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214B1 -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 Google Patents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214B1
KR101249214B1 KR1020080044952A KR20080044952A KR101249214B1 KR 101249214 B1 KR101249214 B1 KR 101249214B1 KR 1020080044952 A KR1020080044952 A KR 1020080044952A KR 20080044952 A KR20080044952 A KR 20080044952A KR 101249214 B1 KR101249214 B1 KR 101249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rescent
bracket
hand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108A (ko
Inventor
국영호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4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21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리센트에 관한 것으로, 내, 외측 창문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손잡이 기능 및 락킹(Locking) 기능이 부가된 크리센트를 설치함으로써 창문의 개/폐가 간편용이하고, 외부인의 침입과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밀 및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미서기 창호에서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설치되고,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되, 그 일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브라켓 지지대; 및 그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에 분리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크리센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지지대의 내부 중심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공간에 전, 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합부재; 상기 브라켓 지지대의 결합부재가 걸림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전면 중심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브라켓 지지대의 전면에 좌, 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되는 창호용 핸들;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리센트, 브라켓 지지대, 고정 브라켓, 결합부재, 결합홈, 창호용 핸들

Description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Auto Locking crescent for sealing of window}
본 발명은 미서기 창호의 내, 외측 창문에 설치되는 크리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 외측 창문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크리센트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되, 크리센트에 손잡이 기능 및 락킹(Locking) 기능을 더 부가함으로써 창문의 개방 및 폐쇄가 간편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인의 침입 등의 안전사고 예방과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크리센트의 결합에 의해 외부의 풍압으로 인해 내, 외측 창문 사이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실외의 찬 공기 및 실내의 더운 공기가 내,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 및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호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창호의 종류는 개/페 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호, 미서기 창호, 여닫이 창호, 회전 창호, 붙박이 창호, 겹창호, 기타 특수한 창호 등이 있다.
여기서, 미서기 창호(Double Sliding Window)은 창틀에 설치되는 창짝들이 좌, 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서기 창호는 일반적으로 창짝의 갯수에 따라 2짝, 4짝 등으로 이루어져 창틀에 설치되며, 2짝으로 이루어질 경우, 통상 외측 창문이 사용자 측에 근접되게 위치하고, 내측 창문이 사용자 측에 멀리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미서기 창호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미서기 창호(100)의 창틀(110)에 창짝(130)이 설치되되, 상기 창짝(130)은 사용자 측에 위치하는 내측 창문(131)과 상기 내측 창문(131)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창문(13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창문(131)과 외측 창문(136)의 전면 일측 중심부에 내측 창문(131) 및 외측 창문(136)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홈(139)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창틀(110)에 설치되는 창짝(130)의 내측 창문(131)과 외측 창문(136)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크리센트(도번 미도시)가 설치되되, 상기 크리센트는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져 축설되는 반원형상의 걸림구(133)와 상기 걸림구(133)의 회전에 의하여 걸림결합되는 걸림편(137)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상기 내측 창문에 설치되는 걸림구를 180°회전시켜 상기 걸림구를 외측 창문에 설치되는 걸림편에 걸림결합시켜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을 잠금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내측 창문에 설치되는 걸림구를 반대방향으로 180°회전시켜 상기 걸림구를 외측 창문에 설치되는 걸림편에서 해제시켜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의 잠금상태를 해 제하게 된다.
