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988B1 -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988B1
KR101200988B1 KR1020110103217A KR20110103217A KR101200988B1 KR 101200988 B1 KR101200988 B1 KR 101200988B1 KR 1020110103217 A KR1020110103217 A KR 1020110103217A KR 20110103217 A KR20110103217 A KR 20110103217A KR 101200988 B1 KR101200988 B1 KR 101200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circulation
tunnel
eleva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형
Original Assignee
이동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형 filed Critical 이동형
Priority to KR102011010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paternost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2009/006Ganged elev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8Ganged elevato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감소하고, 탑승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수직터널과, 이러한 한 쌍의 수직터널을 상, 하부에서 잇는 한 쌍의 수평터널을 구비하는 ㅁ자 형상의 순환터널과, 순환터널 상에 연속적인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외면에 복수 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카와, 엘리베이터카의 양 측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장 연결되는 측면연결부와, 순환터널의 내측에서 상, 하로 회전 순환되며, 측면연결부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카를 순환 이동시키는 순환체인과, 순환체인을 축 상에 연결하여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OF ROTATION CYCLE TYPE}
본 발명은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감소하고, 탑승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에는 2개 이상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터치함에 따라, 터치된 순서대로 운행을 하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려는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시간의 단축을 위해 엘리베이터의 입출구 측에 설치된 스위치를 전부 누르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운행으로 인해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인원이 많아 엘리베이터가 만원이 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지 못한 인원은 또 다른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거나 상기 만원된 엘리베이터가 다시 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하므로,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감소시키고, 운행시간을 단축하여 엘리베이터 탑승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가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0-0135951호(2010.12.27. 공개)가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를 ㅁ자 형상의 순환통로 상에 회전 순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탑승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의 상승 또는 하강의 목적으로 나눠 운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감소시키고 탑승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한 쌍의 수직터널과, 상기 한 쌍의 수직터널을 상, 하부에서 잇는 한 쌍의 수평터널을 구비하는 ㅁ자 형상의 순환터널; 상기 순환터널 상에 연속적인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외면에 복수 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양 측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장 연결되는 측면연결부; 및 상기 순환터널의 내측에서 상, 하로 회전 순환되며, 상기 측면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순환 이동시키는 순환체인과, 상기 순환체인을 축 상에 연결하여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인 터치에 의해 층 선택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개폐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입출구가 배치된 공간상의 층마다 구비되는 스위치; 및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 ON/OFF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스위치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연결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양 측면에 연장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연결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의 양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순환체인에 연결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힌지축은, 상기 회전축에 양분되어 연결된 제1힌지축과, 제2힌지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1힌지축 및 상기 제2힌지축은 상호 별도로 회전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상기 순환터널 상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흔들림 없이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순환터널의 내벽에 설치되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터널 중 한 개의 수직터널 내벽에 설치되는 상승구간레일; 상기 상승구간레일과 대칭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수직터널 중 나머지 한 개의 수직터널 내벽에 설치되는 하강구간레일; 및 상기 수평터널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상승구간레일과 상기 하강구간레일을 상, 하부에서 잇는 한 쌍의 수평구간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카를 ㅁ자 형상의 순환통로 상에 회전 순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탑승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카의 상승 또는 하강의 목적으로 나눠 운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감소하고 탑승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카가 수직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카가 순환 이동하는 과정을 일부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카가 수직터널에서 수평터널로 이동할 때, 순환체인에 연결된 측면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 간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크게, 순환터널(110)과, 엘리베이터카(120)와, 측면연결부(130)와,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먼저, 순환터널(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의 공간상에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순환터널(110)은 한 쌍의 수직터널(112)과, 상기 한 쌍의 수직터널(112)을 상, 하부에서 잇는 한 쌍의 수평터널(114)을 구비한다.
