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380A -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380A
KR20220156380A KR1020210064360A KR20210064360A KR20220156380A KR 20220156380 A KR20220156380 A KR 20220156380A KR 1020210064360 A KR1020210064360 A KR 1020210064360A KR 20210064360 A KR20210064360 A KR 20210064360A KR 20220156380 A KR20220156380 A KR 20220156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oor
door panel
door panels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백
Original Assignee
최원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백 filed Critical 최원백
Priority to KR102021006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6380A/ko
Publication of KR2022015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4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against dro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mponent faults o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도어 판넬이 승하강 및 상부에서 전후로 접이되면서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출입구 양측의 가이드 포스트 사이에 복수의 도어 판넬을 승하강 안내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포스트 상부 양측에 설치된 개폐 구동수단의 작동 스프로켓에 도어 판넬 양측 상부로 연결되는 이송 체인을 감합시켜 도어 판넬을 승하강 이동시키면서 상부에서 상,하 가이드 수단에 의해 전후로 접이하여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되, 상기 도어 판넬(20)의 배면 양 측방 하부에서 상,하로 위치하는 도어 판넬(20)을 와이어 연결 수단(50)으로 연결 설치하여 가이드 포스트(10)(10') 상부에서 가이드 롤러(60)에 승하강 안내되도록 하므로 도어 판넬의 이송 체인이 절단되어도 도어 판넬의 추락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 판넬이 접이 상태에서 전개되면서 하강 이동시 와이어 연결 수단이 도어 판넬의 하부를 잡아 당겨주어 바람의 영향에도 도어 판넬 하부가 덜컹 거리면서 흔들림을 방지하고 수직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하강 유도하므로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Panel fall prevention and descent stabilization device of defense door}
본 발명은 다수의 도어 판넬이 승하강 및 상부에서 전후로 접이되면서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디펜스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도어 판넬의 추락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 판넬을 접이 상태에서 전개하며 하강 이동시 도어 판넬의 하부를 잡아 당겨주면서 덜컹 거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하강 유도하는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포, 차고 물류시설 등과 같은 각종 생산공장, 물류센터, 항공기 격납고 및 소방서 차고, 변전소 등과 같은 건축구조물의 출입구에는 대형 도어를 설치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형 도어는 통상의 셔터 방식에 비해 다수로 분할된 도어 판넬을 이용하되, 상기 도어 판넬을 상부로 그대로 승하강 시켜 개폐 작동하는 오버헤드 도어(Overhead door)와, 상기 도어 판넬을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며 상부 위치에서 전후로 포개지게 절이하여 개폐하는 디펜스 도어(Defense door)를 주로 설치 사용하고 있다.
상기 디펜스 도어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52965호 등에서 다수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디펜스 도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 양측에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 포스트(1)(1')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1a)을 따라 승하강 안내되도록 양측 상,하부에 상,하 가이드롤(2a)(2b)이 설치된 복수의 도어 판넬(2)과,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상부 양측에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정역 회전하는 작동 스프로켓(3)을 축 설치하고, 상기 작동 스프로켓에 도어 판넬의 양 측방 상부로 연결되어 도어 판넬을 승하강 이동시키는 이송 체인(4)을 감합 설치하는 개폐 구동수단과, 상기 가이드 포스트 상부에 상하로 설치되어 도어 판넬의 상,하 가이드롤(2a)(2b)을 전후로 안내하면서 접이하는 상,하부 가이드 수단(5)(6)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디펜스 도어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작동 스프로켓(3)을 정 회전 구동시키므로 이송 체인(4)에 의해 도어 판넬(2)을 차례로 상승시키되, 상기 도어 판넬(2)이 가이드 포스트(1)(1')의 가이드 레일(1a)에서 벗어나는 상부 위치에서 상,하부 가이드 수단(5)(6)에 안내되어 전후로 접이되므로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 스프로켓(3)을 구동모터에 의해 역 회전 구동시키므로 이송 체인(4)에 의해 도어 판넬(2)을 차례로 하강시키되, 상기 도어 판넬(2)이 상,하부 가이드 수단(5)(6)에 안내되어 접이 상태에서 다시 가이드 포스트(1)(1')의 가이드 레일(1a)을 따라 하강되어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디펜스 도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도어 판넬(2)을 양 측방 상부에서 이송 체인(4)에 고정 연결한 상태로 승강 및 상부에서 전후로 접이되기 때문에 상기 이송 체인(4)이 단선되는 경우에 승하강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됨은 물론 가이드 포스트 상부에서 상,하부 가이드 수단에서 벗어나 추락할 우려를 갖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도어 판넬이 상,하부 가이드 수단(5)(6)에서 접이된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이송 체인(4)에 의해 차례로 당겨지면서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1a)을 통해 하강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 판넬(2)의 상부는 이송 체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도어 판넬의 전방에서 부는 바람의 영향에 의해 도어 판넬의 하부가 덜컹거리면서 흔들리게 되어 도어 판넬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서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안정적으로 