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706B1 -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706B1
KR101583706B1 KR1020140065909A KR20140065909A KR101583706B1 KR 101583706 B1 KR101583706 B1 KR 101583706B1 KR 1020140065909 A KR1020140065909 A KR 1020140065909A KR 20140065909 A KR20140065909 A KR 20140065909A KR 101583706 B1 KR101583706 B1 KR 10158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eam
rail
movable guide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930A (ko
Inventor
김진호
신승권
안태기
김형철
박종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6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7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형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랙기어(RG)가 마련되어 곡선레일(111)로 연결된 수평레일(112)과 수직레일(113)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110)와; 상기 수평레일(112)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고정가이드빔(120)과, 상기 고정가이드빔(120) 단부에 연장되게 마련되어 승강이 가능한 가동가이드빔(130)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빔과; 상기 가동가이드빔(130)과 와이어(141)로 연결되어 상기 가동가이드빔(130)의 승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밸런스웨이트(140)와; 상기 레일부(110)를 따라서 자유 회동하는 측부 가이드롤러부(210)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220)과, 상기 가이드빔(120)(130)을 따라서 자유 회동하는 상부 가이드롤러부(230)와, 상기 피니언(220)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240)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부(110)를 따라서 운행이 이루어지는 케이지모듈(2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system for multisection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형의 다구간 이송용 엘레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높이 다른 위치에서 사람이나 물건을 아래위로 나르는 장치로써, 주로 건물에 설치되어 층과 층 사이로 사람이나 화물의 수직 이송에 사용된다.
한편 수직 이송만이 아닌 수평 이송이 가능한 승강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특1998-042456호(공개일자: 1998.08.17), 등록특허공보 제10-1010362호(공고일자: 2011.01.25), 등록특허공보 제10-1200988호(공고일자: 2012.11.16)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1674호(공개일자: 2014.02.20)에서는 탑승객 또는 화물을 수직 이송 및 수평 이송이 가능한 운송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수직 및 수평 이송형 운송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어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한 육교, 지하철이나 전철의 환승통로 등과 같이 승객이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하는 구간에서 일반 이용객이나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환승구조물로 수직으로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수평 이동하는 수평보행기를 설치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수직 이송만이 가능하고 수평 이송은 불가능하여 장애인이나 노약자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승강한 다음에 다음 장소로 다시 보행에 의하여 이동하여야만 한다.
종래의 수직 승강형 엘리베이터, 경사형 엘리베이터, 또는 수평 보행기는 장애인과 노약자에게 어느 정도 원거리의 이동에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지하철이나 전철의 환승구간에 설치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또는 수평보행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인의 이동 동선과 혼잡한 상태로 연결되어 사실상 장애인이나 노약자에 대한 도움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휠체어에 의한 이동이 불가피한 장애인이 일반 승객과 혼재되어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일반 승객과 장애인 모두에게 많은 불편이 발생되고 혼잡이 더욱 가중되게 된다.
