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218U -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 Google Patents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218U
KR20090011218U KR2020080005693U KR20080005693U KR20090011218U KR 20090011218 U KR20090011218 U KR 20090011218U KR 2020080005693 U KR2020080005693 U KR 2020080005693U KR 20080005693 U KR20080005693 U KR 20080005693U KR 20090011218 U KR20090011218 U KR 200900112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oor
panel
door panel
sprocke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비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비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비엔텍
Priority to KR2020080005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218U/ko
Publication of KR20090011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2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7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ga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hang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industrial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out-buildings or cellars; Other simple closures not designed to be close-fi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디펜스 도어에 있어, 도어패널을 승강시켜 상부측 지지패널상의 가이드플레이트로 위치시켜 각각 나열되게 배치시키고, 반대로 출입구측 가이드레일상으로 도어패널의 양측을 가이드하여 출입구를 패쇄시키는 동작으로 운영함에 있어, 지지패널의 하부에 도어패널측 보텀 가이드롤러를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도어패널의 이송을 원활해지도록 상부안내편과 하부안내편이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패널을 상호 대응되게 설치함으로써, 도어패널의 경사진 자세 이송, 수직이송의 변화시 도어패널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관계로 정숙한 디펜스 도어의 개폐동작을 구현과 함께 도어패널의 하부측 유동을 방지하여 도어패널간의 부딪힘으로 발생하는 소음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펜스 도어, 도어패널, 가이드패널, 상부안내편, 하부안내편, 보텀 가이드롤러

Description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Guide structure of door panel for defense door}
본 고안은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점포, 차고, 물류시설 등과 같은 건축구조물에 출입구를 형성하는 디펜스 도어에 있어, 출입구의 상부측에서 각 단위별로 된 도어패널이 순차적으로 배열됨에 있어, 최종적으로 도어패널이 안정적으로 나열 배치되도록 함으론 물론, 정리되는 도어패널간의 부딪힘을 최소화하여 훼손을 방지하고, 소음발생을 최소화하여 보다 정숙한 개폐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포, 차고 물류시설 등과 같은 각종 생산공장, 물류센터, 항공기 격납고 및 소방서차고, 변전소 등과 같이 대형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물품의 운반, 보관 등에 유리하도록 차량의 진출이 가능하도록 대형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는 통상의 셧터 방식에 비하여 다수개의 단위로 된 도어를 그대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부 내측에서 가이드 상에 그대로 안내되도록 하여 출 구를 개방하는 오버헤드 도어(Overhead door)와, 또는 각 도어패널을 단계적으로 상승시킨 다음 상부측에 상승된 각각의 도어패널을 나열시켜 출입구를 완전 개방하도록 하는 디펜스 도어(Defense door, 일명 스태킹 도어(stacking door)라고 함)가 설치되어 운영된다.
상기 디펜스 도어(10)를 형성하는 각각의 도어패널(13) 구조를 살피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양측 상부에는 탑 가이드롤러(R1)가 취부되고, 어느 양측 하부에는 디펜스 도어가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 내부 벽면을 따라 구름 안내되는 보텀 가이드롤러(R2)가 설치된다.
