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402Y1 -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402Y1
KR200463402Y1 KR2020090014926U KR20090014926U KR200463402Y1 KR 200463402 Y1 KR200463402 Y1 KR 200463402Y1 KR 2020090014926 U KR2020090014926 U KR 2020090014926U KR 20090014926 U KR20090014926 U KR 20090014926U KR 200463402 Y1 KR200463402 Y1 KR 200463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s
support
opening
nut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132U (ko
Inventor
편도명
이재인
손영달
Original Assignee
(주)일진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진에너지 filed Critical (주)일진에너지
Priority to KR2020090014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40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4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54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machine tool with respect to its suppor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4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crew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구조물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기저판과, 상기 기저판 상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측벽들, 상기 측벽들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측벽들을 연결하며 중앙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중간받침판, 상기 측벽들 상단을 덮어씌우고 중앙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덮개판, 상기 중간받침판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위치되어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수평이동부재, 상기 측벽들의 나사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이동부재를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게 하는 위치조절나사, 상기 수평이동부재 상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높이조절너트, 및 상기 높이조절너트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관통구멍 및 상기 제2개구부를 관통하여 위치됨과 더불어 방사상으로 돌출한 단차부까지 구조물의 하부 또는 지지다리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볼트를 포함하여서, 구조물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높이방향 위치들을 간편한 조작으로 정확하고 완벽하게 조절하여 견고히 보유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STRUCTURE}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예컨대 공작기계, 탱크 등과 같은 중량적치물이나, 교량의 교각, 상판 등의 건축구조물(이하 구조물이라 통칭함)에 있어서, 구조물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높이방향 위치들을 간편한 조작으로 정확하고 완벽하게 조절하여 견고히 보유지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물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설비 또는 건축물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구조물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 특히 구조물을 다른 연계되는 구조물에 정확히 맞추어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작업은 까다롭고 복잡하여 많은 인력과 더불어 다대한 장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더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로 연계된 구조물들 사이의 이음부위에서 정확한 위치맞춤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심한 경우에 고가(高價)의 구조물이 무용지물이 되어 폐기될 수 있다.
설령, 폐기되지 않고 구조물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예컨대 공작기계, 탱크 등과 같은 구조물의 경우에, 구조물의 위치 또는 수평상태가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 에서 작동하게 되면, 이 구조물에 구비된 회전기기의 회전축 등의 편심회전에 의해 구조물이 심하게 진동하면서 소음이 크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회전축 등과 같은 부품이 쉽게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내구수명 또는 사용수명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구조물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통상 설치시에 구조물 하단에 별도의 받침부재 등을 삽입 설치하여서 수평을 맞추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대형 구조물은 그 중량이 상당하여 이의 수평조정이나 유지에 많은 불편함이 뒤따랐다. 더욱이 산업현장에서 정밀작업에 사용되는 각종 공작기계 등과 같은 구조물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양품의 제품생산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요인인데, 그 작동상 또는 주변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그 수평 및 위치가 유지되지 못하고 변동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구조물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높이방향 위치들을 간편한 조작으로 정확하고 완벽하게 조절하여 견고히 보유지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물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장치는, 기저판, 상기 기저판 상에 수직하게 고정되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전후방향 측벽들, 상기 기저판 상에 수직하게 고정되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좌우방향 