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557B1 -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 Google Patents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557B1
KR102223557B1 KR1020170058738A KR20170058738A KR102223557B1 KR 102223557 B1 KR102223557 B1 KR 102223557B1 KR 1020170058738 A KR1020170058738 A KR 1020170058738A KR 20170058738 A KR20170058738 A KR 20170058738A KR 102223557 B1 KR102223557 B1 KR 102223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segment
block
fixedly coupled
fixing piec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367A (ko
Inventor
김현
신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플랫폼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플랫폼,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플랫폼
Priority to KR102017005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55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도어리프 및 제2도어리프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스프로킷들을 이용하는 콤팩트한 스크린도어장치를 공개한다.

Description

수직개폐 스크린도어{Vertically moving screen door}
본 발명은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콤팩트(compact)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행자 또는 차량 승객을 차량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도어의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스크린도어는 좌우방향으로 개폐되는 타입과 수직으로 개폐되는 타입이 존재한다.
수평으로 개폐되는 방식의 스크린도어에서는 스크린도어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마찰력을 이길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직으로 개폐되는 방식의 스크린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중력이 스크린도어에 미치는 힘을 더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중력에 의한 힘을 상쇄하기 위하여 수직 개폐형 스크린도어에서는 균형추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530);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도어리프(40) 및 제2도어리프(50)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제1수직프레임(510)에는, 구동모터(190)가 DCU(191)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구동모터(19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스크류(180)가 상기 구동모터(190)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180)의 일 부분에는 상기 스크류(180)가 회전 가능하도록 스크류 가동부(1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 가동부(11)의 일 면에는 가동부 고정편(12)이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 고정편(12)에는 블록 고정편(13)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상기 블록 고정편(13)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1도어리프(40)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블록(41)의 일 측면과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블록의 일 단에는 제1체인세그먼트(161)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블록의 타 단에는 제2체인세그먼트(162)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인세그먼트(161)의 타 단부와 상기 제2체인세그먼트(162)의 타 단부는 제1무게추(171)에 의해 서로 연결하도록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인세그먼트와 상기 제2체인세그먼트는 복수 개의 전면스프로킷(111, 112, 121, 122)의 외주면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스프로킷은 한 쌍의 상측 전면스프로킷(111, 112)과 한 쌍의 하측 전면스프로킷(121, 122)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상측 전면스프로킷(111, 112)은 미리 결정된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하측 전면스프로킷(121, 122)은 미리 결정된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를 고정하도록 상기 스크류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된 상측 스크류고정 베어링부(182) 및 하측 스크류고정 베어링부(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전면스프로킷 중 제2전면스프로킷(112)은 제1축(17)을 통해 상측 후면스프로킷(231)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전면스프로킷 중 제4전면스프로킷(122)은 제2축(18)을 통해 하측 후면스프로킷(232)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2도어리프(50)와 고정 결합되는 제2블록(51)의 일 단에는 제3체인세그먼트(261)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블록의 타 단에는 제4체인세그먼트(262)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체인세그먼트(261)의 타 단부와 상기 제4체인세그먼트(262)의 타 단부는 제2무게추(271)에 의해 서로 연결하도록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체인세그먼트와 상기 제4체인세그먼트는 후면스프로킷(231, 232)의 외주면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스프로킷의 지름은 상기 전면스프로킷의 지름보다 미리 결정된 값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수직프레임의 전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수직프레임의 후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축 방향에서 바라본 제1수직프레임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류 가동부, 가동부 고정편, 블록 고정편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 고정편, 블록 고정편, 제1블록, 및 제1도어리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장치(1)를 나타낸 것이다.
