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551B1 -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 Google Patents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551B1
KR101733551B1 KR1020160137280A KR20160137280A KR101733551B1 KR 101733551 B1 KR101733551 B1 KR 101733551B1 KR 1020160137280 A KR1020160137280 A KR 1020160137280A KR 20160137280 A KR20160137280 A KR 20160137280A KR 101733551 B1 KR101733551 B1 KR 10173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curity
security window
rota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준호
Original Assignee
성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준호 filed Critical 성준호
Priority to KR102016013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창문을 포함하는 방범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범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범창은 직립된 상태에서 실내측으로만 회동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SECURITY WINDOOW BE ABLE TO OPENING AND CLOSING IN THE ROOM}
본 발명은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가능한 창문이 구비된 창틀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방범창이 설치되되, 상기 방범창은 창문이 슬라이딩되어 완전히 개폐된 상태에서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함으로써, 침입자의 침입을 차단하여 방범 효과를 높이고,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 발생시 탈출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창문의 슬라이딩 만으로도 방범창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긴박한 상황에서 용이하고 빠르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창은 아파트나 주택 등의 창문에 설치되어, 쉽게 개폐되는 창문과 다르게 침입자의 침입을 막아 재산이나 생명을 보호하거나 아이들의 고층에서 부주의로 추락하는 사고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범창 구조는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자 주로 고정되어 설치되며, 통풍을 원활하게 하고, 빛이 잘 통과할 수 있도록 격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압출 성형한 금속제품 등을 용접 등으로 조립하여 창문 문틀 또는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식 방범창과 자바라 형태의 미닫이 방범창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방범창 구조는 화재나 지진 발생시 긴급하게 탈출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때, 고정된 형태의 방범창 구조에 의해 비상탈출구를 차단하게 되어 인명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또 다른 안전사고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외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는 방범창을 열어 탈출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범창 구조가 요구되는바, 이에 관련된 다양한 방범창 구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방범창 구조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0524호에 방범창이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방범창을 나타낸 사시도로, 그 구성은 건물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창틀(10)과, 상기 창틀(10)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창살이 구비되며, 저면 일부분에는 걸림홈(22)이 형성된 창문(20)과, 상기 창문(20)의 걸림홈(22)에 로드(34)의 단부에 마련된 로커(32)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통상의 솔레노이드 작동 원리에 의해 로드(34)가 하강하면서 로커(32)가 걸림홈(22)에서 분리되도록 마련된 록킹수단과(30), 상기 창틀(10)에 설치되어 로커(32)가 걸림홈(22)에서 분리되면 창문(20)이 자동적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어첵(40)과,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화재감지기와(50), 상기 화재감지기(50)와 연결되어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온되어 상기 록킹수단(30)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일부분에 마련된 버튼(62)을 누르면 수동으로 온되어 록킹수단(30)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60)를 포함하여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방범창은 방범 기능을 하는 창문(20)이 창틀(10) 내에 설치되고, 록킹수단(30)에 의해 상기 창문(20)이 자동으로 열리거나 또는 잠금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록킹수단(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60)의 동작에 따라 창문(20)이 자동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거나 정전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충전기가 더 구비되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방범창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록킹수단(30)이 해제되어 창문(20)이 열리거나 또는 닫히도록 하는데,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종래 방범창은 화재 등의 재해에 의해 전기 공급이 어려울 경우 동작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별도의 충전기가 구비되더라도 평상시에 충전기의 전기 에너지 충전량을 수시로 체크하기고 어려우며, 충전기에 충전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재해 발생시 록킹수단(30)을 해제하기 어려워 탈출로 확보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방범창 구조 중 다른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604413호에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가 개시되었다.
