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362B1 -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Google Patents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362B1
KR101010362B1 KR1020100058214A KR20100058214A KR101010362B1 KR 101010362 B1 KR101010362 B1 KR 101010362B1 KR 1020100058214 A KR1020100058214 A KR 1020100058214A KR 20100058214 A KR20100058214 A KR 20100058214A KR 101010362 B1 KR101010362 B1 KR 10101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rizontal
guide rail
lifting fram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선
Original Assignee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통로와 수평통로를 따라 수직으로 승강함과 동시에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승강실 하부에는 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수평통로를 따라 좌우로 왕복하도록 형성된 승강차; 및 상기 승강차가 좌우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승강차를 탑재한 상태에서 수직통로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도록 형성된 승강틀;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수직이동 구간에서는 기존의 승강 방식을 적용하고, 수평이동 구간에서는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신속한 이동과 안정적인 승차감을 구현할 수 있는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Elevator having horizontally moving section}
본 발명은 수직으로 승강할 뿐만 아니라, 일정구간에서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또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수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고층 건물뿐만 아니라, 지하철, 육교, 지하도와 같은 여러 건물에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의 승강기는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좌우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승강기를 갈아타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육교를 건너기 위해서 양측에 설치된 승강기를 이용하는 경우 우선, 일측 승강기를 이용하여 육교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고, 육교 위에서 내린 후 타측 승강기까지 걸어서 이동하며, 타측 승강기를 이용하여 육교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서 실용신안등록 제0290893호에는 수직이동은 물론이고, 일정구간에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개발된 승강기가 개진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을 살펴보면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하나의 구동장치를 통해 수직이동과 수평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고 진동이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승강기에는 추락 방지를 위한 기존의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들을 설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종래 승강기의 경우 이동속도가 느리고 진동이 많기 때문에 승차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종래 승강기의 경우 기존의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들을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추락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종래 승강기의 경우 왕복구간에서 한 대의 승강기만을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승강기의 이용을 위해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통로와 수평통로를 따라 수직으로 승강함과 동시에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승강기에 있어서,
승강실 하부에는 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수평통로를 따라 좌우로 왕복하도록 형성된 승강차; 및 상기 승강차가 좌우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승강차를 탑재한 상태에서 수직통로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도록 형성된 승강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 및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집전장치와, 상기 전동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통로와 상기 승강틀의 바닥 또는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승강차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동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통로와 승강틀의 바닥 또는 천장에 설치되고, 승강차의 위치 및 적정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 및 상기 승강차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의 신호를 받아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통로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브래킷; 및 상기 승강틀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과 연결 및 분리하도록 형성된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의 상하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된 링크 형태의 암;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암을 작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승강틀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의 탑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 및 상기 클램프에 연결되고, 상기 클램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틀에 탑재된 승강차를 상기 스토퍼 방향으로 밀어 고정하는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통로의 중앙에는 두 대의 승강차가 교차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복선으로 설치하고, 상기 복선의 가이드 레일이 연결되는 양쪽 끝 부분에는 차로변경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복선의 가이드 레일을 교차하는 두 대의 승강차에 설치되고, 신호를 주고받아 상호 충돌방지를 위한 송수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의하면 수직이동 구간에서는 기존의 승강 방식을 적용하고, 수평이동 구간에서는 구동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신속한 이동과 안정적인 승차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육교, 지하도 뿐만 아니라, 저층부와 고층부로 나뉘어 승강기를 갈아타야하는 건물에서 한 번의 탑승으로 