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365U -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 Google Patents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365U
KR20090008365U KR2020080002050U KR20080002050U KR20090008365U KR 20090008365 U KR20090008365 U KR 20090008365U KR 2020080002050 U KR2020080002050 U KR 2020080002050U KR 20080002050 U KR20080002050 U KR 20080002050U KR 20090008365 U KR20090008365 U KR 200900083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rescent
bracket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영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20080002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365U/ko
Publication of KR20090008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3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05Aligning device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9Arrangements at the overlapping vertical edges of the wings that engage when 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리센트에 관한 것으로, 미서기 창의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내부 크리센트와 외부 크리센트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외부의 풍압으로 인해 내, 외부 창짝 사이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외의 찬 공기 및 실내의 더운 공기가 내,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 및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 크리센트에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부 또는 손잡이홈을 추가하여 내부 창짝의 개방 및 폐쇄가 간편하고, 내부 크리센트의 일측면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내부 창짝의 개방 시 창틀과 내부 크리센트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미서기 창에서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내부 창짝 및 외부 창짝에 있어서, 상기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브라켓 지지대와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크리센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리센트, 고정 브라켓, 브라켓 지지대, 고정편, 고정홈, 손잡이부, 완충부재

Description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Crescent for sealing of window}
본 고안은 미서기 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서기 창의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내부 크리센트와 외부 크리센트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외부의 풍압으로 인해 내, 외부 창짝 사이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외의 찬 공기 및 실내의 더운 공기가 내,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 및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창의 종류는 개/페 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 미서기 창, 여닫이 창, 회전 창, 붙박이 창, 겹창, 기타 특수한 창 등이 있다.
여기서, 미서기 창(Double Sliding Window)은 창틀에 설치되는 창짝들이 좌, 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서기 창은 일반적으로 창짝의 갯수에 따라 2짝, 4짝 등으로 이루어져 창틀에 설치되며, 2짝으로 이루어질 경우, 통상 외부 창짝이 사용자 측에 근접되게 위치하고, 내부 창짝이 사용자 측에 멀리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미서기 창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미서기 창(100)의 창틀(110)에 창짝(130)이 설치되되, 상기 창짝(130)은 사용자 측에 위치하는 내부 창짝(131)과 상기 내부 창짝(131)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창짝(13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창짝(131)과 외부 창짝(136)의 전면 일측 중심부에 내부 창짝(131) 및 외부 창짝(136)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홈(139)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창틀(110)에 설치되는 창짝(130)의 내부 창짝(131)과 외부 창짝(136)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크리센트(도번 미도시)가 설치되되, 상기 크리센트는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져 축설되는 반원형상의 걸림구(133)와 상기 걸림구(133)의 회전에 의하여 걸림결합되는 걸림편(137)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상기 내부 창짝에 설치되는 걸림구를 180°회전시켜 상기 걸림구를 외부 창짝에 설치되는 걸림편에 걸림결합시켜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을 잠금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내부 창짝에 설치되는 걸림구를 반대방향으로 180°회전시켜 상기 걸림구를 외부 창짝에 설치되는 걸림편에서 해제시켜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렇게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의 전면 일측 중심부에 별도의 핸들 기능이 없 는 창짝에 설치되어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크리센트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작동시키며, 창틀에 창짝의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잠금설정 시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를 가압하여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의 기밀 및 내풍압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를 갖는 반원형상의 걸림구를 회전시켜 걸림편에 걸림결합시켜 창틀에서 내, 외부 창짝을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 하는 잠금장치는 장기간 사용 시 걸림구가 걸림편에 접촉되면서 외부 창짝에 설치되는 절곡된 얇은 걸림편이 휘어지거나, 절곡부가 펼쳐지면서 변형되는 등 걸림편에 손상 및 파손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걸림구가 걸림편에 정확하게 걸림결합되지 않아 잠금설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유격 공간 및 틈새가 발생하여 외부의 풍압으로 인해 내, 외부 창짝 사이가 상호 이격되고, 이로 인해 실외의 찬 공기 및 실내의 더운 공기가 내,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될 수 있어 기밀 및 밀봉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창틀(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230)에 있어서, 상기 창짝(230)의 내부 창짝(231)과 외부 창짝(236)의 전면 일측 중심부에 창틀(210)에 창짝(230)의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한 락킹(Locking) 기능이 부여되는 