따라서 일반 이용객이나 장애인 및 노약자 등이 수평 구간과 수직 구간으로 이루어진 다구간을 한번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및 수평 이송형 승강장치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다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특1998-042456호(공개일자: 1998.08.17)
등록특허공보 제10-1010362호(공고일자: 2011.01.25)
등록특허공보 제10-1200988호(공고일자: 2012.11.16)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1674호(공개일자: 2014.02.20)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원만을 사용하여 수직 및 수평의 다구간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랙기어가 마련되어 곡선레일로 연결된 수평레일과 수직레일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와; 상기 수평레일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고정가이드빔과, 상기 고정가이드빔 단부에서 연장되게 마련되어 승강이 가능한 가동가이드빔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빔과; 상기 가동가이드빔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가동가이드빔의 승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밸런스웨이트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서 자유 회동하는 측부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가이드빔을 따라서 자유 회동하는 상부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피니언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부를 따라서 운행이 이루어지는 케이지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가이드빔은 제1가동가이드빔과, 상기 제1가동가이드빔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가동가이드빔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레일과 인접되게 마련되어 경사 구간을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케이지모듈의 승강 높이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2가동가이드빔을 접철 조작하게 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가동가이드빔에 구비되는 제1힌지브라켓과; 상기 제2가동가이드빔에 구비되어 상기 제1힌지브라켓과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힌지브라켓과; 상기 제1가동가이드빔에 구비되는 링크브라켓과; 상기 링크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링크와; 양 단부가 상기 회동링크와 상기 제2힌지브라켓에 각각 힌지 조립되는 로드와; 상기 회동링크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회동링크를 회전 조작하게 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은 선단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자유 회동이 가능한 롤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브라켓과; 상기 롤러브라켓과 힌지 조립되어 상기 측부 가이드롤러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는 회동암과; 상기 롤러브라켓과 상기 회동암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웨이트의 무게는 상기 케이지모듈과, 케이지모듈의 최대 적재 하중의 1/2의 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모듈은 상기 구동부의 설치 위치에 방진패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빔은 선단에 승강레일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안내가 이루어지는 승강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하나의 구동원만으로 케이지모듈을 수직 및 수평 이송이 가능하여 시스템을 단순하게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케이지모듈의 수직 이송 구간에서는 케이지모듈의 승강과 연동되어 구동원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밸런스웨이트가 마련됨으로써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케이지모듈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3점 지지구조에 의한 케이지모듈의 안내가 이루어져 케이지모듈의 안정적인 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가동가이드빔을 중심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케이지모듈 상부를 중심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케이지모듈 상부의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케이지모듈 상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측부 가이드롤러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측부 가이드롤러부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제2가동가이드빔의 접철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의 위치에서 제2가동가이드빔의 접철 상태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랙기어(RG)가 마련되어 곡선레일(111)로 연결된 수평레일(112)과 수직레일(113)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110)와; 상기 수평레일(112)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고정가이드빔(120)과, 상기 고정가이드빔(120) 단부에 연장되게 마련되어 승강이 가능한 가동가이드빔(130)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빔과; 상기 가동가이드빔(130)과 와이어(141)로 연결되어 상기 가동가이드빔(130)의 승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밸런스웨이트(140)와; 상기 레일부(110)를 따라서 자유 회동하는 측부 가이드롤러부(210)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220)과, 상기 가이드빔(120)(130)을 따라서 자유 회동하는 상부 가이드롤러부(230)와, 상기 피니언(220)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240)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부(110)를 따라서 운행이 이루어지는 케이지모듈(200);을 포함한다.
레일부(110)는 케이지모듈(200)의 운행 방향을 따라서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며, 곡선레일(111)로 서로 연결되는 수평레일(112)과 수직레일(113)로 이루어진 연속된 레일 구조물로써 길이 방향으로 전체 구간에 랙기어(RG)가 형성된다.
가이드빔은 두 수평레일(112) 사이의 중앙 상측에 설치되며, 고정가이드빔(120)과, 고정가이드빔(120)과 연장되게 마련되어 케이지모듈(200)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가동가이드빔(130)으로 구성된다.
가이드빔(130)은 선단에 승강판(160)이 수직하게 고정되며, 승강판(160) 양측으로 승강판(16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승강레일(16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판(160)은 케이지모듈(200)의 수직 이송 시에 승강레일(161)에 의해 안내되어 케이지모듈(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도 2를 함께 참고하면, 가동가이드빔(130)은 제1가동가이드빔(131)과, 제1가동가이드빔(13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가동가이드빔(13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케이지모듈의 수직 이송 시에 제2가동가이드빔(132)이 접철(folding)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레일 상단과 인접하여 소정의 경사 구간을 갖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4)과; 케이지모듈의 승강 높이에 따라서 가이드레일(114)에 의해 안내되어 제2가동가이드빔(132)을 접철 조작하기 위한 링크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가이드빔(131)과 제2가동가이드빔(132)은 각각 제1힌지브라켓(131a)과 제2힌지브라켓(132a)이 고정되며, 제1힌지브라켓(131a)과 제2힌지브라켓(132a)은 힌지핀(H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케이지모듈은 수직 이송 시에 제1가동가이드빔(131) 구간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케이지모듈의 하강 이동과 연동되어 제2가동가이드빔(132)은 제1가동가이드빔(131)에 접철이 이루어져 가동가이드빔(130)은 케이지모듈과 함께 수직 이송이 이루어진다.
