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514B1 -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514B1
KR100755514B1 KR1020060095321A KR20060095321A KR100755514B1 KR 100755514 B1 KR100755514 B1 KR 100755514B1 KR 1020060095321 A KR1020060095321 A KR 1020060095321A KR 20060095321 A KR20060095321 A KR 20060095321A KR 100755514 B1 KR100755514 B1 KR 10075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racket
locking pin
slot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인
Original Assignee
이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인 filed Critical 이정인
Priority to KR102006009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6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린 창문사이로 어린이의 신체가 통과하지 않도록 창문의 개방면적을 제한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추락사고 발생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창문이 열려 있더라도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해지하지 할 수 없도록 고정시킴으로써도난방지 및 외부의 침입을 막고 화재 발생시 창문밖 방범창살이 탈출을 방해하므로 그로 인해 발생하는 인명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창문을 활짝 열 수 있는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안쪽 창틀(20a)에 부착된 잠금핀(23)이 바깥쪽 창틀(10a)에 부착된 연장부재(12)의 슬롯(13)을 따라 이동하되 슬롯(13)의 끝단이 막혀 있어 잠금핀(23)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므로 창문의 개방면적을 제한할 수 있다. 만일 잠금핀(23)을 슬롯(13)에서 분리하면 창문을 마음대로 열고 닫을 수 있고, 반대로, 슬롯(13)이 형성된 연장부재(12)를 피봇축(12a)을 중심으로 전환(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시키면, 잠금핀(23)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창문을 열 수 없다.
창문, 미닫이, 잠금장치, 괘정장치, 시건장치

Description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Locker for sliding wind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가 부착된 창문과 창틀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의 설치예를 예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 안쪽창문을 개방시킨 상태로서, 창문의 개방이 제한된 상태를 예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5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를 정면에서 바라 본 정면도로서, 연장부재를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절환시켜 창문이 열리지 않도록 잠근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일점쇄선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로서, 잠금핀이 슬롯에서 탈출시킨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잠금장치
10:바깥쪽 창문 10a:바깥쪽 창틀
11:제1 브라켓트 11a:스크류
12:연장부재 12a:피봇축
12b:공간부 13:슬롯
13a:출입구 20:안쪽 창문
20a:안쪽 창틀 21:제2 브라켓트
21a:스크류 21b:리브
22:노브 23:잠금핀
23a:나사 연장부 23c:쐐기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린 창문사이로 어린이 혹은 성인의 신체가 통과하지 않도록 창문의 개방면적을 제한적으로 개방시켜 추락사고등 사고의 개연성을 예방하고, 창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해지하지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창문을 활짝 열 수 있는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문 및 거실 베란다문은 외부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보안용 잠금장치가 창문내부에 부착되어 외부인이 창문으로 침입할 수 없으나 잠금장치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유아나 어린이들이 걸림쇠를 쉽게 해지하고 창문을 여는 경우가 많다. 특히 아파트와 같이 고층 건물에서는 열린 창문 및 거실베란다 사이 로 유아나 어린이가 추락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추락사고는 환기나 통풍을 위해 창문을 열어 둘 경우, 잠금장치가 해지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도 쉽게 창문을 열 수 있기 때문에 열어둔 창문사이로 얼굴을 내밀고 밖을 내다보거나 손을 흔드는 등 신체의 일부가 창밖으로 내밀 때 주로 많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문의 개방면적을 제한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 일 예로서는 특허등록 제0352664호"개폐간격이 조절되는 창문"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개폐간격이 조절되는 창문의 경우 외측 창틀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걸림홈을 마련하고 안쪽 창틀의 하측에 상기한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캠형태의 잠금쇠를 설치하여 잠금쇠을 상하로 조작하면 걸림쇠가 걸림홈에 끼어지거나 해제되어 창문의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수의 걸림홈 중 어느 걸림홈에 걸림쇠가 끼워지는지에 따라 창문의 개방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된 창문 혹은 베란다 혹은 발코니창의 창문을 개방한 상태에서도 열거나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고,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해지할 수 없어 외부 침입자의 무단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창틀의 내측에 다수의 걸림홈과 잠금쇠를 설치에 따른 가공작업시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아 제작비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걸림홈은 내부쪽으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또한 걸림쇠가 창틀의 하단에 설 치되어 있어 어린이들이 쉽게 해지할 수 있어 자칫 안전을 위해 잠가 둔 잠금장치가 해제도어 예상하지 못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어린이가 창문 혹은 거실 베란다 혹은 발코니 창문 사이로 통과할 수 없도록 창문의 개방을 제한적인 면적에서만 열고 닫히도록 하고,
둘째, 열린 창문을 고정시켜 닫히거나 열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셋째, 열려진 창문을 고정시켜 외부에서 외부침입자가 잠금장치를 해지할 수 없도록 하고,
넷째, 창문이 전혀 열리지 않도록 잠글 수 있으며, 반대로 환기나 통풍을 위해 창문을 모두 개방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창문 혹은 거실 베란다용 잠금장치에 따른 구현수단으로서는:
다수의 창문이 미닫이 형태로 개방되는 창문에 있어서,
바깥쪽 창틀의 소정위치에 부착되는 제1 브라켓트와;
상기 제1 브라켓트에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사각 튜브 형상의 표면에 일측에 출입구가 마련된 슬롯을 구비하는 양 끝단부가 폐쇄된 연장부재와;
상기 안쪽 창틀에 부착되는 제2 브라켓트와;
상기 제1 브라켓트에 결합되어 안쪽창문의 개폐동작시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의 끝단을 상기 공간부속에 진입시키거나 후퇴시키기 위한 잠금핀 이동수단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슬롯의 길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유아나 어린이의 머리가 창문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할 정도의 길이로 제작된다.
