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432Y1 -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432Y1
KR890006432Y1 KR2019860021339U KR860021339U KR890006432Y1 KR 890006432 Y1 KR890006432 Y1 KR 890006432Y1 KR 2019860021339 U KR2019860021339 U KR 2019860021339U KR 860021339 U KR860021339 U KR 860021339U KR 890006432 Y1 KR890006432 Y1 KR 890006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door
chain
elevator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193U (ko
Inventor
한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21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432Y1/ko
Publication of KR880012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예시도.
제3도는 구동부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I방향에서 본 케이지측 그림.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회전축 5, 12, 16, 23 : 체인스프로켓
6 : 종동기어 10 : 지지축
11 : 중계기어 18 : 무한궤도형체인
19 : 솔레노이드
본 고안은 승강장측과 케이지측 출입문이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형태의 엘리베이터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지측에 부착한 구동모우터에 의하여 상기 승강장측 출입문과 케이지측 출입문이 동시에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통상 이 분야에 있어서 종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은 승강로의 출입구마다 해당 벽면에 독자적으로 설치한 개폐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는 각층에 형성된 승강장 출입구마다 그 출입문을 개폐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독립적으로 갖춰야 했으므로 엘리베이터 설비가 전반적으로 복잡성을 띄게 되어 설비비의 상승, 설비후의 보수 및 점검상의 애로와 함께 전력소모가 많은 등의 문제가 야기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설정하에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하 개폐식 승강장측 출입문 구동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승강장측 출입문 구동장치의 구조를 대폭 간소화 하는 동시에 케이지측에 설치한 케이지측 출입문 개폐장치에 의해 함께 여닫을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작성한 첨부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각 승강장 출입문(2)측의 내벽면(3)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2)의 직상부 적당한 위치마다에는 수직승강로(1)에 대해 제자리 회전가능한 회전축(4)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4) 중간쯤에는 체인스프러켓 또는 로우프 차(5 : 이하 체인 스프로켓이라 한다)가 그리고 축끝에는 종동기어(6)가 각각 고정축끼움 되어 있다.
여기서, 체인 스프로켓(5)은 승강장측 출입문(7)에 연결된 체인(8)을 감아두는 것이고, 종동기어(6)는 이후 설명하는 동력 중계기기어에 접속된다.
상기 회전축(4)과 같은 높이에 인접한 위치에는 내벽면(3) 상에 고정된 축받이(9)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지지축(10)이 있고, 이 지지축(10) 일측에는 종동기어(6)와 중계기어(11)를 치합하고, 그리고 그 반대편끝에서는 케이지축 출입문에 설치하는 구동주 무한궤도형 체인(8)과의 선택적 접촉으로 회전하는 중계용 체인 스프로켓(12)이 각각 고정축 끼움 되어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은 승강장측 출입문을 개폐할때 필요한 동력을 이어주는 동력전달부이다.
다음은 구동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지(20)측 출입문(13)을 여닫는데 직접적으로 쓰이는 체인(14)의 안내용 스프로켓(15)의 지지축(22)에는 구동기어(25)가 고정축 끼움되어 있고 이 구동기어(25)는 무한궤도형체인(18)을 아래쪽에서 하부스크로켓(23)의 지지축(24)에 고정끼움된 종등기어(26)와 맞물려 있다.
상기 무한궤도형 체인(18)의 하부 스프로켓(23) 직상부에는 이것과 간격 유지막대(17)에 의해 일정간격을 보지하면서 체인을 윗쪽에서 거는 상부 스크로켓(16)이 가설되어 있고, 이 상부 스크로켓(16)의 일측케이지(20)상에 설치한 솔레노이드(19)의 레버(19a)에 축끼움되어 있어 솔레노이드(19)에 의해 하부 스프로켓(23)의 축중심과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각(角)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21)는 케이지(20)측에만 갖춰져 있으며, 그 구동력은 상기 모터(21)와 체인(27) 전동에 의해 회전축(22)상의 스프로켓(28)에 구동전달 되도록 한 점은 공지한 바와 같다.
또 상기 접속기어들은 모두 베벨기어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뤄진 본 고안은, 케이지(20)가 주행하던 중 운행정지를 지시한 층에 당도하면 소기의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한 정지신호가 솔레노이드(19)를 동작시켜 미리 셋팅시킨 거리만큼 레버(19a)를 제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에 따라 무한궤도형 체인(18)을 윗쪽에서 걸치고 있는 상부 스프로켓(16)은 상기솔레노이드(19)의 레버(19a)가 움직임 거리만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솔레노이드(19)가 이동하여 상부스프로켓(16)에 연결된 무한궤도형 체인(18)의 일면이 중계스포로켓(12)과 치합되는 즉시, 자동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접속완료 신호가 상기 솔레노이드(19)가 가해져 자동정지한다.
이때, 모터(21)는 계속적으로 작동되어 상기와 같이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얻은 중계 스프로켓(12)의 축상에 1조의 베벨기어에 연결된 체인 스프로켓(5)이 체인(8)을 감아주므로 이 체인(8) 일단에 연접된 승강장측 출입문(7)이 개방되고 동시에 모터(21)와 체인(27) 연결된 스프로켓(28) 축상의 안내용 스프로켓(15) 역시 회전에 의해 체인(14)을 감아주어 케이지측 출입문(13)을 개방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이들 양 출입문(7)(13)이 완전히 열리고 나면 개방완료 감지신호가 감지기(도시 없음)로 부터 모터(21)에 전달되어 전류를 차단하므로 모터(21)는 즉시 가동을 중지하며, 이후 폐문신호가 모터(21)에 재차가해지면 이번에는 모터(21)가 역회전되어 이에따라 모든 움직임은 개문시와는 반대로 구동되어 폐문되는 것이다.
그리고 폐문완료 신호가 모터(21)에 일차내려지고 이어서 솔레노이드(19) 가해져 모터(21)의 구동은 정지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19)의 레버(19a)는 원래 위치대로 되돌아가는 동시에 무한궤도형 체인(18)과 상기 중계스프로켓(12)과의 접속상태도 해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는 승강로 상의 각 층마다 그 출입문을 여닫는 동작을 케이지측에 마련한 한대의 모터만을 의해 달성함으로서 엘리베이터 설비의 염가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비의 간소화에 따른 관리상의 편익도 크다.