스크린도어장치(1)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 및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5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도어리프(40) 및 제2도어리프(50)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 중 제2수직프레임(520)의 일 측에는 제1슬릿(610) 및 제2슬릿(6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슬릿(610) 및 제2슬릿(611)을 따라 제1도어리프(40) 및 제2도어리프(50)가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수직프레임(510)의 전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수직프레임(510)은 DCU(191), 구동모터(190), 스크류(180), 스크류 가동부(11), 가동부 고정편(12), 블록 고정편(13), 제1블록(41), 제1체인세그먼트(161) 및 제2체인세그먼트(162), 제1무게추(171), 및 전면스프로킷(111, 112, 121,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체인세그먼트(161) 및 제2체인세그먼트(162)를 통합하여 제1체인(16)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DCU(191)는 구동모터(19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제1수직프레임(5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수직프레임(520)의 하측에도 DCU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도어리프(40) 및 제2도어리프(50)가 각각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 도어리프의 좌측 및 우측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선을 통해 제1수직프레임(510)의 DCU(191)와 제2수직프레임(520)의 DCU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수직프레임(510)의 DCU(191)와 제2수직프레임(520)의 DCU는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80)의 일 측에는 스크류(18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180)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80)가 구동되면, 상기 스크류(180)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180)의 상측 및 하측에는 상기 스크류(180)를 고정하도록 상측 스크류고정 베어링부(182) 및 하측 스크류고정 베어링부(181)가 각각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상측 스크류고정 베어링부(182)와 상기 하측 스크류고정 베어링부(181) 사이의 상기 스크류(180)의 일 부분에는 스크류 가동부(11)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스크류(180)가 스크류 가동부(11)를 통과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스크류 가동부(11)의 일 면에는 가동부 고정편(12)이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 고정편(12)에는 블록 고정편(13)이 상기 가동부 고정편(12)의 형상에 맞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록 고정편(13)의 일 부분은 제1블록(41)과 겹쳐져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블록(41)은 상기 제1도어리프(4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블록(41)의 일 단에는 제1체인세그먼트(161)의 일 단부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블록(41)의 타 단에는 제2체인세그먼트(162)의 일 단부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무게추(171)가 제1체인세그먼트(161)의 타 단부와 상기 제2체인세그먼트(162)의 타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무게추(171)의 일 단에는 상기 제1체인세그먼트(161)의 타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제1무게추(171)의 타 단에는 제2체인세그먼트(162)의 타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51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한 쌍의 상측 전면스프로킷(111, 112) 및 한 쌍의 하측 전면스프로킷(121, 122)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전면스프로킷(111, 112, 121, 122)의 외주면은 톱니바퀴의 형태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제1체인세그먼트(161)와 제2체인세그먼트(162)는 전면스프로킷(111, 112, 121, 122)의 외주면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체인세그먼트(161, 162)는 전면스프로킷의 톱니바퀴에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결합 가능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1상측 전면스프로킷(111) 및 제2상측 전면스프로킷(112)은 서로 미리 결정된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1하측 전면스프로킷(121) 및 제2하측 전면스프로킷(122)은 서로 미리 결정된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상측 전면스프로킷(111, 112) 간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일정한 거리를 갖고 이격됨으로써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구동모터(190), 스크류(180), 스크류 가동부(11), 가동부 고정편(12), 및 블록고정편(13)이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1체인세그먼트(161), 제1블록(41), 제2체인세그먼트(162), 및 제1무게추(171)를 통합하여 제1회전구동부(200)로 지칭할 수 있다.
제2수직프레임(520)의 구조는 상술한 제1수직프레임(510)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수직프레임(510)의 후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수직프레임(510)은 제1축(17), 제2축(18), 상측 후면스프로킷(231), 하측 후면스프로킷(232), 제3체인세그먼트(261), 제4체인세그먼트(262), 제2블록(51), 및 제2무게추(2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체인세그먼트(261) 및 제4체인세그먼트(262)를 통합하여 제2체인(26)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2상측 전면스프로킷(112)은 제1축(17)을 통해 상측 후면스프로킷(23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축(17)의 일 단은 제2상측 전면스프로킷(112)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제1축의 타 단은 상측 후면스프로킷(231)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하측 전면스프로킷(122)은 제2축(18)을 통해 하측 후면스프로킷(23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축의 일 단은 제2하측 전면스프로킷(122)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제2축(18)의 타 단은 하측 후면스프로킷(232)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후면스프로킷(231, 232)의 외주면은 톱니바퀴의 형태를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후면스프로킷(231, 232)의 반지름(R2)은 상기 각각의 전면스프로킷(111, 112, 121, 122)의 지름(R1)보다 미리 결정된 값만큼 클 수 있다.
