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928B1 -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 Google Patents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928B1
KR102028928B1 KR1020180080301A KR20180080301A KR102028928B1 KR 102028928 B1 KR102028928 B1 KR 102028928B1 KR 1020180080301 A KR1020180080301 A KR 1020180080301A KR 20180080301 A KR20180080301 A KR 20180080301A KR 102028928 B1 KR102028928 B1 KR 10202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autism
timer
rod
mecha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80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time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태엽의 인출입과 연동되는 기계식 타이머를 구성하여 화염에 의해 소실될 염려가 전혀 없이 피난갱문에 자폐 장치를 장착하고, 피난갱문의 열림 정도에 연동하여 피난갱문의 개방시간이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필요 시간만큼만 피난갱문이 개방되어 있도록 한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AUTOMATIC CLOSING DOOR FOR ESCAPE DOOR}
본 발명은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와이어 태엽의 인출입과 연동되는 기계식 타이머를 구성하여 화염에 의해 소실될 염려가 전혀 없이 피난갱문에 자폐 장치를 장착하고, 피난갱문의 열림 정도에 연동하여 피난갱문의 개방시간이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필요 시간만큼만 피난갱문이 개방되어 있도록 한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터널은 그 특성상 일방차선으로 구분되어 설계되어, 좌우차선상의 교환을 위해 피난갱문이 설치된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차선에서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될 때, 반대차선으로의 대피를 위해 구분된 터널사이를 연결시켜줄 피난로로서 피난터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피난터널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난갱문(2)이 설치되며, 피난갱문(2)은 작동의 용이성과 폐쇄의 용이성을 모두 만족하여야 하는데, 이는 화재시 대피의 용이성을 제공시켜줌과 더불어, 대피시나 완료시 방화벽으로서 차단벽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이며, 악조건인 터널환경에 대응하여 재난시 작동되어야 한다.
즉, 상기 피난갱문(2)은 터널환경과 재난방어에 따른 조건이 있으며, 이것은 방화와 방연을 담당함과 더불어, 습기와 분진이 많은 터널환경에 적응할 신뢰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피난갱문(2)은 통상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되는 바, 이러한 상기 피난갱문(2)은 여닫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 레일(4)에 매달려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 도어(6)로 구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10)는 상단에 복수개의 롤러가 구성되어서 레일(4)을 따라서 슬라이딩 되게 구성되고, 그 롤러는 레일(4)의 내부에 안착되어져 있다.
따라서, 터널의 어느 한 차선에서 화재 등이 발생되게 되면, 상기 피난갱문(2)을 열고 반대차선의 터널로 대피한 다음, 화염이나 연기가 해당 피난갱문(2)을 통해 반대측 터널로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실제로 피난하는 사람들은 당황하게 되어 해당 피난갱문(2)을 제대로 폐쇄시키지 못하여 피난처로 화염이나 연기가 유입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난갱문(2)에 자폐기능을 제공하는 자폐장치가 개발되었지만, 모터와 전자식 타이머 등으로 구성되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나 재난시 해당 피난갱문(2)을 자폐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자식 자폐장치는 터널 화재시 화염에 의해 소실되어 상기 피난갱문(2)의 자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전자식과 기계식을 혼합한 자폐장치를 구성한다고 하여도, 마찬가지로 그 전자식 구성으로 인해 화재시 고열로 인해 해당 전자식 구성이 소실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피난인이 1인인 경우와, 20명인 경우와는 피난갱문의 개방 시간이 서로 다르게 조절되어야 하지만, 기존의 피난갱문 자폐장치는 그러한 기능이 전무하여 한참 피난중에 피난갱문이 자폐되어 오히려 피난인의 안전을 위협하게 하거나 또는 닫히는 피난갱문을 다시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와이어 태엽의 인출입과 연동되는 기계식 타이머를 구성하여 화염에 의해 소실될 염려가 전혀 없이 피난갱문에 자폐 장치를 장착하고, 피난갱문의 열림 정도에 연동하여 피난갱문의 개방시간이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필요 시간만큼만 피난갱문이 개방되어 있도록 한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속도로의 복수 터널 통로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피난터널에 설치되어 임의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게 여닫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 레일(4)에 매달려서 이동 가능하게 그 상단에 레일롤러(24)가 장착된 피난갱문(2)에 설치되되, 내부에 태엽이 구성되고, 그 태엽 일단에 와이어(16)가 결합됨으로써 인출력에 비례한 복원력이 작동되는 와이어 태엽(12)과; 상기 와이어(16)의 타단이 권취될 수 있게 내부에 와이어 권취드럼(22)이 구비되고, 그 와이어 권취드럼(22)의 전면에 걸림부(28)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레일롤러(24)와 연동되게 설치된 타이머 설정부(20)와; 