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670A -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 Google Patents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670A
KR20170040670A KR1020150139950A KR20150139950A KR20170040670A KR 20170040670 A KR20170040670 A KR 20170040670A KR 1020150139950 A KR1020150139950 A KR 1020150139950A KR 20150139950 A KR20150139950 A KR 20150139950A KR 20170040670 A KR20170040670 A KR 20170040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creen door
vertical
coupled
m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판주
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39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0670A/ko
Publication of KR20170040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스크린도어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를 공개한다. 회전모터의 회전력은 상기 두 개의 스크린도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개폐력으로 변환된다. 상기 힘의 변환은 상기 두 개의 스크린도어와 상기 회전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봉(rod) 형태의 스크류에 의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Vertically moving screen door with light weight}
본 발명은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경량화를 위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행자 또는 차량 승객을 차량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도어의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스크린도어는 좌우방향으로 개폐되는 타입과 수직으로 개폐되는 타입이 존재한다.
수평으로 개폐되는 방식의 스크린도어에서는 스크린도어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마찰력을 이길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직으로 개폐되는 방식의 스크린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중력이 스크린도어에 미치는 힘을 더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중력에 의한 힘을 상쇄하기 위하여 수직 개폐형 스크린도어에서는 균형추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으로 개폐되는 스크린도어에 비하여 수직으로 개폐되는 스크린도어가 더 무거울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 개폐형 스크린도어를 경량화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좌측 수직프레임(2);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좌측상부-스크류(51) 및 좌측하부-스크류(53); 상기 좌측상부-스크류 또는 상기 좌측하부-스크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좌측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좌측모터(36);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와 상기 좌측하부-스크류 간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좌측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에 좌측 단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상부-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상부 스크린도어(831); 및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에 좌측 단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하부-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 스크린도어(832);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3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는, 우측 수직프레임(4);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우측상부-스크류(52) 및 우측하부-스크류(54); 상기 우측상부-스크류 또는 상기 우측하부-스크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우측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우측모터(37); 및 상기 우측상부-스크류와 상기 우측하부-스크류 간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우측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는 상기 우측상부-스크류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는 상기 우측상부-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는 상기 우측하부-스크류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는 상기 우측하부-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이동속도가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더 느리도록,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에 형성된 나사산의 제2기울기가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에 형성된 나사산의 제1기울기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이동속도가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더 느리도록, 상기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의 기어비가 1:x(단, x는 1이 아닌 값)로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는, 상기 좌측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좌측DCU(46); 상기 우측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우측DCU(47); 및 상기 좌측DCU와 상기 우측DCU를 동기화시켜 제어하는 제어부(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는,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좌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일부분, 및 상기 좌측상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의 나사골에 결합되어 있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좌측상부-수직가동부(73);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좌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일부분, 및 상기 좌측하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의 나사골에 결합되어 있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좌측하부-수직가동부(83);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일부분, 및 상기 우측상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우측상부-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우측상부-스크류의 나사골에 결합되어 있는 제3돌출부를 포함하는 우측상부-수직가동부(75); 및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일부분, 및 상기 우측하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우측하부-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우측하부-스크류의 나사골에 결합되어 있는 제4돌출부를 포함하는 우측하부-수직가동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스크린도어 장치는, 좌측레일이 형성된 좌측 수직프레임(2), 제1중앙레일 및 제2중앙레일이 형성된 중앙 수직프레임(3), 및 우측레일이 형성된 우측 수직프레임(4);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좌측상부-스크류(51) 및 좌측하부-스크류(53);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우측상부-스크류(52) 및 우측하부-스크류(54); 상기 좌측상부-스크류 및 상기 우측상부-스크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좌측 수직프레임 및 상기 우측 수직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모터(36, 37); 상기 좌측상부-스크류 및 상기 우측상부-스크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좌측 수직프레임 및 상기 우측 수직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1, 