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432B1 -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432B1
KR102564432B1 KR1020210050957A KR20210050957A KR102564432B1 KR 102564432 B1 KR102564432 B1 KR 102564432B1 KR 1020210050957 A KR1020210050957 A KR 1020210050957A KR 20210050957 A KR20210050957 A KR 20210050957A KR 102564432 B1 KR102564432 B1 KR 10256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formwork
support frame
beam formwor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529A (ko
Inventor
장병곤
Original Assignee
장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곤 filed Critical 장병곤
Priority to KR102021005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4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거푸집에 대한 받침골조의 고정 및 해체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받침골조의 고정이 견고한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받침골조와, 상기 받침골조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받침골조 및 회전축이 관통 결합되는 파지모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모듈은 받침골조와 회전축이 관통 결합되는 이동체와, 이동체의 내부에 구성되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파지모듈을 이동시키는 암나사부와, 이동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보거푸집의 양 측면에서 보거푸집에 접촉되는 파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Supporting Plate Fixture for Formwork}
본 발명은 보거푸집에 대한 받침골조의 고정 및 해체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보거푸집의 재질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보거푸집의 훼손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래브에는 격자형태로 보가 형성되는데, 위 보는 거푸집에 의해 형성된다. 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인양한 다음 거치하고, 이어서 서포트로 지지하여 위 거푸집의 인양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서포트의 지지를 위해 거푸집 저면에 받침골조를 고정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거푸집 저면의 받침골조를 고정하기 위하여 받침골조와 별도로 구성되는 고정구를 이용하거나 혹은 거푸집 외면에 받침골조를 직접 고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받침골조 고정방식 중 고정구를 이용하는 방식은 고정구와 받침골조를 연결하여야 하여야 하는 구성과 고정구를 거푸집 외면에 고정하는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고, 받침골조를 직접 고정하는 방식은 거푸집 저면으로 향하는 고정작업이 필요하므로 중량의 거푸집을 인양하기 전에 고정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워 실제로 시행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현재에는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나, 이 방식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구의 하측을 받침골조에 연결하는 작업과 상측을 거푸집 외면에 고정하여야 하는 작업을 연동할 수 없기 때문에 받침골조의 고정작업 시간이 길어짐은 물론 작업도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슬래브 보를 완성한 다음 거푸집으로부터 받침골조의 해체 작업도 쉽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특히 위 방식은 못이나 볼트 등과 같은 고정요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연강판 거푸집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KR)특허등록 제1366483호
본 발명은 종래의 받침골조 고정방식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보거푸집에 대하여 받침골조의 고정과 해체를 최소한의 조작으로 시행할 수 있는 슬래브 보거푸집 받침골조 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못이나 볼트 등과 같은 고정요소를 사용할 수 없는 아연강판 보거푸집에도 사용이 가능한 슬래브 보거푸집 받침골조 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골조 파지장치의 파지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보거푸집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래브 보거푸집 받침골조 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보거푸집 받침골조 파지장치는 이동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받침골조와, 상기 받침골조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받침골조 및 회전축이 관통 결합되는 파지모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모듈은 받침골조와 회전축이 관통 결합되는 이동체와, 이동체의 내부에 구성되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파지모듈을 이동시키는 암나사부와, 이동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보거푸집의 양 측면에서 보거푸집에 접촉되는 파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지체를 일체화한 이동체를 받침골조와 결합한 다음, 회전축의 회전만으로 받침골조를 보거푸집에 고정하거나 해체할 수 있어 보거푸집에 대한 받침골조의 고정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볼 발명은 못이나 볼트 등과 같은 고정요소를 사용할 수 없는 아연강판 보거푸집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보거푸집의 재질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받침골조 파지장치의 파지력을 작업자가 조절할 수 있어 보거푸집의 훼손이 최소화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결합한 측 단면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파지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파지체 형상에 따른 파지력의 작용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하지 아니한 파지체 형상에 따른 파지력의 작용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의 작용 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해결하기 위한 구제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결합한 측 단면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는 이동홈(110)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받침골조(100)와, 상기 받침골조(10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회전축(200)과, 상기 받침골조(100) 및 회전축(200)이 관통 결합되는 파지모듈(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도 2, 도 3을 참조하면 받침골조(100)는 다각형 관체 형상으로서, 상부면과 하부면에 이동홈(11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홈(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골조(100)의 바깥쪽 양측 단부에서 시작되어 받침골조(100)의 중앙 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홈(1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파지모듈(300)의 암나사부(311)와 이동체(310)를 연결하는 연결부(312)가 접속되어, 이동체(310)가 받침골조(100)를 따라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첨부된 도면에는 받침골조(1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홈(110)이 형성되어 있으나, 암나사부(311)의 연결부(312) 형성 방향에 따라 이동홈(110)의 형성 위치는 변화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00)은 받침골조(100)의 양측 단부에 접속 결합되는 지지체(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200)은 둘레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받침골조(100)보다 외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공(21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220)는 받침골조(100)의 양측 단부에 접속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00)이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221)을 포함한다.