상기 탑 가이드롤러(R1)가 취부되는 회전축상에는 이송체인(C)이 연결되어 도어패널(13)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체인(C)은 각각의 도어패널(13)을 연결하는 매개체이며, 그 일단은 출입구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지지패널(21)측에 취부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2)을 통한 이송체인으로부터 각각 일정 거리만큼 연속되게 설치되는 상기 도어패널(13)은 출입구로부터 하나의 디펜스 도어(10)를 형성하게 되며, 디펜스 도어(10)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는 상부측에 설치된 가이즈플레이트(23) 의해 나열식으로 배치되는 타입으로서 디펜스 도어를 운영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2)은 그 내부 양측에 탑 가이드롤러(R1)의 외측둘레를 양측에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편(12a)이 일정간격을 두고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또 내측 벽면으로 마련되는 가이드턱(12b)에 보텀 가이드롤러(R2)가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한 것으로, 상부는 도어패널(13)의 탑 가이드롤러(R1)와 보텀 가이드롤 러(R2)가 이탈되기 위해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도어패널(13)을 나열식으로 배치시키기 위해 출입구의 상부 양측에 가이드장치가 대응되게 설치된 디펜스 도어 운영시스템은 첨부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건축 구조물의 정면이나 측면으로부터 설치되는 가이드 포스트(11)에 대해 도어패널(13)의 승,하강 설치 및 출입구 형성을 위해 소정거리를 두고 대응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포스트(11)와 가이드레일(12)의 상부 양측에는 지지패널(21)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상기 대응되는 지지패널(21)에는 지지패널(21)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구동축(22) 및 회전구동축(22)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체인(C)을 출입구의 상부로부터 끌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제1스프라켓휠(S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21)상에는 제1스프라켓휠(S1)로부터 근접 설치되어 각각의 도어패널(13) 양측에 설치된 탑 가이드롤러(R1)를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23)가 설치된다.
상기 제1스프라켓휠(S1)이 설치되는 회전구동축(22)의 양단으로부터는 지지패널(21) 외측으로부터 제2스프라켓휠(S2)이 설치되며, 상기 제2스프라켓휠(S2)중 어느하나의 제2스프라켓휠은 구동체인으로서 제3스프라켓휠(S3)과 연결 설치되고, 제3스프라켓휠(S3)이 설치되는 동일 축 상에 마련되는 제4스프라켓휠(S4)이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21)상에 있어, 어느 하나의 제4스프라켓휠(S4)은 구동모터(M)측으로부터 연결된 감속기(G)측의 출력축과 연결 설치되되, 이 감속기의 출력축으로부터는 제5스프라켓휠(S5)이 마련되어 이송체인(C)으로서 연결 설치됨으로써 양측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펜스 도어를 개폐하는 동작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M), 감속기(G), 제5스프라켓휠(S5), 제4스프라켓휠(S4), 제3스프라켓휠(S3), 제2스프라켓휠(S2), 제1스프라켓휠(S1)의 회전구동으로서 상기 제1스프라켓휠에 걸려진 이송체인(C)을 당겨 끌어올리거나 그 반대로 내려줌으로써 도어패널(13)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있어, 먼저 도어패널(13)이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승,하강됨에 있어, 도어패널(13)측의 탑 가이드롤러(R1), 보텀 가이드롤러(R2)가 가이드레일(12)의 상부로부터 벗어나는 시점에서 상기 탑 가이드롤러(R1)측을 연결하고 있는 이송체인(C)이 제1스프라켓휠(S1)로 안내되는 과정에서 보텀 가이드롤러(R2)는 자유단이 되어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패널(13)의 하단부분의 흔들림은 불안정한 가이드와 함께 제1스프라켓휠(S1)로부터 이송체인의 이송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제1스프라켓휠(S1)을 따라 이송체인과 함께 도어패널(13)이 가이드장치(20)인 지지패널(21)측의 가이드플레이트(23)에 탑 가이드롤러(R1) 부분이 안내되는 방식으로서 연속으로 도어패널(13)이 나열 배치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제1스프라켓휠(S1)을 도어패널(13)이 지나가는 과정에서 그 다음 도어패널은 상기 지나가는 간섭이 이루어지므로 도어패널 간의 간격은 어느 정도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어패널과 도어패널 사이에 간극이 유지된 상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디펜스 도어(10)를 구성하는 도어패널(13) 간격의 틈새는 도어패널의 승강구동에 있어, 일정간격을 두고 상승한다.
