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833B1 -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0833B1 KR102300833B1 KR1020200158613A KR20200158613A KR102300833B1 KR 102300833 B1 KR102300833 B1 KR 102300833B1 KR 1020200158613 A KR1020200158613 A KR 1020200158613A KR 20200158613 A KR20200158613 A KR 20200158613A KR 102300833 B1 KR102300833 B1 KR 1023008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upport shaft
- coupling part
- sphere
- safet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2—Scaffold feet, e.g. with arrangements for adjust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작업대(A)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부(110); 상기 결합부(110)의 중간 일측에 형성하는 중심축(130); 상기 결합부(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상부 지지축(140); 상기 결합부(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하부 지지축(150); 상기 중심축(13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되 일측에 회전 유도공(161)을 형성하고 상단에 상기 상부 지지축(140) 또는 하부 지지축(150)을 내측으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홈(162)을 포함하는 지지부(160); 상기 지지부(160)의 하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180); 상기 높이조절구(180)의 하부에 형성하는 받침구(190);를 포함하는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건축 작업대를 지지하여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상태에 따라서 받침구의 각도를 조절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지면으로 펼쳐서 건축 작업대를 지지하고 사용 후 상부방향으로 회전시켜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작업대의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작업대(우마 또는 발판 사다리)는 건축 및 건설현장 등에서 높은 위치의 작업을 작업자가 올라가 진행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 작업대는 높이가 증가할수록 쉽게 흔들리고 안정성이 떨어져 전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작업자와 함께 건축자재 등이 올라간 상태에서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집중될 경우 쉽게 전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축 작업대의 일측을 지지하여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과 맞닿은 각도를 조절하여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100)는,
건축 작업대(A)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부(110); 상기 결합부(110)의 일부를 절개하여 외부로 확개되는 연결브라켓(111); 상기 결합부(110)의 중간 일측에 형성하는 중심축(130); 상기 결합부(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상부 지지축(140); 상기 결합부(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하부 지지축(150); 상기 중심축(13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되 일측에 회전 유도공(161)을 형성하고 상단에 상기 상부 지지축(140) 또는 하부 지지축(150)을 내측으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홈(162)을 포함하는 지지부(160); 상기 지지부(160)의 하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180); 상기 높이조절구(180)의 하부에 형성하는 받침구(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0)의 연결브라켓(111)은 건축 작업대(A)의 일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타측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밀착부(120)를 서로 내측으로 밀착시켜 건축 작업대(A)와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110)의 일측에 상기 지지부(16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수단(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유도공(161)은 상기 지지부(1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162)은 상기 지지부(16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높이조절구(180)는 상기 지지부(160)의 하부에 나사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에 작업공(18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구(180)의 하부에 상기 받침구(190)의 상부 중앙에 형성하는 통공(191)을 관통하는 지지축(182)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182)의 하부에 상기 높이조절구(180)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받침구(190)의 내측면에 맞닿아 지지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8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 작업대를 지지하여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상태에 따라서 받침구의 각도를 조절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지면으로 펼쳐서 건축 작업대를 지지하고 사용 후 상부방향으로 회전시켜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 작업대(A)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부(110); 상기 결합부(110)의 중간 일측에 형성하는 중심축(130); 상기 결합부(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상부 지지축(140); 상기 결합부(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하부 지지축(150); 상기 중심축(13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되 일측에 회전 유도공(161)을 형성하고 상단에 상기 상부 지지축(140) 또는 하부 지지축(150)을 내측으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홈(162)을 포함하는 지지부(160); 상기 지지부(160)의 하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180); 상기 높이조절구(180)의 하부에 형성하는 받침구(19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결합부(110)는 건축 작업대(A)의 일측 또는 지정위치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0)는 건축 작업대(A)의 일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타측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밀착부(120)를 서로 내측으로 밀착시켜 건축 작업대(A)와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121);를 포함한다.
