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562A -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562A
KR20190040562A KR1020170129630A KR20170129630A KR20190040562A KR 20190040562 A KR20190040562 A KR 20190040562A KR 1020170129630 A KR1020170129630 A KR 1020170129630A KR 20170129630 A KR20170129630 A KR 20170129630A KR 20190040562 A KR20190040562 A KR 2019004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upport
receiving portion
heigh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056B1 (ko
Inventor
신용판
황문길
Original Assignee
신용판
황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판, 황문길 filed Critical 신용판
Priority to KR102017012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0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주로 문틀 또는 벽체용 단열 석고보드를 받치는 것이며 하부받침부와 상부받침부로 구성된다.
하부받침부는 상부받침부가 들어가 승강하는 중공부를 가지는 몸체와, 몸체 하단에 형성된 받침편으로 구성되고 몸체 전면 상부에는 절개선에 의하여 뒤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작동편이 형성되고 작동편 상단에는 손잡이와 걸림편이 전후 방향으로 일체 돌출형성되어 손잡이를 누르면 작동편이 뒤로 휘어지고 놓으면 복원되는 작용에 의하여 걸림편이 전후진하도록 하고 상부받침부에는 상단부에 문틀이나 석고보드를 직접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단면이 "┣┫"형상인 몸체 중앙부 전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상하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받침부의 몸체가 하부받침부의 몸체 내에 들어 승강할때 하부몸체의 걸림편에서 돌출한 삽입돌부가 상부받침부의 몸체에 형성된 걸림홈에 들어가 걸리거나 이탈하는 작동에 의하여 상부받침부의 승강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건축용 받침구의 높이 조절이 신속용이하면서 높이조절 후 슬립현상이 없어 받침이 견고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아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판매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건축용 받침구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SUPPORT UNIT FOR BUILDING}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신속 용이하면서 받침이 견고하며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원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문틀 받침구 또는 벽체 단열용 석고보드 받침구로 사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틀을 시공할 때는 문틀을 문틀용 개구부에 임시고정한 상태에서 문틀 하부와 그 주변을 몰탈시공하여 설치하게 되며 이때 문틀 하부를 받쳐 고정시키기 위하여 문틀 받침구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받침구는 벽체 시공시 단열용 석고보드 받침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 벽체 시공시에는 단열용 석고보드를 콘크리트 벽체에 반죽한 석고본드로 부착하게 되는데 반죽한 석고본드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받침구로 석고보드를 받쳐 주는 것이다.
받침구로 문틀 또는 석고보드를 받쳐 고정시킬 때는 받친 후 높이가 낮아져서는 안될 뿐만 아니라 양측을 받치므로 양측 받침구의 높이를 조절하여 문틀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문틀 받침구는 높이 조절이 신속하고 용이하여야 하고 조절 후 문틀의 하중에도 높이가 변경되지 않도록 견고한 지지력을 가져야 한다.
건축영 받침구에 관한 선행기술로서는 실용신안등록 제269653호 '문틀 받침대(선행기술 1)', 특허 제1017110 '문틀 고임장치(선행기술 2)',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499호 '문틀 받침용 수평조절기구(선행기술 3)'등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1 내지 3은 모두 받침구의 높이 조절을 나사식으로 하는 것으로서 높이 조절을 위하여는 나사를 회전시켜 승강되게 하므로 승강이 신속하지 못하고 작업자가 나사관을 손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반복작업하면 손아귀에 피로감이 오고 힘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문틀 받침구의 승강조절이 신속용이하지 못하면 결국 문틀시공작업에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공정이 지체된다.
상기와 같은 나사승강 방식과는 다르게 마주하는 톱니형 고정돌기가 서로 접촉하거나 이완되게 하므로서 승강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특허 제967890호 '높낮이가 조정되는 받침대(선행기술 4)'가 있다.