안내되지 못하게 되는 작동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2965호(2011년03월22일)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1218호(2009년11월03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다수의 도어 판넬이 승하강 및 상부에서 전후로 접이되면서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되, 도어 판넬의 하부를 와이어 연결 수단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도어 판넬의 추락을 더욱 방지함은 물론 도어 판넬이 접이 상태에서 전개되면서 하강 이동시 도어 판넬의 하부를 잡아 당겨주어 바람의 영향에도 도어 판넬 하부의 덜컹 거리면서 흔들림을 방지하고 수직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하강 유도하므로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출입구 양측에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 안내되도록 양측 상,하부에 상,하 가이드롤이 설치된 복수의 도어 판넬과,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상부 양 측방에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정역 회전하도록 작동 스프로켓을 축 설치하고, 상기 작동 스프로켓에 도어 판넬의 양 측방 상부에 연결되어 도어 판넬을 승하강 이동시키는 이송 체인을 감합 설치하는 개폐 구동수단 및,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상부 양 측방에 상하로 설치되어 승강 이동하는 도어 판넬의 상,하 가이드롤을 도어 판넬이 전후로 접이되게 안내하는 상,하부 가이드 수단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판넬은 배면 양 측방 하부에서 상,하로 위치하는 도어 판넬을 서로 연결하도록 와이어 연결 수단의 상,하 단부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상부에는 도어 판넬의 와이어 연결 수단을 승하강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수평으로 설치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연결 수단은 체인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에는 체인이 승하강 되는 안내 위치로 안내 스프로켓을 설치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연결 수단은 벨트나 로프 중에 어느 하나로 상,하 위치에서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에는 벨트나 로프가 승하강 되는 안내 위치로 안내 홈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출입구 양측의 가이드 포스트 사이에 복수의 도어 판넬을 승하강 안내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포스트 상부 양측에 설치된 개폐 구동수단의 작동 스프로켓에 도어 판넬 양측 상부로 연결되는 이송 체인을 감합시켜 도어 판넬을 승하강 이동시키면서 상부에서 상,하 가이드 수단에 의해 전후로 접이하여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되, 상기 도어 판넬의 배면 양 측방 하부에서 상,하로 위치하는 도어 판넬을 와이어 연결 수단으로 연결 설치하여 가이드 포스트 상부에서 가이드 롤러에 승하강 안내되도록 하므로 도어 판넬의 이송 체인이 절단되어도 도어 판넬의 추락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 판넬이 접이 상태에서 전개되면서 하강 이동시 와이어 연결 수단이 도어 판넬의 하부를 잡아 당겨주어 바람의 영향에도 도어 판넬 하부가 덜컹 거리면서 흔들림을 방지하고 수직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하강 유도하므로 장치의 작동 신뢰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펜스 도어장치에서 도어 판넬의 폐쇄 상태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 판넬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도어 판넬 접이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도어 판넬 하강시 작동 불량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펜스 도어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6의 도어 판넬 승강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어 판넬에 와이어 연결 수단이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발췌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디펜스 도어에서 도어 판넬이 전개된 상태의 측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디펜스 도어에서 도어 판넬이 접이 상태에서 전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디펜스 도어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B" 부분 확대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는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 양측에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 포스트(10)(10')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승하강 안내되도록 양측 상,하부에 상,하 가이드롤(21)(22)이 설치된 복수의 도어 판넬(20)과,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상부 양 측방에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정역 회전하도록 작동 스프로켓(36)(36')을 축 설치하고, 상기 작동 스프로켓(36)(36')에 도어 판넬(20) 양 측방의 상부 롤러축(21a)에 연결되어 도어 판넬을 승하강 이동시키는 이송 체인(37)을 감합 설치하는 개폐 구동수단(30)과,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상부 양 측방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하는 도어 판넬(20)의 상 가이드롤(21)을 도어 판넬(20)이 전후로 접이되게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 수단(40) 및, 상기 상부 가이드 수단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 판넬(20)의 하 가이드롤(22)을 도어 판넬(20)이 전후로 접이되게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 수단(45)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도어 판넬(20)은 배면 양 측방 하부에서 상,하로 위치하는 도어 판넬(20)을 서로 연결하도록 와이어 연결 수단(50)의 상,하 단부(51)(52)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포스트(10)(10')의 상부에는 도어 판넬의 와이어 연결 수단(50)을 승하강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60)를 수평으로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와이어 연결 수단(50)이 도어 판넬(20)을 추락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활을 함은 물론 상기 도어 판넬의 