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068B1 - 스크린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린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068B1
KR101200068B1 KR1020100138584A KR20100138584A KR101200068B1 KR 101200068 B1 KR101200068 B1 KR 101200068B1 KR 1020100138584 A KR1020100138584 A KR 1020100138584A KR 20100138584 A KR20100138584 A KR 20100138584A KR 101200068 B1 KR101200068 B1 KR 101200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door
linear guide
guide rail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851A (ko
Inventor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주)동우자동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우자동도어 filed Critical (주)동우자동도어
Priority to KR102010013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0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역사의 승강장에 설치되며, 바닥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바닥 프레임 상에 장착된 다수의 고정 도어 및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각 슬라이딩 도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안내하는 선형 가이드 레일부가 장착된 장착 도어; 및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선형 가이드 레일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한다. 선형 가이드 레일부는 바닥 구조물에 고정된 소정 길이의 레일 및 레일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가이드 부재는 하단부에 소정 길이의 그루브가 형성된 브라켓트로서, 그루브 내에는 선형 가이드 레일부의 롤러가 수용되어 그루브의 양측 표면이 롤러의 외주면과 각각 접촉한다. 여기서, 다수의 롤러는 소정의 간격을 갖는 2개의 직선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브라켓트)에 형성된 그루브는 슬라이딩 도어가 완전히 열렸을 때와 완전히 닫혔을 때 선형 가이드 레일부의 롤러의 적어도 일부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Description

스크린 도어 시스템{Screen door system}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도어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슬라이딩)시 발생하는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또는 철도의 역사 내에는 전동차 또는 철도 차량의 선로와 승강장을 격리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슬라이딩 도어는 평상시, 즉 철도 차량이 주행하지 않을 때와 철도 차량이 승강장으로 진입할 때 또는 승강장을 출발한 후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만,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완전히 진입하여 정차한 후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슬라이딩 도어는 개방된다.
위와 같은 조건에서 작동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승강장에 있는 승객이 선로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철도 차량의 진입시 승강장으로 유입되는 열차풍을 차단하는 기능(효과)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점차적으로 모든 지하철 역사 및 철도 역사의 승강장에 설치되고 있다.
한편, 바닥 구조물과 천정 구조물을 포함하는 실내 역사의 승강장에 설치된, 도 1에 도시된 "완전 밀폐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10)은 크게 다수의 고정 도어(11), 비상 도어(12) 및 슬라이딩 도어(13)를 포함하며, 천정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구동 프레임(14) 및 바닥 구조물(B)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도 1에서는 바닥 구조물(B)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완전 밀폐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10)에서, 각 슬라이딩 도어(13)는 구동 프레임(14)과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며, 구동 프레임(14)에 장착된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실외 역사의 지상 승강장은 실외 역사의 구조상 바닥 구조물은 있으나, 천정 구조물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부 실외 역사의 승강장에 천정 구조물이 있을지라도 바닥 구조물과 천정 구조물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큰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실외 역사의 승강장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밀폐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10)을 설치할 수 없으며, 상단부가 특정 구조물에 고정/지지되지 않은 소위 "난간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 또는 "반밀폐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이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난간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20)은 다수의 고정 도어(21), 비상 도어(22) 및 슬라이딩 도어(23)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도어(23)와 고정 도어(21)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23)와 비상 도어(22) 사이에는 장착 도어(24)가 배치된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 부재를 포함하는 난간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20)은 바닥 구조물(도시하지 않음)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바닥 프레임 상에 설치된다.
각 장착 도어(2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1쌍의 슬라이딩 도어(23)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측부(선로 대응부)에는 슬라이딩 도어(2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선형 가이드 레일부가 장착되어 있다.
각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가이드 유니트는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 도어(24)의 선형 가이드 레일부에 대응하는 브라켓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착 도어(24)의 구동부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대응하는 슬라이딩 도어(23)에 전달되며,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23)는 장착 도어(24)의 선형 가이드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한편, 장착 도어(24)의 구동부에서 발생한 구동력이 벨트 등과 같은 동력 전달 부재를 통하여 슬라이딩 도어(23)에 전달되는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슬라이딩 도어(23)에 장착된 가이드 유니트의 브라켓트가 장착 도어(24)의 선형 가이드 레일부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23)는 장착 도어(24)의 구동부 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딩되며, 이때, 슬라이딩 도어(23)는 선형 가이드 레일부에 의하여 안내되어 슬라이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난간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20) 또는 반밀폐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서는 고정 도어(21), 장착 도어(24), 슬라이딩 도어(23) 및 비상 도어(22)의 상부를 지지하는 천정 프레임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도어(23)가 슬라이딩할 때 발생하는 흔들림 및 충격은 장착 도어(24)에 설치된 선형 가이드 레일부로 모두 전달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슬라이딩 도어(23)의 브라켓트와 선형 가이드 레일부에 과다한 흔들림 및 충격이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23)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한 슬라이딩 도어(23)의 슬라이딩 시 과다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난간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 또는 반밀폐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딩 도어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역사의 승강장에 설치되며, 바닥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바닥 프레임 상에 장착된 다수의 고정 도어 및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각 슬라이딩 도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안내하는 선형 가이드 레일부가 장착된 장착 도어; 및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선형 가이드 레일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한다.
