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755A -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755A
KR20090046755A KR1020090011294A KR20090011294A KR20090046755A KR 20090046755 A KR20090046755 A KR 20090046755A KR 1020090011294 A KR1020090011294 A KR 1020090011294A KR 20090011294 A KR20090011294 A KR 20090011294A KR 20090046755 A KR20090046755 A KR 2009004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hole
lock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템
Priority to KR102009001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6755A/ko
Publication of KR2009004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06B5/113Arrangements at the edges of the wings, e.g. with door guards to prevent the insertion of pry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여닫이형 목재 출입문에 있어서, 금속판을 평단면이 "⊃"을 갖도록 절곡 성형함은 물론 전,후면에는 손잡이 결합공이 천공되고 측면에는 가동형 걸림구 통과공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도어 중 손잡이가 설치되는 부분의 전,후면과 잠금구의 가동형 걸림구가 돌출되는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도어 훼손 방지구와; 금속판을 문틀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단턱부에는 상기 가동형 걸림구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공이 천공됨은 물론 상기 단턱부에 천공된 걸림공 상,하부와 평판부의 후단부 상,하부에는 스크류 통과공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문틀의 일측면 일부를 덮어주는 형태로 수개의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문틀 훼손 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잠금구에 의해 쇄정상태를 유지하는 도어를 강제로 해정하고 무단으로 들어가기 위해 잠금구가 설치된 부위의 도어 일측 모서리 및 그 부위와 직접 접촉된 상태를 갖는 문틀의 일부를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훼손시키고 카드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잠금구를 해정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어 및 문틀 자체의 내구성이 증대되므로 도어를 강하게 닫을 때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 잠금구의 고정상태가 느슨해지거나 손잡이 및 잠금구가 고정된 부위의 도어 일부가 균열 및 파손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 및 문틀의 외관에 대한 미려함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닫이, 출입문, 목재, 도어, 문틀, 도어 훼손 방지구, 문틀 훼손 방지판

Description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Damage preventing device for locking parts in swing type wooden door and doorframes}
본 발명은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로 제작되어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돌리며 밀어 열수 있도록 교실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여닫이형 도어의 손잡이 및 그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잠금구의 설치 부위와, 상기 잠금구의 가동형 걸림구가 걸려지는 문틀의 일부에 도어 및 문틀의 표면 형상에 부응하도록 철판을 절곡하여 성형한 훼손 방지구 및 판을 각각 감싸거나 덧대주는 형태로 설치하여 잠금구에 의해 쇄정상태를 유지하는 도어를 강제로 해정하기 위해 잠금구가 설치된 부위의 도어 모서리 및 그 부위와 접촉된 상태를 갖는 문틀의 일부를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훼손시키고 카드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잠금구를 해정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도어를 강하게 닫을 때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 잠금구의 고정상태가 느슨하게 되거나, 손잡이 및 잠금구가 고정된 부위의 도어 일부가 파손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및 문틀 자체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의 미려함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및 교실 등의 출입문은 금속재로 된 것도 있으나, 사용자의 미적 감각과 고급스런 실내 분위기의 창출을 위하여 목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목재를 사용하는 출입문의 경우, 건물을 짓거나 증축 및 개축시 벽면의 적정위치에 문틀을 설치한 후 미장 공사 등과 같은 제반 공사를 실시한 다음 각각의 문틀에 도어를 설치하고 도배공사, 전기공사 및 페인트칠 공사 등을 실시한다.