이에 따라 도어패널 간의 간극을 메울 수 있으면서 별도의 플렉시블한 부재의 이음 설계를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점은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지패널(21)측의 제1스프라켓휠(S1)을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서 도어패널(13)에 외압이나 기타 압이 걸리는 경우, 이송체인(C)이 제1스프라켓휠(S1)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도어의 개폐에 따른 안전사고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2007-23935호(명칭: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 가이드장치)로 출원한 바 있으며, 특허 제10-761035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가이드장치에 있어, 지지패널의 저면 상에 도어패널측의 보텀 가이드롤러를 안내하는 한편, 도어패널의 하단이 그 밑에 위치하는 또 하나의 도어패널 상부로부터 경사지는 형태로서 수직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는 도어패널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안내편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어패널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체인과 연결되어 수직 상승되면서 상 기와 같은 안내편을 따라 도어패널의 보텀 가이드롤러가 경사지는 형태로서 안내되면서 탑 가이드롤러가 제1스프라켓휠을 원주율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여 각각의 도어패널이 수직에서 수평으로 이송되어 가는 간격을 맞추어 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텀 가이드롤러가 경사진 안내편을 따라 이송됨에 있어 경사진 안내편에 접하여 구름이송되면서 탑 가이드롤러와 보텀 가이드롤러가 일직선상, 즉 도어패널의 측면이 수직상태를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보텀 가이드롤러측은 안내편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탑 가이드롤러가 취부된 이송체인을 축으로 도어패널의 하부가 유동되어 탑 가이드롤러가 불안정한 이송으로서 지지패널의 가이드플레이트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패널의 불안정한 이송은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가이드플레이트에 걸쳐지는 상태로 배치된 도어패널에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오는 도어패널이 배치된 도어패널의 부딪혀 도어패널을 훼손시키고,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송체인에 의해 수직 상승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도어패널에 있어, 수평으로 이송되는 시점 또는 도어패널의 하강시 수평에서 수직으로 이송되는 시점에서 도어패널의 보텀 가이드롤러를 안정되게 이송되도록 하여 지지패널측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배치될 때 혹은 수직으로 위치되기 이전까지 도어패널의 하부측 유동발생을 잡아주어 도어패널간의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발생,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개폐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구조물의 출입구 양측에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포스트와;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양측이 승,하강 안내되도록 양측 상부에 탑 가이드롤러와 어느 양측 하부에 보텀 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탑 가이드롤러가 설치된 동일 축 상에 이송체인이 연결 설치되는 도어패널과; 상기 가이드포스트 상부와 가이드레일 상부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구동축과, 상기 회전구동축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체인을 걸어 도어패널을 승,하강시키는 제1스프라켓휠과, 상기 제1스프라켓휠이 설치되는 지지패널 상에 설치되어 각각의 도어패널측 탑 가이드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스프라켓휠이 설치된 회전축 선상에 지지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2스프라켓휠과, 상기 제2스프라켓휠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구동체인에 의해 대응되는 지지패널 상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축과 동일선상에 설치되는 제3스프라켓휠과, 상기 회전구동축에 설치되어 제3스프라켓휠과 동시 회전구동하는 제4스프라켓휠과, 상기 제4스프라켓휠로부터 구동체인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감속기측의 제5스프라켓휠과, 상기 감속기와 연결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된 