선형 가이드 레일부는 바닥 구조물에 고정된 소정 길이의 레일 및 레일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가이드 부재는 하단부에 소정 길이의 그루브가 형성된 브라켓트로서, 그루브 내에는 선형 가이드 레일부의 롤러가 수용되어 그루브의 양측 표면이 롤러의 외주면과 각각 접촉한다.
여기서, 다수의 롤러는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롤러는 소정의 간격을 갖는 2개의 직선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브라켓트)에 형성된 그루브는 슬라이딩 도어가 완전히 열렸을 때와 완전히 닫혔을 때 선형 가이드 레일부의 롤러의 적어도 일부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슬라이딩 도어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고 또한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완전 밀폐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난간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로서,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함.
도 4는 장착 도어의 선형 가이드 레일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대응 도면으로서, 슬라이딩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함.
도 6은 도 5의 C 부분의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을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로서, 어느 한 슬라이딩 도어에 인접한 장착 도어(24)의 하부 내측부(즉, 선로 대응 부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슬라이딩 도어(도 2의 23)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20)은 다수의 고정 도어(21), 비상 도어(22) 및 슬라이딩 도어(23)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도어(23)와 고정 도어(21)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23)와 비상 도어(22) 사이에는 장착 도어(24)가 배치된다. 위와 같은 구성 부재를 포함하는 난간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20)은 바닥 구조물(도시하지 않음)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바닥 프레임 상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 중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1쌍의 슬라이딩 도어의 양측에 배치된 장착 도어(24)의 일측부(선로 대응부)에는 슬라이딩 도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선형 가이드 레일부가 장착되어 있다.
즉, 장착 도어(24)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장착 프레임(24-1)이 바닥 구조물(B) 상에 고정되며, 구동부(30)는 장착 프레임(24-1)의 하부에 장착된다. 또한, 선형 가이드 레일부(40)는 장착 프레임(24-1)의 상부, 즉 구동부(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도어(도 2의 23)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는 장착 도어(24)의 선형 가이드 레일부(40)의 사시도로서, 편의상 장착 브라켓트(도 3의 24-1)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장착 도어(24)의 하부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선형 가이드 레일부(40)는 바닥 구조물(B)에 고정(실질적으로는 장착 프레임(24-1)에 장착됨)된 소정 길이의 레일(41) 및 레일(4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롤러(42)를 포함한다. 다수의 롤러(42)는 일직선 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롤러(42)가 소정의 간격을 갖는 2개의 직선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대응 도면으로서, 슬라이딩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며, 따라서 장착 도어(24)와 장착 브라켓트(24-1) 사이에 위치한 슬라이딩 도어(23)가 도시된다.
도 6은 도 5의 C 부분의 상세도로서, 슬라이딩 도어(23)에 고정된 브라켓트(23-1)와 선형 가이드 레일부(40)의 관계를 도시한다.
슬라이딩 도어(23)는 장착 도어(24)의 외측(선로와의 대응 부분)에 위치하며, 하단부는 구동부(40)의 구동축 상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도어(23)의 하단과 구동부(40)의 구동축은 벨트 및 슬라이딩 도어(23)에 고정되어 벨트와 연결된 연결 부재와 같은 구동력 전달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연결되며, 따라서 구동부(40)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23)는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 도어(23)의 일측(승강장과의 대응 부분)에는 가이드 부재(23-1)가 장착된다. 가이드 부재(23-1)는 슬라이드 도어(23)에 고정된 브라켓트로서, 브라켓트의 하단부는 장착 도어(24)의 선형 가이드 레일부(40)에 대응한다.
브라켓트(23-1)의 하단부는 슬라이딩 도어(23)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의 소정 길이의 그루브(24-2)가 형성되며, 이 그루브(24-2) 내에는 선형 가이드 레일부(40)의 롤러(42)가 수용된다. 여기서, 그루브(24-2)의 양측 표면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선형 가이드 레일부의 롤러(42)의 외주면과 각각 접촉한다.