이때, 목재로 제작되는 도어는 통상 미서기 도어와 여닫이 도어가 있는데, 이중 여닫이 도어의 경우 상기 도어를 문틀에 설치하기 위해 일측 면은 수개의 힌지를 통해 축지시키고 타측에는 손잡이는 물론 도어의 자유로운 개폐를 방지함과 동시에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잠금구를 설치하며, 상기 잠금구와 접촉되는 측 문틀에는 상기 잠금구의 가동형 걸림구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걸림편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목재로 된 여닫이형 도어의 경우 손잡이 및 잠금구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도어의 일측부와 일측면에 손잡이 설치용 구멍과 잠금구 설치용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잠금구 설치용 구멍에 대응되는 문틀의 일측부에는 걸림편 설치용 홈을 형성시켜 각각에 손잡이와 잠금구 및 걸림편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문틀에는 도어의 닫힘 범위를 설정해 줌은 물론 바람 및 소음의 유입을 방지(즉, 방풍 및 방음) 등을 위해 단턱부를 형성시킨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도어 및 문틀이 목재로 제조된 것이므로 도어 및 문틀의 내구성이 약하여 잠금구에 의해 쇄정상태를 유지하는 도어를 불특정인이 강제로 해정하기 위해 잠금구가 설치된 부위의 도어 모서리 및 그 부위와 접촉된 상태를 갖는 문틀의 일부(즉, 단턱부 중 돌출된 부위의 일부)를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훼손시키고 카드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잠금구를 해정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를 강하게 닫을 때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 잠금구의 고정상태가 느슨하게 될 우려가 있고, 심할 경우는 손잡이 및 잠금구가 고정된 부위의 도어 일부가 균열 및 파손되어 장기간 사용시 해당 부위에 대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목재로 제작되어 교실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여닫이형 도어의 손잡이 및 잠금구의 설치 부위에는 훼손 방지구를 감싸주는 형태로 설치하고, 상기 잠금구의 가동형 걸림구가 걸려지는 문틀의 일부에 훼손 방지판을 덧대주는 형태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잠금구에 의해 쇄정상태를 유지하는 도어를 강제로 해정하고 무단으로 들어가기 위해 잠금구가 설치된 부위의 도어 일측 모서리 및 그 부위와 직접 접촉된 상태를 갖는 문틀의 일부를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훼손시키고 카드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잠금구를 해정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도어를 강하게 닫을 때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 잠금구의 고정상태가 느슨하게 되거나 손잡이 및 잠금구가 고정된 부위의 도어 일부가 균열 및 파손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도어 및 문틀 자체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의 미려함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는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면부에 손잡이와 잠금구가 설치된 목재 도어의 타측면이 단턱부를 구비한 문틀의 타측면에 힌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기 도어의 잠금구가 접촉되는 문틀의 일측면에는 상기 잠금구 의 가동형 걸림구가 걸려지는 걸림편이 설치된 여닫이형 목재 출입문에 있어서, 소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절단한 금속판을 평단면이 "⊃"을 갖도록 절곡 성형함은 물론 전,후면에는 손잡이 결합공이 천공되고 측면에는 가동형 걸림구 통과공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도어 중 손잡이가 설치되는 부분의 전,후면과 잠금구의 가동형 걸림구가 돌출되는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도어 훼손 방지구와;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절단된 금속판을 문틀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단턱부에는 상기 가동형 걸림구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공이 천공됨은 물론 상기 단턱부에 천공된 걸림공 상,하부와 평판부의 후단부 상,하부에는 스크류 통과공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문틀의 일측면 일부를 덮어주는 형태로 수개의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문틀 훼손 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의 측면에 천공된 가동형 걸림구 통과공의 상,하부에는 도어 훼손 방지구 자체를 스크류를 통해 상기 도어의 측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스크류 통과공을 더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의 전,후단부에는 문틀의 전,후면을 각각 감싸주는 연장편을 일체로 더 절곡 형성시키고, 상기 연장편의 상,하부에는 연장편 자체를 스크류를 통해 상기 문틀의 전,후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스크류 통과공을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의 연장편 단부에는 건물의 벽과 접촉되는 문틀의 내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걸려지는 걸림편을 더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목재로 제작되어 교실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여닫이형 도어의 손잡이 및 잠금구의 설치 부위에는 도어 훼손 방지구를 감싸주는 형태로 설치하고, 상기 잠금구의 가동형 걸림구가 걸려지는 문틀의 일부에 문틀 훼손 방지판을 덧대주는 형태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첫째 잠금구에 의해 쇄정상태를 유지하는 도어를 강제로 해정하고 무단으로 들어가기 위해 잠금구가 설치된 부위의 도어 일측 모서리 및 그 부위와 직접 접촉된 상태를 갖는 문틀의 일부를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훼손시키고 