상기 와이어 권취드럼(22)의 회전과 동기되어 이동하는 걸림부(28)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로드(30)와; 상기 이동로드(30)의 이동량에 연동되어 기계식으로 시간이 설정되는 타이머(40)와; 상기 타이머(40)에 설정된 일정한 대기시간동안 피난갱문(2)이 자폐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게 타이머(40)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링크 작동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 작동부(50)는 상기 래칫기어(66)와; 상기 래칫기어(66)에 축결된 제 2기어(64)와; 상기 제 2기어(64)에 치합되고, 상기 레일롤러(24)와 축결된 제 1기어(62)와; 힌지축(54)을 중심으로 좌우 단부가 승강되는 링크로드(52)와; 상기 링크로드(52)의 일단에 결합되어 링크로드(52)가 기울어지게 하중을 제공하는 웨이트(58)와; 상기 링크로드(52)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래칫기어(66)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로드(30)는 그 상면 일단에 일정주기로 돌출된 돌출봉(32)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상면 타단에는 이동로드(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타이머(40)를 기계적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로드(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이머(40)는 태엽과 기어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회전하는 회전판(42)과; 그 회전판(42)의 가장자리에 돌출되고, 상기 이동로드(30)의 이동력에 의해 걸려서 상기 회전판(42)이 회전될 수 있게 하는 걸림편(44)과; 상기 회전판(42)의 가장자리 소정에 돌출되고 상기 링크로드(52)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판(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링크로드(52)의 일단을 밀어올리는 돌출부(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로드(52)는 그 중앙 소정부가 "ㄷ"자 형태로 절곡된 절곡부(5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이머(40)는 걸림편(44)의 이동궤적에 비례하여 도어 자폐 대기시간이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는 전혀 전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매우 용이하게 개방된 정도에 비례한 지연시간 후 즉시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작동되므로 용이함과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자폐장치가 설치된 피난갱문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의 요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자폐장치가 설치된 피난갱문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의 요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8)는 와이어 태엽의 인출입과 연동되는 기계식 타이머를 구성하여 화염에 의해 소실될 염려가 전혀 없이 피난갱문에 자폐 장치를 장착하고, 피난갱문의 열림 정도에 연동하여 피난갱문의 개방시간이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필요 시간만큼만 피난갱문이 개방되어 있도록 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8)는 고속도로의 복수 터널 통로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피난터널에 설치되어 임의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게 여닫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 레일(4)에 매달려서 이동 가능하게 그 상단에 레일롤러(24)가 장착된 피난갱문(2)에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8)는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서, 미닫이 방식의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여 회전도어인 리발버식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8)는 내부에 태엽이 구성되고, 그 태엽 일단에 와이어(16)가 결합됨으로써 인출력에 비례한 복원력이 작동되는 와이어 태엽(12)과; 상기 와이어(16)의 타단이 권취될 수 있게 내부에 와이어 권취드럼(22)이 구비되고, 그 와이어 권취드럼(22)의 전면에 걸림부(28)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레일롤러(24)와 연동되게 설치된 타이머 설정부(20)와; 상기 와이어 권취드럼(22)의 회전과 동기되어 이동하는 걸림부(28)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로드(30)와; 상기 이동로드(30)의 이동량에 연동되어 기계식으로 시간이 설정되는 타이머(40)와; 상기 타이머(40)에 설정된 일정한 대기시간동안 피난갱문(2)이 자폐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게 타이머(40)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링크 작동부(50)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로드(30)는 그 상면 일단에 일정주기로 돌출된 돌출봉(32)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상면 타단에는 이동로드(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타이머(40)를 기계적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로드(34)가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태엽(12)의 내부에 형성된 태엽드럼(14)이 와이어(16)의 인출에 의해 권취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풀리게 되면, 상기 타이머 설정부(20)에 구성된 상기 걸림부(28)가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로드(30)의 돌출봉(32)을 좌측방향으로 밀어낸다.