제2가동가이드빔(132)의 접철수단으로써, 링크부재(150)는 제1가동가이드빔(131)에 볼트 체결되어 조립되는 링크브라켓(151)과, 링크브라켓(151)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링크(152)와, 양 단부가 회동링크(152)와 제2힌지브라켓(132a)에 각각 힌지 조립되는 로드(153)와, 회동링크(152)에 마련되어 가이드레일(114)에 의해 안내되어 회동링크(152)를 회전 조작하게 되는 가이드봉(154)을 포함한다.
가이드봉(154) 선단에는 자유 회동이 가능한 롤러(155)가 추가되어 가이드레일(114)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봉(154)과 가이드레일(11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밸런스웨이트(140)는 와이어(141)에 의해 가동가이드빔(130)과 연결되며, 와이어(141)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자유 회동 가능한 풀리(1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런스웨이트(140)의 적정 무게는 케이지모듈(200)과, 케이지모듈(200)의 최대 적재 하중의 1/2의 합에 의해 결정된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런스웨이트(140)는 케이지모듈(200)의 수직 이송 시에 케이지모듈(200)의 승강 방향과 반대로 이동이 이루어져 구동부(24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케이지모듈(200)은 승객 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는 케이지몸체(201)를 포함하며, 케이지몸체(201) 상부에는 케이지모듈(200)의 운행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구동수단과 안정적인 운행을 보조할 수 있는 가이드수단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지몸체(201) 상부는 레일부(110)를 따라서 자유 회동이 이루어지는 측부 가이드롤러부(210)와, 레일부(110)의 랙기어(RG)와 치합되는 피니언(220)과, 가이드빔(120)(130)을 따라서 자유 회동이 이루어지는 상부 가이드롤러부(230)와, 피니언(220)을 회전 구동하게 되는 구동부(240)가 설치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측부 가이드롤러부(210)는 레일부(110) 하단 면과 접하여 회동이 이루어지는 제1측부 가이드롤러(211)(212)와, 레일부(110) 상단 면과 접하여 회동이 이루어지는 제2측부 가이드롤러(213)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롤러의 숫자는 증감될 수 있다.
제2측부 가이드롤러(213)는 피니언(220)과 동일 회전축 상에 마련되어 자유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측부 가이드롤러(211)(212)와, 제2측부 가이드롤러(213)는 고정된 회전축 상에서 회전 운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곡선레일(111)(도 1 참고)에서 원활한 곡선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측부 가이드롤러(211)(212) 또는 제2측부 가이드롤러(213)는 가변 회전축 상에서 회전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관련 도면을 참고하여 다시 설명한다.
피니언(220)은 구동축(221)에 의해 구동부(240)와 연결되며, 구동부(24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구동축(221)은 케이지모듈(200) 상부에 마련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베어링(2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부(240)는 주지의 전동모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구동축(221)은 전동모터에 직접 체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감속장치 또는 전동모터와 피니언(220) 사이의 배치관계에 따라서 유니버설 조인트와 같은 축이음 부재가 부가될 수가 있다.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고정가이드빔(120)은 대략 'I" 형상의 빔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케이지모듈(200) 상부에는 고정플레이트(231)가 구비되며 고정플레이트(231)에는 고정가이드빔(120) 양측에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자유 회동 가능하게 복수 개의 롤러(232)(23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케이지모듈 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케이지몸체(201) 상부에는 방진패드(202)가 부착될 수 있으며, 특히 방진패드(202)는 케이지몸체(201) 상부의 고정플레이트(231) 및 구동부(240) 설치 위치에 삽입되어 케이지몸체(201)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측부 