하강시 이송 체인(37)이 작동 스프로켓(36)(36')을 경유하면서 도어 판넬이 접이 상태에서 전개되는 과정중에 도어 판넬의 하부를 당겨주게 되어 바람의 영향에도 도어 판넬의 하부가 덜컹거리며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 상태를 유지하여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12)에서 원활하게 하강 유도하는 역활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 판넬을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 수단(50)은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체인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60)에는 체인이 승하강 되는 안내 위치로 안내 스프로켓(65)을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 연결 수단(50)의 체인은 도어 판넬의 상,하 위치에서 일직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좌우 엇갈리게 지그 재그로 위치하도록 설치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연결 수단(50)의 체인이 좌우 엇갈리게 지그 재그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롤러(60)의 안내 스프로켓(65)은 체인이 승하강 되는 위치에 좌우 복수로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 판넬을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 수단(50)은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벨트나 로프 중에 어느 하나로 상,하 위치에서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60)에는 벨트나 로프가 승하강 되는 안내 위치로 안내 홈부(65')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로서, 55는 와이어 연결 수단(50)의 상,하 단부(51)(52)를 연결 고정 설치하기 위해 도어 판넬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 브라켓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개폐 구동수단(30)의 구동 모터(M)를 구동시켜 가이드 포스트(10)(10')의 상부 양 측방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 스프로켓(36)(36')을 정회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 스프로켓(36)(36')의 정회전 구동으로 작동 스프로켓에 감합 설치되어 있는 이송 체인(37)이 승강하게 되고, 상기 이송 체인(37)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도어 판넬(20)이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승강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이송 체인(37)이 도어 판넬(20) 양 측방의 상부 롤러축(21a)에 연결되어 있어 도어 판넬(20)을 승강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도어 판넬(20) 양 측방에 상하로 설치되어 있는 상,하 가이드롤(21)(22)이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승강 이동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 판넬(20)은 배면 양 측방 하부에서 상,하로 위치하는 도어 판넬(20)을 와이어 연결 수단(50)의 상,하 단부(51)(52)로 서로 연결 설치하고 있어 승강 이동시 도어 판넬(20)을 더 안정적으로 승강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 판넬(20)이 승강하여 가이드 포스트(10)(10')의 가이드 레일(12)를 벗어나고 상기 도어 판넬(20)의 측방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 체인(37) 이 작동 스프로켓(36)(36')을 타고 넘어 가게 되면서 도어 판넬(20)의 상,하 가이드롤(21)(22)이 상,하부 가이드 수단(40)(45)에 안내되어 전후로 접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 판넬(20)의 하부가 가이드 포스트(10)(10')에서 벗어나 하부 가이드 수단(45)에 안내되는 과정 중에 도어 패널(20)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와이어 연결 수단(50)의 체인이나 벨트, 로프 등이 가이드 포스트 상부의 가이드 롤러(60)에 형성되는 안내 스프로켓(65) 또는 안내 홈부(65')에 안내되어 도어 판넬의 하부를 흔들림 없이 승강 안내하므로 도어 판넬(30)의 상,하 가이드롤(21)(22)이 상,하 가이드 수단(40)(45)으로 원활히 삽입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 판넬(20)이 가이드 포스트(10)(10') 상부로 승강하여 전후로 접이되면서 출입구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출입구 개방 상태에서 상기 도어 판넬(20)은 상,하부 가이드 수단(40)(45)에 지지되어 있고, 도어 판넬의 상부와 하부가 이송 체인(37)과 와이어 연결 수단(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판넬의 상,하부가 상,하부 가이드수단(40)(45)에서 벗어나고 이송 체인(37)이 끊어지는 사고에도 불구하고 와이어 연결 수단(50)에 의해 도어 판넬의 추락 사고를 더욱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방된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다시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폐 구동수단(30)의 구동 모터를 역 구동시켜 가이드 포스트(10)(10')의 상부 양 측방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 스프로켓(36)(36')을 역회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 스프로켓(36)(36')의 역회전 구동으로 작동 스프로켓에 감합 설치되어 있는 이송 체인(37)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이송 체인(37)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도어 판넬(20)이 전후로 접이된 상태에서 상,하부 가이드 수단(40)(45)에서 도 10에서와 같이 수평 이동한 후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하강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도어 판넬(20)의 양 측방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 체인(37)이 작동 스프로켓(36)(36')을 타고 넘어 가면서 도어 판넬(20)의 상,하 가이드롤(21)(22)이 상,하부 가이드 수단(40)(45)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 판넬(20)의 상부는 이송 체인(37)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와이어 연결 수단(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 판넬(20)의 상부는 물론 하부를 와이어 연결 수단(50)이 일정 간격으로 잡아 당겨주게 되면서 바람의 영향에도 도어 판넬의 하부가 종래와 같이 덜컹 거리며 흔들려 위치를 벗어나는 작동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면서 도어 판넬의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도어 판넬(20)을 가이드 포스트(10)(10')의 가이드 레일(12)에 정확하고 원활하게 하강 안내되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 판넬(20)을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12)을 다라 하강 이동시켜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10,10': 가이드 포스트 12: 가이드 레일