43);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레일과 상기 제1중앙레일에 양 단부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는 좌측상부도어(811) 및 좌측하부도어(812);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우측레일과 상기 제2중앙레일에 양 단부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는 우측상부도어(821) 및 우측하부도어(8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앙-연결구(55); 및 상기 좌측-볼스크류와 상기 우측-볼스크류의 회전력을 상기 중앙-연결구의 구동력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좌측수직프레임, 상기 중앙수직프레임, 및 상기 우측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동력전달 어셈블리(41, 42, 4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좌측수직프레임 및 상기 우측수직프레임에는, 상기 모터 및 상기 베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좌측DCU(46) 및 우측DCU(47)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DCU 및 상기 우측DCU는 제어부(48)에 의해 서로 동기화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 장치는, 상기 좌측상부도어의 좌측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좌측상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에 결합되어 있는 좌측상부-수직가동부(73); 상기 우측상부도어의 우측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우측상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우측상부-스크류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우측상부-스크류에 결합되어 있는 우측상부-수직가동부(75); 상기 좌측하부도어의 좌측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좌측하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에 결합되어 있는 좌측하부-수직가동부(83); 및 상기 우측하부도어의 우측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우측하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우측하부-스크류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우측하부-스크류에 결합되어 있는 우측하부-수직가동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인접한 수직 개폐형 스크린도어를 한 개의 구동장치로 구동하기 때문에, 수직 개폐형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경량화 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내부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내부구조를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내부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내부구조를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300)의 내부구조 중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부분들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300)의 내부구조 중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부분들을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승강장 스크린도어(300)의 내부구조 중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부분 및 움직이는 부분들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승강장 스크린도어(300)의 내부구조 중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부분 및 움직이는 부분들을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제1 비교 실시예 - 동력전달스크류를 이용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
열차가 지나가는 선로(50) 옆에는 승강장(60)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60) 위에는 승객이 선로(50)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펜스(4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안전펜스(40)는, 열차가 정차하는 경우, 열차의 출입문이 위치하는 장소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전펜스(40)가 없는 공간에서는 승객이 선로(50)에 추락할 위험이 있다.
승강장(60)에 좌우개폐형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안전펜스(40)를 모두 철거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좌우개폐형 스크린도어는, 열렸을 때에 스크린도어가 안전펜스(40)가 차지하는 공간을 침범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좌우개폐형 스크린도어는 안전펜스(40)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설치하기에는 부적당하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펜스(40)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장(60)에 상하개폐형 승강장 스크린도어(1)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1)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1)는, 상하로 개폐되는 한 개 이상의 좌측 스크린도어(811, 812), 및 좌측 스크린도어(811, 81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좌측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좌측 스크린도어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스크린도어(811, 812)는 플레이트형 부재 또는 로프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좌측상부-스크린도어(811)는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위치하는 좌측하부-스크린도어(812)는 로프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승강장 스크린도어(1)는, 상하로 개폐되는 한 개 이상의 우측 스크린도어(821, 822), 및 상기 우측 스크린도어(821, 82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우측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우측 스크린도어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스크린도어(821, 822)는 플레이트형 부재 또는 로프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우측상부-스크린도어(821)는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위치하는 우측하부-스크린도어(822)는 로프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승강장 스크린도어(1)는, 좌측 스크린도어부(91)의 상단과 우측 스크린도어부(9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중앙 수평프레임(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비교 실시예 - 스크류가 상부- 스크린도어와 하부- 스크린도어에 각각 개별 제공되며 두 개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200)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200)의 내부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200)의 내부구조를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승강장 스크린도어(200)의 내부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승강장 스크린도어(200)의 내부구조를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200)는 상하로 개폐되는 한 개 이상의 좌측 스크린도어(811, 81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좌측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좌측 스크린도어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구동 어셈블리는 좌측수직프레임(2), 중앙수직프레임(3), 및 좌측수직프레임(2)의 상단과 중앙수직프레임(3)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좌측수평프레임(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장 스크린도어(200)는, 상하로 개폐되는 한 개 이상의 우측 스크린도어(821, 82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우측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우측 스크린도어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측 구동 어셈블리는 중앙수직프레임(3), 우측수직프레임(4), 및 중앙수직프레임(3)의 