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073B1 -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073B1
KR102071073B1 KR1020190106535A KR20190106535A KR102071073B1 KR 102071073 B1 KR102071073 B1 KR 102071073B1 KR 1020190106535 A KR1020190106535 A KR 1020190106535A KR 20190106535 A KR20190106535 A KR 20190106535A KR 102071073 B1 KR102071073 B1 KR 10207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atch unit
housing
pin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수
Original Assignee
이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수 filed Critical 이근수
Priority to KR1020190106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방화구역에 설치되는 방화 셔터에는 화재 시 방화 셔터가 폐쇄된 사항에서 방화구역 내에 갇혀있던 건축물의 이용자들이 화재 구역 밖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방화 셔터 소정의 부위에 피난문이 배치되고, 피난문의 외형을 형성하는 피난문 프레임은 높은 압력에 의해 방화 셔터 구역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된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벽체의 매입 공간(S)에 수납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힌지축(H)을 기준으로 방화 통로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피난문(E)이 외형인 피난문 프레임(F)과, 천장 매입부에 매입되어 자동으로 권취 해제되면서 방화 셔터(W)를 하방 인출시켜 방화 통로를 폐쇄하는 방화 셔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난문 프레임(F)이 회전하여 방화 통로에서 제동되도록 천장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스토퍼(101); 상기 피난문 프레임(F)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101)에 의해 작동이 시작되는 잠금장치(100); 상기 잠금장치(100)의 하우징(102)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101)와 접촉하여 하우징 내측으로 진입되는 작동핀(111); 상기 작동핀(111)이 진입할 때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튜브(112): 상기 작동핀(111)에 있는 상측 힌지축(113)와 연결되고 작동핀(111)이 하우징(102)으로 진입할 때 중심축(114)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115); 상기 링크(115) 하단에 있는 하측 힌지축(116)과 결합된 스토퍼 베어링(117)에 의해 제동되어 있다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115)의 해제에 의해 상승하는 래치유닛(120); 상기 해제된 래치유닛(120)은 스프링 압축핀(121)과 래치 브래킷(122) 사이에 설치되어 래치유닛(120)을 상측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123); 상기 래치유닛(120) 상단에는 하우징(102)의 구멍(103)을 통과하여 천장 상측에 있는 잠금 구멍(104)으로 진입하는 래치(124); 상기 래치유닛(120)의 하측에는 래치유닛(1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102)에 고정된 가이드핀(105)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홈(125); 상기 래치유닛(120) 하단의 구멍(126)에는 상측으로 이동된 래치유닛(120)을 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연결된 복귀 와이어(Y); 상기 작동핀(111)의 상측 힌지축(113)과 하우징(102)의 일측의 스프링 브래킷(118) 사이에는 래치유닛(120)이 하측으로 복귀할 때 링크(115)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인장스프링(119)으로 구성되되, 상기 피난문 프레임(F)의 상측 내부 중앙에는 잠금장치(100)가 배치되고, 상기 잠금장치(10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복수의 래치유닛(120)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잠금장치(100)에 있는 래치(124)의 양측으로는 복수의 래치유닛(120)에 있는 래치(124)와 연결봉(127)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The retractor of the fireproof shutter linkage type refuge door frame}
본 발명은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방화구역에 설치되는 방화 셔터에는 화재 시 방화 셔터가 폐쇄된 사항에서 방화구역 내에 갇혀있던 건축물의 이용자들이 화재 구역 밖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방화 셔터 소정의 부위에 피난문이 배치되고, 피난문의 외형을 형성하는 피난문 프레임은 높은 압력에 의해 방화 셔터 구역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된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 천장에 부착된 열 또는 연소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기의 작동으로 정격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비상전원이 공급되면서 건물 외벽 또는 천정에 설치된 방연창이 자동 개방되어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방화 셔터가 하강하여 화재 확산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재 발생 지역의 연기 확산을 방지하고, 피난이 가능하도록 방화 및 방연 구역을 차단하는 방화 셔터에는 피난문의 피난 경로가 마련되어 있다.