회전축(200)의 나사산은 아래에서 설명될 파지모듈(300)의 암나사부(311)와 체결되어 회전축(200)의 회전에 따라 파지모듈(300)이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하고, 손잡이공(210)에는 회전축(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작업공구가 접속된다. 상기 작업공구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드라이버나 라쳇등과 같이 소정 길이로 손잡이가 형성된 작업공구를 의미한다.
상기 손잡이공(210)은 회전축(200)의 90도 방향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배제하도록 작용하여, 회전축(200)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회전축(200)의 적재 및 보관시 공간을 절약한다.
도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파지모듈(300)은 받침골조(100)와 회전축(200)이 관통 결합되는 이동체(310)와, 상기 이동체(310)의 내부에 구성되되 회전축(200)과 나사 결합되어 회전축(200)의 회전에 따라 파지모듈(300)을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암나사부(311)와, 상기 이동체(310)의 상부에 구성되어 보거푸집(400)의 양 측면에서 보거푸집(400)과 접촉되는 파지체(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체(310)는 받침골조(100)가 관통 결합 가능하도록 내면 형태가 받침골조(100)의 외면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바닥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서포트지지구(313)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지지구(313)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거푸집을 인양하여 인양 위치를 서포트(500)로 하부에서 고정할 때, 서포트지지구(313)가 서포트(500) 중앙의 구멍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서포트(5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암나사부(311)는 이동체(310)의 내부에 구성되어 회전축(200)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암나사부(311)와 이동체(310)를 결합하는 연결부(312)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에는 연결부(312)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받침골조(100)의 이동홈(110) 또한 받침골조(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12)는 받침골조(100)의 이동홈(110)에 접속되어 파지모듈(300)이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용하며, 연결부(312)의 형성 방향에 따라 받침골조(100)의 이동홈(110) 형성 방향은 변화될 수 있다.
파지체(320)는 이동체(310)의 상부에 구성되며, 내측방향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파지면(321)과, 상기 파지면(321)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하부지지면(324)과, 상기 파지면(321)의 상단에서 외측 하부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경사지지면(323)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면(321)은 한 개 이상 형성되는 파지돌기(322)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파지돌기(322)는 파지면(321)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된다. 파지돌기(322)는 보거푸집(400)의 양쪽 측면과 파지면(321)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파지체(320)와 보거푸집(400)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파지체(320)가 포함된 파지모듈(300) 및 파지모듈(300)과 결합된 받침골조(100)가 보거푸집(4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파지돌기(322)는 보거푸집(400)의 재질이 두께가 얇은 금속(아연강판 등)이나 표면경도가 낮은 재질(목재 등)일 경우 파지력이 더욱 향상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돌기(322)는 파지면(321)의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파지모듈(300)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며 파지력을 생성할수록 파지돌기(322)가 보거푸집(400)의 양쪽 측면을 미세하게 파고들어 파지모듈(300)과 결합된 받침골조(100)를 보거푸집(4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지체 형상에 따른 파지력의 작용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하지 아니한 파지체 형상에 따른 파지력의 작용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파지면(321)과 파지돌기(322)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지돌기(322)는 파지면(321)의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파지돌기(322)가 파지면(321)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어야 파지모듈(322)이 더욱 강한 파지력을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면(321)은 상부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야 양쪽 파지모듈(300)이 보거푸집(400) 방향으로 파지력을 형성할수록 파지모듈(300)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파지모듈(300)과 결합된 받침골조(100) 또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받침골조(100)가 보거푸집(4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만약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반대로 파지면(321)의 상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면 양쪽 파지모듈(300)이 보거푸집(400)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지력이 생성될 수록 파지모듈(300)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다라 파지모듈(300)과 결합된 받침골조(100) 또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받침골조(100)가 보거푸집(400)과 분리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200)의 회전에 따라 파지모듈(300)이 보거푸집(400) 방향으로 파지체(320)의 파지력이 생성될 때, 이러한 파지력은 파지면(321)의 상부가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작용하여 보거푸집(400)과 받침골조(100)의 결합력을 약화시킨다. 이 때 경사지지면(323)은 파지면(321)의 상부가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파지체(320)가 강한 파지력을 생성하고 보거푸집(400)과 받침골조(100)의 결합력을 상승시킨다.