즉, 건축 작업대(A)의 설치위치 일측면에 상기 결합부(110)가 맞닿고 반대편 타측면에 상기 밀착부(120)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121)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110)와 밀착부(120)를 서로 내측으로 밀착시켜 건축 작업대(A)의 설치위치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구(121)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110)와 밀착부(120)를 서로 결합하거나, 상기 결합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나사 결합하고 상기 밀착부(12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관통하는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110)와 밀착부(120)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심축(130)은 상기 지지부(16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축(140)은 상기 지지부(160)가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에 상기 받침구(190)가 맞닿을 수 있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축(150)은 상기 지지부(160)가 상부방향으로 회전하여수직방향으로 세워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지지부(160)를 잡고 상하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162)의 내측으로 상기 상부 지지축(140) 또는 하부 지지축(150)을 삽입시켜 지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유도공(161)은 상기 지지부(160)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162)의 내측으로 상기 상부 지지축(140) 또는 하부 지지축(150)을 삽입시킬 수 있는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홈(162)은 상기 지지부(16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상부 지지축(140) 또는 하부 지지축(150)을 상기 고정홈(162)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이탈을 방지하고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110)의 일측에 상기 지지부(16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수단(170);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16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고정수단(170)은 상기 결합부(110)의 일측에 나사 결합하여 작업자가 회전시켜 상기 지지부(160)의 표면에 고정수단(170)의 선단이 밀착하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70)은 다양한 형태와 규격을 갖는 볼트 또는 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구(180)은 상기 받침구(190)가 지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구(180)는 상기 지지부(160)의 하부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 또는 나사 형태로 형성하고 상부에 작업공(181)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작업도구를 상기 작업공(181)에 삽입하여 상기 높이조절구(18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구(180)의 하부에 상기 받침구(190)의 상부 중앙에 형성하는 통공(191)을 관통하는 지지축(182)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182)의 하부에 상기 높이조절구(180)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받침구(190)의 내측면에 맞닿아 지지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8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공(191)은 상기 지지축(182)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받침구(190)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지지축(182)이 간섭없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183)는 상기 받침구(190)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지지축(182)이 기울어지면서 상기 받침구(190)의 내측면에 맞닿아 지지할 수 있고, 운반 및 회전과정에서 상기 받침구(190)와 높이조절구(18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통공(19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축 작업대(A)의 일측 또는 양측 및 지정위치에 각각 설치하여 지면을 지지함으로써 전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
110: 결합부
120: 밀착부 121: 체결구
130: 중심축 140: 상부 지지축
150: 하부 지지축 160: 지지부
161: 회전 유도공 162: 고정홈
170: 고정수단 180: 높이조절구
181: 작업공 182: 지지축
183: 지지돌기 190: 받침구
191: 통공
A: 건축 작업대
110: 결합부
120: 밀착부 121: 체결구
130: 중심축 140: 상부 지지축
150: 하부 지지축 160: 지지부
161: 회전 유도공 162: 고정홈
170: 고정수단 180: 높이조절구
181: 작업공 182: 지지축
183: 지지돌기 190: 받침구
191: 통공
A: 건축 작업대
Claims (6)
- 건축 작업대(A)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부(110); 상기 결합부(110)의 일부를 절개하여 외부로 확개되는 연결브라켓(111); 상기 결합부(110)의 중간 일측에 형성하는 중심축(130); 상기 결합부(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상부 지지축(140); 상기 결합부(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하부 지지축(150); 상기 중심축(13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되 일측에 회전 유도공(161)을 형성하고 상단에 상기 상부 지지축(140) 또는 하부 지지축(150)을 내측으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홈(162)을 포함하는 지지부(160); 상기 지지부(160)의 하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180); 상기 높이조절구(180)의 하부에 형성하는 받침구(19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110)의 연결브라켓(111)은 건축 작업대(A)의 일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타측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밀착부(120)를 서로 내측으로 밀착시켜 건축 작업대(A)와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121);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10)의 