여기서, 브라켓트(24-1)의 폭(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길이), 특히 브라켓트(24-1)의 하단부에 형성된 그루브(24-2)의 길이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슬라이딩 도어(23)가 완전히 열렸을 때와 완전히 닫혔을 때 모두 그루브(24-2)의 일부 영역에 선형 가이드 레일부의 롤러(4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동작 및 효과를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장착 도어(24)의 구동부(40)에서 발생한 구동력이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슬라이딩 도어(23)에 전달된다. 슬라이딩 도어(23)에 고정된 브라켓트(24-1)의 그루브(24-2) 내부 양 표면이 다수의 롤러(42)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23)는 장착 도어(24)의 선형 가이드 레일부(40)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23)는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
이와 같은 구조의 장착 도어(24)의 선형 가이드 레일부(40) 및 슬라이딩 도어(23)의 가이드 부재(24-1; 브라켓트)는 기능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즉, 선형 가이드 레일부(40)에 소형의 롤러를 이용할지라도 위와 같이 다수의 롤러(42)를 2개의 직선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할 경우, 인접하는 2개의 롤러(42)의 외측 표면 간의 간격이 비교적 커지며, 따라서 브라켓트(24-1)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브라켓트(24-1)의 슬라이딩(즉,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각 롤러(42) 또는 롤러 표면을 금속이 아닌, 수지 또는 고무 재료로 형성할 경우, 브라켓트(24-1)와의 접촉 및 브라켓트의 슬라이딩 과정에서도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도 2에 도시된 난간형(반밀폐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적용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완전 밀폐형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역사의 승강장에 설치되며, 바닥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바닥 프레임 상에 장착된 다수의 고정 도어 및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각 슬라이딩 도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안내하는 선형 가이드 레일부가 장착된 장착 도어; 및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선형 가이드 레일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선형 가이드 레일부는 바닥 구조물에 고정된 소정 길이의 레일 및 레일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가이드 부재는 하단부에 소정 길이의 그루브가 형성된 브라켓트로서, 그루브 내에는 선형 가이드 레일부의 롤러가 수용되어 그루브의 양측 표면이 롤러의 외주면과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크린 도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롤러는 일직선 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롤러는 소정의 간격을 갖는 2개의 직선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그루브는 슬라이딩 도어가 완전히 열렸을 때와 완전히 닫혔을 때 선형 가이드 레일부의 롤러의 적어도 일부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1020100138584A 2010-12-30 2010-12-30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101200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584A KR101200068B1 (ko) 2010-12-30 2010-12-30 스크린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584A KR101200068B1 (ko) 2010-12-30 2010-12-30 스크린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851A KR20120076851A (ko) 2012-07-10
KR101200068B1 true KR101200068B1 (ko) 2012-11-12

Family

ID=4671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584A KR101200068B1 (ko) 2010-12-30 2010-12-30 스크린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491B (zh) * 2018-09-14 2023-12-29 浙江创嘉机电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屏蔽门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63B1 (ko) 2004-08-18 2007-06-20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랫폼 도어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0764680B1 (ko) 2005-03-04 2007-10-08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도어 장치
KR200449234Y1 (ko) 2008-07-31 2010-06-25 손병옥 난간형 스크린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63B1 (ko) 2004-08-18 2007-06-20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랫폼 도어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0764680B1 (ko) 2005-03-04 2007-10-08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도어 장치
KR200449234Y1 (ko) 2008-07-31 2010-06-25 손병옥 난간형 스크린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851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6783B1 (en) Platform screen door system
HK1071558A1 (en) Elevator with two car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in the same hoistway
KR100867735B1 (ko) 도어의 개폐작용력 조절이 가능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구동장치
MY169714A (en)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US10183842B2 (en) Elevator installation
RU2653653C1 (ru) Канатная дорог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пассажиров
RU2007126984A (ru) Лиф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варианты)
KR20150013411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US9561937B2 (en) Counterweight arrangement for an elevator and an elevator
KR101200068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
CN107531458B (zh) 电梯系统
KR101202840B1 (ko) 스크린 도어 장치
RU2308410C2 (ru) Привод вертикального лифта, расположенный на его кабине
US20110108367A1 (en) Guiding apparatus of car and counterweight of elevator
US10850945B2 (en) Traction geared machine for elevator
JP2012218897A (ja) エレベータ
KR20210008721A (ko) 스크린도어 가이드 장치
ATE420801T1 (de) Seilbahnanlage mit mindestens einem förderseil
KR101583706B1 (ko)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CN202810538U (zh) 半高式安全门
JP2008001521A (ja) エレベータの敷居装置
CN206243963U (zh) 一种滑动式u型轨道系统
KR101583708B1 (ko)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CN211687854U (zh) 一种电梯随行电缆防护装置
KR102145847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