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540B1 -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 Google Patents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540B1
KR100460540B1 KR10-2002-0056763A KR20020056763A KR100460540B1 KR 100460540 B1 KR100460540 B1 KR 100460540B1 KR 20020056763 A KR20020056763 A KR 20020056763A KR 100460540 B1 KR100460540 B1 KR 100460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wire
guide plate
automatic door
plat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5942A (ko
Inventor
강태원
Original Assignee
강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원 filed Critical 강태원
Priority to KR10-2002-005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540B1/ko
Publication of KR2003009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의 외측이나 실내외에 설치되는 센서, 버튼 및 키박스 등과 문틀 내에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가이드하여 문틀 내에 설치되는 각 기기들에 전선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각 기기들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는, 문틀(1)의 외측에 설치되는 센서(2)와 문틀(1) 내의 설치패널(3)에 설치되는 컨트롤부(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5)을 가이드하여 설치패널(3)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에 전선(5)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에 있어서, 설치패널(3)에 형성된 설치홈(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브라켓(10); 및 설치홈(3a)의 외측에서 고정브라켓(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고정판부(21)와, 피고정판부(21)에서 수평 연장된 수평가이드판부(22)와, 수평가이드판부(22)의 선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가이드판부(23)로 구성된 가이드브라켓(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CABLE GUIDER FOR AUTO DOOR}
본 발명은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틀의 외측이나 실내외에 설치되는 센서, 버튼, 및 키박스 등과 문틀 내에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은행, 아파트 및 병원 등의 각종 건물에는 비용 절감 측면을 고려하여 무인 경비시스템이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공동현관 출입구에 자동문을 설치하여 경비원 채용으로 인한 비용 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자동문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되는 미닫이 방식과 회전 형태로 개폐되는 여닫이 방식으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실외에서는 키박스에 별도의 암호를 버튼식으로 조작하거나 출입카드, 또는 지문을 이용하여 자동문을 개방시키도록 하고, 실내에서는 사용자가 자동문에 근접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자동문을 개방시키거나 별도의 버튼을 눌러 자동문을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다. 미닫이 방식의 자동도어는 일측으로만 개폐되는 편개폐 방식과 양쪽으로 개폐되는 양개폐 방식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공히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된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방식의 자동문에 사용되는 개폐장치는 문틀 내의 설치패널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모터에 감속기를 연결하고, 감속기의 구동풀리와 이격되게 종동풀리를 설치하여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벨트나 체인으로 연결하며, 벨트나 체인에 자동문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행거를 결합함으로써,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벨트나 체인이 회전하면서 자동도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개폐장치는 문틀의 외측이나 실내외에 설치되는 센서, 버튼, 및 키박스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센서, 버튼, 및 키박스 등은 전선에 의해 컨트롤부에 연결되는데, 이 전선이 개폐장치의 각 기기들과 접촉하게 되면 신호의 전송에 방해를 받거나 누전의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전선이 벨트나 체인에 접촉하게 되면, 벨트나 체인의 회전시 마찰로 인해 절단되거나 피복이 벗겨져 컨트롤부로의 신호전송이 중단되거나 방해되기 때문에 개폐장치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문틀의 외측이나 실내외에 설치되는 센서, 버튼, 및 키박스 등과 컨트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은 문틀 내의 각종 기기들과 접촉되지 않도록 가이드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문틀의 외측이나 실내외에 설치되는 센서, 버튼 및 키박스 등과 문틀 내에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가이드하여 문틀 내에 설치되는 각 기기들에 전선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각 기기들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의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고정브라켓 20 : 가이드브라켓
21 : 피고정판부 22 : 수평가이드판부
23 : 수직가이드판부 24, 25 : 이탈방지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는, 문틀의 외측에 설치되는 센서와 문틀 내부의 설치패널에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에 있어서, 설치패널에 형성된 설치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브라켓; 및 설치홈의 외측에서 고정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고정판부와, 피고정판부에서 수평 연장된 수평가이드판부와, 수평가이드판부의 선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가이드판부로 구성된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는, 상기 수평가이드판부와 수직가이드판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전선의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는 문틀(1)의 외측이나 실내외에 설치되는 센서(2), 버튼, 및 키박스 등과 문틀(1) 내의 설치패널(3)에 설치되는 컨트롤부(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5)을 가이드하여 설치패널(3)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들에 전선(5)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는, 상기 설치패널(3)에 형성된 설치홈(3a)에 삽입되는 고정브라켓(10)과, 설치홈(3a)의 외측에서 고정브라켓(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전선(5)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브라켓(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은 설치홈(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설치홈(3a)의 입구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돌출부(3b)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20)은, 설치홈(3a)의 외측에서 돌출부(3b)를 사이에 두고 고정브라켓(10)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는 피고정판부(21)와, 피고정판부(21)의 하부에서 수평 연장되어 전선(5)을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판부(22)와, 수평가이드판부(22)의 선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전선(5)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판부(23)로 구성되며, 수평가이드판부(22)와 수직가이드판부(23)의 양측에는 전선(5)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4)(25)가 각각 수직 연장된다. 