상단과 우측수직프레임(4)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우측수평프레임(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수직프레임(3)은 좌측 스크린도어부(91) 및 우측 스크린도어부(92)의 작동을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수직프레임(2)과 우측수직프레임(4)에는 각각 모터(36, 37) 및 제1,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1, 43)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이때, 모터(36, 37) 및 제1,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1, 43)의 구동에 의해 좌측 스크린도어(811, 812) 및 우측스크린도어(821, 822)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수직프레임(2)과 우측수직프레임(4)에는 각각 DCU(Door Control Unit)(46, 47)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DCU(46, 47)는 좌측모터(36) 및 우측모터(37)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DCU(46, 47)는 스크린도어(811, 812, 821, 822)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DCU(46, 47)는 모터(36, 37)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좌측DCU(46)와 우측DCU(47)는 제어부(48)에 의해 서로 동기화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각 수직프레임(2, 3, 4)에는 각각 단레일(312, 311, 411, 412) 및 장레일(322, 321, 421, 422)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좌측베이스(61)와 우측베이스(62)에는 각각 좌측하부-스크류(53)의 하단부와 우측하부-스크류(54)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61, 62)와 하부-스크류(53, 54) 사이에는 베어링이 제공되어, 하부-스크류(53, 54)가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와 좌측모터(36) 사이에는 좌측상부-스크류(5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와 좌측베이스(61) 사이에는 좌측하부-스크류(5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3)와 우측모터(37) 사이에는 우측상부-스크류(5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3)와 우측베이스(62) 사이에는 우측하부-스크류(5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수직프레임(2, 4)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각 수직프레임(2, 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류(51, 52, 53, 5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와 좌측모터(36) 사이에는 좌측상부-스크류(5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와 좌측베이스(61) 사이에는 좌측하부-스크류(5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3)와 우측모터(37) 사이에는 우측상부-스크류(5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3)와 우측베이스(62) 사이에는 우측하부-스크류(5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동력전달 어셈블리(41)의 제1측에는 좌측상부-스크류(51) 및 좌측하부-스크류(53)의 일 단이 연결되어 있고, 제2측에는 좌측수평-동력축(24)의 일 단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동력전달 어셈블리(42)의 제1측에는 좌측수평-동력축(24)의 타 단이 연결되어 있고, 제2측에는 우측수평-동력축 (25)의 일 단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3동력전달 어셈블리(43)의 제1측에는 우측상부-스크류(52) 및 우측하부-스크류(54)의 일 단이 연결되어 있고 제2측에는 우측수평-동력축(25)의 일 단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중앙수직프레임(3)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수직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앙-연결구(5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중앙-연결구(55)는 제2 동력전달 어셈블리(42)와 중앙상부-브릿지(77)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중앙-연결구(55)의 일단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상부-브릿지(77)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중앙-연결구(55)의 타단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균형추(Balance Weight)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중앙-연결구(55)는 제2 동력전달 어셈블리(42)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중앙-연결구(55)는 예컨대, 로프형 부재 또는 체인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상부-스크류(51) 및 우측상부-스크류(52)의 일 부분에는 상부-스크린도어(811, 821)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수직가동부(73, 75)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부-수직가동부(73, 75)는 상부블록(442, 452)과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블록(441)과 상부블록(451)은 중앙상부-브릿지(77)에 의해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하부-스크류(53) 및 우측하부-스크류(54)의 일 부분에는 하부-스크린도어(812, 822)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부-수직가동부(83, 85)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하부-수직가동부(83, 85)는 하부블록(462, 472)과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블록(461)과 하부블록(471)은 중앙하부-브릿지(78)에 의해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부블록(442, 441, 451, 452)은 각각 단레일(312, 311, 411, 412)을 따라 상하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블록(462, 461, 471, 472)은 각각 장레일(322, 321, 421, 422)을 따라 상하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스크류(51, 52, 53, 54)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스크류(51, 52, 53, 54) 각각에 결합되어 있는 수직가동부(73, 75, 83, 85)가 스크류(51, 52, 53, 5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산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좌측-스크류(51, 53) 및 우측-스크류(52, 54)가 회전함에 따라, 각 스크류(51, 52, 53, 54)의 일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수직가동부(73, 75, 83, 85)는 스크류(51, 52, 53, 54)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스크류(51, 52, 53, 5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수직가동부(73, 75, 83, 85)가 상향이동할 수 있으며, 스크류(51, 52, 53, 5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수직가동부(73, 75, 83, 85)가 하향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스크류(51, 52, 53, 54)가 각각 상부-수직가동부(73, 75) 및 하부-수직가동부(83, 85)에 별도로 제공되는 경우, 상부-스크린도어(811, 821) 및 하부-스크린도어(812, 822) 각각의 이동속도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도 있고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상부-스크린도어(811, 821)와 하부-스크린도어(812, 822) 각각의 이동속도는 상부-스크류(51, 52)와 하부-스크류(53, 54)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의 간격(또는 피치(Pitch)) 또는 상부-스크류(51, 52)와 하부-스크류(53, 54) 각각에 결합되어 있는 기어(gear)의 돌기 간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부-스크류(51, 52)와 하부-스크류(53, 54)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 간격의 비율은 스크류(51, 52, 53, 54)의 회전속도와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스크류(51, 52)와 하부-스크류(53, 54) 각각에 결합되어 있는 기어(gear)의 돌기 간격의 비율은 스크류(51, 52, 53, 54)의 회전속도와 비례할 수 있다.