이때, 하부에 해당하는 수평터널(114)은 지하로 이루어지는 공간을 나타낼 수 있고, 상부에 해당하는 수평터널(114)은 건물의 최상층과 옥상 사이의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카(120)는 순환터널(110) 상에 연속적인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카(120)는 순환터널(110) 상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측면연결부(130)는 엘리베이터카(120)의 양 측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장 연결된다. 이러한 측면연결부(130)는 엘리베이터카(120)가 회전 순환하며 이동할 시, 안정성을 위해 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연결부(130)는 엘리베이터카(120)가 순환 이동을 하는데 있어 집중하중에 의해 파단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별도의 보강재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카(120)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구동수단은 엘리베이터카(120)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카(120)가 순환터널(110) 상에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해준다. 이러한 구동수단의 보다 상세한 구성 및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카가 수직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카(120)가 수직터널(112)을 통해 상승 이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카(120)는 외면에 복수 개의 롤러(122)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측면연결부(130)는, 상기 엘리베이터카(120)의 양 측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장 연결된다. 이러한 측면연결부(130)는, 엘리베이터카(120)의 양 측면에 연장 연결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연결되는 힌지축(134)과, 상기 힌지축(134)의 양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도시된 순환체인(144)에 연결되는 힌지돌기(1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순환체인(144)은 원형강을 일정한 길이의 링(Ring) 형상으로 가공하여 이음매를 단접 또는 용접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순환체인(144)은 상기 힌지돌기(136)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카(120)의 집중하중을 견디며 회전하므로, 제조될 시 환경에 따라 안전한 기준이 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34)은 회전축(132)에 양분되어 연결된 제1힌지축(134a)과 제2힌지축(134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힌지축(134a)과 제2힌지축(134b)은 상호 별도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엘리베이터카(120)가 수직터널(112)을 이동하다가 수평터널(114)로 진입할 경우, 측면연결부(130)를 통해 엘리베이터카(120)가 보다 원활하고, 안정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카가 순환 이동하는 과정을 일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100) 중 엘리베이터카(120)는, 도시된 것처럼 순환체인(144)과 연결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카(120)는 상기 순환체인(144)의 회전에 의해 순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되는 엘리베이터카(120)는 보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이드수단(1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수단(150)은 엘리베이터카(120)의 롤러(122)와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120)가 흔들림 없이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수단(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터널(110)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카(120)의 롤러(122)는 가이드수단(150) 내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수단(150)에 고정 연결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가이드수단(150)은 엘리베이터카(1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명칭 그대로 가이드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카가 수직터널에서 수평터널로 이동할 때, 순환체인에 연결된 측면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4에서는 엘리베이터카(120)가 수직터널(112)에서 수평터널(114)로 진입하는 과정을 측면연결부(130)와 순환체인(144)과의 체결관계를 통해 설명하려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측면연결부(130)는 엘리베이터카(120)의 양 측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장 연결된다. 이러한 측면연결부(130)는, 엘리베이터카(120)의 양 측면에 연장 연결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연결되는 힌지축(134)과, 상기 힌지축(134)의 양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도시된 순환체인(144)에 연결되는 힌지돌기(13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힌지축(134)은 회전축(132)에 양분되어 연결된 제1힌지축(134a)과 제2힌지축(134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힌지축(134a)과 제2힌지축(134b)은 상호 별도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엘리베이터카(120)가 수직터널(112)을 이동하다가 수평터널(114)로 진입할 경우, 측면연결부(130)를 통해 엘리베이터카(120)가 보다 원활하고, 안정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측면연결부(130)는 회전축(132)과, 힌지축(134)과, 힌지돌기(13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축(134)은 상기 회전축(132)에 양분되어 연결된 제1힌지축(134a)과, 제2힌지축(134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힌지축(134a)과 제2힌지축(134b)은 상호 별도의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엘리베이터카(120)가 보다 안전하게 순환이동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 간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크게, 순환터널(110)과, 엘리베이터카(120)와, 측면연결부(130)와, 구동수단(140)과, 가이드수단(15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술된 내용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술된 내용이라도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간 작동관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순환터널(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의 공간상에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순환터널(110)은 한 쌍의 수직터널(112)과, 상기 한 쌍의 수직터널(112)을 상, 하부에서 잇는 한 쌍의 수평터널(114)를 구비한다.