선행기술 4는 고정관체(1)와 고정관체(1) 내에서 승강하는 가동관체(3)를 구성하고 가동관체(3) 양측에 톱니형 마찰돌기(3c)를 형성하고 고정관체(1)에는 전후 작동판(30)을 형성하고 전후 작동판(30)에 가동관체(3)의 톱니형 마찰돌기(3c)에 접촉하여 결합하고 강제 이완되는 톱니형 고정돌기(20a)를 각각 형성한 구성으로서 높이를 조절할 때는 고정관체(1)의 전후 작동판(30) 상단에 앞뒤로 돌출하게 형성된 손잡이(22)를 잡고 앞뒤로 당겨 톱니형 마찰돌기(3c)와 톱니형 고정돌기(20a)가 서로 이완되게 하면 가동관체(3)가 승강가능하게 되므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높이조절이 완료되면 이완된 톱니형 고정돌기(20a)를 복원시켜 톱니형 마찰돌기(3c)와 서로 접촉되게 하므로서 높이가 고정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4의 높낮이 조정 받침대(이하 받침구라 함)는
첫째 : 톱니형 마찰돌기(3c)와 톱니형 고정돌기(20a)가 서로 접촉하는 마찰결합력에 의하여 문틀의 무게로 인한 슬립이 방지되도록 한 구성이므로 마찰결합력이 항상 완벽하여야 하며 사용에 의한 이완 또는 기타 사유로 마찰력이 부족하거나 약화될 경우 슬립현상이 발생하므로서 높이조절 후 가동관체(3)가 미끌어져 내려올 우려가 있고,
둘째 : 제조하기가 어렵거나 거의 불가능하다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선행기술 4에서 지지판(2a)은 매우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하여야 그 외주에 형성한 고정홈(2c)을 이용하여 사각형구멍(1c)에 결합이 가능한 것이고 이와는 다르게 톱니형 고정돌기(20a)가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판(20)은 매우 단단한 재질로 제조하여야 쉽게 벌어져 이완되지 않고 톱니형 고정돌기(20a)가 완벽한 접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임에도 도면 2에 도시한 구성을 보면 작동판(20)과 연결편(21)이 지지판(2a)과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다. 연결편(21) 역시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여야 작동판(20)이 쉽게 벌어지지 않으므로 작동판(20)과 연결편(21)은 단단한 재질이고 지지판(2a)은 부드러운 재질임에도 이들을 일체로 형성한다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이고 제조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할 수 있다.
셋째 : 부드러운 재질의 지지판(2a)과 연결편(21)으로 연결된 작동판(20)은 지지판(2a)의 부드러운 재질때문에 견고한 지지력을 가질 수 없어 쉽게 외측으로 벌어지므로 톱니형돌기간(3c,20a)의 접촉력부족으로 쉽게 슬립현상을 가져오게 된다.
즉 지지판(2a)은 고정홈(2c)을 이용하여 사각형구멍(1c)에 결합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그 재질이 부드러워야 하고 지지판(2a)과 작동판(20)을 연결하는 연결편(21)도 당기면 휘어지는 구성이다. 연결편(21)의 구성을 선행기술 4의 도면 1 내지 3에 의하여 살펴보면 연결편(21)은 작동판(20) 보다는 얇고(도면 2) 폭도 좁아(도면 3) 손잡이(22)를 당겨 작동판(20)을 벌릴 때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이와 같이 당기면 휘어지도록 한 연결편(21)을 부드러운 지지판(2a)과 결합한 구성이므로 연결편(21)은 쉽게 뒤로 휘어질 수 있고 쉽게 뒤로 휘어지는 연결편(21)이 견고한 지지력을 가질 수 없고 연결편(21)에 의하여 지지되는 작동판(20)도 톱니형돌기(3c)가 쉽게 벌어져 이완되지 않도록 단단히 지지하는 견고한 지지력을 가질 수 없는 것이므로 작동판(20)에 일체로 형성된 톱니형돌기(3c)가 쉽게 벌어져 톱니형 마찰돌기(20a)와 이완되고 슬립현상을 가져오게 되므로 실제로 선행기술 4는 건축용 받침구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넷째 : 생산시 금형탈형과 조립작업이 어려운 구성이다.