기존의 방화셔터에 피난경로가 되는 피난문의 선행 기술 문헌으로 특허등록제10-0702964호에 개재된 바와 같이 방화셔터는 건물의 출입구 상부 또는 화재가 예상되는 지역의 통로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장치가 내설된 셔터박스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승강 이동되는 판상의 셔터 부재를 상하로 결속하여 구성한 방화 셔터와, 상하로 승강 이동하는 상기 방화 셔터를 안내할 수 있도록 건물의 측벽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셔터 부재의 일부로서 길쭉한 판상의 상기 셔터부재를 절단하여 방화 셔터에 부분 절개시킨 문틀에 경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 시킨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에 있어 방화 셔터에 일체로 구성된 문틀은 권취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힌지가 구성된 방화 셔터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별도의 힌지가 설치 되어야만 개/폐가 가능하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문틀의 힌지가 원활하게 개폐되지 못하여 안전성의 위험도 커지고 비용부담이 더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방화 셔터의 피난문은 경첩 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여닫이 방식이 대부분이고 화재 시에 피난문을 인위적으로 밀어서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방화 셔터에 피난문의 구조와 더불어 피난문의 외형을 구성하고 있는 피난문 프레임의 선행 기술 문헌으로 특허등록 제10-1203392호에 개재된 바에 의하면 벽체의 매입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화재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가 인가되어, 자동으로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피난문이 형성되어 있으며, 벽체의 매입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통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축이 형성된 도어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화재 시 도어프레임의 폐쇄와 방연 셔터의 하강하여 통로가 폐쇄한 상태에서 미처 도피하지 못한 피난민이 시야 확보가 어렵고, 정신적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경황에서 피난문을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피난문의 외형을 구성하는 도어프레임을 강압으로 미는 경향이 있다. 이때 도어프레임의 가장자리의 슬라이드홈에 결합된 방연 셔터 슬랫의 이탈 가능성이 충분하고, 화재 시 열압에 의해 방연 셔터와 도어프레임이 좌, 우로 움직이면 슬라이드홈과 방연 셔텨의 슬랫이 이격이 발생하고 그 틈으로 화염 및 연기의 확산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화재 시 방화 셔터의 피난문 프레임이 먼저 방화통로 방향으로 회전하여 천장에 고정된 스토퍼에 정지되면, 피난문 프레임 상측에 있는 잠금장치의 래치가 천장에 있는 잠금 구멍으로 진입한 뒤 방화 셔터가 벽면의 가이드레일과 피난문 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강하여 통로가 폐쇄한 상태에서, 화재에 의해 형성된 고온의 높은 압력이 형성되더라도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방화 셔터의 슬랫이 있는 피난문 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틈이 형성되지 않아 화염 및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과 같이 피난문 프레임 상측에 있는 잠금장치의 래치가 천장에 있는 잠금 구멍으로 진입한 뒤 방화 셔터가 벽면의 가이드레일과 피난문 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강하여 통로가 폐쇄한 상태에서, 미처 도피하지 못한 피난민이 피난문 프레임을 강압으로 밀더라도 피난문 프레임이 흔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피난문 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방화 셔터 슬랫의 이탈 가능성이 없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벽체의 매입 공간(S)에 수납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힌지축(H)을 기준으로 방화통로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피난문(E)이 외형인 피난문 프레임(F)과, 천장 매입부에 매입되어 자동으로 권취 해제되면서 방화 셔터(W)를 하방 인출시켜 방화통로를 폐쇄하는 방화 셔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난문 프레임(F)이 회전하여 방화통로에서 제동되도록 천장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스토퍼(101);
상기 피난문 프레임(F)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101)에 의해 작동이 시작되는 잠금장치(100);
상기 잠금장치(100)의 하우징(102)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101)와 접촉하여 하우징 내측으로 진입되는 작동핀(111);
상기 작동핀(111)이 진입할 때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튜브(112):
상기 작동핀(111)에 있는 상측 힌지축(113)와 연결되고 작동핀(111)이 하우징(102)으로 진입할 때 중심축(114)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115)