가이드롤러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2측부 가이드롤러(213)(도 3 참고)는 피니언(220)과 동축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따라서 도 6에서 제2측부 가이드롤러는 피니언(220)과 동일한 위치에서 동작이 이루어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피니언(22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브라켓(214)과; 롤러브라켓(214)과 힌지 조립되어 제1측부 가이드롤러(211)(21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암(215)과; 롤러브라켓(214)과 회동암(215)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216)는 인장스프링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롤러브라켓(214)과 회동암(215) 사이에서 인장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롤러브라켓(214)은 대략 삼각형의 판재이며, 상단에는 피니언(220)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 양측에 각각 회동암(215)이 힌지 조립되며, 따라서 롤러브라켓(214) 자체는 피니언(22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측부 가이드롤러(211)(212)는 가변 회동축 상에서 자유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탄성체(216)에 의해 항시 레일부(110) 하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을 참고하면, 피니언(2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레일부(110)를 따라서 이동이 이루어지며, 한편 곡선구간에서는 탄성체(216)가 팽창되면서 제1측부 가이드롤러(211)(212)는 바깥으로 벌어지면서 레일부(110)를 따라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다시 직선 구간으로 진입 시에는 팽창되었던 탄성체(216)가 다시 탄성력에 의해 복원이 이루어지면서 제1측부 가이드롤러(211)(212)는 레일부(11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측부 가이드롤러부는 직선 또는 곡선 구간에서 항시 레일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가이드롤러부에 의해 케이지모듈은 안정되게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제2가동가이드빔의 접철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의 (a)를 참고하면, 엘리베이터 장치가 건물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 수평 터널과 수직 터널 내에 설치가 되며, 이때 수평터널의 높이(L1)와 수직터널의 폭(L2)은 다르다. 특히 통상적인 케이지모듈(200)은 높이 보다는 폭이 좁으며, 따라서 수평터널의 높이(L1) 보다는 수직터널의 폭(L2)이 좁다. 따라서 가동가이드빔(130) 전체 길이는 수직터널의 폭(L2) 보다 긴 경우에 수직터널을 따라 수직 이송 시에 가동가이드빔(130)의 길이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케이지모듈(200)의 수직 이송 시에 가동가이드빔(130)이 접철되도록 마련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수직터널을 따라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4)은 상부에 일정 구간(D)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마련되며, 링크부재(150)의 롤러(155)가 가이드레일(114) 내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한편 수평터널에서 수직터널 구간으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 8의 (b)(c)에서와 같이, 케이지모듈(200)이 가동가이드빔(130) 구간으로 진입하여 하강이 시작된다.
다음으로, 도 9의 (d)에서와 같이, 케이지모듈(200)이 제1가동가이드빔(131) 구간으로 완전히 진입이 되면, 케이지모듈(200)의 하강과 함께 가이드레일(114)의 경사 구간이 시작된다.
도 9의 (e)에서와 같이, 케이지모듈(200)이 하강하면서 롤러(155)는 가이드레일(114)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링크부재(150)에 의해 제2가동가이드빔(132)은 제1가동가이드빔(131) 쪽으로 접철이 이루어진다.
도 9의 (f)에서와 같이, 제2가동가이드빔(132)이 완전히 접철된 상태에서 롤러(155)는 가이드레일(114)의 수직 구간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의 위치에서 제2가동가이드빔의 접철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수직터널 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4)은 소정의 경사 구간(D)이 마련되며, 롤러(155)가 가이드레일(114)을 따라서 경사 구간(D)을 지나면서 링크부재(150)에 의해 제2가동가이드빔(132)의 접철이 이루어진다.