이때, 상부-스크린도어(811, 821)와 하부-스크린도어(812, 822) 각각의 이동속도를 동일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부-스크류(51, 52)와 하부-스크류(53, 54)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의 간격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부-스크류(51, 52)와 하부-스크류(53, 54) 각각에 결합되어 있는 기어(gear)의 돌기 간격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부-스크린도어(811, 821)와 하부-스크린도어(812, 822) 각각의 이동속도를 다르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부-스크류(51, 52)와 하부-스크류(53, 54)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의 간격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스크린도어(811, 821)의 이동속도보다 하부-스크린도어(812, 822)의 이동속도를 더 빠르게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하부-스크류(53, 54)의 나사산 간격을 상부-스크류(51, 52)의 나사산 간격보다 더 좁은 간격을 갖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상부-스크류(51, 52)와 하부-스크류(53, 54) 각각에 결합되어 있는 기어(gear)의 돌기 간격에 따라 상부-스크린도어(811, 821)와 하부-스크린도어(812, 822) 각각의 이동속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돌기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가, 상기 돌기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은 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보다 더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스크린도어(811, 821)의 이동속도보다 하부-스크린도어(812, 822)의 이동속도를 더 빠르게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하부-스크류(53, 54)에 결합되어 있는 기어의 돌기 간격을 상부-스크류(51, 52)에 결합되어 있는 기어의 돌기 간격보다 좁은 간격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스크린도어(811, 821)의 이동속도와 하부-스크린도어(812, 822)의 이동속도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부-스크린도어(811, 821)는 하부-스크린도어(812, 822)보다 항상 상위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또는 하부-스크린도어(812, 822)의 이동속도가 상부-스크린도어(811, 821)의 이동속도보다 더 빠르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 승강하다가 상부-스크린도어(811, 821)와 하부-스크린도어(812, 822)의 위치가 동일선상에 위치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좌측 스크린도어(811, 812) 및/또는 우측 스크린도어(821, 822)는 플레이트형 부재 또는 로프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좌측상부-스크린도어(811)는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위치하는 좌측 하부-스크린도어(812)는 로프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우측 상부-스크린도어(821)는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위치하는 우측 하부-스크린도어(822)는 로프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실시예 - 경량형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치>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300)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300)의 내부구조 중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부분들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300)의 내부구조 중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부분들을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승강장 스크린도어(300)의 내부구조 중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부분 및 움직이는 부분들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승강장 스크린도어(300)의 내부구조 중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부분 및 움직이는 부분들을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정면은 플랫폼쪽에서 바라본 면 또는 선로쪽에서 바라본 면일 수 있다. 상기 후면은 상기 정면의 반대쪽 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300)는 상하로 개폐되는 한 개 이상의 스크린도어(831, 832) 및 스크린도어(831, 83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좌측수직프레임(2), 우측수직프레임(4), 및 좌측수직프레임(2)의 상단과 우측수직프레임(4)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0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선 상기 스크린도어(831, 832)는 각각 도어리프(door leaf)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수직프레임(2)과 우측수직프레임(4)에는 각각, 제1 모터(36), 제2 모터(37),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 및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3)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제1 모터(36) 및 제2 모터(37)를 통칭하여 모터(36, 37)이라고 지칭할 수 있고,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 및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3)를 통칭하여 동력전달 어셈블리(41, 43)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동력전달 어셈블리(41, 43)는 예컨대 복수 개의 기어가 맞물려 있는 기어박스로서, 일방향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다른 방향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터(36, 37) 및 제1,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1, 43)의 구동에 의해 스크린도어(831, 832)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좌측수직프레임(2)과 우측수직프레임(4)에는 각각 DCU(Door Control Unit)(46, 47)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DCU(46, 47)는 좌측모터(36) 및 우측모터(37)에 각각 전기적 연결장치에 의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DCU(46, 47)는 스크린도어(831, 832)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좌측모터(36) 및 우측모터(37)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 이때, 좌측DCU(46)와 우측DCU(47)는 제어부(48)에 의해 서로 동기화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된다는 것은, 스크린도어(831, 832) 각각의 촤측단부와 우측단부의 높이의 차이가 언제나 실질적으로 0(영)이 될 수 있도록 좌측모터(36) 및 우측모터(37)의 구동을 제어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라는 단어는 유선/무선 통신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DCU(46, 47)는, DCU(46, 47)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결정된 알고리듬에 의해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48)와 같은 외부의 장치로부터 명령을 받아 동작할 수도 있다.