원하는 곳까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의하면 수직이동 구간에서 기존의 승강 방식을 적용하여 기존의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용 중 추락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의하면 수평이동 구간에서 두 개의 승강기가 교차하도록 하여 두 대의 승강기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적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를 도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승강차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승강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레일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레일 홀더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수평이동 레일의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110) 하부에는 구동장치(12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수평통로를 따라 좌우로 왕복하도록 형성된 승강차(100) 및 상기 승강차가 좌우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승강차를 탑재한 상태에서 수직통로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도록 형성된 승강틀(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통로(10)를 따라 승강할 때에는 승강차(100)가 승강틀(200)에 탑재된 상태로 승강이 이루어지고, 수평통로(20)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때에는 승강차(100)가 승강틀(200)로부터 빠져나오면서 구동장치(120)에 의해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차(100)는 승강실(110)과 구동장치(1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승강실(110)은 사람이나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형성된 기존의 승강실과 같이 전방에 자동 개폐문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장치(120)는 승강실(110)을 받친 상태로 수평통로(20)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실(110)을 받치기 위한 차대의 전후에 차축이 결합되고, 전후 차축에 바퀴가 결합된 상태에서 자체 동력에 의해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구동장치(120)가 자체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실시 예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대의 차축과 연결되어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121) 및 외부 전원을 집전장치로 공급하는 한편, 집전장치의 고장 발생을 대비하여 상기 전동기(1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축전지(122)는 승강차(100)가 승강틀(200)에 탑재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축전지(122)를 사용함으로써, 전원공급이 차단되었을 때에도 일정시간 동안은 정상적인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실(110)과 구동장치(120) 사이에는 쇼우버를 설치함으로써, 승강차(100)가 승강틀(200)에 출입할 때나 이동 중 떨림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상기 승강틀(200)은 기존의 승강기와 같은 구성과 방식으로 구성하되, 다만 그 내부로 본 발명의 승강차(100)가 출입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승강틀(200)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면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하면은 로프를 연결하고 승강차(100)를 받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틀(200)의 좌우로는 승강차(100)가 출입하고, 전방 또는 후방에는 승강실(110)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틀(200)이 승강하기 위한 수직통로(10)와 승강틀(200)의 주변 구성은 통상의 구성이므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설명하자면 수직통로(10)에는 승강틀(200)을 안내하기 위한 수직 레일이 설치되고, 수직통로(10) 상부에는 전동기가 설치되며, 전동기에는 상기 승강틀(200)의 상단과 연결하는 로프가 감기고, 상기 수직통로의 레일과 승강틀(200) 사이에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통로(20)와 상기 승강틀(200)의 바닥 또는 천장에는 상기 승강차(100)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00a, 300b 300c)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200)의 상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동하는 가이드 롤러(130a, 130b)가 설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300a, 300b, 300c)과 가이드 롤러(130a, 130b)는 서로 밀착되어 승강차(100)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수평통로(20)와 승강틀(200)의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300a, 300b)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통로(20)와 승강틀(200)의 천장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300c)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는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도 4에서는 승강틀(200)의 천장에만 가이드 레일(300c)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평통로(20)와 승강틀(200)의 바닥 또는 천장에는 승강차(100)의 위치 및 적정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400)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100)에는 상기 센서(400)의 신호를 받아 구동장치(12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300a)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센서(400)가 설치되어 있어 승강차(100)의 위치와 속도를 검출하여 승강차(100)가 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지를 검출하는 한편, 상기 승강차(100) 내에 장착된 제어장치(500)의 속도계와 속도를 비교하여 과속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차(100)가 수평통로(2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00a)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일정한 속도로 구동되도록 하다가 상기 승강틀(200)에 근접해서는 속도를 줄이도록 하고, 승강차가 승강틀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구동장치(120)가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틀(200)이 승강하여 수평통로(20)에 위치하면 상기 제어장치(500)는 구동장치(120)를 구동시켜 출발하도록 한다.
상기 수평통로(20)의 가이드 레일(300a)에는 브래킷(310a)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틀(200)의 가이드 레일(300b)에는 상기 브래킷(310a)과 연결 및 분리하도록 형성된 클램프(310b)가 설치된다.
