通风控制设备及系统
KR200355684Y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KR200430165Y1 (ko) 스크린 도어 설치용 호이스트
KR100804068B1 (ko) 도어 개폐제어구조를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CN110239586B (zh) 门式防跑车门轴装置
JP7438841B2 (ja) プラットホーム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