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806B1 -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Google Patents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0806B1 KR101400806B1 KR1020120157802A KR20120157802A KR101400806B1 KR 101400806 B1 KR101400806 B1 KR 101400806B1 KR 1020120157802 A KR1020120157802 A KR 1020120157802A KR 20120157802 A KR20120157802 A KR 20120157802A KR 101400806 B1 KR101400806 B1 KR 1014008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horizontal
- elevator
- frame
- elev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구간과 수평구간과 경사구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차의 출입구 방향의 위치가 바뀌도록 승강차가 회전되도록 구성된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강차와, 상기 승강차를 수직통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와, 상기 수직이동부에 설치되어 승강차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수직이동부가 설치된 수직통로와 연계되어 승강차를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강차와, 상기 승강차를 수직통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와, 상기 수직이동부에 설치되어 승강차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수직이동부가 설치된 수직통로와 연계되어 승강차를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구간과 수평구간과 경사구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차의 출입구 방향의 위치가 바뀌도록 승강차가 회전되도록 구성된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 또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사람이나 물건 등을 수송하기 위하여 고층 건물이나 지하철, 육교, 지하도와 같은 여러 건물에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의 승강기는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좌,우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승강기를 갈아타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육교를 건너기 위하여 육교의 양측에 설치된 승강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일측 승강기를 이용하여 육교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고, 육교 위에서 내린 후 타측에 설치된 승강기까지 도보로 이동한 다음 타측에 설치된 승강기를 이용하여 육교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0362호와 같이 수직이동과 일정구간에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1010362호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나, 건물에 설치되어 승강기에 탑승하는 출입문과 항상 동일한 위치에 승강실의 문이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승강기를 설치하는데 많은 제한을 받게 되고, 건물의 모양에 따라 경사구간에는 승강기를 설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강차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승강부에 회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승강장의 출입구 방향에 따라 승강차의 문을 자유롭게 전환이 가능하여 건물의 용도와 모양에 따라 제한을 받지 않고 승강장의 출입문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승강차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평이동부를 설치함으로써, 건물의 모양과 용도에 따라 승강차를 이용하는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승강차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평이동부를 구비하고, 이 수평이동부를 따라 승강차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승강기를 이용하는 탑승객이 승강차를 갈아타지 않고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승강차가 경사구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이동구간을 구비하여 건물의 모양 또는 00000용도에 따라 경사구간에 승강차가 이동할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및 경사구간의 이동시 승강차를 갈아타거나 도보로 이동하지 않고 신속하게 승강차의 탑승자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람이 탑승하는 승강차와, 상기 승강차를 수직통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와, 상기 수직이동부에 설치되어 승강차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수직이동부가 설치된 수직통로와 연계되어 승강차를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차는 상부에 장착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프레임의 길이 방향 전, 후부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차축이 구비되며, 상기 차축에 결합되되, 장착프레임의 외측부에 위치되게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프레임에는 한 쌍의 차축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전동기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프레임에는 축전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부 중앙부에 권상기의 와이어가 결합되는 승강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수직이동부의 승강틀에 결속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승강틀에 고정되는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유압피스톤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구비되되, 승강차의 바퀴가 안착되는 제1안착프레임과, 상기 제1안착프레임에 장착되어 바퀴를 단속하는 유압고정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동부의 승강틀에는 하부로 돌출된 고정바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판에는 고정바에 대응되는 위치에 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가이드부는 수직통로와 연계되는 수평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통로 상부에 설치되되, 회전부의 제1안착프레임과 동일 위치에 설치되는 수평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의 양측 끝단부에는 바퀴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차를 경사구간으로 안내 이동시키는 경사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경사가이드부는 수직통로 또는 수평통로와 연계되는 경사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통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사가이드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차를 경사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경사이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경사이동부는 경사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일측에 구비된 권상기에 권취된 와이어가 결합 고정되는 경사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이동부재의 