창호용 핸들(232, 237)이 각각 설치되어 내부 창짝(231)과 외부 창짝(236)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별도의 크리 센트가 설치되지 않는 미서기 창(200)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미서기 창은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에 각각 설치되는 창호용 핸들에 의해 창틀에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별도의 크리센트가 설치되지 않아 외부의 풍압에 의해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유격 공간 및 틈새가 발생하고, 실외의 찬 공기 및 실내의 더운 공기가 내,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될 수 있어 기밀 및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서기 창의 내, 외부 창짝 전면 일측 중심부에 창짝의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한 락킹 기능이 부여되는 창호용 핸들을 설치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하고,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잠금 기능을 갖는 크리센트를 설치하여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 사이의 유격 공간 및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창호용 핸들과 크리센트는 모두 락킹 기능 및 잠금 기능이 부여됨으로써 동일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미서기 창에 중복 설치가 불필요하고, 만약, 창호용 핸들과 크리센트를 내, 외부 창짝에 설치할 경우, 사용자가 창호용 핸들을 조작하여 내, 외부 창짝을 창틀에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한 후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 사이의 유격 공간 및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 외부 창짝에 설치되는 크리센트의 걸림구를 회전시켜 걸림편에 걸림결합시켜 다시 잠금설정하여야 하는 등 사용의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서기 창의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내부 크리센트와 외부 크리센트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외부의 풍압으로 인해 내, 외부 창짝 사이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외의 찬 공기 및 실내의 더운 공기가 내,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 및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 크리센트에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부 또는 손잡이홈을 추가하여 내부 창짝의 개방 및 폐쇄가 간편하고, 내부 크리센트의 일측면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내부 창짝의 개방 시 창틀과 내부 크리센트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미서기 창에서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내부 창짝 및 외부 창짝에 있어서, 상기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브라켓 지지대와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크리센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 지지대의 일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 켓의 일측면에 고정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고정편이 상기 브라켓 지지대의 고정홈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 지지대의 전면 일측에 손잡이부가 돌출형성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브라켓 지지대의 전면 일측에 손잡이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 지지대의 타측면에 완충부재가 구비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서기 창에서 창틀에 슬라이딩 개/폐되는 내부 창짝과 외부 창짝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내부 크리센트와 외부 크리센트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외부의 풍압으로 인해 내, 외부 창짝 사이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외의 찬 공기 및 실내의 더운 공기가 내,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 및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 크리센트에 내부 창짝의 개방 또는 폐쇄 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부 또는 손잡이홈을 추가하여 창호용 핸들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창짝의 개방 및 폐쇄가 간편하고, 내부 크리센트의 일측면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창짝의 개방 시 창틀과의 완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내부 창짝의 개방 시 창틀과 내부 크리센트의 간섭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창틀과 내부 크리센트의 손상을 방지하여 미서기창의 내구성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설치가 간단하여 내, 외부 창짝에 잠금 기능이 부여되는 창호용 핸들이 설치된 기존의 창짝에 직접적인 적용이 가능 하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가 내, 외부 창짝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의 브라켓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의 브라켓 지지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의 브라켓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의 브라켓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50)는 미서기 창(1)의 창틀(10)에 슬라이딩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 외부 창짝(30a, 30b)에 잠금 기능이 부여되는 창호용 핸들(미도시)이 설치되는 기존의 창짝(30a, 30b)에 직접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크리센트(50)는 창틀(10)에 설치되는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브라켓 지지대(51)와 고정 브라켓(57)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크리센트(50)는 사용자 측에 위치하는 내부 창짝(30a)과 상기 내부 창짝(30a)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창짝(30b)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설치되되, 상기 내부 창짝(30a)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와 상기 외부 창짝(30b)에서 삽입되는 유리(도번 미도시)의 단부가 위치하는 중앙 여밈대 부위의 외부 창짝(30b) 전면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5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설치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크리센트(50)의 브라켓 지지대(51) 일측면에는 고정홈(5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57)은 그 일측면에 고정편(58)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부 창짝(30a) 및 외부 창짝(30b)의 폐쇄 시 상기 고정 브라켓(57)의 고정편(58)이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고정홈(52)에 결합된다.
