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082Y1 -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082Y1
KR200225082Y1 KR2020000034065U KR20000034065U KR200225082Y1 KR 200225082 Y1 KR200225082 Y1 KR 200225082Y1 KR 2020000034065 U KR2020000034065 U KR 2020000034065U KR 20000034065 U KR20000034065 U KR 20000034065U KR 200225082 Y1 KR200225082 Y1 KR 200225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bolt
manway
insertion hole
manway cover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희
Original Assignee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4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082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합 및 분해가 쉽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맨웨이 커버와 맨웨이 플랜지의 밀착정도가 향상된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맨웨이 플랜지와 맨웨이 커버에 체결된 스터드 볼트와, 맨웨이 커버의 볼트 삽입공을 통해 돌출된 스터드 볼트에 결합되어 볼트 삽입공에 테이퍼면이 끼워지는 테이퍼 부싱과, 테이퍼 부싱의 테이퍼면이 볼트 삽입공에 끼워져 맞물리도록 테이퍼 부싱을 밀어 이동시키는 체결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A stud bolt assembly}
본 고안은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터드 볼트의 결합과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터드 볼트는 환봉의 양단에 나사산을 각각 형성하고, 환봉의 일단을 미리 고정물에 심어놓은 상태에서 환봉의 타단을 피고정물의 허드레구멍에 끼워 넣고, 체결 너트를 통해 고정하는 볼트의 일종이다.
이러한 스터드 볼트는 체결 너트와 함께 하나의 어셈블리화하여 다양한 곳에 체결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 에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 발생기에 장착된 맨웨이 플랜지에 맨웨이 커버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맨웨이 커버(3)와 맨웨이 플랜지(5)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는 양단에 나사산이 절삭된 스터드 볼트(1)의 일단이 맨웨이 플랜지(5)의 볼트 체결공(6)에 결합되고, 스터드 볼트(1)의 타단이 맨웨이 커버(3)의 볼트 삽입공(4)을 통해 맨웨이 커버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맨웨이 커버(3)외측으로 돌출된 스터드 볼트(1)의 타단에는 체결 너트(2)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에 의한 맨웨이 커버(3)와 맨웨이 플랜지(5)의 결합을 설명한다.
먼저, 스터드 볼트(1)의 일단을 맨웨이 플랜지(5)의 볼트 체결공(6)에 체결하고, 스터드 볼트(1)의 타단을 맨웨이 커버(3)의 볼트 삽입공(4)에 삽입시켜 타단 일부를 맨웨이 커버(3)외측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돌출된 스터드 볼트(1)의 타단에 체결 너트(2)를 결합시키고, 스터드 볼트(1)를 회전시켜 맨웨이 커버(3)가 맨웨이 플랜지(5)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는 맨웨이 플랜지와 맨웨이 커버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스터드 볼트를 무리한 힘을 가해 회전시키면 맨웨이 플랜지의 체결공에 결합된 스터드 볼트의 나사산이 쉽게 마모되어 고착됨으로써 스터드 볼트의 분해 및 결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는 체결 너트에 의해 맨웨이 커버와 맨웨이 플랜지를 서로 밀착시키게 되나, 스터드 볼트가 맨웨이 커버의 삽입공에 편심되게 위치되는 경우, 맨웨이 커버가 맨웨이 플랜지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고, 이에 의해 고압의 증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결합 및 분해가 쉽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맨웨이 커버와 맨웨이 플랜지의 밀착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는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맨웨이 플랜지와 맨웨이 커버에 체결된 스터드 볼트와, 맨웨이 커버의 볼트 삽입공을 통해 돌출된 스터드 볼트에 결합되어 볼트 삽입공에 테이퍼면이 끼워지는 테이퍼 부싱과, 테이퍼 부싱의 테이퍼면이 볼트 삽입공에 끼워져 맞물리도록 테이퍼 부싱을 밀어 이동시키는 체결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스터드 볼트 2,11 : 체결 너트
13 : 테이퍼 부싱 3 : 맨웨이 커버
4 : 볼트 삽입공 5 : 맨웨이 플랜지
6 : 볼트 체결공 14 : 고정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는 스터드 볼트(10)와, 테이퍼 부싱(13)과, 체결 너트(11)로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터드 볼트(10)는 양단(10a,10b)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 부싱(13)은 테이퍼면(13a)이 하측을 향하게 스터드 볼트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테이퍼 부싱의 테이퍼면(30)은 30°정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테이퍼면이 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 너트(11)는 테이퍼 부싱 테이퍼면의 반대면(13b)에 밀착되게 스터드 볼트(10)에 끼워져 스터드 볼트의 타단(10b)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 너트(11)에는 외주연 일측으로 핀 삽입공(12)이 형성되고, 핀 삽입공에는 체결 너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14)이 끼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에 의해 원자력 발전소에 사용되는 증기 발생기의 맨웨이 플랜지에 맨웨이 커버의 고정을 도 3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터드 볼트의 일단(10a)을 맨웨이 플랜지(5)의 볼트 체결공(6)에 체결한다. 