한편, 상기 타이머(40)는 태엽과 기어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회전하는 회전판(42)과; 그 회전판(42)의 가장자리에 돌출되고, 상기 이동로드(30)의 이동력에 의해 걸려서 상기 회전판(42)이 회전될 수 있게 하는 걸림편(44)과; 상기 회전판(42)의 가장자리 소정에 돌출되고 상기 링크로드(52)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판(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링크로드(52)의 일단을 밀어올리는 돌출부(4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로드(30)가 좌측방향으로 밀려나가면 그 이동로드(30)의 좌측단 상면에 돌출된 상기 가압로드(34)는 타이머(40)의 걸림편(44)에 걸려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타이머(40)의 걸림편(4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타이머(40)의 걸림편(44)이 점선의 표시위치에서, 실선의 표시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 작동부(50)는 상기 래칫기어(66)와; 상기 래칫기어(66)에 축결된 제 2기어(64)와; 상기 제 2기어(64)에 치합되고, 상기 레일롤러(24)와 축결된 제 1기어(62)와; 힌지축(54)을 중심으로 좌우 단부가 승강되는 링크로드(52)와; 상기 링크로드(52)의 일단에 결합되어 링크로드(52)가 기울어지게 하중을 제공하는 웨이트(58)와; 상기 링크로드(52)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래칫기어(66)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60)로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6)가 피난인에 의해 개방되게 되면 와이어(16)가 상기 와이어 태엽(12)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타이머(40)의 걸림편(44)이 점선의 표시위치에서, 실선의 표시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타이머(40)의 돌출부(46)가 링크로드(52)의 일측 하면을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상기 링크로드(52)의 일측, 정확하게는 웨이트(58)가 설치된 링크로드(52) 단부가 힌지축(54)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올려지게 한다.
그로인해, 상기 스토퍼(60)가 래칫기어(66)에 치합되어 와이어 태엽(12)의 복원력이 레일롤러(2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도어(6)가 개방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상기 링크로드(52)는 그 중앙 소정부가 "ㄷ"자 형태로 절곡된 절곡부(5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이머(40)는 걸림편(44)의 이동궤적에 비례하여 도어 자폐 대기시간이 길게 설정된다.
즉, 상기 피난갱문(2)의 슬라이딩 도어(6)가 더 활짝 열리게 되면, 더 오랜 슬라이딩 도어(6)의 대기시간을 갖는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도어(6)가 피난인에 의해 개방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레일롤러(24)가 도 1의 레일(4)상으로 활주하게 되는 바, 도 2는 피난갱문(2)의 오른쪽 슬라이딩 도어(6)에 설치된 기계식 자폐장치(8)를 도시한 것으로서, 피난인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6)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레일롤러(24)가 레일(4)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그 레일롤러(24)와 축결된 타이머 설정부(20)의 와이어 권취드럼(22)이 동기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 태엽(12)의 와이어(16)를 인출시켜서 외주연에 권취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태엽(12)의 내부에 형성된 태엽드럼(14)이 와이어(16)의 인출하는 방향으로 풀리게 되면, 상기 타이머 설정부(20)에 구성된 상기 걸림부(28)가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로드(30)의 돌출봉(32)을 좌측방향으로 밀어낸다.
그로인해, 상기 이동로드(30)가 좌측방향으로 밀려나가면 그 이동로드(30)의 좌측단 상면에 돌출된 상기 가압로드(34)는 타이머(40)의 걸림편(44)에 걸려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타이머(40)의 걸림편(4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타이머(40)의 걸림편(44)이 점선의 표시위치에서, 실선의 표시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타이머(40)의 돌출부(46)가 링크로드(52)의 일측 하면을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상기 링크로드(52)의 일측, 정확하게는 웨이트(58)가 설치된 링크로드(52) 단부가 힌지축(54)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올려지게 한다.