상기 링크(115) 하단에 있는 하측 힌지축(116)과 결합된 스토퍼 베어링(117)에 의해 제동되어 있다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115)의 해제에 의해 상승하는 래치유닛(120);
상기 해제된 래치유닛(120)은 스프링 압축핀(121)과 래치 브래킷(122) 사이에 설치되어 래치유닛(120)을 상측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123);
상기 래치유닛(120) 상단에는 하우징(102)의 구멍(103)을 통과하여 천장 상측에 있는 잠금 구멍(104)으로 진입하는 래치(124);
상기 래치유닛(120)의 하측에는 래치유닛(1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102)에 고정된 가이드핀(105)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홈(125);
상기 래치유닛(120) 하단의 구멍(126)에는 상측으로 이동된 래치유닛(120)을 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연결된 복귀와이어(Y);
상기 작동핀(111)의 상측 힌지축(113)과 하우징(102)의 일측의 스프링 브래킷(118) 사이에는 래치유닛(120)이 하측으로 복귀할 때 링크(115)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인장스프링(119)으로 구성되되,
상기 피난문 프레임(F)의 상측 내부 중앙에는 잠금장치(100)가 배치되고, 상기 잠금장치(10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복수의 래치유닛(120)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잠금장치(100)에 있는 래치(124)의 양측으로는 복수의 래치유닛(120)에 있는 래치(124)와 연결봉(127)로 연결된 특징이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100)의 하우징(102)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101)와 접촉에 의해 하우징 내측으로 진입되는 전방에 작동핀(311)을 갖는 작동뭉치(310);
상기 작동핀(311)이 하우징(102) 내부로 진입할 때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튜브(312):
상기 작동뭉치(310)가 진입하면 작동뭉치(310)에 마련되 래치구멍(313)과 일치하여 래치(321)가 상승하는 래치유닛(320);
상기 작동뭉치(310)의 후방에는 작동뭉치(310)를 전방으로 탄성이 되도록 배치된 압축스프링(331);
상기 압축스프링(331)를 수용하고 작동뭉치(310)를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332)을 갖는 스프링 하우징(330);
상기 걸림턱(332)에 대응하여 작동뭉치(310)에 마련된 환테걸림턱(314);
상기 래치유닛(320)은 스프링 압축핀(322)과 래치브래킷(323) 사이에 설치되어 래치유닛(320)을 상측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324);
상기 래치유닛(320)의 하측에는 래치유닛(3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102)에 고정된 가이드핀(105)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홈(325);
상기 래치유닛(320) 하단의 구멍(326)에는 상측으로 이동된 래치유닛(320)을 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연결된 복귀 와이어(Y1)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100)의 하우징(102)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101)와 접촉에 의해 하우징 내측으로 진입되는 전방에 작동핀(411)을 작동뭉치(410);
상기 작동핀(411)이 하우징(102) 내부로 진입할 때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튜브(412):
상기 작동뭉치(410)가 진입하면 작동뭉치(410)에 마련된 복수의 래치구멍(413)과 일치하여 래치(421)가 상승하는 한 쌍의 래치유닛(420);
상기 작동뭉치(410)의 후방에는 작동뭉치(410)를 전방으로 탄성이 되도록 배치된 압축스프링(431);
상기 압축스프링(431)를 수용하고 작동뭉치(410)를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432)을 갖는 스프링 하우징(430);
상기 걸림턱(432)에 대응하여 작동뭉치(410)에 마련된 환테걸림턱(414);
상기 한 쌍의 래치유닛(420)은 스프링 압축핀(422)과 래치브래킷(423) 사이에 설치되어 래치유닛(420)을 상측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424);
상기 래치유닛(420)의 하측에는 래치유닛(4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102)에 고정된 가이드핀(105)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홈(425);
상기 래치유닛(420) 하단의 구멍(426)에는 상측으로 이동된 래치유닛(420)을 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연결된 복귀 와이어(Y2)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화재에 의해 형성된 고온의 높은 압력이 형성되더라도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방화 셔터의 슬랫이 있는 피난문 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틈이 형성되지 않아 화염 및 연기의 확산을 방지함과 아울러,미처 도피하지 못한 피난민이 피난문 프레임을 강압으로 밀더라도 피난문 프레임이 흔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피난문 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방화 셔터 슬랫의 이탈 가능성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잠금장치의 정단면도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벽체의 