선행기술 4는 생산한다 해도 조립공정에서 지지판(2a)을 지지판(2a) 둘레에 형성된 고정홈(2c)을 이용하여 사각형구멍(1c)에 결합하는 것을 사람의 손으로 하여야 하므로 조립이 어려워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고 사각구멍(1c), 지지판(2a), 작동판(20), 연결편(21)은 서로 정밀하게 치합되어야 되도록 형성하여야 하는 톱니형 돌기들 등의 구성이 복잡하여 금형제조와 탈형공정에서도 불리하다.
다섯째 : 높이조절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
선행기술4의 문틀 받침대는 작동판(20)을 당기는 손잡이(22)가 작동판(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어(상단에 형성하지 않을 수 없음)톱니형돌기를 이완시키기 위하여 손잡이(22)를 당기면 작동판(22)의 상부부터 벌어지므로 그에 따라 상부 톱니형돌기부터 이완되고 하부톱니형 돌기는 아직 서로 결합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작동판(20) 하부의 톱니형돌기까지 모두 이완시키려면 손잡이(22)를 약간 당기는 정도가 아니라 상당히 당겨야 하므로 당기는 작업자가 힘이 들뿐 아니라 너무 당기면 단단한 재질의 연결편(21)이 자칫 부러질 우려가 있고 적게 당기면 하부톱니형돌기의 이완이 부족하게 되므로 하부톱니형 돌기가 완전히 이완되면서 연결편(21)이 부러지지 않도록 적절히 당긴다는 점이 매우 어렵고 힘들다.
또한 손잡이(22)의 구성도 사용이 불편하다. 즉 손잡이(22)가 받침대 전후로 돌출한 구성이어서 뒷쪽 손잡이(22)는 작업자가 눈으로 볼 수 없으므로 잡기가 불편하고 앞쪽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손잡이(22)를 전후로 당기면서 벌리는 것은 좌우로 당겨 벌리는 것에 비하여 힘이 드는 등 받침대 높이 조절작업이 어렵고 불편한 것이다.
여섯째 : 높이 조절에 인력이 배로 소요된다.
선행기술 4에서 가동관체(3)의 승강조절은 한 사람이 할 수 없고 두 사람이 하여야 한다. 즉 한 사람이 전후 손잡이(22)를 두손으로 잡고 당기면 다른 사람이 가동관체(3)를 잡고 승강시키면서 높이조절을 하여야 하므로 선행기술 4에서 문틀 받침대 높이조절은 2명이 하여야 하므로 혼자할 수 있는 것에 비하여 2배의 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선행기술 4는 기술적으로 제조자체가 어렵고 제조한다 해도 조립공정에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사용하기에 불편할 뿐 아니라 슬립현상발생으로 받침구로 사용이 어려운 등 여러가지 문제가 많은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69653호 '문틀 받침대(선행기술 1)' 등록특허 제1017110 '문틀 고임장치(선행기술 2)'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499호 '문틀 받침용 수평조절기구(선행문헌 3) 등록특허 제967890호 '높낮이가 조정되는 받침대(선행기술 4)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이 승강조절이 나사식에 비하여 신속 용이하면서 톱니 고정형에 비하여 높이조절 후 슬립현상없이 받침이 확실하고 사용하기가 편리하면서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건축용 받침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용 받침구를 하부받침부와 상부받침부로 구분구성하고 상부받침부는 하부받침부 내에서 승강되게 하며 하부받침부의 몸체 전면 상단에 작동편을 형성하고 작동편의 상단에는 상부받침부의 걸림홈에 출입하는 걸림편을 걸림홈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하였으며 걸림홈은 상부받침부의 전면에 상하 다단으로 형성하되 걸림홈의 상측내벽면을 수평면으로 하여 걸림편이 걸림홈에 들어오면 수평내벽면에 걸리도록 하므로서 걸림이 견고하도록 하고 걸림홈의 하측내벽면은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내벽면으로 구성하므로서 상부받침부를 위로 당겨 올리면 작동편을 뒤로 젖혀 걸림편을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키지 않아도 걸림홈의 하부 경사내벽면에 의하여 걸림돌출편이 걸림홈 밖으로 미끌어져 나아도록 하여 쉽게 상부받침부가 상승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받침부의 작동편 손잡이를 건축용 받침구의 