그로인해, 상기 스토퍼(60)가 래칫기어(66)에 치합되어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래칫기어(66)가 회전하지 못하게 제한되게 되므로 그 래칫기어(66)의 축에 동기화되게 축결된 제 2기어(64)도 회전이 제한되고, 제 2기어(64)와 치합된 제 1기어(62)도 회전이 제한되며, 제 1기어(62)와 축결된 레일롤러(24)로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 태엽(12)의 복원력이 작동된다고 하여도, 그 복원력이 회전 제한된 레일롤러(24)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도어(6)가 개방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타이머(40)가 작동되게 되면 타이머의 회전판(42)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로인해 상기 타이머(40)의 돌출부(46)가 링크로드(52)의 하면의 접촉상태에서 비접촉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타이머(40)의 돌출부(46)가 실선의 표시위치에서, 점선의 표시위치로 이동하면서, 돌출부(46)와 링크로드(52)의 접촉이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링크로드(52)의 일단인 웨이트(58)는 상기 힌지축(54)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지면서 링크로드(52)가 기울어지게 되고, 그로인해 상기 스토퍼(60)가 래칫기어(66)과의 치합이 해제된다.
그러면, 래칫기어(66)의 회전을 제한하는 요소가 제거되었으므로 그 래칫기어(66)에 연동된 다수의 회전체들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로인해, 상기 외어이 태엽(12)의 복원력이 와이어(16)를 태엽드럼(14)에 권취되게 인입하는 힘으로 작동되고, 와이어(16)가 권취되었던 와이어 권취드럼(22)으로부터 와이어가 인출되어 태엽드럼(14)에 감기게 된다.
그 복원력은 상기 레일롤러(24)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레일롤러(24)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개방되었던 슬라이딩 도어(6)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2)는 전혀 전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매우 용이하게 개방된 정도에 비례한 지연시간 후 즉시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작동되므로 용이함과 안전성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4:레일, 6:슬라이딩 도어,
10:하우징, 12:와이어 태엽,
14:태엽드럼, 16:와이어,
20:타이머설정부, 22:와이어 권취드럼,
30:이동로드, 40:기계식 타이머,
46:돌출부, 50:링크작동부,
52:링크로드, 54:힌지축,
58:웨이트, 60:스토퍼,
66:래칫기어.

Claims (6)

  1. 고속도로의 복수 터널 통로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피난터널에 설치되어 임의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게 여닫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 레일(4)에 매달려서 이동 가능하게 그 상단에 레일롤러(24)가 장착된 피난갱문(2)에 설치되되,
    내부에 태엽이 구성되고, 그 태엽 일단에 와이어(16)가 결합됨으로써 인출력에 비례한 복원력이 작동되는 와이어 태엽(12)과;
    상기 와이어(16)의 타단이 권취될 수 있게 내부에 와이어 권취드럼(22)이 구비되고, 그 와이어 권취드럼(22)의 전면에 걸림부(28)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레일롤러(24)와 연동되게 설치된 타이머 설정부(20)와;
    상기 와이어 권취드럼(22)의 회전과 동기되어 이동하는 걸림부(28)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로드(30)와;
    상기 이동로드(30)의 이동량에 연동되어 기계식으로 시간이 설정되는 타이머(40)와;
    상기 타이머(40)에 설정된 일정한 대기시간동안 피난갱문(2)이 자폐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게 타이머(40)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링크 작동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작동부(50)는 래칫기어(66)와;
    상기 래칫기어(66)에 축결된 제 2기어(64)와;
    상기 제 2기어(64)에 치합되고, 상기 레일롤러(24)와 축결된 제 1기어(62)와;
    힌지축(54)을 중심으로 좌우 단부가 승강되는 링크로드(52)와;
    상기 링크로드(52)의 일단에 결합되어 링크로드(52)가 기울어지게 하중을 제공하는 웨이트(58)와;
    상기 링크로드(52)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래칫기어(66)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30)는 그 상면 일단에 일정주기로 돌출된 돌출봉(32)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상면 타단에는 이동로드(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타이머(40)를 기계적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로드(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40)는 태엽과 기어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회전하는 회전판(42)과;