도 2는 종래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그 구성은 건축물의 벽체(50)에 설치되는 창문에 있어서, 양측 수직틀의 측면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고, 창문틀(10)의 바깥 양쪽 수직틀(14)의 전면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관통홀(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슬릿홀(12)이 형성되며, 창문틀(10)의 안쪽 양측 수직틀(14)의 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릿홈(13)이 형성되며, 창문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바깥측 레일의 외측에는 일정 공간이 확보되도록 바깥측 전면프레임이 바깥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창문틀(10); 창문틀(10)의 상측과 하측에 구성되는 각각의 관통홀(11)을 통해 창문틀(10)의 수평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일부가 삽설되면서 창문틀(10)의 수평길이에 해당하는 나머지는 벽체측으로 연장되어 벽체(50)에 매설되며,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면서 벽체(50)에 매설된 부분의 절개홈은 외부로 노출되는 슬라이딩파이프(30); 그리고 슬라이딩파이프(300에 상측부와 하측부가 결합되면서 창문틀(10)의 바깥측에 설치되도록 상측수평로드(41)와 하측수평로드(42) 및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양측단이 상측수평로드(41)와 하측수평로드(42)에 착설되는 수직로드(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는 방범창(40)을 창문틀(10)로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차단판(20)을 슬릿홈(13)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방범창(40)을 슬라이딩파이프(30)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벽체(50)에 매설된 슬라이딩파이프(30)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방범창(40)이 벽체(50) 측으로 이동하여 일시적으로 창문틀(10)에는 방범창(40)이 없어지도록 한다.
이에, 일시적으로 방범창(40)을 창문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는 방범창(4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이탈되도록 하는 구조로, 도 1에서 설명한 첫번 째 선행기술문헌의 문제점인 전기적으로 동작됨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점은 긍정적이나, 방범창(40)의 이탈되는 구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창문틀(10)에 방범창(40)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차단판(20)을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슬릿홈(13)을 형성해야 하므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창문틀(10)을 새로 설치하거나 또는 설계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공정이 복잡해지고, 설치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0524호(2004.01.26.) 등록특허공보 제10-0604413호(2006.07.1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슬라이딩 가능한 창문이 구비된 창틀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방범창이 설치되되, 상기 방범창은 창문이 슬라이딩되어 완전히 개폐된 상태에서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함으로써, 침입자의 침입을 차단하여 방범 효과를 높이고,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 발생시 탈출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창문의 슬라이딩 만으로도 방범창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긴박한 상황에서 용이하고 빠르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는 창틀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창문을 포함하는 방범창 구조에 있어서, 창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범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방범창은 직립된 상태에서 실내측으로만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가능한 창문이 구비된 창틀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방범창이 설치되되, 상기 방범창은 창문이 슬랑이딩되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반대로, 창문이 완전히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창문의 프레임에 간섭되어 회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범창의 기능을 유지하고, 침입자의 침입을 차단하여 방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의 슬라이딩 만으로도 방범창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잠금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 발생시 긴박한 상황에서 용이하고 빠르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방범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방범창이 회동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의 걸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의 회동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에 의해 방범창이 회동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에 의해 방범창이 회동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는 슬라이딩 가능한 창문이 구비된 창틀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방범창이 설치되되, 상기 방범창은 창문이 슬라이딩되어 완전히 개폐된 상태에서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함으로써, 침입자의 침입을 차단하여 방범 효과를 높이고,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 발생시 탈출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창문의 슬라이딩 만으로도 방범창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긴박한 상황에서 용이하고 빠르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의 측면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방범창이 회동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는 창틀(1)과 상기 창틀(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창문(2)에서 창문(2)이 완전하게 열리거나 또는 열리지 않은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방범창(100)이 구비된 방범창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범창(100)이 실내측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실외에서는 침입자 등이 방범창(100)을 열지 못하도록 하고, 실내에서는 재난 발생시 사용자가 창문(2)을 완전하게 열고, 상기 방범창(100)을 실내측으로 회동시키는 과정만으로도 방범창(100)이 용이하게 열려 탈출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범창(100)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창틀(1)의 상측부분에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부가로대(110), 세로대(120) 및 하부가로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가로대(110)는 창틀(1)의 상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이때, 상부가로대(110)의 회동은 창틀(1)에 결합된 상태에서 창문(2)이 완전하게 열리면, 실내측으로만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로대(120)는 상부가로대(110)의 타단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창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통풍 등은 원활하게 하고, 외부에서 침입자 등이 침입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가로대(130)는 상부가로대(110)의 하측에 실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일단은 창문(2)이 완전하게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창문(2)의 프레임(2a)에 간섭되어 방범창(100)이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방범창(100)이 실외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상태로 창문(2)의 상측에 결합되되, 방범창(100)의 하부가로대(130)는 창문(2)이 