매입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힌지축을 기준으로 방화 통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용상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가 스토퍼에 의해 작용하는 정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피난문 프레임이 방화 통로 방향으로 회전하기 전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피난문 프레임이 방화 통로 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장치가 작용 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5c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피난문 프레임이 방화 통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지된 상태에서 방화 셔터가 하강되어 폐쇄된 상태의 정면도.
도 6a 내지 도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앙의 잠금장치를 중심으로 양측에 래치유닛이 복수로 설치되어 연결봉으로 연결된 상태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7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 뭉치에 있는 래치 구멍을 통해 래치유닛이 승강하는 정면도와 작용상태도.
도 9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 뭉치에 있는 복수의 래치 구멍에 대응하여 복수의 래치유닛이 승강하는 정면도와 작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잠금장치의 정단면도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금장치(100)는 하우징(102), 작동핀(111), 링크(115) 및 래치유닛(120)으로 크게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작동핀(111) 후방에는 양측으로 분할된 링크(115)를 상측 힌지축(113)으로 결합되고, 상기 상측 힌지축(113)과 하우징(102) 측면에 있는 부착된 스프링 브래킷(118)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119)이 결합되며, 링크(115)의 하단부에는 스토퍼 베어링(117)을 하측 힌지축(116)으로 결합되고, 링크(115) 상측에는 중심축(11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핀(111)과 링크(115)가 상, 하측 힌지축(113)(116)과 중심축(114)으로 결합되어 있으면, 하우징(102) 외부로 돌출된 작동핀(111)이 하우징(102)의 내측으로 진입할 때 링크(115)는 중심축(114)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래치유닛(120)은 하측에 구멍(126)에는 복귀 와이어(Y)가 결합되고, 래치유닛(120)이 관통하는 래치 브래킷(122)의 상면에는 래치유닛(120) 상측의 래치(124)에 결합된 스프링 압축핀(121) 사이에 결합된 압축스프링(123)이 안착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래치유닛(120)은 상기 스토퍼 베어링(117)의 제동되어 있다가 스토퍼 베어링(117)이 래치유닛(120)으로부터 이탈되면 압축스프링(123)이 탄성 되어 래치유닛(120)이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측으로 이동된 래치유닛(120)을 복귀할 때에는 복귀 와이어(Y)를 인위적으로 잡아당겨 복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첨부 도면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피난문 프레임(F)의 상측 내부 중앙에는 잠금장치(10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복수의 래치유닛(120)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잠금장치(100)에 있는 래치(124)의 양측으로는 복수의 래치유닛(120)에 있는 래치(124)와 연결봉(127)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잠금장치(100)는 전술된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만 상기 중앙의 잠금장치(100)에 마련된 래치(124)의 양측면에 연결봉(127)을 연결하여 양측에 래치유닛(120)에 있는 래치(124)와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중앙의 잠금장치(100)에 마련된 래치(124)의 양측면에 연결봉(127)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의 하우징(102)의 양측면에는 연결구멍(106)이 천공되며, 각각의 래치유닛(120)을 수용하는 양측면의 하우징(102)의 일측면에는 연결봉(127)이 통과되는 연결구멍(107)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중앙의 잠금장치(10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결봉으로 연결된 래치유닛(120)은 먼저 중앙의 잠금 장치(100)의 작동에 의해 래치(124)가 상승하면 래치(124)와 연결봉(127)으로 연결된 양측의 래치(124)가 상승하여 복수의 잠금 구멍(104)에 진입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7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금장치(100)는 하우징(102), 작동뭉치(310) 및 래치유닛(320)으로 크게 구획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2) 일측으로 돌출된 작동핀(311)을 갖는 작동뭉치(310), 상기 작동 뭉치(310)에는 중앙에 래치 구멍(313)이 천공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환테걸림턱(314)이 