카드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잠금구를 해정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둘째 도어 및 문틀 자체의 내구성이 증대되므로 도어를 강하게 닫을 때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 잠금구의 고정상태가 느슨해지거나 손잡이 및 잠금구가 고정된 부위의 도어 일부가 균열 및 파손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도어 및 문틀의 외관에 대한 미려함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목재 출입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 중 훼손 방지구의 설치상태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훼손 방지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상태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가 실시된 출입문의 일부 확대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중 훼손 방지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일측면부에 손잡이(3)와 잠금구(4)가 설치된 목재 도어(1)의 타측면이 단턱부(21)를 구비한 문틀(2)의 타측면에 힌지(5)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기 도어(1)의 잠금구(4)가 접촉되는 문틀(2)의 일측면에는 상기 잠금구(4)의 가동형 걸림구(41)가 걸려지는 걸림편이 설치된 여닫이형 목재 출입문에 있어서,
소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절단한 금속판을 평단면이 "⊃"을 갖도록 절곡 성형함은 물론 전,후면에는 손잡이 결합공(61)이 천공되고 측면에는 가동형 걸림구 통과공(62)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도어(1) 중 손잡이(3)가 설치되는 부분의 전,후면과 잠금구(4)의 가동형 걸림구(41)가 돌출되는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도어 훼손 방지구(6)와;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절단된 금속판을 문틀(2)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고 단턱부(72)에는 상기 가동형 걸림구(41)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공(75)이 천공됨은 물론 상기 단턱부(72)에 천공된 걸림공(75)의 상,하부와 평판부(71)의 후단부 상,하부에는 스크류 통과공(76)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문틀(2)의 일측면 일부를 덮어주는 형태로 수개의 스크 류(8)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문틀 훼손 방지판(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의 측면에 천공된 가동형 걸림구 통과공(62)의 상,하부에는 도어 훼손 방지구(6) 자체를 스크류(8)를 통해 상기 도어(1)의 측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스크류 통과공(63)을 더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의 전,후단부에는 문틀(2)의 전,후면을 각각 감싸주는 연장편(73)을 일체로 더 절곡 형성시키고, 상기 연장편(73)의 상,하부에는 연장편(73) 자체를 스크류(8)를 통해 상기 문틀의 전,후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스크류 통과공(76)을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의 연장편(73) 단부에는 건물의 벽과 접촉되는 문틀(2)의 내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걸려지는 걸림편(74)을 더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공지된 목재 출입문에 있어서, 손잡이(3)가 설치되는 도어(1)의 일부를 감싸도록 도어 훼손 방지구(6)를 설치하고, 잠금구(4)와 접촉되는 문틀(2)의 일부에는 문틀 훼손 방지판(7)을 덧붙이는 형태로 설치하여 목재로 된 여닫이형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에 대한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목재로 된 상기 도어(1)의 일측면부에는 손잡이(3)와 잠금구(4)가 설 치된 구성을 갖고 타측면이 힌지(5)를 통해 단턱부(21)를 구비한 문틀(2)의 타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기 문틀(2)은 도어(1)의 닫힘 각도를 제한함은 물론 도어와의 틈새 발생을 방지하는 단턱부(21)를 구비함은 물론 도어(1)의 잠금구(4)가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잠금구(4)의 가동형 걸림구(41)가 걸려지는 걸림편이 설치된 구성을 갖고 건물의 벽에 뚫어진 구멍에 끼워져 건물의 벽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절단한 금속판을 평단면이 "⊃"을 갖도록 절곡 성형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의 전,후면에는 손잡이 결합공(61)이 천공되고 전,후면을 이어주는 측면에는 가동형 걸림구 통과공(62)이 천공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는 도어(1) 중 손잡이(3)가 설치되는 부분의 전,후면과 잠금구(4)의 가동형 걸림구(41)가 돌출되는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잠금구(4)가 설치된 부위의 도어(1) 일측 모서리에 대한 훼손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를 도어(1)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의 전,후면에 천공시킨 손잡이 결합공(61)에 손잡이(3)를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를 도어(1)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의 전,후면을 잊는 측면이 도어(1)의 측면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갖게 되므로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의 측면이 도어(1)의 측면에 밀착되지 않고 일부 돌출되어 문틀(2)의 단턱부 에 걸릴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 자체가 손잡이 결합공(61)에 끼워지는 형태로 도어(1)에 결합된 손잡이(3)를 