일측에 상기 지지부(16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수단(17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유도공(161)은 상기 지지부(1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162)은 상기 지지부(16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구(180)는 상기 지지부(160)의 하부에 나사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에 작업공(181)을 형성하며, 상기 높이조절구(180)의 하부에 상기 받침구(190)의 상부 중앙에 형성하는 통공(191)을 관통하는 지지축(182)을 형성하되, 상기 통공(191)은 상기 지지축(182)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받침구(190)의 각도에 따라서 지지축(182)이 간섭없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기 지지축(182)의 하부에 상기 높이조절구(180)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지지축(182)이 기울어지면서 상기 받침구(190)의 내측면에 맞닿아 지지할 수 있고, 운반 및 회전과정에서 상기 받침구(190)와 높이조절구(18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통공(19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는 지지돌기(1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8613A KR102300833B1 (ko) | 2020-11-24 | 2020-11-24 |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8613A KR102300833B1 (ko) | 2020-11-24 | 2020-11-24 |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0833B1 true KR102300833B1 (ko) | 2021-09-09 |
Family
ID=7777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8613A KR102300833B1 (ko) | 2020-11-24 | 2020-11-24 |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0833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251Y1 (ko) | 1999-07-01 | 2000-02-15 | 최문호 | 건설현장용작업대 |
KR200404253Y1 (ko) * | 2005-09-16 | 2005-12-20 | 송슬지 | 사다리의 안전장치 |
KR20060071595A (ko) | 2004-12-22 | 2006-06-27 | 한국산업안전공단 |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
KR100841240B1 (ko) | 2007-03-27 | 2008-06-25 | 주식회사 엠코 | 건축용 조립식 비계 |
KR20110008510U (ko) * | 2010-02-26 | 2011-09-01 | 윤종철 | 작업대용 스토퍼 |
KR101621868B1 (ko) | 2014-11-10 | 2016-05-17 | 김영록 | 건축 작업용 작업대 |
KR20170059764A (ko) * | 2015-11-23 | 2017-05-31 | 이양선 | 전도 방지대 |
KR20190075583A (ko) * | 2017-12-21 | 2019-07-01 | 윤병섭 |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
KR20190142913A (ko) | 2018-06-19 | 2019-12-30 | 에스큐엔지니어링(주) | 작업대 지지 장치 |
KR102163027B1 (ko) | 2020-03-30 | 2020-10-07 | 조진엽 | 이동식 틀비계 장치 |
-
2020
- 2020-11-24 KR KR1020200158613A patent/KR1023008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251Y1 (ko) | 1999-07-01 | 2000-02-15 | 최문호 | 건설현장용작업대 |
KR20060071595A (ko) | 2004-12-22 | 2006-06-27 | 한국산업안전공단 |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
KR200404253Y1 (ko) * | 2005-09-16 | 2005-12-20 | 송슬지 | 사다리의 안전장치 |
KR100841240B1 (ko) | 2007-03-27 | 2008-06-25 | 주식회사 엠코 | 건축용 조립식 비계 |
KR20110008510U (ko) * | 2010-02-26 | 2011-09-01 | 윤종철 | 작업대용 스토퍼 |
KR101621868B1 (ko) | 2014-11-10 | 2016-05-17 | 김영록 | 건축 작업용 작업대 |
KR20170059764A (ko) * | 2015-11-23 | 2017-05-31 | 이양선 | 전도 방지대 |
KR20190075583A (ko) * | 2017-12-21 | 2019-07-01 | 윤병섭 |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
KR20190142913A (ko) | 2018-06-19 | 2019-12-30 | 에스큐엔지니어링(주) | 작업대 지지 장치 |
KR102163027B1 (ko) | 2020-03-30 | 2020-10-07 | 조진엽 | 이동식 틀비계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40035064A1 (en) | Non-threaded apparatus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elevation of a building surface | |
CZ338492A3 (en) | Work bench of table type for welding | |
KR101924046B1 (ko) | 측량용 삼각대의 높이조절시스템 | |
US6988719B2 (en) | Rollerstand | |
KR20120037686A (ko) | 배관 높이조절 구조 | |
KR20110005132U (ko) |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 |
KR20170011274A (ko) | 비계베이스 | |
KR102300833B1 (ko) | 건축 작업대용 안전장치 | |
US9586295B2 (en) | Welding fixture apparatus | |
JP4541448B1 (ja) | 三脚支持装置、三脚装置、三脚用支持部材および三脚支持方法 | |
US3495795A (en) | Vise holder | |
KR200492348Y1 (ko) | 팝너트가 체결된 높이조절 지지대 | |
WO2018147035A1 (ja) | 斜度調整ユニットおよび家具 | |
AU2020100491A4 (en) | Adjustable Height Footing Plate | |
US6725971B1 (en) | Pipe jack | |
KR20110001005U (ko) | 센터 플랜지 높이조절용 지그 | |
JPH10122479A (ja) | 筐体の安定支持装置 | |
JP3215705U (ja) | 飛散防止体支持具 | |
KR200488049Y1 (ko) | 파라솔 설치용 삼각지지대 | |
WO2020024983A1 (zh) | 一种可调支架及通信设备可调固定装置 | |
JP3128837U (ja) | 梯子状脚体を有する足場装置 | |
KR20210000567U (ko) | 작업대용 스토퍼 | |
JP2020169459A (ja) | ゴンドラ用タラップ | |
JPS606107Y2 (ja) | 床板支持装置 | |
KR200361071Y1 (ko) |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사다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