각 수직프레임(2, 4)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단레일(312, 412) 및 장레일(322, 422)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수직프레임(2, 4)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각 수직프레임(2, 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류(51, 52, 53, 5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스크류(51, 52, 53, 54)의 회전축은 수직방향, 즉 수직프레임(2, 4)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면에 고정되어 설치된 좌측베이스(61)와 우측베이스(62)에는 각각 좌측하부-스크류(53)의 하단부와 우측하부-스크류(54)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61, 62)와 하부-스크류(53, 54) 사이에는 베어링이 제공되어, 하부-스크류(53, 54)가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와 좌측모터(36) 사이에는 좌측상부-스크류(5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와 좌측베이스(61) 사이에는 좌측하부-스크류(5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3)와 우측모터(37) 사이에는 우측상부-스크류(5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3)와 우측베이스(62) 사이에는 우측하부-스크류(5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좌측상부-스크류(51)와 우측상부-스크류(52)는 상술한 정면쪽에 배치되어 있고, 좌측하부-스크류(53)와 우측하부-스크류(54)는 상술한 후면쪽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동력전달 어셈블리(41)의 제1측에는 좌측상부-스크류(51)의 상단부가 연결되고 제2측에는 좌측하부-스크류(53)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좌측모터(36)에 의해 좌측상부-스크류(51)가 회전할 수 있다. 좌측상부-스크류(51)의 회전력은 제1동력전달 어셈블리(41)를 통해 좌측하부-스크류(53)의 회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동력전달 어셈블리(43)의 제1측에는 우측상부-스크류(52)의 상단부가 연결되고 제2측에는 우측하부-스크류(54)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우측모터(37)에 의해 우측상부-스크류(52)가 회전할 수 있다. 우측상부-스크류(52)의 회전력은 제3동력전달 어셈블리(43)를 통해 우측하부-스크류(54)의 회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상부-스크류(51) 및 우측상부-스크류(52)의 나사골에는 상부-스크린도어(831)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수직가동부(73, 75)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수직가동부(73, 75) 각각의 일 부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돌출부가 상기 나사골에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나사골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부-수직가동부(73, 75) 각각의 타 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수직 레일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좌측상부-스크류(51) 및 우측상부-스크류(52)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력이 상기 나사골을 통해 상기 돌출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 힘에 의해 상부-수직가동부(73, 75)는 상기 도시하지 않은 수직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좌측상부-스크류(51) 및 우측상부-스크류(52), 상부-수직가동부(73, 75), 및 상기 수직 레일의 상호 결합관계에 의한 힘의 변환 원리는 종래 기술에 의해 이미 알려진 것이다.
