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069Y1 - 방화문용 방범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방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069Y1
KR200447069Y1 KR20090008746U KR20090008746U KR200447069Y1 KR 200447069 Y1 KR200447069 Y1 KR 200447069Y1 KR 20090008746 U KR20090008746 U KR 20090008746U KR 20090008746 U KR20090008746 U KR 20090008746U KR 200447069 Y1 KR200447069 Y1 KR 200447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frame
piec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8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근
Original Assignee
이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근 filed Critical 이형근
Priority to KR20090008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0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3Preventing opening by insertion of a tool, e.g. flexible, between door and jamb to withdraw the bolt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아파트, 오피스텔 등 현관문과 같은 주출입문에 사용되어 방범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화문용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날개부에 도어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도어용 브라켓에 외력을 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불법도구(노루발장도리)가 삽입되지 않도록 도어 프레임에 프레임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불법으로 방화문을 변형시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문용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방화문용 방범장치는 방화문 도어에 형성된 도어 날개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어용 브라켓과, 상기 도어용 브라켓에 대응되게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프레임용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용 브라켓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구성되며, 도어 날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도어 날개부 내측에 밀착되는 내측보강편과 도어 날개부 외측과 밀착되는 외측보강편이 일체화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보강편에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도어 날개부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은 도어 프레임 고정설치되고, 양측면에 설치용 홈이 형성된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설치용 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내측에 형성된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도어용 브라켓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것이다.
또는, 상기 도어용 브라켓은 도어 날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도어 날개부 내측에 밀착되는 내측보강편과 도어 날개부 외측과 밀착되는 외측보강편이 일체화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보강편에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도어 날개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은 도어용 브라켓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도어 방향으로 설치편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보강편에는 프레임용 브라켓의 설치편과 대응되게 절개부가 형성된 것이다.
방화문, 방범, 브라켓, 장도리, 도어, 프레임

Description

방화문용 방범장치{Home security}
본 고안은 주로 아파트, 오피스텔 등 현관문과 같은 주출입문에 사용되어 방범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화문용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날개부에 도어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도어용 브라켓에 외력을 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불법도구(노루발장도리)가 삽입되지 않도록 도어 프레임에 프레임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불법으로 방화문을 변형시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문용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아파트, 오피스텔, 빌라 및 기타 사무실 등의 주출입문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화문은 크게 도어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에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도어로 이루어진 철제문이다.
도어에는 도어용 손잡이와 도어 프레임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힌지와 반대측으로 도어 프레임의 일부분이 겹쳐지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외부공기의 유입 및 잠금장치를 보호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어 프레임과 날개부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로 불법도구(노루발장도리 등)을 삽입하여 외력을 가함으로써 도어를 변형시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외부에서 침입하게 된다.
특히, 사회문화 실정상 여성 혼자 빌라, 오피스텔 등에서 사는 추세이며, 이러한 여성만을 노리고 범죄를 벌이고 있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용신안등록 20-397197호의 강화문용 안전브라켓과 같이 도어 날개부(마감편)에 설치되는 브라켓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 날개부(마감편)에만 브라켓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불법도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도어 날개부(마감편)에만 브라켓이 설치되는 경우에 불법도구에 의하여 잠금장치의 해제시간을 약간 지연시킬 뿐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어 날개부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은 모두 동일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도어 날개부(마감편)에만 브라켓만 설치되는 경우에 불법도구가 삽입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잠금장치의 해제시간을 약간 지연시킬 뿐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브라켓은 경제성에 의하여 도어의 일측 전체 길이에 설치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브라켓을 벗어난 부분에 불법도구를 삽입하여 변형을 가하면 브라켓 부분도 도어 프레임과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여기에 다시 불법도구를 삽입하게 되면 약간의 시간만을 지연시킬 뿐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불법도구(노루발장도리 등)를 도어 날개부(마감편)에 유입시켜 방화문의 잠금구조를 해제시키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방화문용 방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도어의 날개부(마감편)에 불법도구(노루발장도리 등)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어용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도어용 브라켓에 불법도구(노루발장도리 등)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도어 프레임에 프레임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방화문 잠금구조의 해제를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신뢰받을 수 있는 방화문용 방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의 방화문용 방범장치는, 방화문 도어에 형성된 도어 날개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어용 브라켓과, 상기 도어용 브라켓에 대응되게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프레임용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용 브라켓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구성되며, 도어 날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도어 날개부 내측에 밀착되는 내측보강편과 도어 날개부 외측과 밀착되며 적어도 내측보강편(11)보다 폭이 넓은 외측보강편(12)이 일체화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보강편에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도어 날개부에 고정설치하 고,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은 도어 프레임 고정설치되고, 양측면에 설치용 홈이 형성된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설치용 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내측에 형성된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도어용 브라켓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에는 설치가 용이하도록 삽입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도어용 브라켓은 도어 날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도어 날개부 내측에 밀착되는 내측보강편과 도어 날개부 외측과 밀착되며 적어도 내측보강편(11)보다 폭이 넓은 외측보강편(12)이 일체화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보강편에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도어 날개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은 도어용 브라켓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도어 방향으로 설치편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보강편에는 프레임용 브라켓의 설치편과 대응되게 절개부가 형성된다.
