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567U - 작업대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작업대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567U
KR20210000567U KR2020190003608U KR20190003608U KR20210000567U KR 20210000567 U KR20210000567 U KR 20210000567U KR 2020190003608 U KR2020190003608 U KR 2020190003608U KR 20190003608 U KR20190003608 U KR 20190003608U KR 20210000567 U KR20210000567 U KR 202100005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upled
stopper bar
post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581Y1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2020190003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8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8Inclined struts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나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지지구조로 이루어져 지지 또는 지지해제 상태에서의 장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작업대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다리나 작업대의 포스트(11)에 결합되어 사다리나 작업대를 고정 지지하거나 고정 해제하도록 된 스토퍼에 있어서; 고정 지지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바(36)가 하향 경사지게 위치될 때에 상기 스토퍼바(36)로부터 퇴피되거나 스토퍼바(36)의 일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되고, 고정 해제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바(36)를 직립되도록 세울 때에 상기 장공(38) 상에 삽입되는 축부(41)를 포함한 스탠딩수단(40)이 구비된 작업대용 스토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작업대용 스토퍼{Stopper of a workbench}
본 고안은 작업대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과 조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작업대의 신속한 이동과 고정설치 등이 가능한 작업대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사용되는 고소작업대나 사다리 등은 건축물의 외벽이나 천장 등과 같이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작업대에는 안정적인 고정 지지 등을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작업대와 스토퍼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작업대(1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포스트(11)와 이 포스트(11)를 상호 결합하는 연결바(12)가 X자 방향으로 다수개 결합되며, 상기 포스트(11) 상에는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부(13)와 고소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작업발판(14)이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작업대(10)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포스트(11)의 하단에 바퀴(15)가 구비되고, 작업시에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스토퍼(20)가 구비되는데, 종래의 스토퍼(20)는 작업대의 포스트(11) 상에 결합되어 경사지게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삼각형태를 이루는 막대형상의 스토퍼바(21,22)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바(21,22)의 양단에는 각각 포스트(11)에 결합되는 클램프(23)와 바닥면에 고정 지지되는 종발이 형태의 바닥지지수단(24)이 구비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토퍼(20)는 포스트(11)의 사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 것임으로 인해, 작업대(10)의 이동시에 스토퍼(20)가 주변의 작업자나 건축자재 등에 걸리기 쉬운 것으로, 이로 인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거나 건축자재 등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대(10)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일부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작업대(10)의 이동시에는 상기 스토퍼(20)에 의한 걸림을 방지하도록 스토퍼(20) 자체를 작업대의 포스트(11) 측으로 회전시키도록 된 회동식이나 스토퍼(20)를 거꾸로 들어 올려 포스트(11)에 나란하게 위치시키는 접이식 등으로 구비된 것이나, 이러한 회동식이나 접이식으로 된 종래의 스토퍼(20)의 경우에도 구성 자체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상의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스토퍼(20)의 접힘상태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3475호(2007. 08. 2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11-0008510호(2011. 09. 01)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나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지지구조로 이루어져 지지 또는 지지해제 상태에서의 장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작업대용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사다리나 작업대의 포스트(11)에 결합되어 사다리나 작업대를 고정 지지하거나 고정 해제하도록 된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1)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31)와;
상기 클램프(31)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한 쌍의 측벽(33)이 나란하게 형성된 프레임바디(32)와;
상기 프레임바디(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측벽(33)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위치고정핀(34)과;
상기 프레임바디(32)의 타측에 상기 위치고정핀(34)에 대해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회동중심축(35)과;
상기 프레임바디(32) 상에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 지지상태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거나 또는 고정 해제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바디(32)의 상부로 직립되게 세워지도록 구비되되, 일단부에 상기 위치고정핀(34)이 삽입되는 단부홈(37)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홈(37)에 간격을 두고 상기 회동중심축(35)이 결합되는 장공(38)이 형성된 스토퍼바(36)와;
상기 스토퍼바(36)의 타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되도록 구비비된 바닥지지수단(39)와;