하부에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되, 수평으로 형성되어 승강기의 바퀴가 안착되는 제2안착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2안착프레임에는 바퀴를 단속하는 유압고정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직통로의 상단부와 경사통로의 상, 하부에는 유압식감속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람이 탑승하는 승강차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승강부에 회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승강장의 출입구 방향에 따라 승강차의 문을 자유롭게 전환이 가능하여 건물의 용도와 모양에 따라 제한을 받지 않고 승강장의 출입문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차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평이동부를 설치함으로써, 건물의 모양과 용도에 따라 승강차를 이용하는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승강차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평이동부를 구비하고, 이 수평이동부를 따라 승강차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승강기를 이용하는 탑승객이 승강차를 갈아타지 않고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차가 경사구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이동구간을 구비하여 건물의 모양 또는 용도에 따라 경사구간에 승강차가 이동할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및 경사구간의 이동시 승강차를 갈아타거나 도보로 이동하지 않고 신속하게 승강차의 탑승자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를 보인 정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승강차를 보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회전부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수평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경사이동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승강차가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승강차가 수평 이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승강차가 경사구간을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를 보인 정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승강차를 보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회전부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수평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경사이동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승강차가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승강차가 수평 이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승강차가 경사구간을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를 보인 사시도익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승강차를 보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회전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수평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경사이동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100)는 사람이이 탑승하거나 물건을 실을 수 있는 승강차(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차(110)는 사람이 탑승하거나 물건 등을 실을 수 있도록 형성된 기존의 승강실과 같이 전방에 자동 개폐문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승강차(110)의 외측 상단부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프레임(112)이 구비되고, 이 장착프레임(112)의 길이 방향 전,후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차축(114)이 구비되며, 이 차축(114)의 양측 끝단부에 결합되되, 장착프레임(112)의 외측에 위치되게 결합되는 바퀴(116)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장착프레임(112)의 내측에는 전,후부에 구비된 한 쌍의 차축(11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구동시키는 전동기(118)가 구비되고, 이 전동기(118)로 동력을 전달하는 축전지(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축전지(120)는 승강장의 수직통로(102)를 운행할 때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차(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승강차(110)를 수직통로(102)를 따라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이동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이동부(210)는 수직통로(102)에 설치되어 중앙부에 수직통로(102)의 상단부에 구비된 권상기(미도시)에 권취된 와이어(103)가 결합 고정되는 승강틀(2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틀(212)은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와이어(103)가 결합고정되는 고정구(212a)가 형성되며, 이 고정구(212a)는 승강틀(212)과 리브(212b)에 의해 연결 지지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승강틀(212)의 하부로 돌출되되, 고정구(212a)와 승강틀(212)을 연결시키는 연결바(214)가 구비되고, 이 연결바(214)의 하부로 돌출된 고정바(216)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통로(102)를 승하강하는 승강틀(212)의 이동 한계점 위치에 유압감속스토퍼(218)가 설치되고, 승강틀(212)의 상하부에는 충돌판(미도시)을 설치하여 승강틀(212)이 수직통로(102)의 한계점을 지나쳐 이동할 경우 유압감속스토퍼(218)에 의해 부드럽게 정지하도록 유도하며, 한계점에서 일정 구간 이상으로 지나쳐 운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통로(102)의 승강장에 유압식브레이크(220)를 설치하여 승강틀(212)에 장착된 가이드롤러(미도시)에 의해 수직통로(102)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서 주행하며, 승강틀(212)의 가이드롤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유압으로 작동되는 구조의 브레이크를 장착하여 승강틀(212)이 정위치에 정지하거나, 비상 정지하였을 경우 유압식 작동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승강틀(212)에서 승강차(110)가 진입하거나 진출할 때 승강틀(212)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부(210)의 승강틀(212)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차(11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310)는 승강틀(212)에 결속되되, 하단부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연결축(312)이 구비되고, 이 연결축(3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31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승강틀(212)에 일측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타측부는 회전판(314)의 상부에 고정되어 회전판(314)을 회동시키는 유압피스톤(31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314)에 형성되어 회전판(314)을 설정 각도로 회전시 회전판(314)이 오버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압피스톤(316)을 제어함과 동시에 완충작용을 하는 감지센서(318)가 구비된다.