형성되고, 작동 뭉치(310)의 후방 끝단에는 압축스프링(331)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압축스프링(331)을 수용하는 스프링 하우징(330)의 선단에는 상기 환테걸림턱(314)과 대응하는 걸림턱(3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래치유닛(320)은 스프링 압축핀(322)과 래치 브래킷(323) 사이에 설치되어 래치유닛(320)을 상측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 스프링(324)과, 상기 래치유닛(320)의 하측에는 래치유닛(3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102)에 고정된 가이드핀(105)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홈(325)이 형성되고, 래치유닛(320) 하단의 구멍(326)에는 상측으로 이동된 래치유닛(320)을 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연결된 복귀 와이어(Y1)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9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금장치(100)는 하우징(102), 작동뭉치(410) 및 한 쌍의 래치유닛(420)으로 크게 구획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2) 일측으로 돌출된 작동핀(411)을 갖는 작동 뭉치(410);
상기 작동 뭉치(410)에는 복수의 래치 구멍(413)이 천공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환테걸림턱(414)이 형성되고, 작동 뭉치(410)의 후방 끝단에는 압축스프링(431)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압축스프링(431)을 수용하는 스프링 하우징(430)의 선단에는 상기 환테걸림턱(431)과 대응하는 걸림턱(4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래치유닛(420)은 스프링 압축핀(422)과 래치 브래킷(423) 사이에 설치되어 래치유닛(420)을 상측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 스프링(424)과, 상기 래치유닛(420)의 하측에는 래치유닛(4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102)에 고정된 가이드핀(105)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홈(425)이 형성되고, 래치유닛(420) 하단의 구멍(426)에는 상측으로 이동된 래치유닛(420)을 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연결된 복귀 와이어(Y2)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벽체의 매입 공간(S)에 수납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힌지축(H)을 기준으로 방화통로 방향으로 피난문 프레임(F)이 회전되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피난문 프레임(F)이 방화통로에서 정지되면, 첨부 도면 도4 내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고정된 스토퍼(101)로 하우징(102) 일측에 돌출된 작동핀(111)이 접촉과 동시에 후방으로 작동핀(111)이 밀리게 된다.
작동핀(111)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작동핀(111) 후방에 상측 힌지축(113)과 결합된 링크(115)는 중심축(114)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링크(115)의 하단에 있는 스토퍼 베어링(117)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래치유닛(120)으로 이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 베어링(117)이 래치유닛(120)으로부터 이탈되면, 그동안 억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123)이 탄성이 되면서 래치유닛(12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래치(124)가 하우징(102)의 구멍(103)을 통과하여 천장 상측에 있는 잠금 구멍(104)으로 래치(124)가 진입함으로써, 잠금장치(100)가 피난문 프레임(F)을 방화통로에서 좌/우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피난문 프레임(F)이 잠금장치(1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번에는 방화 셔터(W)가 벽면의 가이드레일(G1)과 피난문 프레임(F)의 가이드레일(G2)을 따라 하강하다가 1단 정지하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방화통로 전체를 차단하기 전에 화재 내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다수의 대피자 들을 일시에 대피함과 동시에 건물 천장으로 상승하는 유독가스를 차단하여 배기덕트로 배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방화 셔터(W)의 1단 정지 후 계속하여 하강하여 방화통로가 폐쇄한 상태에서, 화재에 의해 형성된 고온의 높은 압력이 형성되더라도 피난문 프레임(F)의 잠금장치(100)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방화 셔터(W)의 슬랫이 있는 피난문 프레임(F)의 가이드레일(G2)에 틈이 형성되지 않아 화염 및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첨부 도면 도 6a 내지 도6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앙의 잠금장치(100)를 중심으로 양측에 래치유닛(120)이 복수로 설치되어 각각의 래치(124)가 연결봉(127)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에 있어 중앙의 잠금장치(100)의 기능은 상기 전술된 내용과 동일 하여 생략한다.