이렇게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의 전면 일측 중심부에 별도의 핸들 기능이 없는 창짝에 설치되어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크리센트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작동시키며, 창틀에 창짝의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잠금설정 시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를 가압하여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의 기밀 및 내풍압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를 갖는 반원형상의 걸림구를 회전시켜 걸림편에 걸림결합시켜 창틀에서 내, 외측 창문을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 하는 잠금장치는 장기간 사용 시 걸림구가 걸림편에 접촉되면서 외측 창문에 설치되는 절곡된 얇은 걸림편이 휘어지거나, 절곡부가 펼쳐지면서 변형되는 등 걸림편에 손상 및 파손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걸림구가 걸림편에 정확하게 걸림결합되지 않아 잠금설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유격 공간 및 틈새가 발생하여 외부의 풍압으로 인해 내, 외측 창문 사이가 상호 이격되고, 이로 인해 실외의 찬 공기 및 실내의 더운 공기가 내,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될 수 있어 기밀 및 밀봉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창틀(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230)에 있어서, 상기 창짝(230)의 내측 창문(231)과 외측 창문(236)의 전면 일측 중심부에 창틀(210)에 창짝(230)의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한 락킹(Locking) 기능이 부 여되는 창호용 핸들(232, 237)이 각각 설치되어 내측 창문(231)과 외측 창문(236)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별도의 크리센트가 설치되지 않는 미서기 창호(200)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미서기 창호는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에 각각 설치되는 창호용 핸들에 의해 창틀에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별도의 크리센트가 설치되지 않아 외부의 풍압에 의해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유격 공간 및 틈새가 발생하고, 실외의 찬 공기 및 실내의 더운 공기가 내,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될 수 있어 기밀 및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서기 창호의 내, 외측 창문 전면 일측 중심부에 창짝의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한 락킹 기능이 부여되는 창호용 핸들을 설치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하고,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잠금 기능을 갖는 크리센트를 설치하여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 사이의 유격 공간 및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창호용 핸들과 크리센트는 모두 락킹 기능 및 잠금 기능이 부여됨으로써 동일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미서기 창호에 중복 설치가 불필요하고, 만약, 창호용 핸들과 크리센트를 내, 외측 창문에 설치할 경우, 사용자가 창호용 핸들을 조작하여 내, 외측 창문을 창틀에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한 후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 사이의 유격 공간 및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 외측 창문에 설치되는 크 리센트의 걸림구를 회전시켜 걸림편에 걸림결합시켜 다시 잠금설정하여야 하는 등 사용의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 외측 창문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브라켓 지지대와 고정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크리센트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되, 크리센트에 손잡이 기능 및 락킹(Locking) 기능을 더 부가함으로써 창문의 개방 및 폐쇄가 간편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인의 침입 등의 안전사고 예방과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창문의 폐쇄 시 자동으로 락킹(Locking)이 설정되고, 창문의 개방 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락킹(Locking)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창문의 락킹(Locking) 설정/해제가 용이하고, 크리센트에 의해 외부의 풍압으로 인해 내, 외측 창문 사이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실외의 찬 공기 및 실내의 더운 공기가 내,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 및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 외부 풍압에 의해 창문의 뒤틀림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서기 창호에서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설치되고,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되, 그 일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브라켓 지지대; 및 그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에 분리가능하게 삽입설 치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크리센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지지대의 내부 중심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공간에 전, 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합부재; 상기 브라켓 지지대의 결합부재가 걸림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전면 중심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브라켓 지지대의 전면에 좌, 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되는 창호용 핸들;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설치공간상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하우징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연결되되, 그 외주연에 양 측에 걸림턱이 각각 돌출형성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걸림턱에 그 단부가 맞닿도록 개재되되, 탄성을 갖는 스프링 및 상기 걸림턱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이동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편은 그 단부 일측면이 수직되고, 타측면이 경사지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창호용 핸들은 상기 결합부재 연결봉의 걸림턱에 연결부재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창호용 핸들과 연결봉 사이에 상기 연결부재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변경부재에 의하여 창호용 핸들의 좌, 우 이동 시 상기 연결봉이 전, 후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서기 창호에서 창틀에 슬라이딩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크리센트를 설치하되, 손잡이 기능 및 락킹(Locking) 기능을 부가하여 창문의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창문의 폐쇄 시 자동으로 락킹(Locking)이 설정되고, 창문의 개방 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락킹(Locking)이 해제됨으로써 창문의 락킹(Locking) 설정/해제가 용이하고, 이로 인해 창문의 폐쇄와 함께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실내 거주자의 부재 시 발생될 수 있는 외부인의 침입 및 도난 사고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크리센트에 의해 외부의 풍압으로 인해 내, 외측 창문 사이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실외의 찬 공기 및 실내의 더운 공기가 내,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 수밀 및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 외부 풍압에 의해 창문의 뒤틀림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태는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의 브라켓 지지대와 고정 브라켓이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1)는 미서기 창호(3)의 창틀(미도시)에 슬라이딩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 외측 창문(5, 7)의 전면 일측에 창문 하드웨어를 포함하되, 잠금 기능이 부여되는 손잡이가 별도로 설치되지 않는 기존의 미서기 창호(3)의 내, 외측 창문(5, 7)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기 위한 것으로 브라켓 지지대(30)와 고정 브라켓(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 지지대(30)는 상기 내측 창문(5)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50)은 상기 외측 창문(7)에서 삽입되는 유리(미도시)의 단부가 위치하는 중앙 여밈대 부위의 외측 창문(7) 전면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와 고정 브라켓(50)은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창문(5)과 외측 창문(7)이 상호 겹져치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설치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크리센트(1)의 브라켓 지지대(30) 일측면에는 고정홈(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50)은 그 일측면에 고정편(51)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측 창문(5) 및 외측 창문(7)의 폐쇄 시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고정홈(31)에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고정편(51)이 결합된다.