상기 프레임바디(32)의 측벽(33) 중의 하나에 조임 또는 풀림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동중심축(35)에 대해 직하방에 위치되되, 고정 지지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바(36)가 하향 경사지게 위치될 때에 상기 스토퍼바(36)로부터 퇴피되거나 스토퍼바(36)의 일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되고, 고정 해제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바(36)를 직립되도록 세울 때에 상기 장공(38) 상에 삽입되는 축부(41)를 포함한 스탠딩수단(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용 스토퍼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클램프(31)에는 상기 포스트(11)가 각파이프 형태로 구비될 때에 상기 포스트(11)의 일측에 삽입되거나 접촉 지지되는 디귿자 형태의 클램핑 어댑터(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용 스토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스토퍼바(36)를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스토퍼(30)의 구성 자체가 매우 컴팩트할 뿐만 아니라 고정 해제시에 스토퍼바(36)를 직립된 상태로 세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다리나 작업대의 포스트(11)에 밀접한 상태로 나란하게 배열하여 이동 등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 해제시에 스토퍼바(36)를 세워 고정하도록 축부(41)를 포함한 스탠딩수단(40)이 조임 또는 풀림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스토퍼(30)의 고정 해제상태일 때에는 스토퍼바(36)의 장공(38)에 삽입되어 기립상태를 지탱함에 따라 안정적인 지지력을 유지하고, 고정 지지상태일 경우에 상기 스탠딩수단(39)에 의해 스토퍼바(36)를 가압하여 지지력을 보강하거나 상기 축부(41)를 스토퍼바(36)로부터 퇴피시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클램프(31)에는 포스트(11)의 형태가 각파이프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클램핑 어댑터(50)가 구비됨에 따라, 포스트(11)의 형태에 따라 최적화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포스트(11) 상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토퍼(30)는 사다리나 작업대의 포스트(11) 상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고정 지지되거나 사다리나 작업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 해제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스토퍼(30)는 사다리나 작업대의 포스트(11) 상에 결합되는 클램프(31)와 이 클램프(31)의 일측에 디귿자 형태로 결합된 프레임바디(32)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바디(32) 상에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스토퍼바(36)가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바(36)의 하단에는 지면에 가압 밀착되는 바닥지지수단(39)이 구비된 것인데, 이를 도 3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31)는 한 쌍의 클램프바디(42)와 이를 상호 결합하는 조임볼트(43)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구성이고, 상기 프레임바디(32)는 스틸판 등을 디귿자로 절곡하여 채널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바디(32)는 클램프(31) 상에 용접되어 채널 내부가 개방되도록 두개의 측벽(33)이 돌출되게 결합된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바디(32)의 일측에는 채널 내부를 횡단하여 상기 측벽(33) 사이에 연장되는 위치고정핀(34)이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위치고정핀(34)에 대해 간격을 두고 회동중심축(35)이 결합되는데, 이 위치고정핀(34)과 회동중심축(35)은 후술되는 스토퍼바(36)의 경사선상에 일치되도록 배치된 것이다. 이러한 회동중심축(35)의 직하방에는 나비볼트 형태로 된 축부(41)와 이 축부(41)가 조임 또는 풀림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바디(32)의 측벽(33) 상에 고정 설치되는 너트체(44)로 구성된 스탠딩수단(40)이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바(36)는 일단부에 상기 위치고정핀(34)에 대응된 단부홈(37)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홈(37)에 근접하여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장공(38)이 형성되는데, 상기 장공(38) 상에는 회동중심축(35)이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바(36)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스토퍼바(36)의 타단측에는 볼트축(45)과 종발이(46)로 구성된 바닥지지수단(39)이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되거나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된 통상적인 구성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토퍼(30)는 포스트(11) 상에 결합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 지지되거나 포스트(11)에 나란하게 세운 상태로 고정 해제하도록 구비되는데, 사다리나 작업대를 고정 지지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바(36)가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하향 연장된 상태에서 상단의 단부홈(37)이 위치고정핀(34)에 삽입되고, 하단의 바닥지지수단(39)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지지된 상태가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스토퍼(30)를 고정 해제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바닥지지수단(39)을 풀어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린 상태로 상기 스토퍼바(36)를 당겨 단부홈(37)에 삽입된 위치고정핀(34)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이후에 스토퍼바(36)를 회동중심축(35)에 의해 상부로 회동시켜 직립되게 세운 후에 상기 스탠딩수단(40)을 조여 축부(41)를 장공(38) 상에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를 도 5와 도 6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딩수단(40)은 프레임바디(32)의 측벽(33) 중의 하나에 조임 또는 풀림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 상기 스토퍼바(36)가 지면으로 향한 상태이거나 고정 해제과정에서 회동동작이 가능하도록 간섭되지 않게 퇴피된 상태로 위치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상태에서 하향 연장되는 스토퍼바(36)의 일측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위치고정핀(34)과 바닥지지수단(39)에 의해 양단이 고정된 상태의 스토퍼바(36)를 추가적으로 보강 지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바(36)를 세운 상태에서는 회동중심축(35)이 장공(38)의 상단에 걸린 상태에서 장공(38)의 하부측에 상기 스탠딩수단(40)의 축부(41)가 삽입되도록 조이는데, 이는 상기 스토퍼바(36)를 직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회동중심축(35)과 스탠딩수단(40)의 축부(41)에 의해 두 지점에서 스토퍼바(36)를 지지하여 전도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31)는 통상적으로 클램프바디(42)의 내경측이 원호 형태로 구비되어 원형단면의 포스트(11)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데, 본 고안은 통상의 클램프(31)의 내경측에 대략 디귿자 형태로 된 클램핑 어댑터(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클램핑 어댑터(50)는 사각파이프 등으로 된 포스트(11)의 일면에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되어 지지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바디(42) 상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거나 볼트 체결 등의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다양한 포스트(11)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용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 포스트 30: 스토퍼