도 1, 도 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는 회전축(200)의 손잡이공(210)에 작업공구가 접속되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양쪽 파지모듈(300)이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파지모듈(300)이 파지력을 생성하고, 회전축(200)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양쪽 파지모듈(300)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파지모듈(300)의 파지력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보거푸집(400)에 의해 더 이상 내측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파지모듈(300)에 의해 생성 및 유지되는 파지력은 보거푸집(400)에 받침골조(100)를 고정하도록 작용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는 회전축(200)의 회전만으로 받침골조(100)와 보거푸집(400)을 결합 또는 해제할 수 있으며, 보거푸집(400)의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회전축(200)을 돌리는 간단한 방법으로 대응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200)을 회전시키면 파지모듈(300)의 내측방향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지모듈(300)의 파지력을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보거푸집(400)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이며,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기재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권리범위가 넓은 순서대로 청구할 수 있을 것이다.
100:받침골조 110:이동체 200:회전축
210:손잡이공 220:지지체 221:결합공
300:파지모듈 310:이동체 311:암나사부
312:연결부 313:서포트지지구 320:파지체
321:파지면 322:파지돌기 323:경사지지면
324:하부지지면 400:보거푸집 500:서포트

Claims (2)

  1. 이동홈(110)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받침골조(100)와,
    상기 받침골조(10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회전축(200)과,
    상기 받침골조(100) 및 회전축(200)이 관통 결합되는 파지모듈(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모듈(300)은 받침골조(100)와 회전축(200)이 관통 결합되는 이동체(310)와,
    상기 이동체(310)의 내부에 구성되되 회전축(200)의 회전에 따라 파지모듈(300)을 이동시키는 암나사부(311)와,
    상기 이동체(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보거푸집(400)의 양 측면에서 보거푸집(400)에 접촉되는 파지체(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체(320)는 이동체(310)의 상부에 구성되되,
    내측방향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파지면(321)과,
    상기 파지면(321)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하부지지면(324)과,
    상기 파지면(321)의 상단에서 외측 하부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경사지지면(323)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면(321)은 파지돌기(322)를 더욱 포함하되,
    상기 파지돌기(322)는 파지면(321)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어 파지모듈(300)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며 파지력을 생성할수록 파지돌기(322)가 보거푸집(400)의 양쪽 측면을 파고들어 파지모듈(300)과 결합된 받침골조(100)를 보거푸집(4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
  2. 삭제
KR1020210050957A 2021-04-20 2021-04-20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 KR10256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957A KR102564432B1 (ko) 2021-04-20 2021-04-20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957A KR102564432B1 (ko) 2021-04-20 2021-04-20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529A KR20220144529A (ko) 2022-10-27
KR102564432B1 true KR102564432B1 (ko) 2023-08-07

Family

ID=8381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957A KR102564432B1 (ko) 2021-04-20 2021-04-20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4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42Y1 (ko) * 2015-10-01 2017-11-09 주식회사 동신텍 빔 브라켓
KR101936335B1 (ko) * 2017-03-09 2019-01-08 양승진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275A (ko) * 2009-04-30 2010-11-09 (주)베이스테크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1366483B1 (ko) 2012-09-11 2014-02-21 최재주 개량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42Y1 (ko) * 2015-10-01 2017-11-09 주식회사 동신텍 빔 브라켓
KR101936335B1 (ko) * 2017-03-09 2019-01-08 양승진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529A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0863A (en) Support
US2832559A (en) Adjustable brace
CN213085420U (zh) 一种用于钢构件的翻转装置
KR102564432B1 (ko)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
JP2008286273A (ja) 接続具
JP2008291442A (ja) 仮受け材、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の施工方法
JP4377311B2 (ja) 杭柱建込装置
JP2021161675A (ja) 耐震補強金物、及び、耐震補強構造
JPH08284424A (ja) 鉄骨柱の建方工法及び調整治具
KR102336494B1 (ko) 슬래브 보거푸집의 받침골조 파지장치
JP6220471B1 (ja) 転倒防止支柱
KR102316605B1 (ko) 핸드 팔레트 트럭용 코어 드릴 고정 지그
US9617125B2 (en) Crane with automatic adjustable tightening mechanism
TW201533407A (zh) 太陽能追日系統之牽引裝置固定結構
JP5080343B2 (ja) 梁調整治具なら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調整治具用構成部材
EP3216742B1 (en) Crane with automatic adjustable tightening mechanism
JP2769867B2 (ja) フランジの孔合せ冶具
JP2001334364A (ja) 多関節型溶接ロボットによる鉄骨柱の溶接方法
CN215629322U (zh) 一种t梁临时用可拆卸支座
JPS6016634Y2 (ja) ジブブ−ムの格納支持装置
CN218204910U (zh) 一种用于钢结构的空中立式连接装置
CN112917186B (zh) 一种辅助铲花治具
KR200317628Y1 (ko) 파이프 용접용 지그
CN211470561U (zh) 一种土建工地起吊装置
JPH02451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