측벽들, 상기 측벽들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측벽들을 연결하며 중앙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중간받침판, 상기 측벽들 상단을 덮어씌우고 중앙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덮개판, 상기 중간받침판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위치되어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수평이동부재, 상기 측벽들의 나사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이동부재를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게 하는 둘 이상의 위치조절나사, 상기 수평이동부재 상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높이조절너트, 및 상기 높이조절너트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관통구멍 및 상기 제2개구부를 관통하여 위치됨과 더불어 방사상으로 돌출한 단차부를 갖추어 상기 단차부까지 구조물의 하부 또는 지지다리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장치에 의하면, 구조물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높이방향 위치들을 간편한 조작으로 정확하고 완벽하게 조절하여 견고히 보유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아래의 방향성을 정의하는 용어가 사용된다. 전방 및 후방은 각각 구조물의 길이방향 앞 또는 뒤를 의미하며, 도면 안으로 들어가는 방향이 전방이다. 또, 좌측 및 우측은 각각 구조물의 왼쪽 또는 오른쪽을 의미하고 도면상의 좌우와 동일하다. 하지만, 이러한 정의는 단지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방향성이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와, 덮개판과 지지볼트를 생략한 채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은 탱크 형태로 된 구조물에 본 고안의 지지장치가 적용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1)용 지지장치(100)는 기저판(10)과, 이 기저판(10) 상에 수직하게 고정되되 전후방향 측벽들(21,22)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및 좌우방향 측벽들(23,24)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구멍(25)이 형성된 측벽들(21,22;23,24), 이들 측벽(21,22;23,24)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측벽들을 연결하며 중앙에 제1개구부(31)가 형성된 중간받침판(30), 상기 측벽들(21,22;23,24)의 상단을 덮어씌우고 중앙에 제2개구부(41)가 형성된 덮개판(40), 상기 중간받침판(30)과 상기 덮개판(40) 사이에 위치되어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관통구멍(51)이 형성된 수평이동부재(50), 상기 측벽들(21,22;23,24)의 나사구멍(25)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이동부재(50)를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게 하는 둘 이상의 위치조절나사(60), 상기 수평이동부재(50) 상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높이조절너트(70), 및 상기 높이조절너트(70)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개구부(31)와 상기 관통구멍(51) 및 상기 제2개구부(41)를 관통하여 위치됨과 더불어 방사상으로 돌출한 단차부(81)를 갖추어 이 단차부(81)까지 구조물(1)의 하부 또는 지지다리(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볼트(80)를 포함하고 있다.
기저판(10)은 지면(G) 상에 놓이는 부재로서, 상기 지면(G)에다 고정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위치고정되게 적어도 한 쌍의 고정구멍(11)이 형성될 수 있다.
기저판(10) 상에 수직하게 고정형성되는 측벽들은 전후방향 측벽들(21,22)과 좌우방향 측벽들(23,24)을 포함하여 4개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측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중간 이상의 높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나사구멍(2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측벽들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상기 측벽들이 일체로 되어 대략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후술할 덮개판이 생략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되는 구조물(1)의 형태 또는 설치조건에 따라, 각 지지장치(100)에서 전후방향 측벽들(21,22) 중 어느 한쪽 및 좌우방향 측벽들(23,24) 중 어느 한쪽에만 나사구멍(2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는 설치조건이 부적합하여서, 구조물(1)의 폭방향 안쪽에 해당하는 측벽들에서 나사구멍(25) 및 위치조절나사(60)가 생략되어 있다.
더구나, 상기 나사구멍(25)이 하나의 측벽에 대해 예컨대 옆으로 나란히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구멍(25)의 외측에는 이 나사구멍(25)과 동일한 내경을 가진 지지너트(26)가 추가로 부착되어, 위치조절나사(60)의 진행을 안내함과 더불어 위치조절나사(60)를 휘어지지 않게 보유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측벽들(21,22;23,24)을 연결하는 중간받침판(30)은 소정의 높이에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측벽들의 표면에 수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대형 구조물인 경우에 그 중량을 충분히 지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측벽들(21,22;23,24)을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로 나누고, 이들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 사 이에 중간받침판(30)을 배치하여 고정시켜도 좋다.
중간받침판(30)의 가운데에는 제1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지지볼트(80)가 이 제1개구부(31)를 통해 중간받침판(30)을 관통하고서 제1개구부(31) 내에서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측벽들(21,22;23,24)의 상단을 덮어씌우는 덮개판(40)은 측벽들의 상면에 고정나사(42)로 결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구조물(1)에서 연장된 지지다리(2)의 하단을 직접 지지하게 된다.