다만, 중앙의 잠금장치(100)에 있는 래치(124)가 상승할 때 연결봉(127)으로 연결된 양측의 래치(124)가 동일한 속도로 상승하여 하우징(102)의 구멍(103)을 통과하여 천장 상측에 있는 잠금 구멍(104)으로 복수의 래치(124)가 진입하는 것이다.
한편 첨부 도면 7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 뭉치(310)에 있는 래치 구멍(313)을 통해 래치유닛(320)의 래치(321)가 통과하는 것이다.
이를 부연설명 하면, 천장의 고정된 스토퍼(101)로 하우징(102) 일측에 돌출된 작동핀(311)이 접촉과 동시에 후방으로 작동핀(311)이 밀리게 된다.
상기 작동핀(311)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잠금 뭉치(310)에 마련된 래치 구멍(313)과 래치유닛(320)의 래치(321)와 일치된 지점에 그동안 억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324)이 탄성이 되면서 래치유닛(32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래치(321)가 하우징(102)의 구멍(103)을 통과하여 천장 상측에 있는 잠금 구멍(104)으로 래치(321)가 진입함으로써, 잠금장치(100)가 피난문 프레임(F)을 방화통로에서 좌/우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후에 방화 셔터(W)의 작용은 상기 전술된 내용와 동일하여 생략한다.
한편, 첨부 도면 9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뭉치(410)에 있는 복수의 래치구멍(413)을 통해 한 쌍의 래치유닛(420)의 래치(421)이 통과하는 것이다.
이를 부연설명 하면, 천장의 고정된 스토퍼(101)로 하우징(102) 일측에 돌출된 작동핀(411)이 접촉과 동시에 후방으로 작동핀(411)이 밀리게 된다.
상기 작동핀(411)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잠금 뭉치(410)에 마련된 복수의 래치 구멍(413)과 래치유닛(420)의 래치(421)와 일치된 지점에 그동안 억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424)이 탄성이 되면서 래치유닛(42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래치(421)가 하우징(102)의 구멍(103)을 통과하여 천장 상측에 있는 잠금 구멍(104)으로 래치(421)가 진입함으로써, 잠금장치(100)가 피난문 프레임(F)을 방화통로에서 좌/우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잠금장치 101: 스토퍼
102: 하우징 103: 구멍
104: 잠금구멍 105; 가이드핀
111, 311, 411: 작동핀 112, 312, 412: 가이드 튜브
113: 상측 힌지축 114: 중심축
115: 링크 116; 하측 힌지축
117; 스토퍼 베어링 118: 스프링 브래킷
119: 인장 스프링 120, 320, 420: 래치유닛
121, 322, 422: 스프링 압축핀 122, 323,423: 래치 브래킷
123, 331, 431, 324, 424: 압축스프링 124, 312, 421: 래치
125, 325, 425; 가이드홈 126, 326, 426: 구멍
127: 연결봉 310, 410: 작동뭉치
313, 413: 래치구멍 332, 432: 걸림턱
330, 430: 스프링 하우징 314, 414: 환테걸림턱
Y, Y1, Y2 : 복귀 와이어

Claims (4)

  1. 화재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벽체의 매입 공간(S)에 수납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힌지축(H)을 기준으로 방화 통로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피난문(E)이 외형인 피난문 프레임(F)과, 천장 매입부에 매입되어 자동으로 권취 해제되면서 방화 셔터(W)를 하방 인출시켜 방화통로를 폐쇄하는 방화 셔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난문 프레임(F)이 회전하여 방화통로에서 제동되도록 천장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스토퍼(101);
    상기 피난문 프레임(F)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101)에 의해 작동이 시작되는 잠금장치(100);
    상기 잠금장치(100)의 하우징(102)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101)와 접촉하여 하우징 내측으로 진입되는 작동핀(111);
    상기 작동핀(111)이 진입할 때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튜브(112):
    상기 작동핀(111)에 있는 상측 힌지축(113)와 연결되고 작동핀(111)이 하우징(102)으로 진입할 때 중심축(114)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115)