본 발명은 안쪽 창틀에 부착된 제2 브라켓트에 결합된 잠금핀이 바깥쪽 창틀에 부착된 연장부재의 슬롯속에 삽입된 경우에는 창문을 개방시키면 잠금핀이 슬롯을 따라 이동하지만 잠금핀이 슬롯의 말단부가 막혀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므로 창문은 더 이상 열리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한 잠금핀을 슬롯으로부터 분리하면, 창문을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고, 상기한 연장부재를 피봇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핀이 출입구에 의해 포위되어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창문이 열 수 혹은 열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가 부착된 창문이 예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1)는 바깥쪽 창틀(10)과 안쪽 창틀(20)은 스크류에 의해 각각의 창틀에 부착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가 예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 안쪽 창문을 개방한 상태의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1)은 바깥쪽 창틀(10a)에 부착되는 제1 브라켓트(11)와, 안쪽 창틀(20a)에 부착되는 제2 브라켓트(2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각각의 브라켓트(11)(21)는 스크류(11a)(21a)에 의해 각 창틀(21a)(20a)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브라켓트(11)에는 연장부재(12)가 피봇축(12a)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연장부재(12)의 사각튜브형상으로 내부가 빈 공간부(12b)를 구비하고, 양 끝단부는 막혀 있으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1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3a는 후술하는 잠금핀(23)의 출입구로서, 상기 출입구는 상기한 슬롯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제2 브라켓트(21)에는 잠금핀(23)과 그 잠금핀(23)의 자유단이 상기 출입구(13a)속으로 진입하거나 후퇴시킬 수 있는 잠금핀 이동수단이 결합된다.
잠금핀 이동수단의 일 예로서는 상기 제2 브라켓트(21)의 보스(21b)에 나사결합되는 나사 연장부(23a)를 지니는 잠금핀(23)을 결합하고, 나사연장부의 단부를 제2 브라켓트(21)의 전방에서 노브(22)가 결합된 구성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한 담금핀은 나사연정부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리브가 결합된 반대쪽에는 출입구(13a)속으로 삽입되나 상기 슬롯(13)에서 빠지지 않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쇄기(23c)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노브(22)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잠금핀(23)은 쐐기(23c)가 출입구(13a)밖으로 분리되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출입구(13a)를 통해 공간부(12b)속으로 삽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1)에 대한 작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창문의 개방을 일부분만 개방하는 경우에 따른 잠금장치(1)의 조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2)를 회전시켜 잠금핀(23)의 쐐기(23c)가 출입구(13a)속으로 삽입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창문(20)개방시 잠금핀(23)은 슬롯(13)을 따라 이동하여 창문이 개방된다. 이때 슬롯(13)의 단부가 막혀 있어 잠금핀(23)은 더 이상 진행할 수 없으므로 창문은 더 이상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창문은 잠금핀(23)이 연장부재(12)의 공간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항시 슬롯(13)의 길이 범위내에서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슬롯(13)의 길이를 어린이 머리가 밖으로 빠지지 않은 길이로 한정하여 제작하면 환기나 통풍을 위해 창문을 열어 두어도 창문밖으로 어린이가 떨어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부재시 외부인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열린 창문은 어린이가 잠금장치를 쉽게 해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잠금핀(23)이 슬롯(13)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창문을 열어도 일정 면적이상 열리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열린 창문속으로 팔을 뻣어서 잠금장치(1)까지 손이 닿아도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없다. 물론 열린 창문사이로 통풍이나 환기가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잠금핀(23)이 슬롯(13)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노브(22)를 회전시켜 잠금핀(23)을 후퇴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23c)가 슬롯(13)의 내측에 끼여 연장부재(12)에 걸림핀(23)이 고정되므로 안쪽 창문(20)을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안쪽 창문(20)이 전혀 열리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장치(1) 조작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12)를 피봇축(12a)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전환시키면, 잠금핀(23)의 쐐기(23c)의 둘레를 출입구(13a)가 포위하여 창문의 이동방향쪽으로는 창문이 움직이지 않는다.