상기 도시하지 않은 수직 레일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상부-수직가동부에 상부 스크린도어가 결합된 경우, 좌측상부-스크류 및 우측상부-스크류의 회전력이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수직 운동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각 상부-수직가동부(73, 75)는 상부블록(481, 482)과 서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하부-스크류(53) 및 우측하부-스크류(54)의 나사골에는 하부-스크린도어(832)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부-수직가동부(83, 85)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수직가동부(83, 85) 각각의 일 부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돌출부가 상기 나사골에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나사골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부-수직가동부(83, 85) 각각의 타 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다른 수직 레일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좌측하부-스크류(53) 및 우측하부-스크류(54)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력이 상기 나사골을 통해 상기 돌출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 힘에 의해 하부-수직가동부(83, 85)는 상기 도시하지 않은 다른 수직 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 하부-수직가동부(83, 85)는 하부블록(491, 492)과 서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블록(481, 482)은 각각 단레일(312, 412)을 따라 상하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블록(491, 492)은 각각 장레일(322, 422)을 따라 상하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스크류(51, 52, 53, 54)는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스크류(51, 52, 53, 54) 각각에 결합되어 있는 수직가동부(73, 75, 83, 85)가 스크류(51, 52, 53, 5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산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면에 고정되어 설치된 베이스(61, 62)에는 각각 하부-스크류(53, 54)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61, 62)와 하부-스크류(53, 54) 사이에는 베어링이 제공되어, 하부-스크류(53, 54)가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좌측-스크류(51, 53) 및 우측-스크류(52, 54)가 회전함에 따라, 각 스크류(51, 52, 53, 54)의 일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수직가동부(73, 75, 83, 85)는 스크류(51, 52, 53, 54)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스크류(51, 52, 53, 5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수직가동부(73, 75, 83, 85)가 상향이동할 수 있으며, 스크류(51, 52, 53, 5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수직가동부(73, 75, 83, 85)가 하향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크류의 회전방향과 수직가동부이 상하 이동방향의 관계는 바뀔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스크린도어(831)와 하부-스크린도어(832) 각각의 이동속도 조절 방법은, 본 발명의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이동속도 조절 방법과 동일할 수도 있다. 즉, 좌측하부-스크류(53) 및 우측하부-스크류(54)의 나사산/나사골의 제1기울기와 좌측상부-스크류(51) 및 우측상부-스크류(52)의 나사산/나사골의 제2기울기가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그 비율을 조절하는 제1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기울기와 상기 제2기울기를 서로 동일하게 설계하되, 상기 제1동력전달 어셈블리(41)와 제3동력전달 어셈블리(43)의 기어비를 조절하는 제2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방법과 상기 제2방법을 혼용하는 제3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실시예에서 수평프레임(105)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좌측모터(36)와 우측모터(37)는 각각 회전모터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 좌측모터(36)와 우측모터(37)는 각각 좌측상부-스크류(51) 및 우측상부-스크류(52)를 직접 구동시키게 되어 있으며, 좌측상부-스크류(51) 및 우측상부-스크류(52)의 회전력은 각각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 및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3)을 통해 좌측하부-스크류(53) 및 우측하부-스크류(54)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좌측모터(36)와 우측모터(37)는 각각 좌측하부-스크류(53) 및 우측하부-스크류(54)를 직접 구동시키게 되어 있으며, 좌측하부-스크류(53) 및 우측하부-스크류(54)의 회전력은 각각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41) 및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43)을 통해 좌측상부-스크류(51) 및 우측상부-스크류(52)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베이스(61, 62)가 좌측상부-스크류(51)의 하단부 및 우측상부-스크류(52)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비교 실시예들이 본 출원시점 이전에 공개된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100, 200, 300: 승강장 스크린도어
2, 11, 12: 좌측수직프레임 3: 중앙수직프레임
4, 13, 14: 우측수직프레임 5, 15: 좌측수평프레임
16: 중앙수평프레임 6, 17: 우측수평프레임
24: 좌측수평-동력축 25: 우측수평-동력축
41: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 42: 제2 동력전달 어셈블리
43: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
36: 좌측모터 37: 우측모터
40: 안전펜스 46, 47: DCU
50: 선로
51: 좌측상부-스크류 52: 우측상부-스크류
53: 좌측하부-스크류 54: 우측하부-스크류
55: 중앙-연결구 60: 승강장
73: 좌측상부-수직가동부 75: 우측상부-수직가동부
77: 중앙상부-브릿지
83: 좌측하부-수직가동부 85: 우측하부-수직가동부
91: 좌측 스크린도어부 92: 우측 스크린도어부
105: 수평프레임 124: 수평-동력축
310: 좌측레일 320: 제1중앙레일
330: 제2중앙레일 340: 우측레일
441, 442, 451, 452, 481, 482: 상부블록
461, 462, 471, 472, 491, 492: 하부블록
800: 스크린도어
811: 좌측상부도어 812: 좌측하부도어
821: 우측상부도어 822: 우측하부도어
311, 411: 단레일
321, 421: 장레일
312: 좌측단레일 412: 우측단레일
322: 좌측장레일 422: 우측장레일

Claims (7)

  1. 좌측 수직프레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좌측상부-스크류 및 좌측하부-스크류;
    상기 좌측상부-스크류 또는 상기 좌측하부-스크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좌측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좌측모터;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와 상기 좌측하부-스크류 간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좌측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에 좌측 단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상부-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상부 스크린도어; 및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에 좌측 단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하부-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 스크린도어;
