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058U -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058U
KR20210000058U KR2020190002753U KR20190002753U KR20210000058U KR 20210000058 U KR20210000058 U KR 20210000058U KR 2020190002753 U KR2020190002753 U KR 2020190002753U KR 20190002753 U KR20190002753 U KR 20190002753U KR 20210000058 U KR20210000058 U KR 202100000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blocking member
sliding window
elas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남
Original Assignee
김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남 filed Critical 김경남
Priority to KR2020190002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058U/ko
Publication of KR20210000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단부재가 외부에서의 개방은 차단하고, 내부에서는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측창문의 유리창에 양면테이프로 접착되며, 축핀이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부가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접착부재와, 상기 축핀이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외부에서 외측창문 및 내측창문을 개방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양측에 토션스프링이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경사를 이루는 차단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토션스프링의 탄성력과 경사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차단부개가 내측창문 및 외측창문의 외부 개방을 차단하고, 내부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지지부를 압착하거나 프레임으로 압착하여 유리창에 근접시킴으로써 내측창문 및 외측창문을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어 방범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단순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사용이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External opening prevention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고안은 외부에서 창문을 강제로 개방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단부재가 외부에서의 개방은 차단하고, 내부에서는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이나 지붕 등에는 채광과 실내의 통풍 및 환기, 시계(視界)확보 등을 위해서 창문이 구비된다. 이러한 창문은 실내를 외부와 차단하면서 채광과 시계확보를 통한 외부관찰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환기나 통풍 및 사람이나 물건의 통행을 위해서는 개방해야 하는 이중적 기능을 갖는다.
창문은 구조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미닫이형과, 힌지(hinge)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여닫이형 및 아암(arm)에 의해 회전과 슬라이딩의 병행으로 개폐되는 아암형 등으로 구별된다. 이들 중, 미닫이형 창문이 주택을 포함한 모든 건물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교실, 강당, 주택의 현관 등에 설치되는 미닫이창과 창틀은 개폐시에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하고, 바닥면을 구획하여 각 구획의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한 미닫이창은 좌·우 방향으로 개폐됨에 따라 점유공간이 적은 이유로 인해 이전부터 선호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미닫이창은 미닫이창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를 통해 개폐를 하게 되는 데, 외부에서도 쉽게 창을 열 수 있어 방범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들어 자취 생활과 같이 여성 혼자 거주하는 가구가 많은 상황에서는 창을 열어놓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이는 여름철 무더위에 더 심하게 작용하게 되었으며, 이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창의 열림 방지를 위해 지금까지는 창틀프레임의 하부레일에 막대기 등과 같은 도구를 끼워 미닫이창이 외부에서 열리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문의 열림의 간격을 자유롭게 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함께 창을 세게 여는 경우 막대기 등의 도구가 부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06104호에서는 미닫이창을 통해 외부인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창문을 안에서만 열수 있고 외부에서는 열수 없게 하며, 미닫이창을 외부인의 침입을 못하게 하는 안전성과 함께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하여 창문을 일일이 잠그는 조작이 없이도 외부에서 열 수 없게 하는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고안은 미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지지하는 창문틀에 고정설치되어 창문이 열리는 방향에 대항하여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걸림턱을 가지는 일방향 톱니레일 부재와, 이 일방향 톱니레일 부재의 걸림턱에 일방향으로 걸리게 형성된 걸림단을 가지는 래치 부재와, 이 래치 부재를 창문에 수용시켜 그 걸림단이 일방향 톱니레일 부재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탄력적으로 돌출시키는 지지수단과, 이 지지수단의 탄력에 대항하여 실내측에서 래치 부재의 걸림단을 일방향 톱니레일 부재의 걸림턱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는 해제수단이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열림방지장치는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비용 및 제품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볼트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창문의 개방을 차단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는 외측창문의 유리창에 양면테이프로 접착되며, 축핀이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부가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접착부재와, 상기 축핀이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외부에서 외측창문 및 내측창문을 개방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양측에 토션스프링이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경사를 이루는 차단부재로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에 의하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과 경사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차단부개가 내측창문 및 외측창문의 외부 개방을 차단하고, 내부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지지부를 압착하거나 프레임으로 압착하여 유리창에 근접시킴으로써 내측창문 및 외측창문을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어 방범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단순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사용이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외부 개방 방지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외부 개방 방지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외부 개방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차단부재를 회전하여 창문을 개폐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의 판으로 이루어져 창문의 유리창에 접착되는 접착부재(20)와, 상기 접착부재(20)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차단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부재(20)는 창문이 외부에서 강제로 개방될 수 없도록 차단하는 차단부재(30)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재를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성형한다.
상기 접착부재(20)는 창문의 내측 유리창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나비의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창문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장식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형, 캐릭터, 문자, 로고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의 중앙부에는 차단부재(30)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21)가 접착부재(20)와 수직을 이루며 좌우로 간격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21)의 사이에는 복수의 결합부(21)를 관통한 축핀(50)에 의해 차단부재(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재(30)의 양측을 관통한 축핀(50)에는 각각 토션스프링(4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토션스프링(40)의 일단은 접착부재(20)에 밀착되어 있고, 타단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부재(30)에 형성된 지지부(31)의 배면에 밀착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재(30)는 창문의 강제개방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부(31)는 차단부재(30)의 양측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0)에 의해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부재(30)와 항상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탄성력을 부여받게 된다.
상기 차단부재(30)의 하측에는 경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부(32)는 접착부재(20)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토션스프링(40)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더라도 차단부재(30)가 더는 회전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차단부재(30)는 경사부(32)의 각도를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지지부(31)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창문의 강제개방을 견고히 차단하기 위해서는 차단부재(30)와 접착부재(20)가 이루는 각도가 25°~ 35°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단부재(30)의 배면에는 창문의 유리창에 본 고안을 견고히 접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22)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는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창문(11)의 우측 프레임에 근접하도록 양면테이프(22)를 이용하여 유리창에 견고히 접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때 한 쌍의 지지부(31)는 끝단이 내측창문(10)의 좌측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이에 따라 도 5에서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외부에서 내측창문(10) 및 외측창문(11)을 강제로 개방하려고 하면, 토션스프링(40)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차단부재(30)의 지지부(31)에 의해 내측창문(10) 및 외측창문(11)이 모두 차단되어 개방이 불가하게 된다.
상기 차단부재(30)는 외측창문(11)의 내측 유리창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창을 파손하지 않는 한 외부에서 조작할 수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외부에서 창문을 개방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내부에서는 창문을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내부에서 차단부재(30)를 압착하거나, 내측창문(10)의 슬라이딩에 의해 프레임이 지지부(31)를 압착하여 회전함으로써 지지부(31)가 내측창문(10)의 유리창과 근접하게 되면 내측창문(10) 및 외측창문(11)을 좌우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하여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토션스프링(40)의 탄성력과 경사부(32)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차단부개가 내측창문(10) 및 외측창문(11)의 외부 개방을 차단하고, 내부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지지부(31)를 압착하거나 프레임으로 압착하여 유리창에 근접시킴으로써 내측창문(10) 및 외측창문(11)을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어 방범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단순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사용이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10 : 내측창문 11 : 외측창문
20 : 접착부재 21 : 결합부
22 : 양면테이프 30 : 차단부재
31 : 지지부 32 : 경사부
40 : 토션스프링 50 : 축핀