또, 덮개판(40)의 가운데에도 제2개구부(41)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지지볼트(80)가 이 제2개구부(41)를 통해 덮개판(40)을 관통하고서 제2개구부(41) 내에서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주요 요지를 구성하는 수평이동부재(5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고서 수직으로 관통구멍(51)이 형성된 부재로서, 상기 중간받침판(30)과 상기 덮개판(40) 사이에 위치되어 후술하는 지지볼트(80)가 상기 관통구멍(51)에 끼워진 채로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수평이동부재(50) 상에 높이조절너트(70)가 위치될 수 있는데, 보다 안정적으로 높이조절너트(70)를 보유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수평이동부재(50)의 상부면에서 관통구멍(51)의 주변으로 안착홈(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하더라도, 상기 높이조절너트(70)는 그 육각의 본체가 덮개판(40) 이상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높이조절너트(70)를 통해 지지볼트(8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돌출되어야 한다.
추가로, 상기 높이조절너트(70)와 상기 수평이동부재(50) 사이에는 부싱(71)이 개재될 수 있으며, 이로써 높이조절너트(70)가 수평이동부재(50) 상에서 또는 안착홈(52) 내에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너트(70)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볼트(80)는 전체 외주면에 걸쳐 일정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방사상으로 돌출한 단차부(81)를 갖추고 있다. 상기 단차부(81)는 고정너트(81a)가 용접된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너트(81a)의 일측면으로부터 지지볼트(80)의 폭방향으로 고정핀(81b)이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볼트(80)는 높이조절너트(70)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중간받침판(30)의 제1개구부(31)와 상기 수평이동부재(50)의 관통구멍(51) 및 상기 덮개판(40)의 제2개구부(41)를 관통하는 한편, 상기 단차부(81)까지 구조물(1)의 하부 또는 지지다리(2)에 끼워지되, 상기 관통구멍(51) 및 상기 구조물(1)의 하부 또는 지지다리(2) 내에서는 원활히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지지볼트(80)와 상기 높이조절너트(70)는 구조물(1)의 큰 중량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볼트(80)와 상기 높이조절너트(70)에 형성된 각 나사산의 피치 및 형상 등이 적절히 채택되어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높이조절너트(70)를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너트(70)는 수평이동부재(50) 상에서 또는 안착홈(52)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 높이조절너트(7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지지볼트(80)가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높이조절너트(70)는 지지볼트(80)를 통해 전달되는 구조물(1)의 중량에 의해 수평이동부재(50) 상에서 승강되지 못하고 회전만 하게 되며, 지지볼트(80)는 높이조절너트(70)의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제 상기와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구조물의 최초 설치시, 또는 설치 후 구조물이 임의의 진동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서 벗어나(수 밀리미터 또는 수 센티미터 정도) 있는 경우에 위치조절작업이 이행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조절작업시 본 고안의 구조물용 지지장치는 구조물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높이방향 위치들을 간편한 조작으로 정확하고 완벽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1)을 전후방향의 위치 중 전방(도 3의 도면 안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조금 이동시켜 구조물(1)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조물(1)의 각 지지다리(2)의 하부에 장착된 지지장치(100)의 측벽(21:도 1 내지 도 3 참조)에 설치된 위치조절나사(60)를 소정의 거리만큼 앞으로 풀어낸다. 다음으로, 구조물(1)의 각 지지다리(2)의 하부에 장착된 지지장치(100)의 측벽(22:도 1 참조)에 설치된 위치조절나사(60)를 앞으로 조여 수평이동부재(50) 및 이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지지볼트(8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구조물(1)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구조물(1)의 전후방향 위치가 결정되면, 각 지지장치(100)의 상기 측벽(21)에 설치된 위치조절나사(60)를 다시 조여 각 지지장치(100)에 있는 수평이동부재(50)의 이동을 고정시킨다.