정면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하부 받침부의 받침판을 측면으로 다소 길게 돌출하도록 하므로서 높이를 승강조절할 때는 측면으로 길게 돌출한 받침판을 밟고 한손으로 정면으로 돌출한 손잡이를 잡고 당기면서 다른 손으로 상부받침부를 잡고 혼자서 승강시켜 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마찰력에 의하는 톱니형 돌기접촉형과 달리 걸림홈(33)에 걸림편(26)의 삽입돌부(26b)가 들어가 수평 내벽면(33a)에 걸리는 구성이므로 걸림이 견고하여 높이조절후 슬립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작동편(25)의 반복사용에도 걸림이 이완될 우려가 없어 항상 받침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나사를 회전시켜 승강조절하는 나사식과 달리 본 발명은 다단형으로 형성한 걸림홈(33) 한개씩 승강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개의 걸림홈(33)을 한 번에 승강시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승강조절이 신속하고 나사관 회전방식이 아니고 손잡이(27) 눌름방식이므로 승강조절이 힘이들지 않아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이 높다.
본 발명은 또한 하부받침부(10)의 받침판(22)이 측면으로 돌출하고 손잡이(27)가 정면으로 돌출하는 구성이므로 혼자 받침판(22)을 밟고 손잡이(27)를 눌러 쉽게 높이 조절할 수 있어 두사람이 함께 조절해야 하고 전후 손잡이를 잡고 벌리기가 힘든 톱니형 돌기접촉형에 비하여 조절작업에 인력과 시간이 절감된다.
건축용 받침구를 제조함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나사 결합식 받침구나 톱니접촉형 받침구에 비하여 구성이 간단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조립하기도 쉬우므로 생산성이 높고 재료비가 적게 들어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문틀 받침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상,하부받침부를 분해한 사시도로서
(a)는 앞쪽이 보이는 사시도,
(b)는 뒷쪽이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상,하부받침부의 몸체 횡절단면도로서
(a)는 상부받침대의 몸체 횡절단면도,
(b)는 하부받침부의 몸체 횡절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상부받침부에 형성한 걸림홈의 확대종단면도와 확대정면도로서
(a)는 확대종단면도,
(b)는 확대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걸림편과 손잡이 부분의 확대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손잡이 저면의 보강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상부받침부와 하부받침부를 결합한 상태의 횡절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용 받침구(1)는 합성수지재로 성형제조하며 그 구성을 크게 나누면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받침부(20)와 상부받침부(30)로 구분 구성된다.
하부받침부(20)는 몸체(21)와 받침판(22)으로 구성되며 하부받침부(20)의 몸체(21)는 사각통체로서 내부에 상부받침부(30)의 몸체(31)가 삽입되어 승강하는 공간인 중공부(23)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받침부(20)의 하단부에는 하부받침부(20)를 지지하는 받침판(22)을 일체로 형성하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22)은 좌측(정면에서 보아)으로 길게 더 돌출한 받침측편(22a)을 갖도록 하며 받침측편(22a)은 건축용 받침구(1) 높이조절시 작업자가 쉽게 발로 밟아 하부받침부(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도 1,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받침부(20)의 몸체(21) 정면부(20a)에는 작동편(25)이 일체로 형성되고 작동편(25)의 상단에는 걸림편(26)과 손잡이(27)가 전후로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하였다.