피고정판부(21)와 이탈방지부(24), 그리고 각 이탈방지부(24)(25) 사이에는 전선(5)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틈새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피고정판부(21)의 상부는 돌출부(3b)의 외측면에 접면되며, 그 하단부 양측에는 고정브라켓(10)에 대하여 피고정판부(2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21a)가 돌출부(3b)의 두께만큼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가이드판부(22)는 설치패널(3)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6) 사이에 위치되고, 수직가이드판부(23)는 벨트(6)의 전방에 위치되어 전선(5)이 벨트(6)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수평가이드판부(22)를 벨트(6)의 상방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브라켓(20)의 수평가이드판부(22)와 수직가이드판부(23)에 의해 전선(5)이 가이드되어 문틀(1) 내의 설치패널(3)에 설치되는 각 기기와의 접촉이 방지되므로 각 기기들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평가이드판부(22)를 벨트(6) 사이에 위치시키고 수직가이드판부(23)를 벨트(6)의 전방에 위치시켜 전선(5)이 벨트(6)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벨트(6)와의접촉시 마찰로 인해 전선(5)이 절단되거나 혹은 전선(5)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에 따르면, 문틀의 외측이나 실내외에 설치되는 센서, 버튼 및 키박스 등과 문틀 내에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가이드하여 전선과 각 기기들의 접촉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데, 특히 전선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나 체인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전선이 절단되거나 피복이 벗겨지므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문틀(1)의 외측에 설치되는 센서(2)와 문틀(1) 내의 설치패널(3)에 설치되는 컨트롤부(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5)을 가이드하여 설치패널(3)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에 전선(5)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에 있어서,
    상기 설치패널(3)에 형성된 설치홈(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브라켓(10); 및
    상기 설치홈(3a)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브라켓(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고정판부(21)와, 상기 피고정판부(21)에서 수평 연장된 수평가이드판부(22)와, 상기 수평가이드판부(22)의 선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가이드판부(23)로 구성된 가이드브라켓(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판부(22)와 수직가이드판부(23)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전선(5)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4)(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KR10-2002-0056763A 2002-09-18 2002-09-18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KR100460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763A KR100460540B1 (ko) 2002-09-18 2002-09-18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763A KR100460540B1 (ko) 2002-09-18 2002-09-18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994U Division KR200287736Y1 (ko) 2002-06-12 2002-06-12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942A KR20030095942A (ko) 2003-12-24
KR100460540B1 true KR100460540B1 (ko) 2004-12-14

Family

ID=3238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763A KR100460540B1 (ko) 2002-09-18 2002-09-18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608B1 (ko) * 2018-12-06 2019-05-21 주식회사 파스카이앤씨 방열문 내설전선 훼손 방지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4684U (ko) * 1986-03-24 1987-10-01
JPH0813948A (ja) * 1994-06-25 1996-01-16 Goal Co Ltd 引戸の電気機器への給電装置
JPH11146631A (ja) * 1997-11-06 1999-05-28 Fuji Electric Co Ltd ドライバを備える引戸用リニアモータ
JP2000045656A (ja) * 1998-07-28 2000-02-15 Best Oume:Kk 移動扉への通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防災用扉
JP2000096917A (ja) * 1998-09-21 2000-04-04 Infunikkusu:Kk 自動ドア装置
JP2000234470A (ja) * 1999-02-16 2000-08-29 Aichi Mach Ind Co Ltd スライドドアへの給電機構
KR200287735Y1 (ko) * 2002-06-12 2002-09-09 강태원 자동문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4684U (ko) * 1986-03-24 1987-10-01
JPH0813948A (ja) * 1994-06-25 1996-01-16 Goal Co Ltd 引戸の電気機器への給電装置
JPH11146631A (ja) * 1997-11-06 1999-05-28 Fuji Electric Co Ltd ドライバを備える引戸用リニアモータ
JP2000045656A (ja) * 1998-07-28 2000-02-15 Best Oume:Kk 移動扉への通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防災用扉
JP2000096917A (ja) * 1998-09-21 2000-04-04 Infunikkusu:Kk 自動ドア装置
JP2000234470A (ja) * 1999-02-16 2000-08-29 Aichi Mach Ind Co Ltd スライドドアへの給電機構
KR200287735Y1 (ko) * 2002-06-12 2002-09-09 강태원 자동문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942A (ko)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2239B2 (en) Sliding door system with optical detector for safe door opening and closing
KR100505435B1 (ko) 자동문 개폐시스템
JP2006509134A (ja) 可動バリアの位置の信号を送り且つその位置を確実に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NZ535104A (en) Automatic doo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WO2002086273A2 (en) Movable barrier operation having cable tension sensor and door lock mechanism
KR100466571B1 (ko) 개선된 자동차 안티 핀칭 시스템
JP2013159911A (ja) 開口部用防水装置
KR100991197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00460540B1 (ko)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CA1308796C (en) Curtain opening-closing device
KR10144988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EP3321225B1 (en) Escalator system
KR200287736Y1 (ko) 자동문의 전선 가이드구
KR102044100B1 (ko) 일체형 자동문 어셈블리
EA006217B1 (ru) Экра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приводным двигателем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KR200464421Y1 (ko) 방화셔터의 가이드레일
KR102217624B1 (ko)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KR101031096B1 (ko) 자동문 및 자동문 제어방법
CN211733527U (zh) 电梯用防水防尘走线结构
CN112184976A (zh) 一种智能服务门禁安防控制系统
WO2020003448A1 (ja) ドア装置
KR200288385Y1 (ko) 자동도어 개폐장치용 도어행거
KR200349756Y1 (ko) 자동문 제어 장치의 전선 안내구
CN108843209A (zh) 一种便于逃生的防盗门
KR102303720B1 (ko) 벨트 구동 자동문의 케이블 베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