그리고, 스터드 볼트의 타단(10b)을 맨웨이 커버(3)의 볼트 삽입공(4)에 삽입시켜 스터드 볼트의 타단(10b)일부가 맨웨이 커버(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그리고, 돌출된 스터드 볼트의 타단(10b)에 테이퍼면(13a)이 맨웨이 커버(3)방향을 향하게 테이퍼 부싱(13)을 끼워넣은 다음, 체결 너트(11)를 테이퍼 부싱(13)의 반대면(13b)에 맞물리게 순차적으로 끼워 스터드 볼트(10)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체결 너트(13)를 회전시키면, 테이퍼 부싱(13)은 맨웨이 커버(3)방향으로 이동하여 맨웨이 커버(3)의 볼트 삽입공(4)에 테이퍼면(13a)이 끼워져 맞물리고, 체결 너트(10)가 계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끼워진 테이퍼 부싱(13)은 맨웨이 커버(3)를 밀어 맨웨이 플랜지(5)에 밀착시킨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는 체결 너트(13)의 회전에 따라 테이퍼 부싱(13)이 이동하고, 테이퍼 부싱(13)이 맨웨이 커버(3)를 밀어 맨웨이 플랜지(5)에 밀착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맨웨이 커버(3)와 맨웨이 플랜지(5)가 서로 밀착 고정되면 체결 너트(11)의 핀 삽입공(12)에 고정핀(14)을 삽입하여 스터드 볼트(10)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는 스터드 볼트를 회전시키지 않고, 체결 너트에 의해 테이퍼 부싱만이 이동하면서 맨웨이 플랜지에 맨웨이 커버를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터드 볼트의 나사산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되어 스터드 볼트가 고착되는 문제점이 해결됨으로써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의 분해 및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는 테이퍼 부싱의 테이퍼면이 맨웨이 커버의 삽입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스터드 볼트와 맨웨이 커버의 삽입공이 서로 편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맨웨이 커버와 맨웨이 플랜지의 밀착정도를 향상시켜 고온, 고압의 증기가 누설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맨웨이 플랜지와 맨웨이 커버에 체결된 스터드 볼트와;
    상기 맨웨이 커버의 볼트 삽입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스터드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 삽입공에 테이퍼면이 끼워지는 테이퍼 부싱과;
    상기 테이퍼 부싱의 테이퍼면이 상기 볼트 삽입공에 끼워져 맞물리도록 상기 테이퍼 부싱을 밀어 이동시키는 체결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체결 너트에는 고정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KR2020000034065U 2000-12-05 2000-12-05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KR200225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65U KR200225082Y1 (ko) 2000-12-05 2000-12-05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65U KR200225082Y1 (ko) 2000-12-05 2000-12-05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082Y1 true KR200225082Y1 (ko) 2001-05-15

Family

ID=7309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065U KR200225082Y1 (ko) 2000-12-05 2000-12-05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0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402Y1 (ko) 2009-11-18 2012-11-05 (주)일진에너지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402Y1 (ko) 2009-11-18 2012-11-05 (주)일진에너지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6328Y2 (ko)
KR200225082Y1 (ko)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KR200391188Y1 (ko) 볼팅이 용이한 와셔볼트의 와셔 구조
KR200165803Y1 (ko) 커플링
KR200337739Y1 (ko) 파이프의 결합 구조
KR200218192Y1 (ko) 배관 폐쇄용 캡
RU2158383C1 (ru) Штифт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200257366Y1 (ko) 플랜지와 슬리브형 연결이 가능한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164118Y1 (ko) 호스 연결장치
JP3798868B2 (ja) 管継手
JP2533704Y2 (ja) 水道用器具の接続パッキン
KR200161286Y1 (ko) 세탁기의 급수호오스
RU2208721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деталей осью
KR200169307Y1 (ko) 하네스, 케이블, 파이프 및 호스의 고정장치
KR200198253Y1 (ko) 파이프 및 축 이음쇠 구조
KR200184216Y1 (ko) 비철금속관의 이음용 커플링
KR200150178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JPH0410471Y2 (ko)
KR960007495Y1 (ko) 강관의 연결구조
JPH10169382A (ja) 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の接続構造
JPH10173402A (ja) 導波管接続フランジ
JPH11218274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H11182755A (ja) 管接手
KR960010288Y1 (ko) 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