구조물(1)을 좌우방향의 위치로 조금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되는 구조물(1)의 형태 또는 설치조건에 따라, 구조물(1)의 폭방향 안쪽에 해당하는 측벽들에서 나사구멍(25) 및 위치조절나사(60)가 생략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구조물(1)을 좌우방향의 위치 중 우측(도 3의 오른쪽)으로 조금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구조물(1)의 우측 지지다리(2)의 하부에 장착된 지지장치(100)의 측벽(24)에 설치된 위치조절나사(60)를 소정의 거리만큼 우측으로 풀어낸다. 다음으로, 구조물(1)의 좌측 지지다리(2)의 하부에 장착된 지지장치(100)의 측벽(23)에 설치된 위치조절나사(60)를 우측으로 조여 수평이동부재(50) 및 이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지지볼트(8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구조물(1)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구조물(1)의 좌측 지지다리(2)가 우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구조물(1) 전체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구조물(1)의 우측 지지다리(2) 및 이에 관련된 지지장치(100)의 지지볼트(80)와 수평이동부재(50)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좌우방향 위치가 결정되면, 우측에 있는 지지장치(100)의 상기 측벽(24)에 설치된 위치조절나사(60)를 다시 조여 구조물(1)의 우측 지지다리(2) 쪽 지지장치(100)에 있는 수평이동부재(50)의 이동을 고정시킨다.
구조물(1)을 높이방향의 위치로 조금 이동시키거나 각 지지다리(2)의 높이를 조정하여 수평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지지장치(100)에 구비된 높이조절너트(7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는데, 이에 따라 높이조절너트(70)가 수평이동부 재(50) 상에서 또는 안착홈(52)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 높이조절너트(7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지지볼트(80)가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조절작업시 구조물(1)의 전후, 좌우, 높이방향 위치들의 조절순서와, 하부에 장착된 지지장치(100)들의 조절순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장치에 의하면, 구조물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높이방향 위치들을 간편한 조작으로 정확하고 완벽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시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와, 덮개판과 지지볼트를 생략한 채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탱크 형태로 된 구조물에 본 고안의 지지장치가 적용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6)

  1. 기저판;
    상기 기저판 상에 수직하게 고정되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전후방향 측벽들;
    상기 기저판 상에 수직하게 고정되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좌우방향 측벽들;
    상기 측벽들을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로 나누고,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 사이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상기 측벽들을 연결하며, 중앙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중간받침판;
    상기 측벽들 상단을 덮어씌우고, 중앙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덮개판;
    상기 중간받침판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위치되어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수평이동부재;
    상기 측벽들의 나사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수평이동부재를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게 하는 둘 이상의 위치조절나사;
    상기 수평이동부재 상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높이조절너트; 및
    상기 높이조절너트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관통구멍 및 상기 제2개구부를 관통하여 위치됨과 더불어, 방사상으로 돌출한 단차부를 갖추어 상기 단차부까지 구조물의 하부 또는 지지다리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볼트
    를 포함하는 구조물용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의 나사구멍의 외측에는 이 나사구멍과 동일한 내경을 가진 지지너트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지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상기 측벽들의 상면에 고정나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상부면에서 관통구멍의 주변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 내에 상기 높이조절너트가 보유지지되되, 상기 높이조절너트는 덮개판 이상의 높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볼트의 단차부는 고정너트가 용접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너트의 일측면으로부터 지지볼트의 폭방향으로 고정핀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지지장치.
