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688B1 - 슬라이딩방범창 - Google Patents

슬라이딩방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688B1
KR100540688B1 KR1020050044774A KR20050044774A KR100540688B1 KR 100540688 B1 KR100540688 B1 KR 100540688B1 KR 1020050044774 A KR1020050044774 A KR 1020050044774A KR 20050044774 A KR20050044774 A KR 20050044774A KR 100540688 B1 KR100540688 B1 KR 100540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ove
window
side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석
Original Assignee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4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 부터 침입을 방지하거나 비상대피시 용이하게 대피가능한 슬라이딩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ㄷ형상의 목재로 양측의 끝단에 종방향으로 가이드부재(111)와 한쌍의 부롤러홈(112)과 상기 부롤러홈(112) 사이에는 주롤러홈(113)이 설치되게 되는 창틀프레임(11)과; 내부가 중공형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재(121)와 지지부재(121)의 상부양측과 하부양측에 주롤러(122a)는 내부에 한쌍의 부롤러(122b)는 외부에 부착되어 축홀(121a)을 관통하는 핀축(123)으로 결합되어 체결되는 롤러부재(122)가 설치되며 상기 양측의 지지부재(121)의 사이에 수평방향의 다수의 창살(123)이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셔터프레임(12)과; 상기 셔터프레임(12)의 지지부재(121)의 전방 하부에는 홈부(131)에 끼움홈(132a)이 형성된 회전구(132)가 좌우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회전구(132)의 일측으로 ㄱ형상의 체결고리(133)가 형성되게 되어 지지부재(121)에 용접 고정되는 고정부재(13)와; 상기 고정부재(13)의 체결고리(133)가 끼움고정 되도록 요홈부(141)를 형성하고 벽체(100)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쌍이 일개조인 두쌍의 체결부재(14)를 포함하여서 구성되어 필요시마다 셔터프레임(12)을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창틀프레임, 셔터프레임, 고정부재, 슬라이딩방범창