반대로, 창문을 전체를 활짝 열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2)를 회전시켜 잠금핀(23)이 출입구(13a)밖으로 완전히 분리되도록 조작하면 안쪽 창문(20)을 자유자재로 열고 닫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는 창문 및 베란다의 개방 면적이 일정한 범위로 제한적으로 열리도록 함으로써 창문 및 베란다사이로 어린이가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기에 따른 통풍은 물론 외부침입자의 침입을 안전하게 차단시켜 보안을 유지할 수 있고, 창문 전체를 열 수 없기에 환기나 통풍에도 아무런 제약이 없다. 만약 환기나 통풍시에는 잠금핀을 분리함으로써 문 전체를 열어 완전통풍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예와 응용예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변형예와 변경예는 본 발명에서 예측되는 작용효과와 현저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는 한 이하에서 정의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와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Claims (3)

  1. 다수의 창문이 미닫이 형태로 개방되는 창문에 있어서,
    바깥쪽 창틀(10a)에 부착되는 제1 브라켓트(11)와;
    상기 제1 브라켓트(11)에 피봇축(12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사각 튜브 형상의 표면에 일측에 출입구가 마련된 슬롯(13)을 구비하는 양 끝단부가 폐쇄된 연장부재(12)와;
    상기 제1 브라켓트(11)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안쪽 창틀(20a)에 부착되는 제2 브라켓트(21)와;
    상기 제1 브라켓트(11)에 결합되어 안쪽 창문의 개폐동작시 상기 슬롯(13)을 따라 이동하는 잠금핀(23)과;
    상기 잠금핀의 끝단을 상기 슬롯(13)속에 진입 혹은 후퇴시키기 위한 잠금핀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닥이 창문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 이동수단은 상기 제2 브라켓트(21)의 리브에 (21b)에 나사결합되는 나사 연장부(23a)의 단부를 상기 제2 브라켓트(21)의 전면에 서 끼워지는 노브(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23)의 쐐기(23c)가 상기 슬롯(13)의 출입구속으로 삽입할 수 있으나 상기 슬롯(13)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KR1020060095321A 2006-09-29 2006-09-29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KR10075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321A KR100755514B1 (ko) 2006-09-29 2006-09-29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321A KR100755514B1 (ko) 2006-09-29 2006-09-29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526U Division KR200433905Y1 (ko) 2006-09-29 2006-09-29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514B1 true KR100755514B1 (ko) 2007-09-05

Family

ID=3873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321A KR100755514B1 (ko) 2006-09-29 2006-09-29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5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559B1 (ko) 2016-03-07 2017-04-05 주식회사 앰버스 창문용 방범 장치 및 창문용 방범 장치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102288016B1 (ko) 2020-11-12 2021-08-1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창문 잠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3395U (ko) 1973-09-18 1975-05-22
KR20000005457U (ko) * 1998-08-29 2000-03-25 이장근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200192853Y1 (ko) 1998-09-30 2000-09-01 이장근 미닫이 창문의 열림 제어장치
KR200255960Y1 (ko) 2001-08-30 2001-12-20 서승완 미닫이 창문의 개방공간 설정장치
KR20030084796A (ko) * 2003-07-10 2003-11-01 이장근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3395U (ko) 1973-09-18 1975-05-22
KR20000005457U (ko) * 1998-08-29 2000-03-25 이장근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200192853Y1 (ko) 1998-09-30 2000-09-01 이장근 미닫이 창문의 열림 제어장치
KR200255960Y1 (ko) 2001-08-30 2001-12-20 서승완 미닫이 창문의 개방공간 설정장치
KR20030084796A (ko) * 2003-07-10 2003-11-01 이장근 미닫이 창문의 개폐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559B1 (ko) 2016-03-07 2017-04-05 주식회사 앰버스 창문용 방범 장치 및 창문용 방범 장치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102288016B1 (ko) 2020-11-12 2021-08-1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창문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0866B2 (en) Security window applied to single window
KR100755514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200433905Y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KR101249214B1 (ko)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KR20000006103U (ko)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JP5266139B2 (ja)
KR200246124Y1 (ko) 출입문용 방범창
KR101122312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KR20000006104U (ko)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KR100277199B1 (ko) 방범창
US4606145A (en) Shutter-type window panel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101733551B1 (ko)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US5873198A (en) Window gate apparatus
TWM577888U (zh) Door and window lock construction
JP2002047874A (ja) 面格子付固定網戸
KR20170119113A (ko) 방범 및 안전 방충망을 구비하는 창호 시스템
KR101122311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KR200200350Y1 (ko) 슬라이딩 창호의 잠금장치
KR200192853Y1 (ko) 미닫이 창문의 열림 제어장치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200223956Y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200486599Y1 (ko) 창문 안전 잠금장치
KR100316385B1 (ko) 미닫이 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