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499U -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 Google Patents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499U
KR20110004499U KR2020090014111U KR20090014111U KR20110004499U KR 20110004499 U KR20110004499 U KR 20110004499U KR 2020090014111 U KR2020090014111 U KR 2020090014111U KR 20090014111 U KR20090014111 U KR 20090014111U KR 20110004499 U KR20110004499 U KR 201100044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upport
fastening bolt
guide passag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판
Original Assignee
신용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판 filed Critical 신용판
Priority to KR2020090014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499U/ko
Publication of KR201100044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4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69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 E06B1/6076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of screw-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2Base frames, i.e. template frames for openings in walls or the like, provided with means for securing a further rigidly-mounted frame; Special adaptations of frames to be fix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문틀의 임시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구를 현장작업자가 회전체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승,하강시킴으로써, 높낮이조절이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신속 정확한 높낮이조절이 가능하여 전반적인 건축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시공, 문틀, 지지, 수평조절, 회전, 높낮이, 모르타르, 석고보드

Description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HORIZONTAL REGULATION TOOL FOR SUPPORTING DOOR-FRAME}
본 고안은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틀은 거주자가 왕래하는 출입문을 견고하게 지탱하는 일종의 구조체로써,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매우 까다로운 작업공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즉, 이미 확보된 문틀 개구부에 문틀을 임시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문틀의 하부 바닥을 포함한 주변을 모르타르(Mortar) 하여 설치시공을 마감하고 있어 작업공정이 매우 까다로운 것이다.
이때, 상기 문틀의 하부를 받쳐 임시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현장에 널려 있는 벽돌이나 합판조각을 이용하고 있으나, 상기 벽돌이나 합판조각들은 문틀을 단순히 지지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여 문틀의 수평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1] 및 [문헌 2]가 제안되어 있는바,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하부받침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구를 결합하고, 상기 높이조절구에 가변문틀받이를 결합하고 있다.
즉, 상기 [문헌 1]은 문틀 개구부 상의 바닥에 일렬로 배치하고, 바닥면에 하부받침을 접지 고정한 후에 높이조절구를 미세회전시킴으로써, 문틀을 받치고 있는 가변문틀받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문틀의 수평을 맞추고 있다.
상기 높이조절구는 현장작업자가 손아귀 힘을 이용하여 미세회전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문틀에 눌려 있는 높이조절구를 반복적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당한 피로감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작업성의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 [문헌 2]는 가구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가구용 높이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분리 구성된 몸체부와 결합구를 결합하고, 이 결합구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받침부재 및 지지부재를 볼트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가구용 높이조절구를 현장의 바닥면에 배열한 후 받침부재의 상부에 가구를 얹혀놓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 또는 지지부재를 좌우로 회전하여 몸체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가구의 수평을 조절하거나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몸체부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가구에 눌려 있는 받침부재나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현장작업자가 손아귀 힘을 이용하여 회전시켜야 하므로, 상기 [문헌 1]과 같이 반복적인 작업시 상당한 피로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문헌 1] 및 [문헌 2]는 문틀 또는 가구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현장작업자가 상기 문틀 또는 가구의 하중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구성요소를 손아귀 힘으로 직접 회전시키면서 수평조절작업을 실시하고 있어 반복적인 작업 시 상당한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작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 1] KR 20-0163594 1999.10.02
[문헌 2] KR 20-0212297 2001.02.15
따라서, 본 고안은 문틀 또는 가구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현장작업자가 상기 문틀 또는 가구의 하중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구성요소를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데 따른 작업성의 저하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현장작업자가 문틀의 수평을 신속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문틀이 설치되는 지면 슬래브 상에 밀착 배치되는 하부받침과;
상기 하부받침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세움 고정된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나사조립될 수 있도록 하부에 너트가 삽입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둘레에 가이드통로가 형성된 원통형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문틀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가 하부에 돌출 형성된 상부받침과;
상기 높이조절구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바닥 및 이를 둘러싼 측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에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안쪽에는 가이드통로에 삽입되는 회전유도부가 형성되어 높이조절구를 승,하강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체를 이용하여 높이조절구를 승,하강시켜 문틀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문틀의 하중에 영향을 받고 있는 높이조절구를 직접 회전시키지 않고도 수평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용이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회전체를 이용하여 높이조절구를 빠르게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문틀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작업속도가 향상되어 전반적인 건축시공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회전체와 높이조절구를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통로 및 회전유도부가 방사형으로 배열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이 높이조절구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통로의 하부에 보조통로가 확장 형성됨으로써, 회전유도부를 상기 가이드통로에 삽입하여 결합하기 위한 수고를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조립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체결볼트가 