완전하게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방범창(100)이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창문(2)에 간섭되어 방범창(100)이 회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범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재해 발생시 사용자가 창문(2)을 완저하게 열게 되면, 방범창(100)의 하부가로대(130)와 창문(2)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방범창(100)을 실내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개방된 창틀(1)을 통해 탈출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하부가로대(13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창문(2)이 개폐되는 방향, 즉 창문(2)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31)은 창문(2)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방범창(100)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되, 상기 창문(2)이 닫히는 과정에서 하부가로대(130)의 측면과 창문(2)의 측면이 상호 간섭되어 창문(2)이 닫히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창문(2)이 닫히는 과정에서 창문(2)의 측면과 타단면이 상기 경사면(131)에 의해 하부가로대(130)와 상호 간섭되지 않고 부드럽게 닫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방범창(100)이 설치되어도 창문(2)을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하부가로대(130)는 창문(2)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창문(2)과의 간섭이 해제되더라도 직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무게중심부(1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무게중심부(132)는 창틀(1)에 결합되는 방범창(100)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축(201)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창문(2)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하부가로대(130)와 창문(2)의 간섭되는 부분이 해제되어 방범창(100)이 실내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더라도,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방범창(100)을 회동시키기 전까진 방범창(100)이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창문(2)이 열린 상태가 되더라도 방범창(100)은 직립된 상태, 즉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어, 외부에서는 방범창(100)이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것처럼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침입자가 침입을 위한 시도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하고, 창문(2)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도 창문(2)과 방범창(100)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용이하게 창문(2)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무게중심부(132)는 비중이 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창문(2)의 크기에 비례하여 방범창(100)의 규모 또한 커지게 되므로, 무게중심부(132)의 크기 또한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내측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는 슬라이딩 가능한 창문(2)이 구비된 창틀(1)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방범창(100)이 설치되되, 상기 방범창(100)은 창문(2)이 슬랑이딩되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반대로, 창문(2)이 완전히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창문(2)의 프레임(2a)에 간섭되어 회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범창의 기능을 유지하고, 침입자의 침입을 차단하여 방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창문(2)의 슬라이딩 만으로도 방범창(100)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잠금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 발생시 긴박한 상황에서 용이하고 빠르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방범창(100)이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는 구조는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일 예로, 회동수단(200)에 의해 일방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수단(200)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의 걸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의 회동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회동수단(2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범창(100)이 창틀(1)의 상측에 결합되어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부(210), 걸림부(220) 및 회동브라켓(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부(210), 걸림부(220) 및 회동브라켓(230)은 순차적으로 회동축(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반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210)는 창틀(1)에 고정 결합되어 회동축(201)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걸림부(220)는 상기 고정부(2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210)와 걸림부(220) 사이에는 후술되는 회동브라켓(230)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걸림부(220)는 회동축(20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브라켓(230)이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고, 실외측으로는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외측몸체(221), 인입공(222) 및 반원걸림부재(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측몸체(221)는 고정부(210)와 함께 회동축(201)을 지지하되, 창틀(1)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타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인입공(222)이 형성된다.
인입공(222)은 후술되는 회동브라켓(230)이 회동축(201)을 따라 걸림부(220)의 외측몸체(22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회동브라켓(230)의 일부분이 인입공(222)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반원걸림부재(223)는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측몸체(221) 내부의 일측면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몸체(221)의 내부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반원걸림부재(223)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되, 평평한 면이 상측에 형성되고,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반원걸림부재(22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실외측 타단면에 타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부채꼴걸림돌기(22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채꼴걸림돌기(223a)는 후술되는 회동브라켓(230)이 회동축(201)을 축으로 하여 회동시 실내측 방향으로는 회동 가능하도록 하되, 실외측 방향으로는 상기 부채꼴걸림돌기(223a)에 걸림되어 회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범창(100)이 실외측으로는 회동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동브라켓(230)은 회동축(20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210)와 걸림부(220) 사이에 구비되되, 회동축(20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회동브라켓(230)은 상기 걸림부(220)에 걸림되어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되고, 실외측으로는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내측몸체(231), 회동방지홈(232) 및 반원걸림돌기(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몸체(231)는 회동축(20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회동방지홈(232)이 형성된다.