도 3의 (b), 하부받침부(20) 횡절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받침부(20)의 몸체(21)는 두께 구성에 있어 정면부(20a)가 다소 얇고 나머지 3면은 모두 두껍게 형성하므로서 하부받침부(20)가 전체적으로는 견고하면서 정면부(20a)에 일체로 형성하는 작동편(25)은 두께가 얇아 손잡이(27)를 누르면 작동편(25)이 뒤로(정면쪽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손잡이(27)를 놓으면 휘어진 작동편(25)이 반발하여 원래 자리로 복원하므로서 손잡이(27)와 반대측으로 돌출한 걸림편(26)이 전후진작동하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작동편(25)의 양측에 형성한 절개선(25a)은 작동편(25)이 뒤로 휘어지고 복원하는 작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두께가 얇은 정면부(20a)의 견고성 보강을 위한 보강돌편(25b)을 절개선(25a) 아래에 일체로 돌출형성하였다.
보강돌편(25b)은 정면부(20a)를 보강하여 견고성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작동편(25)이 쉽게 뒤로 휘어지지 않도록 하므로서 걸림편(26)이 후술하는 상부받침부(30)의 걸림홈(33)에 들어간 후에는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작동편(25)의 상단에 정면쪽으로 돌출하는 손잡이(27)의 아래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편(27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27)를 강하게 눌러도 손잡이(27)가 휘어지거나 절단, 파손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보강편(27a)은 또한 손잡이(27)의 누르는 힘이 작동편(25)에 바로 그대로 전달되게 한다.
작동편(25)의 상단에 도 2와 같이 손잡이(27)와 반대측(뒷쪽)으로 돌출하는 걸림편(26)은 상부받침부(30)에 다단으로 여러개 형성된 걸림홈(33)에 들어가 걸리므로서 상부받침부(30)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거나 걸림홈(33)을 이탈하여 상부받침부(30)의 승강을 자유롭게 하며 이러한 걸림편(26)의 걸림홈(33) 출입작동은 손잡이(27)에 의한 작동편(25)의 전후진 운동에 의한다.
도 5를 보면 걸림편(26)은 손잡이(27)와 일체로 연결형성된 본체(26a)와, 본체(26a) 양측에 본체(26a)보다 두껍고 본체(26a)보다 더 돌출한 삽입돌부(26b)로 구성되어 있고 이 한쌍의 삽입돌부(26b)가 역시 2개씩 한 쌍으로 형성된 걸림홈(33)에 삽입되고 이탈한다.
삽입돌부(26b)의 돌출정도는 걸림홈(33)의 깊이와 거의 일치한다.
상부받침부(30)는 도 2, 도 3에서와 같이 몸체(31)와, 몸체(31)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직접 문틀 또는 석고보드를 받쳐주는 지지판(32)으로 구성된다.
상부받침부(30)의 몸체(31)는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31)의 전후가 요입된 단면 "┣┫"형상으로서 양측부(31a)와 중앙부(31b)로 구분된다.
상부받침부(30)의 몸체(31)가 "┣┫"형상이면 재료비가 절감되면서 하부받침부(20)에 들어가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의 양측부(31a)가 하부받침부(20)의 몸체(21) 내벽과 접촉지지되므로서 몸체(21) 내에서 유동하지 않게 된다.