중심에 세움 고정된 하부받침의 상부에 회전체, 높이조절구 및 상부받침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회전유도부가 삽입되 는 가이드통로의 하부가 확장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평면에서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회전체의 내부 수납공간에 높이조절구를 내장하되, 상기 회전체의 수동회전시 높이조절구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유도부가 상기 높이조절구에 형성된 가이드통로에 삽입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회전체를 이용한 높이조절구의 승,하강으로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문틀(1)의 임시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문틀(1)의 수평을 신속 정확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받침(10), 체결볼트(11), 높이조절구(20) 및 상부받침(25)을 포함하면서 상기 높이조절구(2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회전체(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받침(10)은 도 1에서 보인 것과 같이, 문틀(1)이 설치되는 건축물의 지면 슬래브 상에 밀착 배치되도록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받침(10)은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천연소재인 나무 등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이와 같은 하부받침(10)은 중심에 체결볼트(11)가 세움 고정되는 관계로, 전체적으로 두툼하게 형성하거나 중앙부분만을 두툼하게 형성하여 상기 체결볼트(11)의 세움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볼트(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받침(10)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세움 고정되어 본 고안의 전체적인 중심축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볼트(11)는 둘레에 나사 산과 골이 반복 형성되어 이를 따라 높이조절구(20)가 승,하강하면서 문틀(1)의 수평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볼트(11)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볼트(11)를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높이조절구(20)의 반복인 승,하강 과정에서 나사 산과 골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문틀(1)의 수평을 반복적으로 조절하더라도 체결볼트(11)가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제품의 신뢰도를 구축하게 된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높이조절구(20)는 체결볼트(11)에 나사조립되어 이를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높이조절구(20)는 하부에 형성된 안내부(21)에 상기 체결볼트(11)와의 나사체결을 위한 너트(22)가 삽입된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구(20)의 상부에는 상부받침(25)의 결합을 위한 개구부(23)가 형성되며, 둘레에는 가이드통로(24)가 형성되어 회전체(30)의 회전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체결볼트(11)를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21)에 삽입되어 체결볼트(11)와 나사체결됨으로써 높이조절구(20)가 상기 체결볼트(11)를 따라 승,하강토록 하는 너트(22)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상기 높이조절구(20)의 반복적인 승,하강 과정에서 나사 산과 골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상부받침(25)은 상기 높이조절구(2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얹혀진 문틀(1)을 받쳐 임시고정하게 되며, 이 문틀(1)의 임시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부받침(25)은 높이조절구(2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을 정도로만 장착되어도 무방하나, 본 고안은 실시 예로써 하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26)를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23)에 삽입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결합부(26)를 이용하여 상부받침(25)이 높이조절구(20)의 상부에 설치됨에 따라 문틀(1)의 임시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파손시에는 손쉽게 교체하게 된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회전체(30)는 체결볼트(11)가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세움 고정되어 있는 하부받침(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체(30)는 바닥(31) 및 이를 둘러싼 측벽(32)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31)에는 체결볼트(11)를 통과시키는 위한 관통구멍(33)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관통구멍(33)을 통과한 체결볼트(11)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3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30)의 측벽(22) 안쪽에는 회전유도부(34)가 형성된다. 이 회전유도부(34)를 본 고안에서는 일체형 돌기로 형성한 것을 보이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로써, 상기 회전유도부(34)가 반드시 회전체(30)와 일체일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회전체(30)의 측벽(32) 안쪽에 돌기 형태의 회전유도부(34)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회전유도부(34)가 가이드통로(24)에 삽입됨으로써, 회전체(30)의 회전시 상기 높이조절구(20)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현장작업자가 상기 회전체(30)를 이용하여 문틀(1)의 하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높이조절구(20)를 승,하강시켜 문틀(1)의 수평을 조정함으로써, 반복작업에 따른 피로감이 상대적으로 적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신속한 수평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속도가 향상된다.
여기서, 본 고안을 통한 문틀(1)의 수평조절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의 지면 슬래브 상에 하부받침(10)을 밀착 배치한 후 상부받침(25)의 상부에 문틀(1)을 얹어 임시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문틀(1)이 임시고정되면, 회전체(30)를 회전하여 높이조절구(20)를 승,하강시켜 상기 문틀(1)의 수평을 조절하되, 이때의 높이조절구(20)의 승,하강은 도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회전체(30)에 형성된 회전유도부(34)가 상기 높이조절구(20)에 형성된 가이드통로(24)를 간섭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높이조절구(20)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체결볼트(1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높이조절구(20)의 승,하강을 통해 문틀(1)의 수평상태가 유지된 후에는 임시고정된 상기 문틀(1)의 주변을 모르타르((Mortar) 하여 마감하게 되고, 이 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 모르타르 내부에 매립된다.
한편, 본 고안에 포함되는 높이조절구(20) 및 회전체(30)에 형성되어 상호 결합하게 되는 가이드통로(24)와 회전유도부(34)는 상기 높이조절구(20) 및 회전체(30)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통로(24)와 회전유도부(34)는 회전체(30)를 이용한 높이조절구(20)의 회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마모시 원활한 동작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높이조절구(20) 및 회전체(30)의 둘레에 가이드통로(24)와 회전유도부(34)가 배열 형성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통로(24)의 하부에는 보조통로(24a)가 확장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회전체(30)와 높이조절구(20)의 결합시 상기 회전체(30)에 형성된 회전유도부(24)가 보조통로(24a)를 이용하여 가이드통로(2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문틀(1)을 받치는 것이 주용도이나, 상기 문틀(1)과 같이 임시고정이 필요한 석고보드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평면에서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이용한 문틀의 수평조절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문틀 10 - 하부받침
11 - 체결볼트 20 - 높이조절구
21 - 안내부 22 - 너트
23 - 개구부 24 - 가이드통로
25 - 상부받침 30 - 회전체
34 - 회전유도부