상기 상측 후면스프로킷(231)의 외주면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4체인세그먼트(2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 후면스프로킷(232)의 외주면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3체인세그먼트(261)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3체인세그먼트(261)의 일 단부는 제2블록(51)의 일 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제4체인세그먼트(262)의 일 단부는 제2블록(51)의 타 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3체인세그먼트(261)의 타 단부는 제2무게추(271)의 일 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제4체인세그먼트(262)의 타 단부는 제2무게추(271)의 타 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블록(51)은 상기 제2도어리프(5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스크린도어의 구동과정을 설명한다.
DCU(191)에 의해 구동모터(190)가 구동되면, 스크류(180)가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18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180)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가동부(11), 가동부 고정편(12), 블록 고정편(13), 및 제1블록(41)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면, 제1블록(41)에 고정 결합되어 있던 제1도어리프(40)도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블록(41)이 상승함에 따라 제1무게추(171)가 하강하게 되며, 제2체인세그먼트(162)의 움직임에 따라 전면스프로킷(111, 112, 121 ,122)이 회전하게 된다.
전면스프로킷(111, 112, 121 ,122)이 회전하게 되면, 제2상측 전면스프로킷(112)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축(17)에 의해 상측 후면스프로킷(231)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하측 전면 스프로킷(122)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2축(18)에 의해 하측 후면스프로킷(232)도 회전하게 된다.
상측 후면스프로킷(231) 및 하측 후면스프로킷(232)이 회전함에 따라, 상측 후면스프로킷(231) 및 하측 후면스프로킷(232)에 각각 맞물려 있던 제4체인세그먼트(262) 및 제3체인세그먼트(261)이 이동하게 되면, 제4체인세그먼트(262) 및 제3체인세그먼트(261)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2블록(51)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2블록(51)에 고정 결합되어 있던 제2도어리프(50)도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후면스프로킷(231, 232)의 반지름(R2)은 각각의 전면스프로킷(111, 112, 121, 122)의 반지름(R1)보다 미리 결정된 값만큼 클 수 있다. 즉, 전면스프로킷(111, 112, 121, 122)의 선속도가 후면스프로킷(231, 232)의 선속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어리프(40)와 제2도어리프(50)가 수직방향으로 끝까지 상승했을 때, 제1도어리프(40)가 제2도어리프(50)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y축 방향에서 바라본 제1수직프레임(510)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1수직프레임(510)의 가운데 부분에는 설치플레이트(511)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설치플레이트(511)를 기준으로 전면(2)과 후면(3)을 구분할 수 있다.
전면(2)을 살펴보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제1상측 전면스프로킷(111) 및 제1하측 전면스프로킷(1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상측 전면스프로킷(111) 및 제1하측 전면스프로킷(121)의 외주면을 따라 제1체인(16)이 맞물려 있을 수 있다.