    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우측 수직프레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우측상부-스크류 및 우측하부-스크류;
    상기 우측상부-스크류 또는 상기 우측하부-스크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우측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우측모터; 및
    상기 우측상부-스크류와 상기 우측하부-스크류 간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우측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제3 동력전달 어셈블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는 상기 우측상부-스크류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는 상기 우측상부-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는 상기 우측하부-스크류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는 상기 우측하부-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이동속도가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더 느리도록,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에 형성된 나사산의 제2기울기가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에 형성된 나사산의 제1기울기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이동속도가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이동속도보다 더 느리도록, 상기 제1 동력전달 어셈블리의 기어비가 1:x(단, x는 1이 아닌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좌측DCU;
    상기 우측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우측DCU; 및
    상기 좌측DCU와 상기 우측DCU를 동기화시켜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좌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일부분, 및 상기 좌측상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의 나사골에 결합되어 있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좌측상부-수직가동부; 및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좌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일부분, 및 상기 좌측하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의 나사골에 결합되어 있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좌측하부-수직가동부
    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좌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일부분, 및 상기 좌측상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상부-스크류의 나사골에 결합되어 있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좌측상부-수직가동부;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좌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일부분, 및 상기 좌측하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하부-스크류의 나사골에 결합되어 있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좌측하부-수직가동부;
    상기 상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일부분, 및 상기 우측상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우측상부-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우측상부-스크류의 나사골에 결합되어 있는 제3돌출부를 포함하는 우측상부-수직가동부; 및
    상기 하부 스크린도어의 우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일부분, 및 상기 우측하부-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우측하부-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우측하부-스크류의 나사골에 결합되어 있는 제4돌출부를 포함하는 우측하부-수직가동부
    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
KR1020150139950A 2015-10-05 2015-10-05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KR20170040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950A KR20170040670A (ko) 2015-10-05 2015-10-05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950A KR20170040670A (ko) 2015-10-05 2015-10-05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670A true KR20170040670A (ko) 2017-04-13

Family

ID=5858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950A KR20170040670A (ko) 2015-10-05 2015-10-05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06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368A (ko) * 2017-05-11 2018-11-21 한국교통연구원 수동개폐를 위한 구조를 갖는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KR20180124367A (ko) * 2017-05-11 2018-11-21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WO2021121269A1 (zh) * 2019-12-19 2021-06-24 胜斗士(上海)科技技术发展有限公司 奉客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368A (ko) * 2017-05-11 2018-11-21 한국교통연구원 수동개폐를 위한 구조를 갖는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KR20180124367A (ko) * 2017-05-11 2018-11-21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WO2021121269A1 (zh) * 2019-12-19 2021-06-24 胜斗士(上海)科技技术发展有限公司 奉客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185B2 (en) Sliding door suspension with integral linear drive system
KR101045426B1 (ko) 7축 제어 장치
KR20170040670A (ko)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EP3309101A1 (en)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checking, maintaining and/or repairing an elevator system
KR100867735B1 (ko) 도어의 개폐작용력 조절이 가능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구동장치
WO2011147983A1 (en) Elevator with roller-pinion drive
KR20150013411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50013410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40134887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CN215883641U (zh) 一种站台门
CN216034337U (zh) 一种单轨双开屏蔽门
EP1647514B1 (de) Hangaufzug
WO2023039981A1 (zh) 一种站台门
JP2011246957A (ja) 折り戸開閉装置
KR20180007470A (ko) 경사구간, 수평구간, 방향전환 구간 및 트위스트 구간 이동용 승강기
KR101740469B1 (ko)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KR20160003957U (ko) 흔들림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1883639B1 (ko) 승강장 안전문 설비의 스크류 구동부 모듈
CN205022578U (zh) 新型上悬挂、上驱动站台门
KR20160076189A (ko)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KR20130126561A (ko)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N113635923A (zh) 一种延长带牵引式屏蔽门
CN113635922A (zh) 一种单轨双开屏蔽门
CN109469798B (zh) 一种红外频闪高速摄像自动化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