즉, 상기 회전판(314)이 유압피스톤(316)에 의해 회전시 감지센서(318)가 승강틀(212)에 구비된 고정바(216)에 접촉하여 완충 작용을 함과 동시에 유압피스톤(316)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어 회전판(314)이 오버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판(314)의 하부에는 승강차(110)의 바퀴(116)가 안착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안착프레임(320)이 구비되고, 제1안착프레임(320)에는 바퀴(116)를 단속하는 유압고정스토퍼(3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압고정스토퍼(322)는 바퀴(116)가 안착되는 제1안착프레임(320)의 중앙부에 몸체가 구비되고, 이 몸체의 양측부로 돌출 형성되어 바퀴의 외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수직 및 수평으로 회동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이동부(320)에 의해 승강차(110)가 승,하강할 경우에는 유압고정스토퍼(322)에 의해 제1안착프레임(320)에 안착된 바퀴(116)의 외측을 지지하게 되어 승강차(110)가 안전하게 수직이동부(210)에 의해 승하강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회전부(310)에 의해 승강차(110)의 개폐문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되어 승강장의 출입문 위치를 건물의 상황에 따라 건축하여도 용이하게 승강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틀(212)에 장착되는 승강차(110)의 가이드레일은 수평을 유지하였어도 승강틀(212)에 진입한 승강차(110)의 가이드롤러가 찌그러짐 등으로 인하여 승강차(110)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였을 때를 대비하여 승강차(110)의 하부에는 가이드롤러가 장착되며, 수직통로(102)로 승강장 구간에서 승강차(110)의 수평 유지용 가이드레일을 별도로 설치하여 승강차(110)가 승강장 구간으로 진입할 때 미리 승강차(1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수평이 맞지 않아 승강장의 구조물과 간섭되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통로(102)와 연계되게 수평통로(104)를 건축하고, 이 수평통로(104)로 승강차(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평 가이드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가이드부(410)는 수평통로(104)의 상단부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평 가이드레일(4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412)의 양측 끝단부에는 수평 가이드레일(412)로 진입하는 승강차(110)의 바퀴(116)를 제어하는 바퀴스토퍼(4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통로(104)에 설치된 수평 가이드레일(412)과 승강차(110)의 상부에 구비된 장착프레임(112)이 동일한 위치에 정지한 후 승강차(110)의 전동기(118)를 작동시키게 되면 바퀴(116)가 회동하면서 이동하여 수평 가이드레일(412)로 진입하여 운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412)에 진입한 승강차(110)는 승강차(110)의 상부에 구비된 전동기(118)의 작동에 의해 바퀴(116)가 구동하도록 하여 승강차(110)가 수평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통로(102) 또는 수평통로(104)와 연계되는 경사통로(106)가 구비되고, 이 경사통로(106)로 승강차(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경사가이드부(5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가이드부(510)는 경사통로(106)의 상부에는 경사 가이드레일(5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통로(106)에 설치된 경사 가이드레일(512)을 따라 승강차(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이동부(6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이동부(610)는 경사 가이드레일(512)에 안착되고, 일측에는 경사통로(106)의 일측에 구비된 권상기(미도시)에 권취된 와이어(107)가 결합되는 경사이동부재(6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경가이동부재(612)의 하부에 구비되되, 연결구(616))에 의해 연결되는 제2안착프레임(6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안착프레임(614)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 가이드레일(412) 또는 승강차(110)의 상부에 구비된 장착프레임(112)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2안착프레임(614)에는 승강차(110)의 바퀴(116)를 전,후 방향에서 단속 지지하는 유압고정스토퍼(61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압고정스토퍼(618)는 몸체가 구비되고, 이 몸체의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수직 및 수평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2안착프레임(614)의 상부에 진입한 승강차(110)의 바퀴(116) 전, 후 방향을 지지하여 