KR2020090014926U 2009-11-18 2009-11-18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KR200463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26U KR200463402Y1 (ko) 2009-11-18 2009-11-18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26U KR200463402Y1 (ko) 2009-11-18 2009-11-18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32U KR20110005132U (ko) 2011-05-25
KR200463402Y1 true KR200463402Y1 (ko) 2012-11-05

Family

ID=4756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926U KR200463402Y1 (ko) 2009-11-18 2009-11-18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40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255B1 (ko) * 2013-03-20 2014-10-16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말뚝과 강관기둥의 연결구조체 및 연결방법
KR101634111B1 (ko) * 2015-11-04 2016-06-28 주식회사 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철근 콘크리트 공사용 파이프 서포트
KR101809166B1 (ko) * 2017-03-31 2017-12-15 (주)리튼브릿지 높이와 위치변경이 가능한 힌지받침을 이용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232317B1 (ko) 2020-02-12 2021-03-25 주식회사 더블앤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
KR20220004415A (ko) * 2020-07-03 2022-01-11 (주)기흥기계 분할된 베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복합가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5606A (zh) * 2016-05-10 2016-08-17 朱德仲 一种铣床转换装置
CN108175902A (zh) * 2018-03-23 2018-06-19 无锡市人民医院 一种多功能内科护理用输液架
CN109262488A (zh) * 2018-08-16 2019-01-25 芜湖源码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可减少磨损的工装夹具
CN109719645A (zh) * 2018-12-29 2019-05-07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定位调节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82Y1 (ko) 2000-12-05 2001-05-15 한전기공주식회사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KR200364823Y1 (ko) 2004-07-28 2004-10-15 강희승 레이아웃 머신의 검사블록
KR100707140B1 (ko) 2006-06-23 2007-04-13 김후진 레벨링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82Y1 (ko) 2000-12-05 2001-05-15 한전기공주식회사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KR200364823Y1 (ko) 2004-07-28 2004-10-15 강희승 레이아웃 머신의 검사블록
KR100707140B1 (ko) 2006-06-23 2007-04-13 김후진 레벨링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255B1 (ko) * 2013-03-20 2014-10-16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말뚝과 강관기둥의 연결구조체 및 연결방법
KR101634111B1 (ko) * 2015-11-04 2016-06-28 주식회사 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철근 콘크리트 공사용 파이프 서포트
KR101809166B1 (ko) * 2017-03-31 2017-12-15 (주)리튼브릿지 높이와 위치변경이 가능한 힌지받침을 이용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232317B1 (ko) 2020-02-12 2021-03-25 주식회사 더블앤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
KR20220004415A (ko) * 2020-07-03 2022-01-11 (주)기흥기계 분할된 베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복합가공기
KR102365706B1 (ko) * 2020-07-03 2022-02-22 (주)기흥기계 분할된 베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복합가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32U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402Y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KR101619402B1 (ko) 레이저 레벨기를 삼각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1360259B1 (ko) 지표면의 굴곡 상태에 대비한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삼각대의 지면 고정 시스템
KR20130020387A (ko) 캐리지레일 설치용 지그가 구비되어 있는 정반
US8022297B1 (en)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electrical floor boxes
KR101924046B1 (ko) 측량용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KR101074711B1 (ko) 차량부품 조립용 지그
CN106041852A (zh) 一种大角度翻转装置
KR200445330Y1 (ko) 레이저 표시장치
KR100609019B1 (ko) 용접캐리지의 용접구간 연장장치
KR20110001005U (ko) 센터 플랜지 높이조절용 지그
KR101620044B1 (ko) 액세스 플로어 설치용 패드 고정 구조
KR101565113B1 (ko) 휴대용 재단기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재단기 조립체
KR101622472B1 (ko) 이동식 건물용 수평조절장치
KR102140270B1 (ko) 다축으로 이루어진 검사대상물 고정용 치공구
KR20170104184A (ko) 컨테이너용 레벨조절장치
KR100709328B1 (ko) 평면 구조물의 지지장치
JP7443988B2 (ja) 検知補助架台
KR200343731Y1 (ko) 센터플랜지 각도 조절용 세팅장치
JP2007126956A (ja) 木造建築用アンカーパ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木造建築構造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JP5800326B1 (ja) レーザ照射装置設置台
KR102300833B1 (ko)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
KR20150000194U (ko) 단차 조절 받침구
KR200492348Y1 (ko) 팝너트가 체결된 높이조절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