이렇게 창틀에 내, 외측 창문(5, 7)의 폐쇄 시 내측 창문(5)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30)의 고정홈(31)이 외측 창문(7)의 고정 브라켓(50)의 고정편(51)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창틀에 내, 외측 창문(5, 7)의 폐쇄 시 외풍압 또는 내풍압에 의해 내측 창문(5)과 외측 창문(7)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유격 공간 및 틈새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이로 인해 상기 크리센트(1)에 의해 실내, 외의 기밀 및 수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와 고정 브라켓(50)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고정홈(31)은 외측을 향하여 그 크기가 커지는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고정편(51)은 외측을 향하여 그 크기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나,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고정홈(31)과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고정편(51)이 결합 및 분리되기 용이하다면 상기 고정홈(31)과 고정편(51)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고정홈(31)과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고정편(51)이 기타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측 창문(5)과 외측 창문(7)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30)와 고정 브라켓(50)의 크기, 폭, 형상은 내측 창문(5)과 외측 창문(7)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 외측 창문(5, 7)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유격 공간 및 틈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면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와 고정 브라켓(50)이 기타 다양한 형상 또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와 고정 브라켓(50)으로 이루어지는 크리센트(1)가 내측 창문(5)과 외측 창문(7)의 여밈대 부위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외풍압 또는 내풍압에 의한 내측 창문(5)과 외측 창문(7) 사이의 유격 공간 및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와 고정 브라켓(50)은 내측 창문(5)과 외측 창문(7)에 체결부재로 각각 체결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와 고정 브라켓(5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각각 관통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상기 내, 외측 창문(5, 7)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브라켓 지지대(30)와 고정 브라켓(50)을 위치시킨 후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와 고정 브라켓(50)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를 내, 외측 창문(5, 7)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와 고정 브라켓(50)을 내, 외측 창문(5, 7)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 지지재의 내부에 설치공간(32)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공간(32)에 전, 후진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합부재(33)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33)는 상기 브라켓 지지대(30) 내의 설치공간(32)에 설치되기 위한 하우징(34)과 상기 하우징(34) 내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외부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합편(35)과 상기 결합편(35)에 연결되되, 그 외주연에 양 측에 걸림턱(36a)이 돌출형성되는 연결봉(36) 및 상기 연결봉(36)의 걸림턱(36a)에 그 단부가 맞닿도록 개재되되,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스프링(36b) 및 상기 걸림턱(36a)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걸림턱(36a)의 이동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연결봉(36) 및 결합편(35)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되, 상기 하우징(34)의 양 측면에 슬롯형상으로 각각 관통형성되는 이동공(34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결합편(35) 및 상기 결합편(35)에 연결되되, 그 외주연에 걸림턱(36a)이 돌출형성되는 연결봉(36)이 가압될 경우, 상기 걸림턱(36a)에 맞닿는 스프링(36b)이 가압되어 수축되고, 결합편(35) 및 상기 결합편(35)에 연결되되, 그 외주연에 걸림턱(36a)이 돌출형성되는 연결봉(36)이 가압해제될 경우, 상기 걸림턱(36a)에 맞닿는 스프링(36b)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36b)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36b)의 단부가 맞닿는 걸림턱(36a)을 갖는 연결봉(36) 및 상기 연결봉(36)에 연결되는 결합편(35)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편(35)에 연결되는 연결봉(36)은 그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36a)이 상기 하우징(34)의 이동공(34a)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33)의 결합편(35)은 그 단부 일측면이 수직되고, 타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전면에 좌, 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창호용 핸들(37)이 구비되고, 상기 창호용 핸들(37)은 상기 걸림턱(36a)에 연결부재(38)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38)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편(37a)을 포함하며, 상기 창호용 핸들(37)과 연결봉(36) 사이에 상기 연결부재(38)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부재(39)가 구비된다.