Claims (3)

  1. 문틀이 설치되는 지면 슬래브 상에 밀착 배치되는 하부받침과;
    상기 하부받침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세움 고정된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나사조립될 수 있도록 하부에 너트가 삽입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둘레에 가이드통로가 형성된 원통형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문틀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개구부에 삽입되는 결합부가 하부에 돌출 형성된 상부받침과;
    상기 높이조절구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바닥 및 이를 둘러싼 측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에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안쪽에는 가이드통로에 삽입되는 회전유도부가 형성되어 높이조절구를 승,하강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통로 및 회전유도부는 방사형으로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통로는 하부에 보조통로가 확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KR2020090014111U 2009-10-29 2009-10-29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KR201100044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111U KR20110004499U (ko) 2009-10-29 2009-10-29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111U KR20110004499U (ko) 2009-10-29 2009-10-29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499U true KR20110004499U (ko) 2011-05-06

Family

ID=4423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111U KR20110004499U (ko) 2009-10-29 2009-10-29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499U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746B1 (ko) * 2013-08-26 2014-01-23 정종필 레벨링 컨트롤 스크루
CN105029932A (zh) * 2015-08-12 2015-11-11 重庆市合川区均恒金属加工厂 汽配储物柜支撑支脚
GB2554118A (en) * 2016-06-22 2018-03-28 Menzies Banks Robert Doorstop apparatus
KR20190040562A (ko) 2017-10-11 2019-04-19 신용판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NL2023474A (nl) * 2018-07-10 2020-01-20 Fefago Holding B V Deurfixatieinrichting en werkwijze
KR20200030236A (ko) 2018-09-12 2020-03-20 김종원 테이블 다리용 레벨러
KR102133232B1 (ko) * 2019-12-30 2020-08-07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KR102249472B1 (ko) * 2021-02-15 2021-05-11 (주)퍼맥스 전도 방지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2529621B1 (ko) * 2021-12-22 2023-05-08 한경아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746B1 (ko) * 2013-08-26 2014-01-23 정종필 레벨링 컨트롤 스크루
CN105029932A (zh) * 2015-08-12 2015-11-11 重庆市合川区均恒金属加工厂 汽配储物柜支撑支脚
CN105029932B (zh) * 2015-08-12 2018-02-13 重庆强大巴郡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汽配储物柜支撑支脚
GB2554118A (en) * 2016-06-22 2018-03-28 Menzies Banks Robert Doorstop apparatus
GB2554118B (en) * 2016-06-22 2020-04-15 Menzies Banks Robert Doorstop apparatus
KR20190040562A (ko) 2017-10-11 2019-04-19 신용판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NL2023474A (nl) * 2018-07-10 2020-01-20 Fefago Holding B V Deurfixatieinrichting en werkwijze
KR20200030236A (ko) 2018-09-12 2020-03-20 김종원 테이블 다리용 레벨러
KR102133232B1 (ko) * 2019-12-30 2020-08-07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수직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KR102249472B1 (ko) * 2021-02-15 2021-05-11 (주)퍼맥스 전도 방지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2529621B1 (ko) * 2021-12-22 2023-05-08 한경아 창호 프레임 고정 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창호 프레임 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4499U (ko)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KR101291868B1 (ko)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베어링
KR100972185B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KR200394607Y1 (ko) 거푸집 수평 조절장치
CN202402891U (zh) 一种支撑调平装置及使用该支撑调平装置的试验台架
KR101873394B1 (ko)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고정슈
KR2019011622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다리
KR200492348Y1 (ko) 팝너트가 체결된 높이조절 지지대
KR20080055216A (ko) 가공장비의 수평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평 조절 방법
KR102526248B1 (ko) 벽면패널 부착용 보조 장치
KR101571094B1 (ko) 설치가 용이한 컨테이너
KR102255005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43286Y1 (ko) 이동식 건물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AU2020100491A4 (en) Adjustable Height Footing Plate
KR20090008008U (ko) 창호 설치용 처짐방지구
KR101359552B1 (ko) 개량된 연결구조를 갖는 정자 구조체
KR101692594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데크 지지장치
KR101578524B1 (ko)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RU111613U1 (ru) Опора для систем наружного освещения и наблюдения (варианты)
KR200423404Y1 (ko) 거푸집용 수평조절장치
KR101109643B1 (ko) 힌지축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 힌지 도어 시스템
US9968974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removing a robot from an enclosure
KR20070000527U (ko) 발코니 창호의 수평조절 장치
CN220779014U (zh) 一种隐藏锚点装置和台体
KR102543125B1 (ko) 파이프 서포트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