Claims (1)

  1. 승강로측과 케이지측의 출입문이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있어서, 승강로(1)상의 출입구(2)측 직상부의 내벽면(3)상에다가 당해 출입문에 연결되는 체인 감기용 스프로켓(5)과 종등기어(6)를 부착한 회전축(4) 및 동력중계기어(11)와 중계스프로켓(12)이 부착된 지지축(10)으로 구동되는 수동부(受動部) 설치하고, 케이지(20)측에는 상하 한쌍의 스프로켓(16)(23)에 무한궤도형체인(18)이 걸쳐 있고 이들중 상부 스프로켓(16)의 축은 솔레노이드(19)에 연결되며 하부 스크로켓(23)은 케이지측 출입문에 설치된 기존의 모터(21)에 의해 구동되게 한 구동부를 장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
KR2019860021339U 1986-12-26 1986-12-26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 KR890006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339U KR890006432Y1 (ko) 1986-12-26 1986-12-26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339U KR890006432Y1 (ko) 1986-12-26 1986-12-26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193U KR880012193U (ko) 1988-08-27
KR890006432Y1 true KR890006432Y1 (ko) 1989-09-22

Family

ID=1925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339U KR890006432Y1 (ko) 1986-12-26 1986-12-26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4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516B1 (ko) * 2008-03-07 2008-07-25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KR100944985B1 (ko) * 2007-03-28 2010-03-02 주식회사 세인테크 건설용 리프트 안전문 잠금장치
KR101009540B1 (ko) * 2008-05-22 2011-01-18 방효무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KR101037867B1 (ko) * 2008-12-01 2011-05-31 방효무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85B1 (ko) * 2007-03-28 2010-03-02 주식회사 세인테크 건설용 리프트 안전문 잠금장치
KR100848516B1 (ko) * 2008-03-07 2008-07-25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KR101009540B1 (ko) * 2008-05-22 2011-01-18 방효무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KR101037867B1 (ko) * 2008-12-01 2011-05-31 방효무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193U (ko) 198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98131A (en) Integral device for garage door opener
KR900000233A (ko) 플러시 창 조절기
KR890006432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
KR100312569B1 (ko) 여닫이식및미닫이식도어의자동개폐장치
US2315571A (en) Electrically operated garage door
KR102217624B1 (ko)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US5125346A (en) Lift installation
KR102046460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JPH10159068A (ja) 水門自昇降式門扉
US2175906A (en) Elevator door operator
US2318090A (en) Elevator door operating mechanism
JPH051592Y2 (ko)
JP2000127955A (ja) レール組み込み型駅ホームドア
US3353299A (en) Overhead door and operating means therefor
JP3101575U (ja) 遠隔操作型水門用開閉装置
JPH0616143Y2 (ja) 門扉装置
FI83303C (fi) Skjutdoerrsystem foer en hiss.
RU9465U1 (ru) Гаражные ворота
JPH0266286A (ja) 円形ドアの開閉装置
JP2504477Y2 (ja) 電動式多重引き戸装置
KR950005610Y1 (ko) 자동문 개폐장치
JPH06540Y2 (ja) 自動扉
KR200268628Y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800000234Y1 (ko) 고가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KR100347171B1 (ko)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