이때, 하부에 해당하는 수평터널(114)은 지하로 이루어지는 공간을 나타낼 수 있고, 상부에 해당하는 수평터널(114)은 건물의 최상층과 옥상 사이의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엘리베이터카(120)는 순환터널(110) 상에 연속적인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카(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터널(110) 상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측면연결부(130)는 엘리베이터카(120)의 양 측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장 연결된다. 이러한 측면연결부(130)는 엘리베이터카(120)가 회전 순환하면서 이동할 시, 안정성을 위해 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연결부(130)는 엘리베이터카(120)가 순환이동을 하는데 있어 하중이 집중되어 파단 가능성이 높으므로, 별도의 보강재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카(120)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구동수단(140)은 크게, 구동모터(142)와, 순환체인(144)과, 제어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체인(144)은 순환터널(110)의 내측에서 상, 하로 회전 순환되며, 측면연결부(130)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카(120)를 순환 이동시킨다. 그리고 구동모터(142)는, 상기 순환체인(144)을 축 상에 연결하여 회전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46)는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42)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6)는, 스위치(146a)와, 컨트롤박스(146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146a)는 엘리베이터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인 터치에 의해 층 선택 및 엘리베이터카(120)의 개폐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위치(146a)는, 엘리베이터카(120)의 내부 및 건물의 엘리베이터(120) 입출구가 배치된 공간상의 층마다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박스(146b)는, 구동모터(142)의 전원 ON/OFF 조절이 가능하고, 엘리베이터카(12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스위치(146a)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42)를 구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수단(150)은, 엘리베이터카(120)의 롤러(도 2의 122)와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120)가 흔들림 없이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순환터널(110)의 내벽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수단(150)은, 상승구간레일(152)과, 하강구간레일(154)과, 수평구간레일(15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승구간레일(152)은 한 쌍의 수직터널(112) 중 한 개의 수직터널(112) 내벽에 설치된다. 그리고, 하강구간레일(152)은 상기 상승구간레일(152)과 대칭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하강구간레일(152)은 상기 한 쌍의 수직터널(112) 중 나머지 한 개의 수직터널(112)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구간레일(156)은, 수평터널(114)의 내벽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구간레일(156)은, 상기 상승구간레일(152)과 하강구간레일(154)을 상, 하부에서 잇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수단(150)은, 순환터널(110)과 마찬가지로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이드수단(150)은 엘리베이터카(120)가 보다 안전하게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기능을 갖는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구성 간 작동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건물 내의 순환터널(110) 상에 순환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카(120)는, 한 방향으로 순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수직터널(112)의 어느 한 측은 상승구간이 되고, 다른 한 측은 하강구간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역방향으로 순환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순환 방향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엘리베이터카(1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회전 순환이 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각 층을 순환회전하며, 엘리베이터카(120)를 탑승하려는 사용자를 탑승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스위치(146a)를 터치하면, 그 해당하는 위치에 엘리베이터카(120)가 이동한 후 사용자를 탑승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스위치(146a)는 엘리베이터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적인 터치에 의해 엘리베이터카(120)의 층 선택 및 입구를 개폐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위치(146a)의 선택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조작된 스위치(146a)의 터치 정보가 컨트롤박스(146b)에 입력된다. 이때, 컨트롤박스(146b)는 상기 스위치(146a)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구동모터(14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146b)는 구동모터(142)의 전원 ON/OFF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120)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기능은 스위치(146a)가 터치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카(120)는, 사용자의 선택적으로 스위치(146a)를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카(120)와 순환체인(144) 그리고, 측면연결부(130)와의 체결관계는 도 1 내지 도 4 그리고 도 5의 상기 내용에서 상술되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카를 ㅁ자 형상의 순환통로 상에 회전 순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탑승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카의 상승 또는 하강의 목적으로 나눠 운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감소하고 탑승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110 : 순환터널 112 : 수직터널
114 : 수평터널 120 : 엘리베이터카
122 : 롤러 130 : 측면연결부
132 : 회전축 134 : 힌지축
34a : 제1힌지축 134b : 제2힌지축
136 : 힌지돌기 140 : 구동수단
142 : 구동모터 144 : 순환체인
146 : 제어부 146a : 스위치
146b : 컨트롤박스 150 : 가이드수단
152 : 상승구간레일 154 : 하강구간레일
156 : 수평구간레일

Claims (7)

  1. 한 쌍의 수직터널과, 상기 한 쌍의 수직터널을 상, 하부에서 연결하도록 건물의 지하공간과, 건물의 최상층과 옥상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터널을 구비하는 ㅁ자 형상의 순환터널;
    상기 순환터널 상에 연속적인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외면에 복수 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양 측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장 연결되는 측면연결부;