후면(3)을 살펴보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상측 후면스프로킷(231) 및 하측 후면스프로킷(2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후면스프로킷(231) 및 하측 후면스프로킷(232)의 외주면을 따라 제2체인(26)이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510)의 전면(2) 아래측에는 DCU(191)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류 가동부(11), 가동부 고정편(12), 블록 고정편(13)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가동부(11), 가동부 고정편(12), 블록 고정편(13)의 결합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가동부(11), 가동부 고정편(12), 블록 고정편(13)의 결합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가동부(11), 가동부 고정편(12), 블록 고정편(13)의 결합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크류 가동부(11)에는 스크류(18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스크류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류(18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가 회전하면,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크류 가동부(11)는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스크류 가동부(11)의 일 측면에는 가동부 고정편(12)이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가동부 고정편(12)의 바닥면 즉, 스크류 가동부(11)와 맞닿는 면에는 스크류 통과홀(3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가동부 고정편(12)의 일 측면에는 제1연결핀 통과홀(3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가동부 고정편(12)에는 블록 고정편(13)이 상기 가동부 고정편(12)의 형상에 맞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블록 고정편(13)의 일 측면에는 제2연결핀 통과홀(33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블록 고정편(13)의 타 측면에는 제1블록(도 2 참조)과 고정 결합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가동부 고정편(12)과 블록 고정편(13)이 겹쳐지는 부분에 형성된 제1연결핀 통과홀(322) 및 제2연결핀 통과홀(332)을 통해 연결핀(10)이 끼워질 수 있다. 연결핀(10)은 비상시에 승객이 스크린도어를 상승시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상시에 연결핀(10)이 가동부 고정편(12) 및 블록 고정편(1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10)의 일 단부에는 잠금해제선(1100)이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해제선(1100)의 끝부분에는 손잡이(1101)가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1101)는 승객이 스크린도어를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승객이 손잡이(1101)를 잡아당기면, 연결핀(10)이 가동부 고정편(12) 및 블록 고정편(1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후, 승객이 도어리프를 들어 올리면, 도어리프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1블록 및 상기 제1블록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블록 고정편(13)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무게추(도 2 참조)가 중력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1무게추 의해 승객이 도어리프를 손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 고정편(12), 블록 고정편(13), 제1블록(41), 및 제1도어리프(4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가동부 고정편(12), 블록 고정편(13), 제1블록(41), 및 제1도어리프(4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b)는 제1블록(41), 및 제1도어리프(40)의 결합관계를 더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의 (a) 및 도 6의 (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 고정편(13)의 타 측면에는 제1블록(41)과 고정 결합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블록(41)에도 상기 블록 고정편(13)의 한 개 이상의 홀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블록 고정편(13)의 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블록 고정편(13)의 홀과 상기 제1블록(41)의 홀은 연결핀, 볼트 및 너트, 또는 기타 결합 가능한 것들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블록(41)과 제1도어리프를 고정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1도어리프(40)를 향하는 쪽의 제1블록의 일 측면에는 제1결합부(411, 4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블록(41)을 향하는 쪽의 제1도어리프의 일 측면에는 제2결합부(401, 40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결합부(411, 412)와 제2결합부(401, 402)는 서로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1 : 스크린도어장치 10 : 연결핀
11 : 스크류 가동부 12 : 가동부 고정편
13 : 블록 고정편 17 : 제1축
40 : 제1도어리프 41 : 제1블록
50 : 제2도어리프 51 : 제2블록
111, 112, 121, 122 : 전면스프로킷 161 : 제1체인세그먼트
162 : 제2체인세그먼트 171 : 무게추
180 : 스크류 181 : 하측 스크류고정 베어링부
182 : 상측 스크류고정 베어링부 190 : 구동모터
191 : DCU 231, 232 : 후면스프로킷
261 : 제3체인세그먼트 262 : 제4체인세그먼트
271 : 제2무게추 321 : 스크류 통과홀
322 : 제1연결핀 통과홀 332 : 제2연결핀 통과홀
401, 402 : 제2결합부 411, 412 : 제1결합부
510 : 제1수직프레임 511 : 설치플레이트
520 : 제2수직프레임 530 : 수평프레임
610, 611 : 슬릿 1100 : 잠금해제선
1101 : 손잡이

Claims (5)

  1.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도어리프 및 제2도어리프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제1수직프레임에는,