즉, 상기 승강차(100)가 출입 시 수평통로(20)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300a)과 상기 승강틀(200)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300b)의 연결부분에 서로 연결 및 분리하여 안정적인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브래킷(310a) 및 클램프(310b)는 승강틀(200)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승강차(100)가 승강틀(100)에서 빠져나올 때 승강틀(200)의 전체 무게가 가벼워져 로프의 장력이 줄어들면서 승강틀(200)이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반대로 상기 승강차(100)가 승강틀(200)에 탑재될 때 로프의 장력이 높아져 승강틀(200)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클램프(310b)는 여러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데, 실시 예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300b)에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310a)의 상하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된 링크 형태의 암 및 상기 가이드 레일(300b)에 설치되고, 상기 암을 작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310b)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승강틀(200)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는 클램프(310b)가 브래킷(310a)에 결합되면 승강틀(200)이 승강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클램프(310b)가 브래킷(310a)으로부터 분리되면 승강차(100)의 구동장치(120)가 구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틀(200) 내부에는 상기 승강차(100)의 탑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320a)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310b)에는 상기 클램프(310b)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틀(200)에 탑재된 승강차(100)를 상기 스토퍼(320a) 방향으로 밀어 고정하기 위한 로드(320b)가 형성된다. 즉, 사기 스토퍼(320a)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틀(200) 바닥에 돌출되어 상기 승강차(100)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로드(320b)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310b)와 함께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승강차(100)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310b)는 상기 승강차(100)가 승강틀(200)에 삽입이 완료되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로드(320b)를 통해 승강차(100)가 승강틀(200)에서 이탈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수평통로(20)의 중앙에는 두 대의 승강차(100)가 교차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300a)을 복선으로 설치하고, 상기 복선의 가이드 레일(300a)이 연결되는 양쪽 끝 부분에는 차로변경장치(600)가 설치된다. 즉, 두 대의 승강차(100)가 수평통로(20)에서 교차로 왕복하면서 사람이나 물건을 수송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차로변경장치(600)는 두 대의 승강차(100)가 복선의 가이드 레일(300a)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호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복선의 가이드 레일(300a)을 교차하는 두 대의 승강차(100)에는 신호를 주고받아 상호 충돌방지를 위한 송수신장치(700a, 7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송수신장치(700a, 700b)는 상기 차로변경장치(600)의 오작동에 두 대의 승강차(100)가 동일 선상의 가이드 레일(300a)에서 마주할 때, 서로 신호를 주고받아 구동장치(120)를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평통로(20)에는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비상 통로를 확보하고, 승강차(100)에는 비상구를 설치하여 승강차(100)에 이상이 발생하여 운행이 불가한 경우 이 비상구와 비상 통로를 이용하여 탑승객을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차(100) 내부에 설치된 모든 조명 장치와 조작 장치들은 집전장치에 의해 공급된 전원과 비상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탑재된 축전지(122)의 전원을 사용한다.
상기 승강차(100) 내부에 설치된 제어장치(500)는 승강기가 설치된 승강장의 측면에 설치된 주제어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승강차(1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감시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차(100)에 설치된 제어장치(500)는 구동장치(120)의 속도 제어와 승강차(100) 내에 설치된 각종 안전장치의 제어 및 무선 인터폰의 통신 등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에 설치된 주제어장치는 승강차(100)의 수직이동구간에서의 속도와 운행 제어를 담당하며 수평이동구간에서 정상으로 승강차(100)가 이동하고 있는지를 감시 및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틀(20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00b)의 측면은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승강차(100)의 구동장치(120)를 점검할 경우 측면판을 분리하여 점검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수직이동 구간에서는 기존의 승강 방식을 적용하고, 수평이동 구간에서는 구동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신속한 이동과 안정적인 승차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이동 구간에서 기존의 승강 방식을 적용하여 기존의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용 중 추락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수평이동 구간에서 두 개의 승강기가 교차하도록 하여 두 대의 승강기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 수직 통로 20: 수평 통로
100: 승강차 110: 승강실
120: 구동장치 121: 전동기
122: 축전지 130a, 130b: 가이드 롤러
200: 승강틀
300a, 300b, 300c: 가이드 레일 310a: 브래킷
310b: 클램프
320a: 스토퍼 320b: 로드
400: 센서
500: 제어장치
600: 차로변경장치
700a, 700b: 송수신장치

Claims (10)

  1. 승강실 하부에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와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집전장치와 외부 전원을 충전하여 상기 전동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로 구성된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수평통로를 따라 좌우로 왕복하도록 형성된 승강차 및 상기 승강차가 좌우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승강차를 탑재한 상태에서 수직통로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도록 형성된 승강틀이 구성되고, 상기 수평통로와 상기 승강틀의 바닥 또는 천장에는 상기 승강차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차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동하는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통로와 승강틀의 바닥 또는 천장에는 상기 승강차의 위치 및 적정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차에는 상기 센서의 신호를 받아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설치된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통로의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브래킷; 및