대형 건출구조물용 디펜스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라켓휠이 설치된 지지패널의 하부에 상기 보텀 가이드롤러를 수용하는 형태로 통로를 형성하는 상부안내편과 하부안내편이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가이드패널이 상호 대응되게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디펜스 도어에 있어, 도어패널을 승강시켜 상부측 지지패널상의 가이드플레이트로 위치시켜 각각 나열되게 배치시키고, 반대로 출입구측 가이드레일상으로 도어패널의 양측을 가이드하여 출입구를 패쇄시키는 동작으로 운영함에 있어, 지지패널의 하부에 도어패널측 보텀 가이드롤러를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도어패널의 이송을 원활해지도록 상부안내편과 하부안내편이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패널을 상호 대응되게 설치함으로써, 도어패널의 경사진 자세 이송, 수직이송의 변화시 도어패널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관계로 정숙한 디펜스 도어의 개폐동작을 구현과 함께 도어패널의 하부측 유동을 방지하여 도어패널간의 부딪힘으로 발생하는 소 음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인 디펜스 도어 개폐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패널을 지지패널에 적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패널을 통해 보텀 가이드롤러가 안내되어 도어패널이 배치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의 출입구 양측에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포스트(11)와; 상기 가이드포스트(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과;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양측이 승,하강 안내되도록 양측 상부에 탑 가이드롤러(R1)와 어느 양측 하부에 보텀 가이드롤러(R2)가 구비되고, 상기 탑 가이드롤러(R1)가 설치된 동일 축 상에 이송체인(C)이 연결 설치되는 도어패널(13)과; 상기 가이드포스트(11) 상부와 가이드레일(12) 상부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지지패널(21)과, 상기 지지패널(21)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구동축(22)과, 상기 회전구동축(22)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체인(C)을 걸어 도어패널(13)을 승,하강시키는 제1스프라켓휠(S1)과, 상기 제1스프라켓휠(S2)이 설치되는 지지패널(21) 상에 설치되어 각각의 도어패널(13)측 탑 가이드롤러(R1)를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23)와, 상기 제1스프라켓휠(S1)이 설치된 회전축(24) 선상에 지지패널(21)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응 되게 설치되는 제2스프라켓휠(S2)과, 상기 제2스프라켓휠(S2)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구동체인(C1)에 의해 대응되는 지지패널(21) 상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축(22)과 동일선상에 설치되는 제3스프라켓휠(S3)과, 상기 회전구동축(22)에 설치되어 제3스프라켓휠(S3)과 동시 회전구동하는 제4스프라켓휠(S4)과, 상기 제4스프라켓휠(S4)로부터 구동체인(C2)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감속기(G)측의 제5스프라켓휠(S5)과, 상기 감속기(G)와 연결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M)로 구성된 대형 건출구조물용 디펜스 도어(10)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라켓휠(S1)이 설치된 지지패널(21)의 하부에 상기 보텀 가이드롤러(R2)를 수용하는 형태로 통로를 형성하는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이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가이드패널(30)이 상호 대응되게 부착 설치된다.
상기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하부안내편(32)의 각 일단 부분은 도어패널(13)측 보텀 가이드롤러(R2)를 초기에 수직에서 수평방향, 수평방향에서 수직으로 안내하도록 라운딩 형태의 유도부(32a,32b)가 상부안내편(31)의 일단부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이 상호 대응되는 사이에는 도어패널(13)이 경사진 상태에서 수직으로 각도변경되어 이송되는 시점에서 보텀 가이드롤러(R2)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여유공간(S)이 보텀 가이드롤러(R2)가 진출입하는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 사이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펜스 도어의 운영 시스템에 있어, 디펜스 도어(10)의 승,하강시키는 동작제어는 종래에 기술되었던 구성요소의 기본적인 구성과 동일하게 설치되어 운영됨을 밝힌다.