    상기 링크(115) 하단에 있는 하측 힌지축(116)과 결합된 스토퍼 베어링(117)에 의해 제동되어 있다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115)의 해제에 의해 상승하는 래치유닛(120);
    상기 해제된 래치유닛(120)은 스프링 압축핀(121)과 래치 브래킷(122) 사이에 설치되어 래치유닛(120)을 상측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123);
    상기 래치유닛(120) 상단에는 하우징(102)의 구멍(103)을 통과하여 천장 상측에 있는 잠금 구멍(104)으로 진입하는 래치(124);
    상기 래치유닛(120)의 하측에는 래치유닛(1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102)에 고정된 가이드핀(105)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홈(125);
    상기 래치유닛(120) 하단의 구멍(126)에는 상측으로 이동된 래치유닛(120)을 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연결된 복귀 와이어(Y);
    상기 작동핀(111)의 상측 힌지축(113)과 하우징(102)의 일측의 스프링 브래킷(118) 사이에는 래치유닛(120)이 하측으로 복귀할 때 링크(115)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인장스프링(119)으로 구성되되,
    상기 피난문 프레임(F)의 상측 내부 중앙에는 잠금장치(100)가 배치되고, 상기 잠금장치(10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복수의 래치유닛(120)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잠금장치(100)에 있는 래치(124)의 양측으로는 복수의 래치유닛(120)에 있는 래치(124)와 연결봉(127)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100)의 하우징(102)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101)와 접촉에 의해 하우징 내측으로 진입되는 전방에 작동핀(311)을 갖는 작동 뭉치(310);
    상기 작동핀(311)이 하우징(102) 내부로 진입할 때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튜브(312):
    상기 작동뭉치(310)가 진입하면 작동 뭉치(310)에 마련되 래치구멍(313)과 일치하여 래치(321)가 상승하는 래치유닛(320);
    상기 작동 뭉치(310)의 후방에는 작동 뭉치(310)를 전방으로 탄성이 되도록 배치된 압축스프링(331);
    상기 압축스프링(331)를 수용하고 작동뭉치(310)를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332)을 갖는 스프링 하우징(330);
    상기 걸림턱(332)에 대응하여 작동 뭉치(310)에 마련된 환테걸림턱(314);
    상기 래치유닛(320)은 스프링 압축핀(322)과 래치 브래킷(323) 사이에 설치되어 래치유닛(320)을 상측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324);
    상기 래치유닛(320)의 하측에는 래치유닛(3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102)에 고정된 가이드핀(105)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홈(325);
    상기 래치유닛(320) 하단의 구멍(326)에는 상측으로 이동된 래치유닛(320)을 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연결된 복귀 와이어(Y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100)의 하우징(102)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101)와 접촉에 의해 하우징 내측으로 진입되는 전방에 작동핀(411)을 작동 뭉치(410);
    상기 작동핀(411)이 하우징(102) 내부로 진입할 때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튜브(412):
    상기 작동 뭉치(410)가 진입하면 작동 뭉치(410)에 마련된 복수의 래치구멍(413)과 일치하여 래치(421)가 상승하는 한 쌍의 래치유닛(420);
    상기 작동 뭉치(410)의 후방에는 작동 뭉치(410)를 전방으로 탄성이 되도록 배치된 압축스프링(431);
    상기 압축스프링(431)를 수용하고 작동 뭉치(410)를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432)을 갖는 스프링 하우징(430);
    상기 걸림턱(432)에 대응하여 작동 뭉치(410)에 마련된 환테걸림턱(414);
    상기 한 쌍의 래치유닛(420)은 스프링 압축핀(422)과 래치 브래킷(423) 사이에 설치되어 래치유닛(420)을 상측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424);