즉, 상기 브라켓 지지대(30) 전면에 사용자 또는 실내 거주자가 파지한 후 힘을 부가할 경우, 좌, 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창호용 핸들(37)이 구비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봉(36)의 걸림턱(36a)에 연결되고, 그 타측 단부는 창호용 핸들(37)에 구비되는 연결편(37a)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8)에 의해 상기 창호용 핸들(37)과 걸림턱(36a)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창호용 핸들(37)과 연결봉(36) 사이에 연결부재(38)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부재(39)가 구비되며, 상기 변경부재(39)에 의하여 창호용 핸들(37)의 좌, 우 이동 시 상기 연결봉(36)이 전, 후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봉(36)의 걸림턱(36a) 및 창호용 핸들(37)의 연결편(37a)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8)는 변경부재(39)에 의하여 대략 ㄱ자 형상으로 그 경로가 절곡형성되어 상기 창호용 핸들(37)의 좌, 우 이동 시 연결봉(36)을 전, 후진 이동시키며, 이렇게 상기 변경부재(39)에 의하여 상기 창호용 핸들(37)의 수평운동이 연결봉(36)의 수직운동으로 전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38)는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 지지대(30)가 그 전면에 구비되어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창호용 핸들(37)과 상기 창호용 핸들(37)에 연결되되, 변경부재(39)에 의하여 ㄱ자로 경로가 변경되는 연결부재(38) 및 상기 연결부재(38)에 연결되어 전, 후진 이동되는 연결봉(36)의 연결구조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창호용 핸들(37)의 좌, 우 이동에 따라 연결봉(36)의 전, 후진 이동이 가능하다면 연결구조가 기타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전면에 구비되는 창호용 핸들(37)을 파지한 후 이동시킬 경우, 상기 창호용 핸들(37)의 연결편(37a)에 그 타측 단부가 연결되되,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연결봉(36)의 걸림턱(36a)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8)가 창호용 핸들(37)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재(38)가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봉(36)이 이동되면서 스프링(36b)이 가압되어 수축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연결봉(36)에 연결되는 결합편(35)이 브라켓 지지대(30)의 설치공간(32)에 설치되는 하우징(34) 내부로 일정부분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전면에 구비되는 창호용 핸들(37)의 파지를 해제할 경우, 상기 연결봉(36)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턱(36a)에 맞닿는 스프링(36b)의 가압이 해제되고, 상기 스프링(36b)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연결봉(36)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봉(36)의 걸림턱(36a)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8)가 걸림턱(36a)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창호용 핸들(37)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연결봉(36)에 연결되는 결합편(35)이 브라켓 지지대(30)의 설치공간(32)에 설치되는 하우징(34)에서 외측으로 일정부분 이동되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고정편(51)에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결합부재(33)가 결합 및 해제되기 위한 결합홈(53)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1)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창틀(미도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내, 외측 창문(5, 7)을 이동시켜 폐쇄할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 또는 실내 거주자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1)의 창호용 핸들(37)을 파지한 후 상기 창호용 핸들(37)을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켜 내측 창문(5)을 폐쇄하여 내측 창문(5)과 외측 창문(7)의 중앙 여밈대 부위를 상호 겹쳐지게 위치시킬 경우, 상기 창호용 핸들(37)의 연결편(37a)에 그 타측 단부가 연결되되,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연결봉(36)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36a)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8)가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재(38)가 이동되면서 이에 연결되는 연결봉(36)이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봉(36)의 걸림턱(36a)이 하우징(34)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이동공(34a) 내에서 이동되며, 상기 연결봉(36)이 이동되면 상기 연결봉(36)의 걸림턱(36a)에 맞닿는 스프링(36b)이 가압되어 수축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봉(36)에 연결되는 결합편(35)이 브라켓 지지대(30) 내부의 설치공간(32)에 설치되는 하우징(34)으로 일정부분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 또는 실내 거주자가 창호용 핸들(37)을 파지한 후 내측 창문(5)을 이동시켜 내측 창문(5)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30)와 외측 창문(7)에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50)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고정홈(31)에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고정편(51)을 결합시켜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설치공간(32)에 설치되는 하우징(34) 내에 설치되되, 일정부분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부재(33)와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고정편(51)에 형성되는 결합홈(53)을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 또는 실내 거주자가 창호용 핸들(37)의 파지를 해제하여 상기 연결봉(36)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턱(36a)에 맞닿는 스프링(36b)의 가압이 해제되고, 상기 스프링(36b)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봉(36)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봉(36)의 걸림턱(36a)이 상기 하우징(34)의 양 측면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이동공(34a) 내에서 이동되며, 상기 연결봉(36)의 걸림턱(36a)에 그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재(38)가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38)의 타측 단부에 연결편(37a)으로 연결되는 창호용 핸들(37)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창호용 핸들(37)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봉(36)에 구비되는 결합편(35)이 브라켓 지지대(30)의 설치공간(32)에 설치되는 하우징(34)에서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고정편(51)에 형성되는 결합홈(53)에 결합되며, 이로 인해 폐쇄된 내측 창문(5)과 외측 창문(7)의 락킹(Locking)이 설정된다.