중심으로 약간의 회동이 이루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의 측면에 천공된 가동형 걸림구 통과공(62)의 상,하부에 스크류 통과공(63)을 더 천공하여 스크류(8)를 통해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 자체를 도어(1)의 측면에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6)의 일부가 도어(1)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도어(1)가 잘 않닫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도어 훼손 방지구(6) 자체가 손잡이(3)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은 전술한 도어 훼손 방지구(6)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절단된 금속판을 문틀(2)의 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단턱부(72)와 평판부(71)를 갖도록 절곡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72)에는 잠금구(4)의 가동형 걸림구(41)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공(75)을 천공하되, 상기 단턱부(72)에 천공된 걸림공(75)의 상,하부와 평판부(71)의 후단부 상,하부에는 스크류(8)를 통해 문틀 훼손 방지판(7) 자체를 문틀(2)의 일부에 덧대어 주는 형태로 고정 설치해 주기 위한 스크류 통과공(76)을 천공시킨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문틀(2)은 문틀 자체가 설치되는 건물의 벽체 두께 등에 따라 전,후면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고, 또 때에 따라서는 전,후면의 일부가 벽체에 묻히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을 문틀(2)의 내측 면에만 덧씌우는 형태 로 설치할 경우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갖는 평판부(71)를 고정하고 있는 스크류(8)를 빼내고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의 일부를 문틀로부터 분리하고 문틀의 일부를 훼손한 다음 도어(1)를 강제로 열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의 전,후단부에 문틀(2)의 전,후면을 각각 감싸주는 연장편(73)을 일체로 더 절곡 형성하고, 상기 연장편(73)의 상,하부에는 스크류 통과공(76)을 천공하여 연장편(73)을 스크류(8)를 통해 상기 문틀의 전,후면에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의 전,후단부에 연장편(73)이 더 형성된 경우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 자체가 문틀(2)의 내측면은 물론 전,후면 까지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이 설치된 문틀(2)의 일부에 대한 외관상 미려함이 유지됨은 물론 문틀(2)의 전,후면 일부가 벽체에 묻히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불특정인이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을 문틀(2)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어 문틀의 일부 훼손을 통한 잠금구의 해정을 꾀할 수 없다.
그러데, 상기와 같이 문틀 훼손 방지판(7)의 전,후단부에 연장편(73)이 더 절곡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면 자체가 벽체로부터 완전히 노출되는 형태로 문틀(2)이 설치된 경우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의 연장편(73) 및 평판부(71)를 고정하고 있는 스크류(8)들을 문틀(2)로부터 뽑아내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의 일부를 문틀로부터 분리한 다음 문틀의 일부를 훼손하고 도어(1)를 강제로 열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의 연 장편(73) 단부에 필요에 따라서는 건물의 벽체와 접촉되는 문틀(2)의 내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걸려지는 걸림편(74)을 더 절곡 형성하여 줌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완벽히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의 연장편(73) 단부에 걸림편(74)을 더 절곡 형성하여 주게 되면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 자체가 문틀(2)의 외측 면과 전,후면 및 내측면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설치됨은 물론 상기 걸림편(74)이 벽체와 밀착된 상태에서 매립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벽체의 일부를 훼손하지 않는 한 외부에서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7)을 문틀로부터 어떠한 방법으로도 분리시킬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목재로 제작되어 교실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여닫이형 도어(1)의 손잡이(3) 및 잠금구(4)의 설치 부위에 도어 훼손 방지구(6)를 감싸주는 형태로 설치하고, 상기 잠금구(4)의 가동형 걸림구(41)가 걸려지는 문틀(2)의 일부에는 문틀 훼손 방지판(7)을 덧대주는 형태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잠금구(4)에 의해 쇄정상태를 유지하는 도어(1)를 강제로 해정하고 무단으로 들어가기 위해 잠금구(4)가 설치된 부위의 도어(1) 일측 모서리 및 그 부위와 직접 접촉된 상태를 갖는 문틀(2)의 일부를 각종 공구를 이용하여 훼손시키고 카드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잠금구(4)를 해정시키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금속판으로 성형한 도어 훼손 방지구(6) 및 문틀 훼손 방지판(7)에 의해 도어(1) 및 문틀(2)의 내구성이 대폭 증대되므로 도어(1)를 강하게 닫을 때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 인해 잠금구(4)의 고정상태가 느슨해지거나 손잡 이(3) 및 잠금구(4)가 고정된 부위의 도어(1) 일부가 균열 및 파손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도어(1) 및 문틀(2)의 외관에 대한 미려함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목재 출입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중 훼손 방지구의 설치상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중 훼손 방지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상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가 실시된 출입문의 일부 확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훼손 방지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어 2 : 문틀