    그 회전판(42)의 가장자리에 돌출되고, 상기 이동로드(30)의 이동력에 의해 걸려서 상기 회전판(42)이 회전될 수 있게 하는 걸림편(44)과;
    상기 회전판(42)의 가장자리 소정에 돌출되고 링크로드(52)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판(42)의 회전에 의해 링크로드(52)의 일단을 밀어올리는 돌출부(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드(52)는 그 중앙 소정부가 "ㄷ"자 형태로 절곡된 절곡부(5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40)는 걸림편(44)의 이동궤적에 비례하여 도어 자폐 대기시간이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KR1020180080301A 2018-07-11 2018-07-11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KR10202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301A KR102028928B1 (ko) 2018-07-11 2018-07-11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301A KR102028928B1 (ko) 2018-07-11 2018-07-11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928B1 true KR102028928B1 (ko) 2019-10-07

Family

ID=6842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301A KR102028928B1 (ko) 2018-07-11 2018-07-11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738B1 (ko) 2021-08-18 2022-02-23 주식회사 정진이엔지 터널 비상 대피용 도어 자동 폐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594A (ja) * 1999-07-09 2001-01-23 Sanwa Shutter Corp 自閉式扉の開閉制御装置
KR100969929B1 (ko) * 2009-12-02 2010-07-14 (주)해밀 감속수단을 구비한 피난갱문
KR101016211B1 (ko) * 2010-08-18 2011-02-25 이문희 터널 비상문
KR101170019B1 (ko) * 2009-12-02 2012-08-01 주식회사 이음엔지니어링 슬라이딩 도어패널을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한 피난갱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594A (ja) * 1999-07-09 2001-01-23 Sanwa Shutter Corp 自閉式扉の開閉制御装置
KR100969929B1 (ko) * 2009-12-02 2010-07-14 (주)해밀 감속수단을 구비한 피난갱문
KR101170019B1 (ko) * 2009-12-02 2012-08-01 주식회사 이음엔지니어링 슬라이딩 도어패널을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한 피난갱문
KR101016211B1 (ko) * 2010-08-18 2011-02-25 이문희 터널 비상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738B1 (ko) 2021-08-18 2022-02-23 주식회사 정진이엔지 터널 비상 대피용 도어 자동 폐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894B1 (en) Self-closing single-sided accordion fire door
KR102028928B1 (ko)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US4354699A (en) Apparatus for delaying opening of doors
KR20060135470A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와 그 시스템.
JP2013227850A (ja) 非常通路の避難用坑門
US948239A (en) Fireproof-shutter mechanism.
KR100846747B1 (ko) 안전 게이트 유닛
US3662670A (en) Blast-actuated valve-closure system
GB1384862A (en) Fire door structure and fire safety installation including said door structure
JPS5948318A (ja) 防火区画貫通コンベヤ−
KR101998568B1 (ko) 접이식 방화문
US3445963A (en) Panic breakaway balance door
JPS605982A (ja) 移動ドア−装置
EP3464769B1 (en) Swing door operator
US1842123A (en) Release and brake for fire resisting curtains
KR102071073B1 (ko)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KR101779108B1 (ko) 회전 타입 피난용 갱문의 수동 및 자동 겸용 폐쇄장치
KR100618537B1 (ko)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
US1718752A (en) Shutter-operating device
CN102650187B (zh) 平开式双扇双向启闭钢制防火门及其制作方法
WO2020183467A1 (en) A lock for locking the curtain of a roller shutter
KR102364738B1 (ko) 터널 비상 대피용 도어 자동 폐쇄장치
CN110732102A (zh) 挡烟闭火防蔓延智能窒息控火系统
KR200206367Y1 (ko) 비상문이 형성된 방화샷다에 방범기능을 갖는 장치
KR20150085615A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