지지패널(21)에 횡으로 설치되어 구동모터(M) 및 감속기(G)를 통해 구동체인(C2),(C1)을 통해 각 제1스프라켓휠 내지 제5스프라켓휠(S1~S5) 및 회전축(24)의 회전구동으로 디펜스 도어(10)를 구성하고 있는 도어패널(13)을 이송체인(C)으로써 끌어올려 가이드 포스트(11)측 가이드레일(12)로부터 전반적으로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내리는 동작을 하여 도어(10)로서 출입구를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디펜스 도어(10)의 개폐운영에 있어, 각각의 단위별로 구성된 도어패널(13)이 이송체인(C)에 의해 승강과 하강동작으로서 출입구를 개폐가 이루어지며, 각각 도어패널(13)이 상승되어 지지패널(21)측의 가이드 플레이트 (23)상에 안착되어 배치되는 과정, 혹은 그 반대로 도어패널(13)을 하강시키는 동작에 있어, 각 도어패널은 지지패널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패널(30)을 통해 안정된 상태로 이송할 수 있게 한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도어패널(13)측 보텀 가이드롤러(R2)가 가이드패널(30) 상에 형성된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면서 구름 이송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은 보텀 가이드롤러(R2)의 안내를 돕도록 하여 도어패널(13)의 하부측 유동을 최소한 방지시키면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제1스프라켓휠(S1)로부터 이송체인(C)에 의해 각 도어패널(13)이 끌어 올려짐에 있어, 도어패널간의 간격으로 인해 이송속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은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면서 다음 도어패널의 이송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상기 제1스프라켓휠(S)을 타고 넘어가는 이송체인(C)측 도어패널(13)의 보텀 가이드롤러(R2)는 하부안내편(32)의 유도부(32a)에 안내됨과 동시에 경사진 상태로 이송되다가 상기 제1스프라켓휠(S1)의 최고 높은 정점에서 도어패널(13)의 상부가 다다르는 시점에서 도어패널(13)은 수직상태로 복구됨과 동시에 지지패널(21)상의 가이드플레이트(23)에 양측이 안착됨으로써, 디펜스 도어(10)의 특징인 나열식 배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패널(13)이 경사진 상태에서 수직으로 위치되는 상태, 또는 도어패널을 하강시키는 역동작에 있어, 수직에서 경사지게 위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보텀 가이드롤러(R2)는 하부안내편(32)의 유도부를 시작으로 진입되고, 이어서 상기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 사이에 형성된 여유공간(S)을 통해 도어패널의 위치는 경사, 수직자세의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보텀 가이드롤러(R2)가 상기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 사이를 통과하면서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사지게 설치된 기존의 안내편과는 달리 보다 안정적인 도어패널의 경사진 자세 이송, 수직이송의 변화시 도어패널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관계로 서로 부딪혀서 발생하는 소음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도어패널(13)측의 보텀 가이드롤러(R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패 널(30)의 간단한 부착으로서 도어패널(13)이 지지패널(21)측의 가이드플레이트, 또는 가이드레일(12)상으로 진입하기 이전까지 도어패널(13)의 하부측 유동을 방지하여 보다 정숙한 디펜스 도어(10)의 개폐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펜스 도어를 형성하는 도어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디펜스 도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종래 도어패널 가이드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디펜스 도어 개폐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패널을 지지패널에 적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패널을 통해 보텀 가이드롤러가 안내되어 도어패널이 배치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Claims (3)

  1. 건축구조물의 출입구 양측에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포스트(11)와; 상기 가이드포스트(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과;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양측이 승,하강 안내되도록 양측 상부에 탑 가이드롤러(R1)와 어느 양측 하부에 보텀 가이드롤러(R2)가 구비되고, 상기 탑 가이드롤러(R1)가 설치된 동일 축 상에 이송체인(C)이 연결 설치되는 도어패널(13)과; 상기 가이드포스트(11) 상부와 가이드레일(12) 상부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지지패널(21)과, 상기 지지패널(21)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구동축(22)과, 상기 회전구동축(22)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체인(C)을 걸어 도어패널(13)을 승,하강시키는 제1스프라켓휠(S1)과, 상기 제1스프라켓휠(S2)이 설치되는 지지패널(21) 상에 설치되어 각각의 도어패널(13)측 탑 가이드롤러(R1)를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23)와, 상기 제1스프라켓휠(S1)이 설치된 회전축(24) 선상에 지지패널(21)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2스프라켓휠(S2)과, 상기 제2스프라켓휠(S2)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구동체인(C1)에 의해 대응되는 지지패널(21) 상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축(22)과 동일선상에 설치되는 제3스프라켓휠(S3)과, 상기 회전구동축(22)에 설치되어 제3스프라켓휠(S3)과 동시 회전구동하는 제4스프라켓휠(S4)과, 상기 제4스프라켓휠(S4)로부터 구동체인(C2)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감속기(G)측의 제5스프라켓휠(S5)과, 상기 감속기(G)와 연결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M)로 구성된 대형 건출구조물용 디펜스 도어(10)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라켓휠(S1)이 