이렇게 창틀(10)에 내, 외부 창짝(30a, 30b)의 폐쇄 시 내부 창짝(30a)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의 고정홈(52)이 외부 창짝(30b)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57)의 고정편(58)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창틀(10)에 내, 외부 창짝(30a, 30b)의 폐쇄 시 외풍압 또는 내풍압에 의해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 사이의 유격 공간 및 틈새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상기 크리센트(50)에 의해 실내, 외의 기밀 및 수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 창짝(30b)의 고정 브라켓(57)과 내부 창짝(30a)의 브라켓 지지대(51)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창짝(30b)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57)의 고정편(58)이 외측을 향하여 그 크기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 창짝(30a)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의 고정홈(52)이 외측을 향하여 그 크기가 커지는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외부 창짝(30b)의 고정 브라켓(57)과 내부 창짝(30a)의 브라켓 지지대(51)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면 상기 고정 브라켓(57)의 고정편(58)과 브라켓 지지대(51)의 고정홈(52)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57)의 고정편(58)과 브라켓 지지대(51)의 고정홈(52)이 기타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내부 창짝(30a) 및 외부 창짝(30b)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 및 고정 브라켓(57)의 크기, 폭, 형상 등은 내부 창짝(30a) 및 외부 창짝(30b)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설치되어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 공간 및 틈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면 상기 브라켓 지지대(51) 및 고정 브라켓(57)이 기타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브라켓 지지대(51)와 고정 브라켓(57)으로 이루어지 는 크리센트(50)가 설치되어 외풍압 또는 내풍압에 의해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 사이의 유격 공간 및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외풍압 또는 내풍압에 의해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 사이의 유격 공간 및 틈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면 상기 고정 브라켓(57)과 지지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크리센트(50)가 상기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이 상호 겹쳐지는 여밈대 부위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창짝(30a)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의 전면 일측에 손잡이부(53)가 돌출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내부 창짝(30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내부 창짝(30a)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의 전면 일측에 손잡이부(53)가 연장되어 돌출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사용자가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의 전면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창호용 핸들을 파지할 필요 없이 내부 창짝(30a)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의 손잡이부(53)를 파지한 후 내부 창짝(30a)을 창틀(10)에서 슬라이딩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손잡이부(53)를 파지한 후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내부 창짝(30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상기 내부 창짝(30a)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의 전면 일측에 손잡이부(53)가 연장 및 돌출형성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상기 브라켓 지지대(51)를 통하여 내부 창짝(30a)의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용이하다면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전면 일측에 손잡이홈(54)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홈(54)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창 틀(10)에서 내부 창짝(30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타측면에 완충부재(5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창틀(10)에서 내부 창짝(30a)의 개방 시 상기 내부 창짝(30a)과 창틀(10)의 내측면이 맞닿거나 간섭되어 내부 창짝(30a) 또는 창틀(10)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창짝(30a)의 개방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 흡수 또는 상쇄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창짝(30a)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의 타측면에 완충부재(5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55)는 내부 창짝(30a)의 개방 시 내부 창짝(30a)과 창틀(10)이 맞닿거나 간섭되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내부 창짝(30a)의 개방 시 내부 창짝(30a)과 창틀(10)이 맞닿거나 간섭되어 내부 창짝(30a) 또는 창틀(10)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용이하다면 상기 완충부재(55)가 PVC재질 또는 PC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기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부재(55)가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타측면에 개별형성되는 다수개의 완충부재(55)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완충부재(55)가 엠보싱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타측면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내부 창짝(30a)의 개방 시 내 부 창짝(30a)과 창틀(10)이 맞닿거나 간섭되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용이하다면 상기 완충부재(55)가 기타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50)의 설치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되, 내, 외부 창짝(30a, 30b)에 잠금 기능이 부여되는 창호용 핸들이 설치되는 기존의 내, 외부 창짝(30a, 30b)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본 발명에 의한 크리센트(5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크리센트(50)의 브라켓 지지대(51)는 사용자 측에 위치하는 내부 창짝(30a)의 측면 중앙 여밈대 부위에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57)은 내부 창짝(30a)의 외측에 위치하되, 삽입되는 유리(도번 미도시)의 단부가 위치하는 중앙 여밈대 부위의 외부 창짝(30b) 전면 일측 가장자리에 체결부재로 체결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고정홈(52)과 상기 고정 브라켓(57)의 고정편(58)은 각각 상호 마주보게 위치시킨 후 내부 창짝(30a) 및 외부 창짝(30b)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체결부재로 각각 체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와 고정 브라켓(57)을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에 체결부재로 각각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와 고정 브라켓(57)에는 체결공(75, 77)이 각각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내부 창짝(30a)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 일측면의 체결공(75)에 완충부재(55)를 삽입설치하되, 일정 부분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여 내부 창짝(30a)과 창틀(10)이 맞닿거나 상호 간섭되어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충 및 상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체결공(75)에 설치되는 완충부재(55)에 의하여 체결공(75) 및 상기 체결공(75)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각적인 효과를 얻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공(75)에 설치되는 완충부재(55)는 체결부재의 머리부분(도번 미도시)측에 삽입설치된다.