한편, 수직 터널의 하부에서 상승하여 다시 수평 터널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위의 역순에 의해 접철된 제2가동가이드빔(132)은 다시 젖혀지면서 수평 터널을 따라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레일부 111 : 곡선레일
112 : 수평레일 113 : 수직레일
120 : 고정가이드빔 130 : 가동가이드빔
131 : 제1가동가이드빔 132 : 제2가동가이드빔
133 : 링크부재 140 : 밸런스웨이트
200 : 케이지모듈 201 : 케이지몸체
202 : 방진패드 210 : 측부 가이드롤러부
211, 212 : 제1측부 가이드롤러 213 : 제2측부 가이드롤러
214 : 롤러브라켓 215 : 회동암
216 : 탄성체 220 : 피니언
230 : 상부 가이드롤러부 240 : 구동부
RG : 랙기어

Claims (8)

  1. 랙기어가 마련되어 곡선레일로 연결된 수평레일과 수직레일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와;
    상기 수평레일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고정가이드빔과, 상기 고정가이드빔 단부에서 연장되게 마련되어 승강이 가능한 가동가이드빔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빔과;
    상기 가동가이드빔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가동가이드빔의 승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밸런스웨이트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서 자유 회동하는 측부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가이드빔을 따라서 자유 회동하는 상부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피니언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부를 따라서 운행이 이루어지는 케이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가이드빔은, 제1가동가이드빔과, 상기 제1가동가이드빔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가동가이드빔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레일과 인접되게 마련되어 경사 구간을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케이지모듈의 승강 높이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2가동가이드빔을 접철 조작하게 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가동가이드빔에 구비되는 제1힌지브라켓과;
    상기 제2가동가이드빔에 구비되어 상기 제1힌지브라켓과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힌지브라켓과;
    상기 제1가동가이드빔에 구비되는 링크브라켓과;
    상기 링크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링크와;
    양 단부가 상기 회동링크와 상기 제2힌지브라켓에 각각 힌지 조립되는 로드와;
    상기 회동링크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회동링크를 회전 조작하게 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은 선단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자유 회동이 가능한 롤러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브라켓과;
    상기 롤러브라켓과 힌지 조립되어 상기 측부 가이드롤러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는 회동암과;
    상기 롤러브라켓과 상기 회동암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웨이트의 무게는 상기 케이지모듈과, 케이지모듈의 최대 적재 하중의 1/2의 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모듈은 상기 구동부의 설치 위치에 방진패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빔은 선단에 승강레일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안내가 이루어지는 승강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40065909A 2014-05-30 2014-05-30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158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09A KR101583706B1 (ko) 2014-05-30 2014-05-30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09A KR101583706B1 (ko) 2014-05-30 2014-05-30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930A KR20150138930A (ko) 2015-12-11
KR101583706B1 true KR101583706B1 (ko) 2016-01-11

Family

ID=5502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909A KR101583706B1 (ko) 2014-05-30 2014-05-30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707A (ko) * 2016-08-05 2018-02-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엘리베이터 곡선구간 주행장치
CN111559687B (zh) * 2020-05-13 2021-10-01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多箱体驻留式施工电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893Y1 (ko) * 2002-06-25 2002-10-04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KR101010362B1 (ko) * 2010-06-18 2011-01-25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586A (en) 1996-06-19 1999-01-19 Otis Elevator Company Horizontal and vertical passenger transport
KR20050089955A (ko) * 2005-08-30 2005-09-09 서동신 케이지와 카운터 웨이트 사이에 변속 장치를 사용한엘리베이터
KR20140021674A (ko) 2011-05-11 2014-02-2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순환식 운송 시스템
KR101200988B1 (ko) 2011-10-10 2012-11-16 이동형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893Y1 (ko) * 2002-06-25 2002-10-04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KR101010362B1 (ko) * 2010-06-18 2011-01-25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930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93115B (en) Passenger conveyor device
CN107074495B (zh) 用于沿楼梯输送负载的座椅电梯
KR101583706B1 (ko)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JP2016214867A (ja) 救助昇降機システム
KR101518136B1 (ko)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JPH03128885A (ja) エスカレータ装置
KR101583708B1 (ko)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CN107673171B (zh) 一种轨道下吊式电车
JP2015182522A (ja) 避難用梯子
KR101749526B1 (ko) 자기부상열차용 비상탈출장치
KR101614474B1 (ko)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151845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1757657B1 (ko) 수직 및 수평 엘리베이터용 이송구조의 틸팅장치
KR20160116271A (ko) 이송시스템의 유동방지장치
KR102037880B1 (ko) 교통약자용 계단 이송 장치
JP5398578B2 (ja) 索道設備の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可動ステップ
KR101863339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KR101731997B1 (ko) 경사구간, 수평구간, 방향전환 구간 및 트위스트 구간 이동용 승강기
US839024A (en) Aerial tramway.
JP5752762B2 (ja) 乗客コンベア
KR101202840B1 (ko) 스크린 도어 장치
KR100421085B1 (ko) 운반기
US10513351B2 (en) Passenger boarding bridge
JPH04209196A (ja) エスカレータ
JP3516696B2 (ja) 索道の円弧プラットフォ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