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317B1 -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317B1
KR102232317B1 KR1020200017274A KR20200017274A KR102232317B1 KR 102232317 B1 KR102232317 B1 KR 102232317B1 KR 1020200017274 A KR1020200017274 A KR 1020200017274A KR 20200017274 A KR20200017274 A KR 20200017274A KR 102232317 B1 KR102232317 B1 KR 102232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side gear
load structure
ge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앤
Priority to KR102020001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16H2025/209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using worm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부하로도 하중 구조물의 승강이 용이하고 간단한 전동 공구만으로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한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위치 하중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부재, 동위치 하중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 부재 상에서 승강하도록 결합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중공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하부는 내외부 단차를 두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하부에 비해 내경 및 외경이 확대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에 중심축방향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승강축; 및 상기 고정 부재의 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축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피동측 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공간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동측 기어와 기어결합하는 구동측 기어; 및 상기 구동측 기어와 동축을 가지며 상기 고정 부재의 벽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원통 형태의 동력전달 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Unit for correcting vertical location of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교량 하중 구조물, 밸브실, 금속재 하중 구조물 등의 다양한 하중 구조물에 적용되어 일부분의 높이를 승강(昇降)시켜 하중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들은 균형 유지, 장력 부여, 높이 조절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하중 구조물의 특정 부분을 설치시 또는 유지 보수시 승하강시키는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3402호(2012. 11. 5. 공고)는 수평이동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높이조절너트를 회전시켜 이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지지볼트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통해 특정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특정 부재의 상승시 높이조절너트의 회전을 위해 높은 토크가 요구되고 높이조절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의 사용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3402호(2012. 11. 5. 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저부하로도 하중 구조물의 승강이 용이하고 간단한 전동 공구만으로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한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는,
정위치 하중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부재,
동위치 하중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 부재 상에서 승강하도록 결합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중공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하부는 내외부 단차를 두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하부에 비해 내경 및 외경이 확대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에 중심축방향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승강축; 및
상기 고정 부재의 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축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피동측 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공간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동측 기어와 기어결합하는 구동측 기어; 및
상기 구동측 기어와 동축을 가지며 상기 고정 부재의 벽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원통 형태의 동력전달 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축의 원주 일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용 그루브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용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동측 기어는;
상부에 위치하여 경사진 외주연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는 저부하로도 하중 구조물의 승강이 용이하고 간단한 전동 공구만으로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는 밸브실에서 맨홀의 높이를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승강부재나, 막하중 구조물에서 막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이 장착되는 승강부재나, 교량에서 상부 하중 구조물의 인상에 따른 위치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승강 부재 등 다양한 건축 하중 구조물에서 정위치 하중 구조물에 대해 동위치 하중 구조물의 상대적인 높이나 자세의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로서, 크게 지면 등에 위치가 고정되는 정위치 하중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부재(10)와, 정위치 하중 구조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가 이동가능한 동위치 하중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 부재(10) 상에서 승강하도록 결합되는 이동 부재(20)와, 상기 이동 부재(20)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세부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 부재(10)는 중공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하부는 내외부 단차를 두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하부에 비해 내경 및 외경이 확대되어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20)는 상기 고정 부재(10)의 내부에 중심축방향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승강축(21)과, 상기 고정 부재(10)의 공간부(11)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축(21)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피동측 기어(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승강축(21)의 원주 일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용 그루브(23)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1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용 그루브(23)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축(21)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부재(12)가 고정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제한 부재(12)는 수나사부를 갖는 볼트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고정 부재(10)에 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나사결합시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상기 승강축(21)은 수직방향의 승강운동만 가능하고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동측 기어(22)는 상부에 위치하여 경사진 외주연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기어부(22')와, 상기 기어부(22')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는 지지부(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부재(10)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22")를 수용하는 베어링(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동측 기어(22)의 기어부(22')의 하단 단차면도 베어링(13)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지지되게 되므로 상기 피동측 기어(22)는 수평방향과 아울러 수직방향에 대해 모두 지지를 받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10)의 공간부(11)에 위치하여 상기 피동측 기어(22)와 기어결합하는 구동측 기어(31)와, 상기 구동측 기어(31)와 동중심축(同中心軸)을 가지며 상기 고정 부재(10)의 벽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원통 형태의 동력전달 축 부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 축 부재(32)는 일단에는 전동 공구 등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육각 홈 등의 공구 결합부를 둘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동측 기어(22)와 구동측 기어(31)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벨기어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동력전달 축 부재(32)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 회전력은 상기 동력전달 축 부재(32)와 고정결합되는 구동측 기어(3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구동측 기어(31)와 기어결합된 피동측 기어(22)가 회전하게 되며, 피동측 기어(22)의 회전 운동은 회전 제한 부재(12)에 의해 회전 운동이 제한되는 승강축(21)의 축방향 직선 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축(21)은 정위치 하중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게 되어 동위치 하중 구조물이 승강하게 된다. 즉, 회전 동력은 동력전달 축 부재(32)의 회전 운동 -> 구동측 기어(31)의 회전 운동 -> 피동측 기어의 회전 운동 -> 승강축(21)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동위치 하중 구조물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벨 기어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적은 동력으로 고하중의 하중 구조물을 쉽고 간편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인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는 저부하로도 하중 구조물의 승강이 용이하고 간단한 전동 공구만으로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한 이점을 가진다.
10: 고정 부재 11: 공간부
12: 회전 제한 부재 13: 베어링
20: 이동 부재 21: 승강축
22: 피동측 기어 22': 기어부
22": 지지부 23: 고정용 그루브
30: 동력 전달 부재 31: 구동측 기어
32: 동력전달 축 부재