    구동모터가 DCU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스크류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의 일 부분에는 상기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도록 스크류 가동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 가동부의 일 면에는 가동부 고정편이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 고정편에는 블록 고정편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상기 블록 고정편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1도어리프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블록의 일 측면과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 고정편의 일 측면에는 제1연결핀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 고정편의 일 측면에는 제2연결핀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 고정편과 상기 블록 고정편이 겹쳐지는 부분에 형성된 상기 제1연결핀 통과홀 및 상기 제2연결핀 통과홀을 통해 연결핀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연결핀의 일 단부에는 잠금해제선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잠금해제선의 끝부분에는 손잡이가 고정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가 잡아당겨지면, 상기 연결핀이 상기 가동부 고정편 및 상기 블록 고정편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일 단에는 제1체인세그먼트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블록의 타 단에는 제2체인세그먼트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인세그먼트의 타 단부와 상기 제2체인세그먼트의 타 단부는 제1무게추에 의해 서로 연결하도록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인세그먼트와 상기 제2체인세그먼트는 복수 개의 전면스프로킷의 외주면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전면스프로킷은 한 쌍의 상측 전면스프로킷과 한 쌍의 하측 전면스프로킷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상측 전면스프로킷은 미리 결정된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하측 전면스프로킷은 미리 결정된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를 고정하도록 상기 스크류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된 상측 스크류고정 베어링부 및 하측 스크류고정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의 일 단에는 제1체인세그먼트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블록의 타 단에는 제2체인세그먼트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인세그먼트의 타 단부와 상기 제2체인세그먼트의 타 단부는 제1무게추에 의해 서로 연결하도록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인세그먼트와 상기 제2체인세그먼트는 복수 개의 전면스프로킷의 외주면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전면스프로킷 중 제2전면스프로킷은 제1축을 통해 상측 후면스프로킷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전면스프로킷 중 제4전면스프로킷은 제2축을 통해 하측 후면스프로킷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2도어리프와 고정 결합되는 제2블록의 일 단에는 제3체인세그먼트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블록의 타 단에는 제4체인세그먼트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체인세그먼트의 타 단부와 상기 제4체인세그먼트의 타 단부는 제2무게추에 의해 서로 연결하도록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체인세그먼트와 상기 제4체인세그먼트는 후면스프로킷의 외주면에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스크린도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스프로킷의 지름은 상기 전면스프로킷의 지름보다 미리 결정된 값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장치.
KR1020170058738A 2017-05-11 2017-05-11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KR102223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738A KR102223557B1 (ko) 2017-05-11 2017-05-11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738A KR102223557B1 (ko) 2017-05-11 2017-05-11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67A KR20180124367A (ko) 2018-11-21
KR102223557B1 true KR102223557B1 (ko) 2021-03-09

Family

ID=6460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738A KR102223557B1 (ko) 2017-05-11 2017-05-11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5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1410A (ja) 2012-11-02 2014-05-19 West Japan Railway Co ホーム安全柵用ポストとホーム安全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887A (ko) * 2013-05-15 2014-11-2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101802496B1 (ko) * 2015-01-02 2017-11-28 한국교통연구원 프레임과의 연결부에 가동연결부가 구비된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KR20170040670A (ko) * 2015-10-05 2017-04-13 한국교통연구원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1410A (ja) 2012-11-02 2014-05-19 West Japan Railway Co ホーム安全柵用ポストとホーム安全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67A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827B1 (ko)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승하강 방식의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2223558B1 (ko) 수동개폐를 위한 구조를 갖는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KR100805364B1 (ko)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EP2143682A1 (en) Doorway device for elevator
WO2012147236A1 (ja) ホームドア装置
KR102223557B1 (ko)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JP6093052B2 (ja) 三重引戸
JP5887176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RU2437823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вери лифта
JP2008248654A (ja) 引き戸用扉体案内装置
US3436863A (en) Door operating means
KR102046460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JP2014189040A (ja) 可動扉装置
KR101776219B1 (ko) 랙-피니언 동력전달구조를 갖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장치
JP5878599B1 (ja) 三重引戸
JP2012111296A (ja) 可動ホーム柵
KR20080101101A (ko) 비상시 여닫이형 개폐가 가능한 스크린 도어
JP6319755B2 (ja) 三重引戸
KR20080036571A (ko) 절첩식 무빙 도어 장치
KR101705737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전철 게이트용 플랩도어 프레임
CN211736830U (zh) 一种平移门的活动机构
KR101805822B1 (ko) 슬라이딩 도어 어셈블리
JP7348517B2 (ja) 扉構造
JP6381852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CN219885381U (zh) 一种多个电梯井安全防护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