몸체(31)의 중앙부(31b) 앞면에는 위에서 아래로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걸림홈(33)들이 한쌍씩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33)은 2개씩 쌍으로 형성한 구성이나 반드시 2개씩하지 않아도 된다. 즉 걸림편(26)이 들어와 걸리도록 구성하면 되므로 한 개를 옆으로 길게 형성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도 4는 걸림홈(33)의 구성을 알 수 있도록 도시한 것으로서 걸림홈(33)의 상측내벽면(33a)은 걸림작용을 하도록 수평으로 형성하였고 걸림홈(33)의 하측에는 외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내벽면(33b)을 형성하여 걸림홈(33)에 삽입된 삽입돌부(26b)가 상부받침부(30) 상승시에는 삽입돌부(26b)를 이탈시키는 별도의 손잡이(27) 누름 동작없이 경사내벽면(33b)의 작용으로 저절로 걸림홈(33) 밖으로 밀려나가므로서 상부받침부(30)의 상승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건축용 받침구(1)의 높이를 낮출때는 작동편(25)의 손잡이(27)를 눌러 작동편(25)이 뒤로 휘어지게 하므로서 걸림편(26)의 삽입돌부(26b)가 걸림홈(33)을 이탈되게 하여야 상부받침부(30)를 하강시킬 수 있어 높이를 낮출 수 있으나 높이를 더 높게 조절할 때는 작동편(25)을 후진시키는 별도의 동작없이 상부받침부(30)를 위로 당겨올리는 동작만으로 삽입돌부(26b)가 걸림홈(33)의 하부 경사내벽면(33b)에 의하여 걸림홈(33) 외부로 밀려나가게 되므로 상승이 가능하여 높이조절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 걸림홈(33)과 삽입돌부(26)의 걸림은 수평적 걸림이므로 톱니형 돌기접촉방식과 다르게 슬립현상의 우려가 없다.
톱니형 돌기접촉방식에서는 슬립의 우려때문에 접촉력 보강을 위하여 전후양면에 돌기를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슬립현상의 우려가 없는 걸림방식이므로 걸림홈(33)을 전후양면에 형성할 필요가 없고 전면에만 형성하여도 된다.
걸림홈(33)에 삽입된 걸림편(26)의 삽입돌부(26b)는 수평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역시 수평인 걸림홈(33)의 상측 수평내벽면(33a)과 접촉되어 걸려있는 것이므로 수직으로 누르는 문틀이나 석고보드의 무게때문에 뒤로 밀려나가지 않으므로 걸림홈(33)을 이탈할 우려가 없고 작동편(25)도 쉽게 뒤로 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걸림이 분명하고 견고하여 톱니형돌기가 접촉지지하는 선행기술 4와 달리 상부받침부(30)가 문틀이나 석고보드 무게에 의하여 아래로 슬립하지 않는다.
본 발명 걸림홈(33)의 정면형상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타원형이고 이에 출입하는 삽입돌부(26b)의 단면형상도 같은 타원형으로서 걸림홈(33)의 내경이 삽입돌부(26b)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걸림홈(33)과 삽입돌부(26b)는 각이 없는 타원형이고 걸림홈(33)이 삽입돌부(26b)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 삽입돌부(26b)의 걸림홈(33) 출입에 걸림이 없고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하부받침부(20)의 옆으로 길게 돌출하는 받침측편(22a)이 형성된 받침판(22)은 높이조절작업시 작업자가 한쪽발로 받침측편(22a)을 밟아 건축용 받침구(1)를 고정시키기 편리하고 손잡이(27)가 앞쪽으로 돌출한 것은 일반적으로 횡으로 길게 직사각형으로 형성하는 상부받침부(30)의 지지판(32) 양측 아래에 손잡이(27)가 가려지지 않고 앞으로 돌출하여 작업자의 눈에 잘 보이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이조절작업시에 작업자는 측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된 받침측편(22a)을 밟고 한손으로 정면으로 돌출하여 잘보이는 손잡이(27)를 누르고 다른 손으로 상부받침부(30)를 잡고 하강시키거나 또는 손잡이(27) 눌름동작없이 그대로 상부받침부(30)만 위로 당겨 상승시키거나 하여 건축용 받침구(1)의 높이를 조절하므로 혼자서도 쉽고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점은 선행기술 4에서 앞뒤로 돌출한 손잡이(22)를 한사람이 두손으로 잡고 전후로 당기면 다른 한 사람이 가동관체(3)를 잡고 승강시켜야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뒷쪽의 손잡이(22)는 작업자가 눈으로 볼 수 없어 잡기가 불편하고 잡은 다음에도 앞에 앉은 사람이 손을 뒤로 넣어 잡고 뒤로 당긴다는 것은 힘주기가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는 톱니형 돌기접촉형 받침구와 대비된다.