경사구간을 이동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경사구간으로 이동한 승강차(110)는 경사이동부(610)의 제2안착프레임(614)에 안착되고, 제2안착프레임(614)에 안착된 승강차(110)는 경사이동부재(612)가 경사 가이드레일(51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통로(106)에는 경사이동부재(612)의 이동 한계점 위치에 유압감속스토퍼(620)를 설치하고 경사이동부재(612)의 양 끝단부에는 충돌판(미도시)을 설치하여 경사이동부재(612)가 경사통로(106)의 이동 한계점을 지나쳐 이동할 경우 유압감속스토퍼(620)에 의해 부드럽게 정지하도록 유도하며, 한계점에서 일정 구간 이상으로 지나쳐 운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감속스토퍼(620)는 경사이동부재(612)가 한계점을 지나쳐 운행하게 될 경우 직접 구조체에 승강차(110) 또는 경사이동부재(612)가 충돌하기 전에 유압감속스토퍼(620)가 먼저 승강차(110) 또는 경사이동부재(612)를 감속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승강차(110)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이동부재(612)의 제2안착프레임(614)에는 유압고정스토퍼(622)가 구비되어 승강차(110)의 바퀴(116)가 제2안착프레임(614)에 안착되게 되면 유압고정스토퍼(618)가 작동하여 경사이동부재(612)가 경사통로(106)를 이동할 때 바퀴(116)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유압고정스토퍼(618)는 수평 가이드레일(512)과 제2안착프레(614)의 높이가 정확하게 맞았을 경우 승강차(110)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자동으로 풀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승강차가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승강차가 수평 이동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승강차가 경사구간을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100)는 승강틀(212)의 하부에 구비된 회전부(310)의 제1안착프레임(320)에 바퀴(116)가 안착되고, 유압고정스토퍼(218)에 의해 바퀴(116)가 고정된 승강차(110)는 수직통로(102)의 상부에 구비된 권상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103)가 권취 또는 풀림에 의해 수직통로(102) 상에서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차(110)가 승하강 동작시 제1안착프레임(320)에 구비된 유압고정스토퍼(322)에 의해 승강차(110)의 바퀴(116)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어 안전하게 승강차(110)가 승하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차(110)에 사람이나 물건 등을 실은 후 건물의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차(110)가 수직이동부(210)에 의해 승하강하여 정위치에 도달하면 승강장의 출입문 위치에 맞도록 승강차(110)를 회전시켜 탑승 또는 하차하거나 물건을 실거나 내릴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승강차(110)가 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승강장의 출입문 위치에 승강차(110)의 개폐문이 위치하도록 유압피스톤(316)을 작동시키게 되면 회전판(314)이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판(314)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차(110)가 안착된 제1안착프레임(320)이 동일하게 회전하게 되면서 승강차(11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310)의 동작에 의해 회전부(310)에 안착된 승강차(110)가 회전을 하게 되어 승강장의 출입문이 위치한 방향과 승강차(110)의 개폐문이 일치하게 되어 용이하게 승강차(110)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장의 출입문이 어느 방향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승강차(110)를 회전시켜 승강차(110)의 개폐문 위치를 변경시켜 승강차(110)에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차(110)가 수평통로(104)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수직통로(102)를 승하강하는 회전부(310)의 제1안착프레임(320)이 수평통로(104)에 구비된 수평 가이드레일(412) 위치에 정확하게 맞은 상태에서 제1안착프레임(320)에 구비된 유압고정스토퍼(322)와 수평가이드레일(412)에 구비된 바퀴스토퍼(414)가 풀림과 동시에 승강차(110)에 구비된 전동기(118)가 작동하여 바퀴(116)가 구동하면서 제1안착프레임(320)에서 수평 가이드레일(412)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412)로 이동한 승강차(110)는 전동기(118)의 작동에 의해 수평 가이드레일(412)을 운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안착프레임(320)에 구비된 유압고정스토퍼(322)와 수평 가이드레일(412)에 구비된 바퀴스토퍼(414)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체 동력이 없는 기계식으로 제1안착프레임(310)이 정위치에 도착하면 제1안착프레임(320)에 장착된 유압고정스토퍼(322)가 