    상기 순환터널의 내측에서 상, 하로 회전 순환되며, 상기 측면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순환 이동시키는 순환체인과, 상기 순환체인을 축 상에 연결하여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흔들림 없이 순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순환터널의 내벽에 설치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연결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양 측면에 연장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수직 이동시에는 상하로 배치되고 수평 이동시에는 좌우로 배치되는 한쌍의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순환체인에 연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터널 중 한 개의 수직터널 내벽에 설치되는 상승구간레일; 상기 상승구간레일과 대칭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수직터널 중 나머지 한 개의 수직터널 내벽에 설치되는 하강구간레일; 및 상기 수평터널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상승구간레일과 상기 하강구간레일을 상, 하부에서 잇는 한 쌍의 수평구간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인 터치에 의해 층 선택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개폐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입출구가 배치된 공간상의 층마다 구비되는 스위치; 및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 ON/OFF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스위치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회전축에 양분되어 연결된 제1힌지축과, 제2힌지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1힌지축 및 상기 제2힌지축은 상호 별도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상기 순환터널 상에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10103217A 2011-10-10 2011-10-10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00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217A KR101200988B1 (ko) 2011-10-10 2011-10-10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217A KR101200988B1 (ko) 2011-10-10 2011-10-10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988B1 true KR101200988B1 (ko) 2012-11-16

Family

ID=4756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217A KR101200988B1 (ko) 2011-10-10 2011-10-10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98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931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20150138930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20160116271A (ko) 2015-03-27 2016-10-07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이송시스템의 유동방지장치
KR20170038472A (ko) 2015-09-30 2017-04-07 안태식 순환식 엘리베이터 운행 시스템 및 방법
CN112607557A (zh) * 2020-12-23 2021-04-06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化循环式人货梯系统及使用方法
WO2021091111A1 (ko) * 2019-11-07 2021-05-14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 탑승을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CN113697639A (zh) * 2021-09-15 2021-11-26 北京中冶设备研究设计总院有限公司 悬崖循环载人装置及方法
CN115724129A (zh) * 2022-10-09 2023-03-03 娲石水泥集团有限公司 一种水泥制备用灰料提升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3131A (ja) * 2008-04-28 2009-11-12 Ryozo Ota 懸垂循環式エレベータ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3131A (ja) * 2008-04-28 2009-11-12 Ryozo Ota 懸垂循環式エレベータ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931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20150138930A (ko) 2014-05-30 2015-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20160116271A (ko) 2015-03-27 2016-10-07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이송시스템의 유동방지장치
KR20170038472A (ko) 2015-09-30 2017-04-07 안태식 순환식 엘리베이터 운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5413A (ko) * 2019-11-07 2021-05-17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 탑승을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WO2021091111A1 (ko) * 2019-11-07 2021-05-14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 탑승을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20210134278A (ko) * 2019-11-07 2021-11-0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의 충전 및 대기가 가능한 로봇 전용 엘리베이터를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건물
KR102338608B1 (ko) 2019-11-07 2021-12-1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의 충전 및 대기가 가능한 로봇 전용 엘리베이터를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건물
KR102338607B1 (ko) * 2019-11-07 2021-12-1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 탑승을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CN112607557A (zh) * 2020-12-23 2021-04-06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化循环式人货梯系统及使用方法
CN112607557B (zh) * 2020-12-23 2022-08-30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化循环式人货梯系统及使用方法
CN113697639A (zh) * 2021-09-15 2021-11-26 北京中冶设备研究设计总院有限公司 悬崖循环载人装置及方法
CN113697639B (zh) * 2021-09-15 2024-04-09 北京中冶设备研究设计总院有限公司 悬崖循环载人装置及方法
CN115724129A (zh) * 2022-10-09 2023-03-03 娲石水泥集团有限公司 一种水泥制备用灰料提升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988B1 (ko) 회전 순환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CN101445201B (zh) 方便出入的垂直升降电梯及其运行控制方法
CN206108672U (zh) 一种具有稳定结构的安全型升降机
JP6128326B2 (ja) スラットコンベヤ
CN107635904A (zh) 用于使电梯轿厢移位的解决方案
KR101504235B1 (ko) 건설용 리프트 장치
CN106379795B (zh) 一种齿轮传动的循环式电梯
CN207078953U (zh) 一种全屋升降平台
JP6407109B2 (ja) 4方向オープン円筒形エレベータ
CN107664010A (zh) 双排同步运行伸缩段滑门
KR101219436B1 (ko) 모빌랙의 주행장치
CN104213824B (zh) 电动遮阳帘
CN206955404U (zh) 电梯多功能防护门
CN105297984A (zh) 一种可提升移动采光顶
CN206886493U (zh) 施工升降机
CN103492305B (zh) 电梯的门开闭装置
KR20160003957U (ko) 흔들림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JP2012051722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換気装置
CN106395571B (zh) 一种电梯
JP2016141516A (ja) ドアユニット及びエレベータ
JP5988035B2 (ja) 機械式駐車塔の昇降駆動装置
JP2012162900A (ja) 庇兼用電動扉
KR100778251B1 (ko) 덤웨이터의 도어장치
CN107835781A (zh) 电梯装置
CN205257729U (zh) 一种轿厢可旋转的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