건축용 받침구는 문틀 또는 석고보드의 좌우 아래를 받쳐 높이를 유지하고 수평되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문틀 또는 석고보드를 받친 후 받침구의 고정이 불안정하여 문틀 또는 석고보드의 무게 때문에 슬립하므로서 높이가 낮아지면 문틀의 높이와 수평이 유지되지 못하므로 받침구로 사용할 수가 없는 것이고 본 발명은 이점에 관하여 톱니형 돌기접촉형과 달리 슬립의 우려가 전혀 없는 견고한 받침구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다소 복잡한 나사식 결합의 선행기술 1 내지 3 또는 제조하기가 어렵거나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보이는 선행기술 4에 비하여 구성이 훨씬 간단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 후 조립시에는 상부받침부(30)를 하부받침부(20)의 중공부(23) 속으로 넣으면 조립이 완성되므로 조립성이 양호하여 생산성이 높고 인력과 재료비가 절감되므로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1)-- 건축용 받침구 (20)-- 하부받침부
(20a)-- 정면부 (21)-- 몸체
(22)-- 받침판 (22a)-- 받침측편
(23)-- 중공부 (25)-- 작동편
(25a)-- 절개선 (25b)-- 보강돌편
(26)-- 걸림편 (26a)-- 본체
(26b)-- 삽입돌부 (27)-- 손잡이
(27a)-- 보강편 (30)-- 상부받침부
(31)-- 몸체 (31a)-- 양측부
(31b)-- 중앙부 (32)-- 지지판
(33)-- 걸림홈 (33a)-- 상측내벽면
(33b)-- 경사내벽면

Claims (5)

  1. 건축용 받침구에 있어서,
    받침판(22)과 몸체(21)로 구성되고 몸체(21) 내에 중공부(23)가 형성된 하부받침부(20)와,
    상기 하부받침부(20)의 중공부(23) 내에 몸체(31)가 들어가 승강하며 몸체(31) 상단에 지지판(32)이 형성된 상부받침부(30)와,
    상기 상부받침부(30)의 몸체(31) 전면에 일정간격 상하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33)과,
    상기 하부받침부(20)의 몸체(21) 정면부(20a)에 절개선(25)에 의하여 뒤로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작동편(25)과,
    상기 작동편(25) 상단에 형성되고 작동편(25)를 뒤로 휘어지게 해주는 손잡이(27)와,
    작동편(25) 상단에 손잡이(27)와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편(26)과,
    걸림편(26)과 일체로 형성되고 걸림편(26)의 본체(26a) 보다 더 돌출하여 상부받침부(30)의 걸림홈(33)에 삽입되어 걸리므로서 상부받침부(30)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고 손잡이(27)에 의하여 작동편(25)이 뒤로 휘어지면 걸림편(26)과 함께 후진하여 걸림홈(33)을 이탈하므로서 상부받침부(30)가 하강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삽입돌부(26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부(20)의 몸체(21)는 정면부(20a)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정면부(20a)와 일체로 형성하는 작동편(25)이 뒤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되, 정면부(20a) 이외 부분은 정면부(20a)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하부받침부(20)의 견고성이 향상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부(20)의 몸체(21)의 정면부(20a)에는 절개선(25a) 아래에 보강돌편(25b)을 형성하여 작동편(25)이 필요이상 휘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정면부(20a)의 견고성을 보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부(20)의 받침판(22)은 몸체(21)의 측방향으로 길게 돌출하는 받침측편(22a)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발로 쉽게 밟아 받침판(2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부(30)의 몸체(31)에 형성하는 걸림홈(33)은 상측내벽면(33a)을 수평면으로 하여 삽입돌부(26b)와의 걸림이 견고하도록 하고 하측내벽에는 외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내벽면(33b)을 형성하므로서 상부받침부(30) 상승시에는 삽입돌부(26b)가 경사내벽면(33b)에 의하여 저절로 걸림홈(33)을 벗어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KR1020170129630A 2017-10-11 2017-10-11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KR10206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30A KR102069056B1 (ko) 2017-10-11 2017-10-11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30A KR102069056B1 (ko) 2017-10-11 2017-10-11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562A true KR20190040562A (ko) 2019-04-19