풀릴 때 사용하는 유압 동력을 같이 사용하여 동시에 풀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통로(102)를 승하강하는 경우에는 승강틀(212)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수평통로(104)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승강차(110)의 상부에구비된 전동기(118)의 동작에 의해 자체 동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승강차(110)가 서로 연계된 수직통로(102)와 수평통로(104)를 통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차(110)가 경사통로(106)를 운행하는 경우에는 수직통로(102) 또는 수평통로(104)와 연계되도록 경사통로(106)를 구비하여 승강차(110)가 안착된 회전부(310)의 제1안착프레임(320)이 경사 이동부(610)의 제2안착프레임(614)과 동일 위치에 정확하게 맞게 정지한 상태에서 제1안착프레임(320)에 구비되어 바퀴(116)를 고정시킨 유압고정스토퍼(322)를 해지시킴과 동시에 제2안착프레임(614)으로 승강차(110)에 구비된 전동기(118)의 작동에 의해 바퀴(116)가 구동하면서 제2안착프레임(614)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2안착프레임(614)으로 승강차(110)가 이동한 상태에서 제2안착프레임(614)에 구비된 유압고정스토퍼(618)를 작동시켜 승강차(110)의 바퀴(116)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차(110)의 바퀴(116)를 제2안착프레임(614)에 구비된 유압고정스토퍼(618)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경사이동부재(612)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 경사이동부재(612)는 경사 가이드레일(51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통로(102) 또는 수평통로(104)를 이동한 승강차(110)는 이 경사이동부(610)에 의해 경사통로(106)를 운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안착프레임(614)에 구비된 유압고정스토퍼(618)와 수평 가이드레일(412)에 구비된 바퀴스토퍼(414) 또는 제1안착프레임(320)에 구비된 유압고정스토퍼(322)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체 동력이 없는 기계식으로 승강틀(212) 또는 승강차(110)가 정위치에 도착하면 승강틀(212) 또는 승강차(110)에 장착된 유압고정스토퍼(322) 및 바퀴스토퍼(414)가 풀릴 때 사용하는 유압 동력을 같이 사용하여 동시에 풀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100)는 건물의 구조 및 조건 등에 따라 승강차(110)가 수직과 수평 및 경사구간을 운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100)의 승강차(110) 운행 방식을 탑승객이 승강장에서 승강차(110)를 탑승한 후 목적지에 도착하면 하차하는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구간을 자동으로 왕복하는 셔틀식 운행 방식과, 탑승객이 승강장에서 행선지를 선택하면 해당 행선지로 이동하여 승강차(110)가 도착하는 복합 운행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승강기 102 : 수직통로
103, 107 : 와이어 104 : 수평통로
106 : 경사통로 110 : 승강차
112 : 장착프레임 114 : 차축
116 : 바퀴 118 : 전동기
120 : 축전지 210 : 수직이동부
212 : 승강틀 212a : 고정구
212b : 리브 214 : 연결바
216 : 고정바 218 : 유압감속스토퍼
220 : 유압브레이크 310 : 회전부
312 : 연결축 314 : 회전판
316 : 유압피스톤 318 : 감지센서
320 : 제1안착프레임 322 : 유압고정스토퍼
410 : 수평이동부 412 : 수평가이드레일
414 : 바퀴스토퍼 510 : 경사가이드부
512 : 경사가이드레일 610 : 경사이동부
612 : 경사이동부재 614 : 제2안착프레임
616 : 연결구 618 : 유압고정스토퍼
620 : 유압감속스토퍼
103, 107 : 와이어 104 : 수평통로
106 : 경사통로 110 : 승강차
112 : 장착프레임 114 : 차축
116 : 바퀴 118 : 전동기
120 : 축전지 210 : 수직이동부
212 : 승강틀 212a : 고정구
212b : 리브 214 : 연결바
216 : 고정바 218 : 유압감속스토퍼
220 : 유압브레이크 310 : 회전부
312 : 연결축 314 : 회전판
316 : 유압피스톤 318 : 감지센서
320 : 제1안착프레임 322 : 유압고정스토퍼
410 : 수평이동부 412 : 수평가이드레일
414 : 바퀴스토퍼 510 : 경사가이드부
512 : 경사가이드레일 610 : 경사이동부
612 : 경사이동부재 614 : 제2안착프레임
616 : 연결구 618 : 유압고정스토퍼
620 : 유압감속스토퍼
Claims (10)
- 승강차와,
상기 승강차를 수직통로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와,
상기 수직이동부에 설치되어 승강차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수직이동부가 설치된 수직통로와 연계되어 승강차를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 가이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는 수직이동부의 승강틀에 결속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승강틀에 고정되는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유압피스톤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구비되되, 승강차의 바퀴가 안착되는 제1안착프레임과,