회동방지홈(232)은 회동브라켓(230)이 실내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걸림부(220)의 외측몸체(22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회동브라켓(230)의 일부분은 인입공(222)으로 인입되는 동시에, 걸림부(220)의 반원걸림부재(223)는 상기 회동방지홈(232)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이때, 회동방지홈(232)은 반원걸림부재(223)의 반원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반원걸림부재(223)와 상기 반원걸림부재(223)에 형성된 부채꼴걸림돌기(223a)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반원걸림부재(223)와 부채꼴걸림돌기(223a)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회동브라켓(230)이 걸림부(22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회동브라켓(230)의 일부분이 인입공(222)으로 인입되고, 걸림부(220)의 반원걸림부재(223)가 회동방지홈(232)으로 인입되면, 더이상 회동브라켓(230)이 회동축(201)을 축으로 하여 회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범창(100)이 실내측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방범창(100)이 열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반원걸림돌기(233)는 걸림부(220)의 반원걸림부재(223)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측몸체(231)의 일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반원걸림돌기(233)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범창(100)이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평평한 면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실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평평한 면이 걸림부(220)의 반원걸림부재(223)에 형성된 부채꼴걸림돌기(223a)에 걸림되어 실외측 방향으로는 회동브라켓(230)이 회동되지 못하도록 단속하며, 방범창(100)이 실내측 방향으로 회동되면, 반원걸림돌기(233) 또한 회동되어 평평한 면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회동브라켓(230)의 내측몸체(231) 일부분이 걸림부(220)의 인입공(222)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고정부(210)와 회동브라켓(230) 사이에는 탄성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40)는 회동브라켓(230)이 걸림부(220) 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210)는 창틀(1)에 고정 결합되어 방범창(100)이 창틀(1)의 상측 부분에 결합되도록 하고, 회동브라켓(230)은 회동축(201)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되, 방범창(100)의 상부가로대(110)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고정부(210)에 의해 방범창(100)은 창틀(1)에 결합되고, 회동브라켓(230)이 회동축을 축으로 회동됨으로써, 방범창(100)이 실내측으로 회동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회동수단(200)에 의해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방범창 구조의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에 의해 방범창이 회동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서 회동수단에 의해 방범창이 회동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회동수단(200)에 의해 방범창(100)이 회동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 내지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범창(100)이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창문(2)이 완전히 열리기 전까지 상기 창문(2)의 프레임(2a)에 하부가로대(130)가 간섭되어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브라켓(230)의 반원걸림돌기(233)가 반원걸림부재(223)의 부채꼴걸림돌기(223a)에 간섭되어 방범창(100)이 실외측으로는 회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회동수단(200)에 의해 방범창(100)이 회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범창(100)이 실내측 방향으로 회동되면, 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된 회동브라켓(230)을 걸림부(220) 측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회동브라켓(230)의 내측몸체(231) 일부분은 걸림부(220)의 인입공(222)으로 인입되고, 반원걸림부재(223)와 부채꼴걸림돌기(223a)는 회동브라켓(230)의 회동방지홈(232)에 인입되도록 한다.