    상기 래치유닛(420)의 하측에는 래치유닛(4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102)에 고정된 가이드핀(105)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홈(425);
    상기 래치유닛(420) 하단의 구멍(426)에는 상측으로 이동된 래치유닛(420)을 하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연결된 복귀 와이어(Y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KR1020190106535A 2019-08-29 2019-08-29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KR10207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35A KR102071073B1 (ko) 2019-08-29 2019-08-29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35A KR102071073B1 (ko) 2019-08-29 2019-08-29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073B1 true KR102071073B1 (ko) 2020-01-30

Family

ID=6932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535A KR102071073B1 (ko) 2019-08-29 2019-08-29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471B1 (ko) * 2020-03-27 2020-09-11 김진수 방화구획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893U (ja) * 1997-05-30 1997-12-02 株式会社間組 シャッターレールを一体に備えた扉、及びシャッター
KR0130518Y1 (ko) * 1995-11-06 1998-12-15 유태유 방화샤터의 폐쇄장치
JP2001321455A (ja) * 2000-05-16 2001-11-20 Shimizu Corp 防火扉
JP4992138B2 (ja) * 2005-01-20 2012-08-08 小俣シヤツター工業株式会社 遮煙用避難扉付袖扉連動シャッター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518Y1 (ko) * 1995-11-06 1998-12-15 유태유 방화샤터의 폐쇄장치
JP3043893U (ja) * 1997-05-30 1997-12-02 株式会社間組 シャッターレールを一体に備えた扉、及びシャッター
JP2001321455A (ja) * 2000-05-16 2001-11-20 Shimizu Corp 防火扉
JP4992138B2 (ja) * 2005-01-20 2012-08-08 小俣シヤツター工業株式会社 遮煙用避難扉付袖扉連動シャッター開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471B1 (ko) * 2020-03-27 2020-09-11 김진수 방화구획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894B1 (en) Self-closing single-sided accordion fire door
JP4992138B2 (ja) 遮煙用避難扉付袖扉連動シャッター開閉装置
KR102071073B1 (ko)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KR102150060B1 (ko) 건축물용 방화문
KR20140030056A (ko)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JPH10314329A (ja) 耐火スクリーン装置
KR101998568B1 (ko) 접이식 방화문
KR200411903Y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540688B1 (ko) 슬라이딩방범창
JP2009013648A (ja) 自重降下式シャッターにおけるブレーキ解放・復帰装置
KR102497554B1 (ko)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JP3785605B2 (ja) 建築用シャッター
KR20150027017A (ko)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KR100987888B1 (ko) 방화용 스크린 셔터
JP3599302B2 (ja) 耐火スクリーン装置
KR200407042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100526151B1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102579497B1 (ko) 소방용 화재 감지 대피 시스템
KR102651322B1 (ko) 개폐가 쉬운 방범창
JP2009281130A (ja) 避難用両袖扉の同時連動シャッター閉鎖装置
KR101292474B1 (ko)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
JP3785618B2 (ja) 建築用シャッター
KR970004453Y1 (ko) 방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