    상기 승강틀의 가이드 레일에 설치하여 상기 브래킷과 연결 및 분리하도록 하되, 상기 브래킷의 상하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된 링크 형태의 암과 상기 암을 작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로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승강틀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의 탑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 및
    상기 클램프에 연결되고, 상기 클램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틀에 탑재된 승강차를 상기 스토퍼 방향으로 밀어 고정하는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통로의 중앙에는 두 대의 승강차가 교차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을 복선으로 설치하고,
    상기 복선의 가이드 레일이 연결되는 양쪽 끝 부분에는 차로변경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선의 가이드 레일을 교차하는 두 대의 승강차에 설치되고, 신호를 주고받아 상호 충돌방지를 위한 송수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KR1020100058214A 2010-06-18 2010-06-18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KR101010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214A KR101010362B1 (ko) 2010-06-18 2010-06-18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214A KR101010362B1 (ko) 2010-06-18 2010-06-18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362B1 true KR101010362B1 (ko) 2011-01-25

Family

ID=4361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214A KR101010362B1 (ko) 2010-06-18 2010-06-18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3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806B1 (ko) * 2012-12-31 2014-05-29 (주)새한엘리베이터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KR20150138931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20150138930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1614474B1 (ko) * 2014-05-30 2016-04-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WO2016108309A1 (ko) *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수직 경사형 해상구조물용 방폭형 엘리베이터
KR20160116271A (ko) 2015-03-27 2016-10-07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이송시스템의 유동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1977A (ja) * 1991-06-06 1992-12-15 Toshiba Corp 縦横走行エレベータ装置
JPH06156928A (ja) * 1992-11-17 1994-06-03 Toshiba Corp 縦横走行自走式エレベータ装置
KR19990074351A (ko) * 1998-03-10 1999-10-05 이종수 트랜짓장치
JP2000185885A (ja) * 1998-12-18 2000-07-04 Kawasaki Heavy Ind Ltd 自走式エレベー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1977A (ja) * 1991-06-06 1992-12-15 Toshiba Corp 縦横走行エレベータ装置
JPH06156928A (ja) * 1992-11-17 1994-06-03 Toshiba Corp 縦横走行自走式エレベータ装置
KR19990074351A (ko) * 1998-03-10 1999-10-05 이종수 트랜짓장치
JP2000185885A (ja) * 1998-12-18 2000-07-04 Kawasaki Heavy Ind Ltd 自走式エレベータシステ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806B1 (ko) * 2012-12-31 2014-05-29 (주)새한엘리베이터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KR20150138931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20150138930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1583706B1 (ko) * 2014-05-30 2016-01-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1583708B1 (ko) * 2014-05-30 2016-01-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1614474B1 (ko) * 2014-05-30 2016-04-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WO2016108309A1 (ko) *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수직 경사형 해상구조물용 방폭형 엘리베이터
KR20160116271A (ko) 2015-03-27 2016-10-07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이송시스템의 유동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362B1 (ko)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CN105084170B (zh) 楼道吊杆座椅电梯
JP2014511302A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CN110789536B (zh) 垂直升降式空中轨道交通系统
CN213568970U (zh) 一种轿厢再平层结构
US20090081010A1 (en) Inclined Conveyance for Multi-storied Automotive Parking
JP427064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400806B1 (ko)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JP573742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135262B2 (ja) 自走式エレベータ装置
JP2000086109A5 (ko)
JP48487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7020674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30038568A (ko) 외선형 경전철의 승강장
CN202897727U (zh) 一种六导轨大吨位载货电梯
JPH11124281A (ja) エレベータ
CN113979261A (zh) 一种自锁保护型电梯升降机
CN204958059U (zh) 楼道吊杆座椅电梯
KR101791857B1 (ko) 엘리베이터용 하부체대구조
JP352884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CN218708392U (zh) 升降系统
JPH05139661A (ja) 自走式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走行方法
KR101161023B1 (ko) 너트 구동형 승강기
CN210366578U (zh) 一种多功能空铁电梯及应用其的悬挂空铁车站
CN215402484U (zh) 一种下置曳引式施工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