이때, 그 단부 일측면이 수직되고, 타측면이 경사지는 쐐기형상의 결합편(35)이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결합홈(53)에 결합될 경우, 상기 결합편(35)의 수직된 단부와 결합홈(53)의 내측면이 상호 간섭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인위적으로 내측 창문(5) 또는 외측 창문(7)의 슬라이딩 이동 및 이에 따른 창문의 개방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창호용 핸들(37)을 조작 및 조절하여 내측 창문(5)의 브라켓 지지대(30)와 외측 창문(7)의 고정 브라켓(50)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내측 창문(5)의 브라켓 지지대(30)와 외측 창문(7)의 고정 브라켓(50)의 락킹을 설정한 후 폐쇄 및 락킹된 창문을 개방할 경우, 먼저, 사용자 또는 실내 거주자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1)의 창호용 핸들(37)을 파지한 후 상기 창호용 핸들(37)을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 브라켓(50) 고정편(51)에 형성되는 결합홈(53)에 결합된 브라켓 지지대(30)의 결합부재(33)의 결합을 해제한다.
즉, 사용자 또는 실내 거주자가 창호용 핸들(37)을 이동시켜 상기 창호용 핸들(37)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8) 및 상기 연결부재(38)에 걸림턱(36a)으로 연결되는 연결봉(36)이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턱(36a)에 맞닿는 스프링(36b)이 가압되어 수축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봉(36)에 연결되는 결합편(35)이 브라켓 지지대(30) 내부의 설치공간(32)에 설치되는 하우징(34)으로 일정부분 이동되면서 브라켓 지지대(30)의 결합부재(33)가 고정 브라켓(50)의 결합홈(53)에서의 락킹(Locking)을 해제한다.
이렇게 상기 내측 창문(5)의 브라켓 지지대(30)와 외측 창문(7)의 고정 브라켓(50)의 결합을 해제한 후 사용자 또는 실내 거주자가 내측 창문(5)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창문을 개방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리센트가 설치된 미서기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창호용 핸들이 설치된 미서기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태는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의 브라켓 지지대와 고정 브라켓이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동 락킹 크리센트, 3 : 미서기 창호,
5 : 내측 창문, 7 : 외측 창문,
30 : 브라켓 지지대, 31 : 고정홈,
32 : 설치공간, 33 : 결합부재,
34 : 하우징, 35 : 결합편,
36 : 연결봉, 36a : 걸림턱,
36b : 스프링, 37 : 창호용 핸들,
37a : 연결편, 38 : 연결부재,
39 : 변경부재, 50 : 고정 브라켓,
51 : 고정편, 53 : 결합홈.