상기 제1안착프레임에 장착되어 바퀴를 단속하는 유압고정스토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고정스토퍼는 상기 제1안착프레임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부로 돌출 형성되어 바퀴의 외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수직 및 수평으로 회동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차는 상부에 장착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프레임의 길이 방향 전, 후부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차축이 구비되며,
상기 차축에 결합되되, 장착프레임의 외측부에 위치되게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프레임에는 한 쌍의 차축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전동기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프레임에는 축전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부 중앙부에 권상기의 와이어가 결합되는 승강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의 승강틀에는 하부로 돌출된 고정바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판에는 고정바에 대응되는 위치에 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부는 수직통로와 연계되는 수평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통로 상부에 설치되되, 회전부의 제1안착프레임과 동일 위치에 설치되는 수평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의 양측 끝단부에는 바퀴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차를 경사구간으로 안내 이동시키는 경사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경사가이드부는 수직통로 또는 수평통로와 연계되는 경사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통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사가이드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차를 경사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경사이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이동부는 경사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일측에 구비된 권상기에 권취된 와이어가 결합 고정되는 경사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이동부재의 하부에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되, 수평으로 형성되어 승강기의 바퀴가 안착되는 제2안착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2안착프레임에는 바퀴를 단속하는 유압고정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통로의 상단부와 경사통로의 상, 하부에는 유압식감속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7802A KR101400806B1 (ko) | 2012-12-31 | 2012-12-31 |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7802A KR101400806B1 (ko) | 2012-12-31 | 2012-12-31 |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0806B1 true KR101400806B1 (ko) | 2014-05-29 |
Family
ID=5089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7802A KR101400806B1 (ko) | 2012-12-31 | 2012-12-31 |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080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08309A1 (ko) * | 2014-12-29 | 2016-07-07 |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 수직 경사형 해상구조물용 방폭형 엘리베이터 |
CN107416643A (zh) * | 2017-06-05 | 2017-12-01 | 天津天玺建筑设计有限公司 | 一种适用于老旧住宅楼改造的电动升降装置及改造方法 |
CN110293979A (zh) * | 2019-07-30 | 2019-10-01 | 黄韩华 | 一种跨路车系统 |
WO2020162801A1 (en) * | 2019-02-05 | 2020-08-13 | Saab Ab | An actuator apparatus comprising a positioning actuator |
US20210253398A1 (en) * | 2020-01-08 | 2021-08-19 | Poma | Vehicle with shock absorption for transporting passengers on a variable slope track and installation comprising said vehic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7326A (ko) * | 1992-09-09 | 1994-04-27 | 최관식 | 회전 테이블을 내장한 엘레베이터식 입체주차 설비 |