이에, 회동브라켓(230)은 회동된 상태, 즉 방범창(100)이 실내측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반대로, 방범창(100)이 회동된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22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회동브라켓(230)을 걸림부(220)와 반대방향인 고정부(21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걸림부(220)의 인입공(222)에 인입되어 있던 회동브라켓(230)의 내측몸체(231)는 인출되고, 회동브라켓(230)의 회동방지홈(232)에 인입되어 있던 반원걸림부재(223)와 부채꼴걸림돌기(223a)가 인출됨으로써, 회동브라켓(230)이 회동가능한 상태가 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범창(100)이 회동되기 전 상태인 원래의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회동수단(200)을 포함하는 방범창 구조는 회동수단(200)에 의해 방범창(100)이 실외측으로는 회동되어 열리지 않고,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동되어 열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창문(2)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완전히 열기 전까지는 방범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재해 발생시 창문(2)을 통해 탈출하고자 하는 경우, 방범창(100)을 실내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수단(200)에 의해 방범창(100)이 회동된 상태, 즉 열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탈출시 방범창(100)을 붙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긴박한 상황에서 용이하고 빠르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방범창(100)의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방범창(100)이 실외측으로 회동되는 것, 즉 방범창(100)의 끝단이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사용자가 탈출 과정에서 상기 방범창(10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사고 발생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 : 창틀 2 : 창문
2a : 프레임 100 : 방범창
110 : 상부가로대 120 : 세로대
130 : 하부가로대 131 : 경사면
132 : 무게중심부 200 : 회동수단
201 : 회동축 210 : 고정부
220 : 걸림부 221 : 외측몸체
222 : 인입공 223 : 반원걸림부재
223a : 부채꼴걸림돌기 230 : 회동브라켓
231 : 내측몸체 232 : 회동방지홈
233 : 반원걸림돌기 240 : 탄성부재

Claims (8)

  1. 창틀(1)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창문(2)을 포함하는 방범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범창(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범창(100)은
    직립된 상태에서 실내측으로만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창틀(1)의 상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가로대(110);
    상기 상부가로대(110)의 타단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세로대(120); 및
    상기 세로대(120)의 하측단에 일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하부가로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가로대(130)의 일단은 창문(2)이 완전하게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창문(2)의 프레임(2a)에 간섭되어 방범창(100)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2. 삭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로대(130)는
    창문(2)이 개폐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범창(100)은
    하측에 상기 방범창(100)의 직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무게중심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무게중심부(132)는
    상기 창틀(1)에 결합되는 방범창(100)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축(201)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범창(100)은 회동수단(200)에 의해 창틀(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회동수단(200)은
    창틀(1)에 고정 결합되어 회동축(201)을 지지하는 고정부(210);
    상기 고정부(2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걸림부(220); 및
    상기 회동축(20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210)와 걸림부(220) 사이에 구비되는 회동브라켓(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10), 걸림부(220) 및 회동브라켓(230)이 순차적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와 회동브라켓(230) 사이에 탄성부재(240)가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재(240)는
    상기 회동브라켓(230)이 걸림부(220) 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20)는
    상기 창틀(1)에 고정 결합되는 외측몸체(221);
    상기 외측몸체(221)의 타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인입공(222); 및
    상기 외측몸체(221) 내부의 일측면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몸체(221)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반원걸림부재(2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동브라켓(230)은
    상기 회동축(20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측몸체(231);
    상기 반원걸림부재(223)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내측몸체(231)의 일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회동방지홈(232); 및
    상기 내측몸체(231)의 일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반원걸림돌기(2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원걸림부재(223)는
    타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부채꼴걸림돌기(22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1020160137280A 2016-10-21 2016-10-21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10173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280A KR101733551B1 (ko) 2016-10-21 2016-10-21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280A KR101733551B1 (ko) 2016-10-21 2016-10-21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551B1 true KR101733551B1 (ko) 2017-05-08

Family

ID=6016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280A KR101733551B1 (ko) 2016-10-21 2016-10-21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636B1 (ko) 2023-04-17 2023-11-07 (주)한국알앤디 비상 탈출 및 차수가 가능한 방범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110A (ja) * 2003-12-25 2005-07-14 Nakamura:Kk 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110A (ja) * 2003-12-25 2005-07-14 Nakamura:Kk 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636B1 (ko) 2023-04-17 2023-11-07 (주)한국알앤디 비상 탈출 및 차수가 가능한 방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289B1 (ko) 출입문용 접이식 방충망
KR101733551B1 (ko)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20100011626A (ko) 비상시 개방이 용이한 자동문
KR101161768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101249214B1 (ko)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KR100540688B1 (ko) 슬라이딩방범창
JP6718810B2 (ja) 建具
KR100695809B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방범창
KR101905931B1 (ko) 환기창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1570982B1 (ko) 배전반용 안전장치
JP6841432B2 (ja) 複合型引き違いサッシ
KR101536971B1 (ko) 철격자 일체형 미서기창
KR101096583B1 (ko) 이단 열림구조가 있는 건축물의 현관문
KR20110107272A (ko) 안전봉 어셈블리
KR20050094727A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100755514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KR200355513Y1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102107513B1 (ko) 공동주택의 외부침입을 예방하는 창호 구조물
KR101583997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
CN205224913U (zh) 应急开窗系统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JP2018003392A (ja) 建具
KR20110063082A (ko)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KR200385530Y1 (ko) 이동식 방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