3 : 손잡이 4 : 잠금구
5 : 힌지 6 : 도어 훼손 방지구
7 : 문틀 훼손 방지판 8 : 스크류
21, 72 : 단턱부 41 : 가동형 걸림구
61 : 손잡이 결합공 62 : 가동형 걸림구 통과공
63, 76 : 스크류 통과공 71 : 평판부
73 : 연장편 74 : 걸림편
75 : 걸림공

Claims (5)

  1. 일측면부에 손잡이와 잠금구가 설치된 목재 도어의 타측면이 단턱부를 구비한 문틀의 타측면에 힌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기 도어의 잠금구가 접촉되는 문틀의 일측면에는 상기 잠금구의 가동형 걸림구가 걸려지는 걸림편이 설치된 여닫이형 목재 출입문에 있어서,
    금속판을 평단면이 "⊃"을 갖도록 절곡 성형함은 물론 전,후면에는 손잡이 결합공이 천공되고 측면에는 가동형 걸림구 통과공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도어 중 손잡이가 설치되는 부분의 전,후면과 잠금구의 가동형 걸림구가 돌출되는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도어 훼손 방지구와;
    금속판을 문틀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단턱부에는 상기 가동형 걸림구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공이 천공됨은 물론 상기 단턱부에 천공된 걸림공 상,하부와 평판부의 후단부 상,하부에는 스크류 통과공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문틀의 일측면 일부를 덮어주는 형태로 수개의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문틀 훼손 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훼손 방지구의 측면에 천공된 가동형 걸림구 통과공의 상,하부에 는 도어 훼손 방지구 자체를 스크류를 통해 상기 도어의 측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스크류 통과공을 더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의 전,후단부에는 문틀의 전,후면을 각각 감싸주는 연장편을 일체로 더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의 상,하부에 연장편 자체를 스크류를 통해 상기 문틀의 전,후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스크류 통과공을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틀 훼손 방지판의 연장편 단부에 건물의 벽과 접촉되는 문틀의 내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걸려지는 걸림편을 더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KR1020090011294A 2009-02-12 2009-02-12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KR20090046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94A KR20090046755A (ko) 2009-02-12 2009-02-12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94A KR20090046755A (ko) 2009-02-12 2009-02-12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755A true KR20090046755A (ko) 2009-05-11

Family

ID=4085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294A KR20090046755A (ko) 2009-02-12 2009-02-12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67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980A (ko) 2019-03-30 2020-10-08 정영호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KR20220062975A (ko) 2020-11-09 2022-05-17 최성우 주택 거실벽의 노출표면 일치형 여닫이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980A (ko) 2019-03-30 2020-10-08 정영호 알루미늄제 여닫이 도어의 잠금장치
KR20220062975A (ko) 2020-11-09 2022-05-17 최성우 주택 거실벽의 노출표면 일치형 여닫이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6884B2 (en) Shutter assembly
KR100770277B1 (ko) 도어유닛
KR20090046755A (ko)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KR200413716Y1 (ko) 현관 방화문과 그 문틀의 구조
US20060179905A1 (en) Latch protector
KR101002238B1 (ko) 다굴절 자물쇠 잠금장치
KR101024304B1 (ko) 출입문용 안전 고리
EP2990580A1 (en) Break-in protection
US20050086879A1 (en) Retainer for prehung door
KR200464841Y1 (ko) 방범 현관문
US5509701A (en) Door bracing apparatus
JP6633880B2 (ja) 電気錠を備えたドア装置
KR20080003687U (ko) 자물쇠 보호박스
KR200390363Y1 (ko) 도어 파손 방지 장치
KR100737824B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200390368Y1 (ko) 출입문 해정방지를 위한 보조장치
JP3224740U (ja) 補助錠
KR20130086419A (ko) 보안형 방화문
KR200421490Y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JP7343165B2 (ja) 補助錠
TWM512057U (zh) 防撞裝置(fers)的木門裝置
KR200447069Y1 (ko) 방화문용 방범장치
KR101322930B1 (ko) 출입문용 방범부재
US20120043769A1 (en) Door security device
KR200331955Y1 (ko) 문 경첩을 분해 했을시 출입문 강제 오픈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