Description

슬라이딩방범창{Sliding prevention of crimes of window}
도 1은 종래의 방범창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방범창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혀있는 설치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방범창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려있는 설치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체결고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방범창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셔터프레임의 배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2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슬라이딩방범창 11 : 창틀프레임
12 : 셔터프레임 13 : 고정부재
111 : 가이드부재 112 : 부롤러홈
113 : 주롤러홈 121 : 지지부재
121a : 축홀 122 : 롤러부재
122a : 주롤러 122b : 부롤러
123 : 창살 131 : 전방홈
132 : 회전구 133 : 체결고리
122c : 핀축
본 발명은 개방가능한 슬라이딩방범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틀의 외곽에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벽체에 방범창을 고정하도록 하여 개방시에는 실내측에서 체결수단을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유사시 방범창을 손쉽게 개방시켜 인명의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 슬라이딩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립가옥, 연립주택 및 아파트의 저층에 설치되는 통상의 방범창은 창문외벽에 철책을 삽입하여 고정설치하거나, 창문틀에 격자형의 철망을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즉, 도 1은 종래 방범창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창문(1)이 설치되는 창문틀(2)에 방범창의 외곽틀(3)이 설치되며, 방범창의 외곽틀(3)에는 다수개의 창살(4)이 설치되어 창문을 통한 외부인의 침입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통상의 방범창은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범기능은 수행할 수 있었지만, 화재시와 같이 유사시에 출입문이 봉쇄되는 긴급한 상황에서 창문을 통해 외부로 탈출이 어려워 질식사로 소중한 인명을 앗아가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사회문제로 까지 대두되어 방범창에 대한 시급한 개선 책을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 여러 종류의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이 제안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방범창은 방범창 창살강도가 규격품에 못 미치거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틀(2)에 방범창(3)이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침입자가 창문틀(2)을 파손시킴으로써 방범창(3)을 제거한 후 침입하는 사례가 많아 방법창의 역할을 온전하게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상술한 바와같이 방범창은 창문의 본래 목적인 통풍, 채광등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대부분 금속으로 용접 또는 조립제작되어 창틀 외측에 칼블럭과 나사못을 사용하거나, 앙카볼트등으로 견고하게 착설되어 침입자가 외부로 부터 침입하는 것에 대한 방지목적을 갖는다.
그러나, 건물 내부에서 화재등이 발생하여 출입구쪽으로 탈출이 불가한 경우, 부득이 창문으로 탈출시 오히려 장애물이되었다.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바와 같은 개폐가능한 방범창은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오래전부터 발명되었으며,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번호 20 - 0257944 ( 발명의 명칭 : 비상 탈출용 방범창)등 다수개가 있으나,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로킹수단이 분리되어 재 결합시 분실위험이 초래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외부에서 내부로의 침입을 막을 수 있고, 화재등의 비상시 내부에서 외부로의 탈출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노인 등의 노약자도 손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롤러가 부착된 슬라이딩 방범창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로 부터 침입을 방지하고자 설치하는 방범창에 있어서, ㄷ형상의 목재로 양측의 끝단에 종방향으로 가이드부재와 한쌍의 부롤러홈과 상기 부롤러홈 사이에는 주롤러홈이 설치되게 되는 창틀프레임과; 내부가 중공형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상부양측과 하부양측에 주롤러는 내부에 한쌍의 부롤러는 외부에 부착되어 축홀을 관통하는 핀축으로 결합되어 체결되는 롤러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양측의 지지부재의 사이에 수평방향의 다수의 창살이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셔터프레임과; 상기 셔터프레임의 지지부재의 전방 하부에는 홈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회전구가 좌우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회전구의 일측으로 ㄱ형상의 체결고리가 형성되게 되어 지지부재에 용접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고리가 끼움고정 되도록 요홈부를 형성하고 벽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쌍이 일개조인 두쌍의 체결부재를 포함하여서 구성되어 필요시마다 셔터프레임을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방범창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방범창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닫혀있는 설치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방범창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려있는 설치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체결고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방범창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셔터프레임의 배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도2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내부로의 침입을 막을 수 있고, 화재등의 비상시 내부에서 외부로의 탈출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노인 등의 노약자도 손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롤러가 부착된 슬라이딩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5내지 도7에서 알 수 있듯이, 크게 창틀프레임(11)과, 셔터프레임(12) 및 고정부재(13)와 체결부재(14)로 구성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11)은 ㄷ형상의 목재이며, 양측의 끝단에 종방향으로 가이드부재(111)가 설치되게 되고 또한 전면에는 한쌍의 부롤러홈(112)과 상기 부롤러홈(112) 사이에는 주롤러홈(113)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셔터프레임(12)은 내부가 중공형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재(121)의 상부양측과 하부양측에 주롤러(122a) 및 한쌍의 부롤러(122b)가 축홀(121a)을 관통하는 핀축(122c)으로 결합되어 체결되는 롤러부재(122)가 설치되며 상기 양측의 지지부재(121)의 사이에 수평방향의 다수의 창살(123)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셔터프레임(12)의 지지부재(121)의 전방 하부에는 홈부(131)에 끼움홈(132a)이 형성된 회전구(132)가 좌우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회전구 (132)의 일측으로 ㄱ형상의 체결고리(133)가 형성되게 되어 지지부재(121)에 용접 고정되는 고정부재(13)가 설치되게 된다.
한편, 한쌍이 일개조인 두쌍의 체결부재(14)는 상기 고정부재(13)의 체결고리(133)가 끼움고정 되도록 요홈부(141)를 형성하고 벽체(100)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게 되는 구조로, 필요시마다 셔터프레임(12)을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3)의 홈부(131)의 좌우로 체결고리(133)가 회동할 수 있도록 이동홈(131b)이 형성되며 홈부(131)의 내측에 회전구(132)의 끼움홈(132a)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게 원형의 고정돌기(13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슬라이딩방범창(10)을 이용하여 창문을 폐쇠시에는 벽체(100)의 창틀프레임(11)의 양측면하단에 체결부재(14)의 요홈부(141)에 삽입 고정된 체결고리(133)를 빼서 접은 후 상부로 셔터프레임(12)을 이동시킨 후 창틀프레임(11)의 양측면상단에 부착된 체결부재(14)의 요홈부(141)에 체결고리(133)를 삽입고정 하면 창문을 폐쇠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침입자가 외부에서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화재등의 긴급 비상시에 내부에서 외부로의 탈출이 용이하게 함은 물론 어린이, 환자, 노인 등의 노약자도 손쉽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로 부터 침입을 방지하고자 설치하는 방범창에 있어서,
    ㄷ형상의 목재로 양측의 끝단에 종방향으로 가이드부재(111)와 한쌍의 부롤러홈(112)과 상기 부롤러홈(112) 사이에는 주롤러홈(113)이 설치되게 되는 창틀프레임(11)과;
    내부가 중공형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재(121)의 상부양측과 하부양측에 주롤러(122a)와 한쌍의 부롤러(122b)가 축홀(121a)을 관통하는 핀축(122c)으로 결합되는 롤러부재(122)가 설치되며, 상기 양측의 지지부재(121)의 사이에는 수평방향의 다수의 창살(123)이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셔터프레임(12)과;
    상기 셔터프레임(12)의 지지부재(121)의 전방 하부에는 홈부(131)에 끼움홈(132a)이 형성된 회전구(132)가 좌우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회전구(132)의 일측으로 ㄱ형상의 체결고리(133)가 형성되게 되어 지지부재(121)에 용접 고정되는 고정부재(13)와;
    상기 고정부재(13)의 체결고리(133)가 끼움고정 되도록 요홈부(141)를 형성하고 벽체(100)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쌍이 일개조인 두쌍의 체결부재(14)를 포함하여서 구성되어 필요시마다 셔터프레임(12)을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방범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의 홈부(131)의 좌우로 체결고리(133)가 회동할 수 있도록 이동홈(131b)이 형성되며 홈부(131)의 내측에 회전구(132)의 끼움홈(132a)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게 원형의 고정돌기(13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방범창.
KR1020050044774A 2005-05-27 2005-05-27 슬라이딩방범창 KR100540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774A KR100540688B1 (ko) 2005-05-27 2005-05-27 슬라이딩방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774A KR100540688B1 (ko) 2005-05-27 2005-05-27 슬라이딩방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688B1 true KR100540688B1 (ko) 2006-01-11