KR102069056B1 KR102069056B1 (ko) 2020-02-11

Family

ID=6628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630A KR102069056B1 (ko) 2017-10-11 2017-10-11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0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558B1 (ko) * 2021-04-22 2021-12-01 이수호 금속 프로파일과 브라켓의 고정장치
KR20220000938U (ko) * 2020-10-23 2022-05-02 이천우 기둥 거푸집 지지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653B1 (ko) 1991-05-15 2000-10-16 뻬. 샤레똥 원자로용 제어봉 클러스터 수직안내장치
KR100446941B1 (ko) 2002-04-12 2004-09-01 일진다이아몬드(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46941Y1 (ko) * 2009-07-06 2009-12-09 조용식 마루판 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받침대
KR100967890B1 (ko) 2008-12-05 2010-07-06 양선주 인터넷 전화의 품질 및 품질 장애 분석방법
KR101017110B1 (ko) 2010-04-02 2011-02-25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문틀고임장치
KR20110004499U (ko) 2009-10-29 2011-05-06 신용판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KR101175902B1 (ko) * 2011-09-20 2012-08-21 손동준 높낮이 조절용 상다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653B1 (ko) 1991-05-15 2000-10-16 뻬. 샤레똥 원자로용 제어봉 클러스터 수직안내장치
KR100446941B1 (ko) 2002-04-12 2004-09-01 일진다이아몬드(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67890B1 (ko) 2008-12-05 2010-07-06 양선주 인터넷 전화의 품질 및 품질 장애 분석방법
KR200446941Y1 (ko) * 2009-07-06 2009-12-09 조용식 마루판 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받침대
KR20110004499U (ko) 2009-10-29 2011-05-06 신용판 문틀받침용 수평조절기구
KR101017110B1 (ko) 2010-04-02 2011-02-25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문틀고임장치
KR101175902B1 (ko) * 2011-09-20 2012-08-21 손동준 높낮이 조절용 상다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938U (ko) * 2020-10-23 2022-05-02 이천우 기둥 거푸집 지지 장치
KR102331558B1 (ko) * 2021-04-22 2021-12-01 이수호 금속 프로파일과 브라켓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056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0562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받침구
TW201350058A (zh) 椅扶手高低調整結構
JP2014514072A (ja) 引出し用の引き出しガイド
CN110840086A (zh) 学生课桌椅的按压杠杆式升降调节机构
CN211323648U (zh) 学生课桌椅的按压杠杆式升降调节机构
CN211956105U (zh) 可调节的挂件组件和屏幕系统
CN214231804U (zh) 患者支撑装置及用于患者支撑装置的用户界面壳体
US6691330B2 (en) Adjustable toilet seat handle
CN113053686A (zh) 一种按键结构及设有该按键结构的电子设备
CN220256076U (zh) 一种靠背升降锁止装置及椅子靠背
KR101431721B1 (ko) 압력밥솥 뚜껑개폐장치
KR101493453B1 (ko) 승·하강 및 분리가 가능한 비데
CN208010866U (zh) 固定钢丝绳索头的装置
KR100967896B1 (ko) 높낮이가 조정되는 받침대
KR200439509Y1 (ko) 씽크대용 볼 조립용 받침구
KR200372261Y1 (ko) 조립식 서랍
CN219877792U (zh) 一种扶手安装结构
JP3084766U (ja) レールの係止構造
CN216340985U (zh) 一种建筑用模板拆除装置
CN221105683U (zh) 升降机构及坐便器
TW202007833A (zh) 磁磚整平器結構
CN219613428U (zh) 一种无扳机扶手升降机构
CN214966909U (zh) 一种用于耳鼻喉科的可调高度医用踩脚凳
CN220352742U (zh) 一种排水渠施工固定结构
CN219088635U (zh) 桌椅用升降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