한편, 상기 내부 창짝(30a)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와 상기 외부 창짝(30b)의 중앙 여밈대 부위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57)은 각각에 형성되는 고정홈(52)과 고정편(58)이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상호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로 내, 외부 창짝(30a, 30b)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이 상호 겹쳐지는 여밈대 부위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크리센트(50)를 설치하여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 사이의 연결을 보다 견고히하여 기밀 및 수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와 고정 브라켓(57)을 내, 외부 창짝(30a, 30b)에 각각 설치한 후 개방된 내부 창짝(30a) 또는 외부 창짝(30b)을 폐쇄할 경우, 상기 내부 창짝(30a)에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대(51)와 외부 창 짝(30b)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57)이 상호 결합되어 외풍압 또는 내풍압에 의하여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 사이에 유격 공간 및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실내, 외의 기밀 및 수밀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전면 일측에 손잡이부(53)가 돌출형성될 경우, 사용자가 폐쇄된 내부 창짝(30a) 또는 외부 창짝(30b)의 개방 시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전면 일측에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부(53)를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기 내부 창짝(30a)을 개방하고, 개방되는 내부 창짝(30a)은 브라켓 지지대(51)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55)에 의하여 창틀(10)의 내측면에 맞닿거나 상호 간섭이 완충 및 상쇄되며, 이로 인해 내부 창짝(30a)과 창틀(10)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전면 일측에 손잡이홈(54)이 형성될 경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홈(54)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창짝(30a)을 개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응용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도면은 고안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와 균등한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리센트가 설치된 미서기 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창호용 핸들이 설치된 미서기 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가 내, 외부 창짝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의 브라켓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의 브라켓 지지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의 브라켓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의 브라켓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미서기 창, 10 : 창틀,
30a : 내부 창짝, 30b : 외부 창짝,
50 : 크리센트, 51 : 브라켓 지지대,
52 : 고정홈, 53 : 손잡이부,
54 : 손잡이홈, 55 : 완충부재,
57 : 고정 브라켓, 58 : 고정편,
75, 77 : 체결공.

Claims (5)

  1. 미서기 창(1)에서 창틀(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내부 창짝(30a) 및 외부 창짝(30b)에 있어서,
    상기 내부 창짝(30a)과 외부 창짝(30b)이 상호 겹쳐지는 중앙 여밈대 부위에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브라켓 지지대(51)와 고정 브라켓(57)을 포함하는 크리센트(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일측면에 고정홈(5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57)의 일측면에 고정편(58)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57)의 고정편(58)이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고정홈(52)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전면 일측에 손잡이부(53)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전면 일측에 손잡이홈(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지지대(51)의 타측면에 완충부재(5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KR2020080002050U 2008-02-15 2008-02-15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KR200900083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050U KR20090008365U (ko) 2008-02-15 2008-02-15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050U KR20090008365U (ko) 2008-02-15 2008-02-15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65U true KR20090008365U (ko) 2009-08-20

Family

ID=4130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050U KR20090008365U (ko) 2008-02-15 2008-02-15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3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358B1 (ko) * 2015-08-11 2015-12-28 문수용 미서기창
KR102258603B1 (ko) * 2020-11-13 2021-05-31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창호용 밀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358B1 (ko) * 2015-08-11 2015-12-28 문수용 미서기창
KR102258603B1 (ko) * 2020-11-13 2021-05-31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창호용 밀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265B2 (en) Reversible sliding glass door
CA2895036A1 (en) Recessed lock actuating device for sliding doors
US20090113808A1 (en) Security window
KR20090008365U (ko) 창짝의 기밀을 위한 크리센트
KR101249214B1 (ko)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KR101161768B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459040Y1 (ko) 창호용 이중잠금 크리센트
JP6113765B2 (ja) 打掛錠
KR20130040314A (ko) 대피공간 전용 창호
KR200436141Y1 (ko)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US9719287B1 (en) Astragal with covered slidable lock block
JP2010270538A (ja) 扉の脱出構造
US20110107692A1 (en) Storm shutter assembly
KR200464215Y1 (ko) 창호
JP4346099B2 (ja) 折り戸システム
JP7420867B2 (ja) 建具
KR20210000058U (ko)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KR20090060546A (ko)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창짝의 핸들
KR101296443B1 (ko) 도어 조립체
KR102429191B1 (ko) 창호
CN206233693U (zh) 一种锁面防盗结构
KR102397889B1 (ko) 프로비전 크레인 운전실에 적용되는 2중 창문 구조
KR101089431B1 (ko) 창틀과 창짝의 잠금설정/잠금해제를 위한 창문 하드웨어
JPS637674Y2 (ko)
KR20090046755A (ko)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