Claims (1)

  1. 정위치 하중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부재,
    동위치 하중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 부재 상에서 승강하도록 결합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중공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부는 내외부 단차를 두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하부에 비해 내경 및 외경이 확대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에 중심축방향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승강축; 및
    상기 고정 부재의 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축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피동측 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공간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동측 기어와 기어결합하는 구동측 기어; 및
    상기 구동측 기어와 동축을 가지며 상기 고정 부재의 벽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원통 형태의 동력전달 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축의 원주 일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용 그루브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부재의 벽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고정용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동측 기어는;
    상부에 위치하여 경사진 외주연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
KR1020200017274A 2020-02-12 2020-02-12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 KR102232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274A KR102232317B1 (ko) 2020-02-12 2020-02-12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274A KR102232317B1 (ko) 2020-02-12 2020-02-12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317B1 true KR102232317B1 (ko) 2021-03-25

Family

ID=7522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274A KR102232317B1 (ko) 2020-02-12 2020-02-12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3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688A (ko) * 2001-10-24 2004-05-17 밀란 필자 연결구
KR100817198B1 (ko) * 2007-07-26 2008-03-27 (주)거혁건설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200463402Y1 (ko) 2009-11-18 2012-11-05 (주)일진에너지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JP2018119653A (ja) * 2017-01-27 2018-08-02 久一 西室 ボルト、ナットの新締結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688A (ko) * 2001-10-24 2004-05-17 밀란 필자 연결구
KR100817198B1 (ko) * 2007-07-26 2008-03-27 (주)거혁건설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200463402Y1 (ko) 2009-11-18 2012-11-05 (주)일진에너지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JP2018119653A (ja) * 2017-01-27 2018-08-02 久一 西室 ボルト、ナットの新締結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637B2 (en)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djustable bearing
US10702960B2 (en) Robot to move a support platform along a flange connection
CA3011911C (en) Robot with positioning means to move a tool along a flange connection
BRPI0511548B1 (pt) Piston ring adjustment device
KR101457472B1 (ko) 파이프 교정기용 교정롤러의 상,하 조정장치
KR102232317B1 (ko) 하중 구조물 수직 위치 보정 장치
CN106517008A (zh) 一种机械式支腿
AU2015101480A4 (en) A snap spring assembling device for disc spring
JP2021156163A (ja) 床板支持具
CN214171853U (zh) 放样定位支架
CN109588067A (zh) 一种可升降的旋耕机构
IE48584B1 (en) Wind machine system for pushing and lifting loads and having improved counter balancing
CN209922847U (zh) 一种三节倒装丝杆升降立柱
KR200384317Y1 (ko)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CN106838575A (zh) 显示屏支架
CN112225061A (zh) 一种架桥机的全方位旋转调节式吊具装置
CN209740645U (zh) 一种三节倒装丝杆总成
JP6798127B2 (ja) 設置架台とその水平出し方法
JP4820844B2 (ja) 動力伝達軸の継手構造
CN115419100B (zh) 一种线路灌注桩基础地脚螺栓定位找平辅助工具
CN115163931B (zh) 一种管道万向位移调整装置及调整方法
CN219492477U (zh) 海上风电机组自升式安装设备
CN219080354U (zh) 一种基坑支护位移监测装置
CN219413439U (zh) 一种升降杆丝杆支撑传动机构
CN218801728U (zh) 一种球阀固定旋转转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