설치된 지지패널(21)의 하부에 상기 보텀 가이드롤러(R2)를 수용하는 형태로 통로를 형성하는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이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가이드패널(30)이 상호 대응되게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하부안내편(32)의 각 일단 부분은 도어패널(13)측 보텀 가이드롤러(R2)를 초기에 수직에서 수평방향, 수평방향에서 수직으로 안내하도록 라운딩 형태의 유도부(32a,32b)가 상부안내편(31)의 일단부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이 상호 대응되는 사이에는 도어패널(13)이 경사진 상태에서 수직으로 각도변경되어 이송되는 시점에서 보텀 가이드롤러(R2)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여유공간(S)이 보텀 가이드롤러(R2)가 진출입하는 상부안내편(31)과 하부안내편(32) 사이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KR2020080005693U 2008-04-29 2008-04-29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KR200900112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693U KR20090011218U (ko) 2008-04-29 2008-04-29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693U KR20090011218U (ko) 2008-04-29 2008-04-29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18U true KR20090011218U (ko) 2009-11-03

Family

ID=4155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693U KR20090011218U (ko) 2008-04-29 2008-04-29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218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23Y1 (ko) * 2012-09-06 2014-04-11 (주) 피비엔텍디에프디 체인장력 보정장치가 구비된 디펜스 도어
CN104787326A (zh) * 2015-05-08 2015-07-22 佛山市神风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前缘带风轮的旋翼升力生成装置
KR20190080398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대주엔터프라이즈 푸싱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KR20190080403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대주엔터프라이즈 견인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KR102372216B1 (ko) 2021-04-22 2022-03-08 최원백 커버 결합형 대형 도어장치
KR20220156380A (ko) 2021-05-18 2022-11-25 최원백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23Y1 (ko) * 2012-09-06 2014-04-11 (주) 피비엔텍디에프디 체인장력 보정장치가 구비된 디펜스 도어
CN104787326A (zh) * 2015-05-08 2015-07-22 佛山市神风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前缘带风轮的旋翼升力生成装置
KR20190080398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대주엔터프라이즈 푸싱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KR20190080403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대주엔터프라이즈 견인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KR102372216B1 (ko) 2021-04-22 2022-03-08 최원백 커버 결합형 대형 도어장치
KR20220156380A (ko) 2021-05-18 2022-11-25 최원백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035B1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 가이드장치
KR20090011218U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CN115279984A (zh) 门操作系统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MXPA04002278A (es) Aparato para movimiento de puerta de cochera.
KR200452965Y1 (ko) 디펜스 도어의 가이드 장치
CN111542673B (zh) 一种门
JP2007002607A (ja)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US20140020853A1 (en) Closure Curtain With Bumper Centering Device
KR200472136Y1 (ko) 이송체인의 끼임 방지기능이 구비된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0706196B1 (ko) 전동 도어 수동 조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동 도어
CN103277022B (zh) 一种升降折叠式门或窗
JPH06239225A (ja) 乗降口扉装置
KR20160003957U (ko) 흔들림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0700296B1 (ko) 나열식 디펜스 도어의 연결구조
KR20090010370U (ko) 대형 건축구조물용 도어의 추락방지장치
KR100873175B1 (ko) 주차장치
KR102372216B1 (ko) 커버 결합형 대형 도어장치
KR200486404Y1 (ko) 도어 링크 꺽임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200440584Y1 (ko) 승,하강식 도어용 도어패널 및 가이드레일의 보강구조
CN101597998B (zh) 一种高稳固性软卷帘电动门
KR200472223Y1 (ko) 체인장력 보정장치가 구비된 디펜스 도어
KR20220156380A (ko)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KR20120092376A (ko) 건축물 입구용 절첩 도어장치
TW201629322A (zh) 雙車庫之捲門及其側門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1008672;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100867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11

Effective date: 2011072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11

Effective date: 2011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