31: 클램프 32: 프레임바디
33: 측벽 34: 위치고정핀
35: 회동중심축 36: 스토퍼바
37: 단부홈 38: 장공
39: 바닥지지수단 40: 스탠딩수단
41: 축부 50: 클램핑 어댑터

Claims (2)

  1. 사다리나 작업대의 포스트(11)에 결합되어 사다리나 작업대를 고정 지지하거나 고정 해제하도록 된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1)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31)와;
    상기 클램프(31)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한 쌍의 측벽(33)이 나란하게 형성된 프레임바디(32)와;
    상기 프레임바디(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측벽(33)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위치고정핀(34)과;
    상기 프레임바디(32)의 타측에 상기 위치고정핀(34)에 대해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회동중심축(35)과;
    상기 프레임바디(32) 상에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 지지상태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거나 또는 고정 해제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바디(32)의 상부로 직립되게 세워지도록 구비되되, 일단부에 상기 위치고정핀(34)이 삽입되는 단부홈(37)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홈(37)에 간격을 두고 상기 회동중심축(35)이 결합되는 장공(38)이 형성된 스토퍼바(36)와;
    상기 스토퍼바(36)의 타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되도록 구비비된 바닥지지수단(39)와;
    상기 프레임바디(32)의 측벽(33) 중의 하나에 조임 또는 풀림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동중심축(35)에 대해 직하방에 위치되되, 고정 지지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바(36)가 하향 경사지게 위치될 때에 상기 스토퍼바(36)로부터 퇴피되거나 스토퍼바(36)의 일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되고, 고정 해제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바(36)를 직립되도록 세울 때에 상기 장공(38) 상에 삽입되는 축부(41)를 포함한 스탠딩수단(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용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1)에는 상기 포스트(11)가 각파이프 형태로 구비될 때에 상기 포스트(11)의 일측에 삽입되거나 접촉 지지되는 디귿자 형태의 클램핑 어댑터(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용 스토퍼.
KR2020190003608U 2019-08-30 2019-08-30 작업대용 스토퍼 KR2004935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08U KR200493581Y1 (ko) 2019-08-30 2019-08-30 작업대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08U KR200493581Y1 (ko) 2019-08-30 2019-08-30 작업대용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67U true KR20210000567U (ko) 2021-03-10
KR200493581Y1 KR200493581Y1 (ko) 2021-04-26

Family

ID=7487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608U KR200493581Y1 (ko) 2019-08-30 2019-08-30 작업대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5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251A (ko) 2022-08-29 2024-03-07 박영국 작업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922A (ja) * 2000-04-03 2001-10-10 Hasegawa Kogyo Co Ltd 管材緊結装置
KR100753475B1 (ko) 2006-09-06 2007-08-31 유은상 전도방지장치
JP2008057308A (ja) * 2006-08-03 2008-03-13 Prop:Kk 脚立または梯子用転倒防止具
KR20110008510U (ko) 2010-02-26 2011-09-01 윤종철 작업대용 스토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922A (ja) * 2000-04-03 2001-10-10 Hasegawa Kogyo Co Ltd 管材緊結装置
JP2008057308A (ja) * 2006-08-03 2008-03-13 Prop:Kk 脚立または梯子用転倒防止具
KR100753475B1 (ko) 2006-09-06 2007-08-31 유은상 전도방지장치
KR20110008510U (ko) 2010-02-26 2011-09-01 윤종철 작업대용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581Y1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6318C (en) Support system
JP5697814B1 (ja) 自在手摺り
JP2010185185A (ja) 仮設手摺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493581Y1 (ko) 작업대용 스토퍼
US4039064A (en) Adjustable work support
EP0100333A1 (en) Adjustable brace or prop
JP3155432U (ja) 梯子転倒防止治具
KR20190114356A (ko) 이동성과 운반성이 용이한 비계
KR200413054Y1 (ko) 절첩식 사다리
US1054246A (en) Pipe-vise post.
JP2527089Y2 (ja) 折畳式朝顔装置
KR101489386B1 (ko) 거푸집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서포트용 소켓 및 이 소켓이 적용된 시스템 서포트
KR20110008510U (ko) 작업대용 스토퍼
KR101814713B1 (ko) 이동식 작업대
JP6430720B2 (ja) 幅木固定具及び幅木取付構造
KR100753475B1 (ko) 전도방지장치
KR102564432B1 (ko)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
JP3184052U (ja) 手摺取付金具
JP5413776B2 (ja) 支保工ジャッキダウン装置
JP2018188901A (ja) 支保工におけるパイプサポートの連結装置
JP2017008657A (ja) 仮設足場用幅木の取付具
JP3962590B2 (ja) 手摺装置
US7311178B2 (en) Work piece support hinge assembly
KR101077761B1 (ko) 높이조절장치 및 이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작업대
AU2010100901B4 (en) Work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