Claims (4)

  1. 외측창문(11)의 유리창에 양면테이프(22)로 접착되며, 축핀(50)이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부(21)가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접착부재(20)와;
    상기 축핀(50)이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외부에서 외측창문(11) 및 내측창문(10)을 개방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양측에 토션스프링(40)이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경사를 이루는 차단부재(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30)의 하측에는 접착부재(20)와 밀착됨으로써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경사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32)는 접착부재(20)와 25°~ 35°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30)에는 내측창문(10)의 프레임에 끝단이 밀착되는 한 쌍의 지지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KR2020190002753U 2019-07-01 2019-07-01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KR202100000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53U KR20210000058U (ko) 2019-07-01 2019-07-01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53U KR20210000058U (ko) 2019-07-01 2019-07-01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58U true KR20210000058U (ko) 2021-01-11

Family

ID=7413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753U KR20210000058U (ko) 2019-07-01 2019-07-01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05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468U (ko) * 2020-08-18 2022-02-25 고영도 미닫이 창문용 열림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468U (ko) * 2020-08-18 2022-02-25 고영도 미닫이 창문용 열림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0058U (ko)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KR101161768B1 (ko) 도어 잠금장치
CN204060334U (zh) 一种含有内窗扇的窗户以及含有内门扇的门
CN104196405A (zh) 一种含有内窗扇的窗户以及含有内门扇的门
KR101249214B1 (ko)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CN111155893A (zh) 一种具有安全护栏、防蚊功能的建筑节能外平开窗
KR100919233B1 (ko) 개폐정도 유지 및 방범기능을 갖는 미서기용 창문
JP6723096B2 (ja) 建具
JP6795395B2 (ja) 戸車及び建具
JP6718810B2 (ja) 建具
KR100695809B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방범창
KR101011976B1 (ko) 미닫이문의 무단 열림 방지용 내장형 고정장치
KR200433927Y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1577358B1 (ko) 미서기창
CN109736685A (zh) 一种防火铝合金门窗
JP2018003392A (ja) 建具
CN211900278U (zh) 一种具有安全护栏、防蚊功能的建筑节能外平开窗
US4409757A (en) Security latch assembly
CN220621665U (zh) 防火门及防火门套的密闭结构
CN218597969U (zh) 一种用于阳台门窗开启扇上的自动吸合销块
KR102429191B1 (ko) 창호
JP6944217B1 (ja) 引き違い窓の小開口装置
CN221032218U (zh) 可推拉和平开的门窗
CN208763557U (zh) 一种一键闭合的转轴式门窗闭合器及门窗
JP3811084B2 (ja) 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