Claims (5)

  1. 미서기 창호(3)에서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내측 창문(5)과 외측 창문(7)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설치되고,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되, 그 일측면에 고정홈(31)이 형성되는 브라켓 지지대(30); 및 그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고정홈(31)에 분리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고정편(51)을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5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크리센트(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내부 중심에 설치공간(32)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공간(32)에 전, 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합부재(33);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결합부재(33)가 걸림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전면 중심에 형성되는 결합홈(53); 및
    상기 브라켓 지지대(30)의 전면에 좌, 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33)에 연결되는 창호용 핸들(37);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창호용 핸들(37)은, 상기 결합부재(33)에 연결부재(38)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38)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편(37a)이 구비되고, 상기 창호용 핸들(37)과 결합부재(33)의 사이에 상기 연결부재(38)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부재(39)가 구비되어, 상기 변경부재(39)에 의하여 창호용 핸들(37)의 좌, 우 이동 시 상기 결합부재(33)가 전, 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3)는 상기 설치공간(32)상에 설치되는 하우징(34)과, 상기 하우징(34)의 내부에 설치되되, 하우징(34)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결합 편(35)과, 상기 결합편(35)에 연결되되, 그 외주연에 양 측에 걸림턱(36a)이 각각 돌출형성되는 연결봉(36)과, 상기 연결봉(36)의 걸림턱(36a)에 그 단부가 맞닿도록 개재되되, 탄성을 갖는 스프링(36b) 및 상기 걸림턱(36a)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34)의 양 측면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이동공(34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35)은 그 단부 일측면이 수직되고, 타측면이 경사지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8)는 상기 연결봉(36)의 걸림턱(36a)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8)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KR1020080044952A 2008-05-15 2008-05-15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KR101249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952A KR101249214B1 (ko) 2008-05-15 2008-05-15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952A KR101249214B1 (ko) 2008-05-15 2008-05-15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108A KR20090119108A (ko) 2009-11-19
KR101249214B1 true KR101249214B1 (ko) 2013-04-03

Family

ID=4160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952A KR101249214B1 (ko) 2008-05-15 2008-05-15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173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제이켐 여밈대 기밀유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293B1 (ko) * 2014-10-01 2016-06-03 주식회사 대동윈테크 자동 록킹장치
KR102624474B1 (ko) * 2019-05-21 2024-01-16 (주)엘엑스하우시스 창호의 여밈대 기밀유지 장치
KR102598531B1 (ko) * 2021-04-19 2023-11-06 주식회사 제이켐 여밈대 기밀성능 개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984A (ja) 1998-10-27 2000-05-09 Takigen Mfg Co Ltd 自動ロック型錠装置
KR200196875Y1 (ko) * 2000-04-27 2000-09-15 김철구 창문용 시건장치
KR200386711Y1 (ko) 2005-03-29 2005-06-16 박정병 창문용 잠금장치
KR20070028045A (ko) * 2005-09-07 2007-03-12 쓰리케이 주식회사 자동 창문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984A (ja) 1998-10-27 2000-05-09 Takigen Mfg Co Ltd 自動ロック型錠装置
KR200196875Y1 (ko) * 2000-04-27 2000-09-15 김철구 창문용 시건장치
KR200386711Y1 (ko) 2005-03-29 2005-06-16 박정병 창문용 잠금장치
KR20070028045A (ko) * 2005-09-07 2007-03-12 쓰리케이 주식회사 자동 창문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173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제이켐 여밈대 기밀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108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9865B (zh) 具有止动闩锁的闩锁装置
KR101249214B1 (ko)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KR100877570B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KR101161768B1 (ko) 도어 잠금장치
US2812557A (en) Window construction
US4418951A (en) Rotary latch for screen door
KR101234386B1 (ko) 일체로 개/폐가능하게 연동되는 미서기 창호의 이중창 구조
KR200459040Y1 (ko) 창호용 이중잠금 크리센트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JP2010270538A (ja) 扉の脱出構造
KR20210000058U (ko)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PL231064B1 (pl) Zespół gniazda ryglowego w ościeżnicy, o podwyższonej odporności na włamanie
TWI648457B (zh) Locking devi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door and window
KR200464215Y1 (ko) 창호
KR101904449B1 (ko) 미닫이형 이중창문
KR101291773B1 (ko) 양개형 피난창문용 잠금장치
JP3540011B2 (ja) 後付脱出面格子の取付施工方法
JPH0941763A (ja) ドアの開閉装置
KR100755514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KR100722970B1 (ko) 건축물에 설치하는 비상탈출이 가능한 방범창
TWM577888U (zh) Door and window lock construction
KR102429191B1 (ko) 창호
JP7353896B2 (ja) クレセント錠
KR101089431B1 (ko) 창틀과 창짝의 잠금설정/잠금해제를 위한 창문 하드웨어
KR20090008365U (ko)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