Family

ID=3717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774A KR100540688B1 (ko) 2005-05-27 2005-05-27 슬라이딩방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6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413B1 (ko) 2006-04-14 2006-07-25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KR100694176B1 (ko) 2006-08-01 2007-03-12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부 벽체 구조
KR100695809B1 (ko) 2006-12-11 2007-03-19 (주)제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방범창
KR100963273B1 (ko) 2009-12-10 2010-06-11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엘이디 내장형 조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413B1 (ko) 2006-04-14 2006-07-25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KR100694176B1 (ko) 2006-08-01 2007-03-12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부 벽체 구조
KR100695809B1 (ko) 2006-12-11 2007-03-19 (주)제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방범창
KR100963273B1 (ko) 2009-12-10 2010-06-11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엘이디 내장형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2666A (en) Window storm shield and guard assembly
KR100540688B1 (ko) 슬라이딩방범창
KR100537027B1 (ko) 슬라이딩 방범창
KR200428452Y1 (ko) 방화 스크린 장치
US6813861B2 (en) Releasable window guard
JP2007162365A (ja) 緊急脱出ドア
US20080163549A1 (en) Sliding Window Assebly Having Security Pane Unit
JP2011163085A (ja) 建物の引き戸またはドア
KR101119980B1 (ko) 추락방지 방범 안전창호 구조물
KR102071073B1 (ko) 방화 셔터 연동형 피난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KR101096583B1 (ko) 이단 열림구조가 있는 건축물의 현관문
KR20090110530A (ko) 새로운 비상구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50094727A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101733551B1 (ko)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200355513Y1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RU2577706C1 (ru) Противовзломная око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0993102B1 (ko)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722970B1 (ko) 건축물에 설치하는 비상탈출이 가능한 방범창
KR200222848Y1 (ko) 자바라셔터식방범창문
KR910009331Y1 (ko) 건물용 방범후레임의 비상 개문장치
JP2006124919A (ja) 一体型防犯用サッシ枠
JP2018003392A (ja) 建具
KR102651322B1 (ko) 개폐가 쉬운 방범창
KR20240008383A (ko) 안전사고 방지 기능을 가지는 방화셔터 장치
KR200232795Y1 (ko) 별도의 비상문을 구비한 방화용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