KR20000065375A (ko) * | 1999-04-02 | 2000-11-15 | 장병우 | 주차 설비의 팰릿 정위치 감지장치 |
JP2002046958A (ja) * | 2000-08-01 | 2002-02-12 | Giken Kaihatsu Kk | 病弱者用傾斜路等移送機 |
KR101010362B1 (ko) * | 2010-06-18 | 2011-01-25 |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
2012
- 2012-12-31 KR KR1020120157802A patent/KR1014008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7326A (ko) * | 1992-09-09 | 1994-04-27 | 최관식 | 회전 테이블을 내장한 엘레베이터식 입체주차 설비 |
KR20000065375A (ko) * | 1999-04-02 | 2000-11-15 | 장병우 | 주차 설비의 팰릿 정위치 감지장치 |
JP2002046958A (ja) * | 2000-08-01 | 2002-02-12 | Giken Kaihatsu Kk | 病弱者用傾斜路等移送機 |
KR101010362B1 (ko) * | 2010-06-18 | 2011-01-25 |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08309A1 (ko) * | 2014-12-29 | 2016-07-07 |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 수직 경사형 해상구조물용 방폭형 엘리베이터 |
KR20160080450A (ko) * | 2014-12-29 | 2016-07-08 |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 수직 경사형 해상구조물용 방폭형 엘리베이터 |
KR101689198B1 (ko) * | 2014-12-29 | 2017-01-02 |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 수직 경사형 해상구조물용 방폭형 엘리베이터 |
CN107416643A (zh) * | 2017-06-05 | 2017-12-01 | 天津天玺建筑设计有限公司 | 一种适用于老旧住宅楼改造的电动升降装置及改造方法 |
CN107416643B (zh) * | 2017-06-05 | 2023-05-02 | 天津天玺建筑设计有限公司 | 一种适用于老旧住宅楼改造的电动升降装置及改造方法 |
WO2020162801A1 (en) * | 2019-02-05 | 2020-08-13 | Saab Ab | An actuator apparatus comprising a positioning actuator |
CN110293979A (zh) * | 2019-07-30 | 2019-10-01 | 黄韩华 | 一种跨路车系统 |
CN110293979B (zh) * | 2019-07-30 | 2024-04-30 | 黄韩华 | 一种跨路车系统 |
US20210253398A1 (en) * | 2020-01-08 | 2021-08-19 | Poma | Vehicle with shock absorption for transporting passengers on a variable slope track and installation comprising said vehicle |
US11713212B2 (en) * | 2020-01-08 | 2023-08-01 | Poma | Vehicle with shock absorption for transporting passengers on a variable slope track and installation comprising said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0806B1 (ko) |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
CN110914183B (zh) | 电梯系统 | |
JP5621017B1 (ja) | エレベータロープ振れ抑制システム | |
CN109761128B (zh) | 一种多轿厢斜行升降机 | |
JP2016214867A (ja) | 救助昇降機システム | |
KR101010362B1 (ko) | 수평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 |
CN101203450B (zh) | 电梯装置 | |
JP4260288B2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 |
EP1914188B1 (en) | Elevator device | |
CN114829288A (zh) | 电梯装置和方法 | |
JP2000118930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US20190389695A1 (en) | Elevator system | |
JP4848781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058710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01019287A (ja) | 可動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
JPH04361977A (ja) | 縦横走行エレベータ装置 | |
US5695024A (en) | Car operated safety gate for horizontally transferrable elevator cab | |
JPH0977432A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 |
JP7324434B1 (ja) | エレベータ | |
KR101617209B1 (ko) |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용 이탈방지장치 | |
EP2431319B1 (en) | Accessible transport system for moving passengers and/or goods | |
JP4053029B2 (ja) | 観覧車 | |
JP7249529B1 (ja) | 移動システム | |
JP5945020B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10105804A (ja) | エレベータのかご床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