20: 도어 판넬 21,22: 상,하 가이드롤
30: 개폐 구동수단 36,36': 작동 스프로켓
37: 이송 체인 40: 상부 가이드 수단
45: 하부 가이드 수단 50: 와이어 연결 수단
60: 가이드 롤러 65: 안내 스프로켓
65': 안내 홈부

Claims (4)

  1. 출입구 양측에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 포스트(10)(10')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승하강 안내되도록 양측 상,하부에 상,하 가이드롤(21)(22)이 설치된 복수의 도어 판넬(20)과,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상부 양 측방에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정역 회전하도록 작동 스프로켓(36)(36')을 축 설치하고, 상기 작동 스프로켓(36)(36')에 도어 판넬(20)의 양 측방 상부에 연결되어 도어 판넬을 승하강 이동시키는 이송 체인(37)을 감합 설치하는 개폐 구동수단(30) 및,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상부 양 측방에 상하로 설치되어 승강 이동하는 도어 판넬(20)의 상,하 가이드롤(21)(22)을 도어 판넬(20)이 전후로 접이되게 안내하는 상,하부 가이드 수단(40)(45)으로 구성되는 디펜스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판넬(20)은 배면 양 측방 하부에서 상,하로 위치하는 도어 판넬(20)을 서로 연결하도록 와이어 연결 수단(50)의 상,하 단부(51)(52)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포스트(10)(10')의 상부에는 도어 판넬의 와이어 연결 수단(50)을 승하강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60)를 수평으로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 수단(50)은 체인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60)에는 체인이 승하강 되는 안내 위치로 안내 스프로켓(65)을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 수단(50)의 체인은 도어 판넬(20)의 상,하 위치에서 좌우로 서로 엇갈리게 지그 재그 형태로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60)에는 와이어 연결 수단이 승하강 되는 위치로 안내 스프로켓(65)을 복수로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결합형 디펜스 도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 수단(50)은 벨트나 로프 중에 어느 하나로 상,하 위치에서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60)에는 벨트나 로프가 승하강 되는 안내 위치로 안내 홈부(65')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KR1020210064360A 2021-05-18 2021-05-18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KR20220156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60A KR20220156380A (ko) 2021-05-18 2021-05-18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60A KR20220156380A (ko) 2021-05-18 2021-05-18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80A true KR20220156380A (ko) 2022-11-25

Family

ID=8423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360A KR20220156380A (ko) 2021-05-18 2021-05-18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638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218U (ko)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피비엔텍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KR200452965Y1 (ko) 2010-09-07 2011-04-01 주식회사 피비엔텍 디펜스 도어의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218U (ko)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피비엔텍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KR200452965Y1 (ko) 2010-09-07 2011-04-01 주식회사 피비엔텍 디펜스 도어의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598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KR100761035B1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 가이드장치
US6035917A (en) Foldable security bar assembly
KR200452965Y1 (ko) 디펜스 도어의 가이드 장치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KR20090011218U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JP2007002607A (ja)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KR20220156380A (ko) 디펜스 도어의 판넬 추락방지 및 하강 안정화 장치
KR101689936B1 (ko)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US4754795A (en) Shutter
KR200395107Y1 (ko) 폴드업 셔터
KR200472136Y1 (ko) 이송체인의 끼임 방지기능이 구비된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JP2019218038A (ja) 昇降式ホーム柵
KR102372216B1 (ko) 커버 결합형 대형 도어장치
KR101794202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KR20160003957U (ko) 흔들림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200486404Y1 (ko) 도어 링크 꺽임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258095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용 도어의 구동시스템
KR101471545B1 (ko)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090010370U (ko) 대형 건축구조물용 도어의 추락방지장치
EP0729539B1 (de) Tor mit einem vertikal bewegbaren, an seilen gehaltenem torblatt
KR102630862B1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KR101812597B1 (ko) 대형 도어의 수동 개방장치
TWM547504U (zh) 月台門裝置
JP7334304B2 (ja) 工事用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