이는 도어 방향으로 설치편에 형성되어 도어용 브라켓으로 덮히게 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으로 분리가 어렵고, 내측보강편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하여 설치편과 도어용 브라켓 간에 간섭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외측보강편의 폭은 도어용 손잡이에 따라 가변구성되고, 프레임용 브라켓의 폭 또한 설치장소 및 환경에 따라 가변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은 도어용 브라켓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더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어 날개부에 설치된 도어 브라켓에 의하여 강성이 향상되고,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프레임용 브라켓에 의하여 도어 브라켓에 불법도구가 들어가는 지연 및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외부에서 침입하기 위하여 불법도구를 사용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 해제작업이 거의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방범능력을 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프레임용 브라켓을 고정하는 체결부재 및 고정수단이 침입자들에게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도어 프레임에서 프레임용 브라켓을 분리할 수 없게 되어 방범능력을 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 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고안의 방화문용 방범장치(A)는 크게 도어(방화문)(1)에 설치되는 도어용 브라켓(10)과, 도어 프레임(2)에 설치되는 프레임용 브라켓(20)으로 구성되어, 불법도구(노루발장도리 등)에 의하여 잠금장치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용 브라켓(10)의 주목적은 도어(1)의 날개부(1a)에 설치되어 불법도구(노루발장도리 등)에 의하여 쉽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20)의 주목적은 도어용 브라켓(10)에 불법도구(노루발장도리 등)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도어용 브라켓(10)은 소정의 길이로 제작되어 도어(1)의 날개부(1a)에 체결부재(피스,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로 고정설치되어 날개부(1a)의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불법도구(노루발장도리 등)를 날개부(1a)에 삽입하여 힘을 가할 경우 도어용 브라켓(10)이 설치된 부분에서 휘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20)은 도어용 브라켓(10)에 대응되게 도어 프레임(2)에 설치되어 불법도구(노루발장도리 등)가 도어용 브라켓(10)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도어용 브라켓(10)과 도어 프레임(2)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 사이로 삽입(들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도어용 브라켓(10)은 도 4와 같이 금속판을 절곡하여 소정의 길 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절곡되어 도어 날개부(1a)가 삽입되는 삽입홀(13)이 형성되고, 도어 날개부(1a) 내측에 밀착되는 내측보강편(11)과 도어 날개부(1a) 외측과 밀착되는 외측보강편(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보강편(11)에는 보통 다수개의 체결부재(15)용 관통홀(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도어용 브라켓(10)은 도 7과 같이 삽입홀(13)에 도어(1)의 도어 날개부(1a)를 삽입하고, 체결부재(15)를 이용하여 도어용 브라켓(10)을 도어(1)에 고정설치한다.
상기 체결부재(15)는 도면과 같이 피스(나사못)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도어용 브라켓(10)의 내측보강편(11)은 도어 날개부(1a)의 폭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거의 일정하나,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보강편(12)의 폭은 설치장소 및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외측보강편(12)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도어 손잡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외측보강편(12)의 폭을 넓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외측보강편(12)의 폭은 도 4와 같이 최소한 내측보강편(11)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도어용 브라켓(10)에 대응되게 도어 프레임(2)에 설치되며, 보통 도어용 브라켓(10)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 된다.
도 5와 도 6과 같이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20)은 도어 프레임(2)에 체결부재(피스, 접착제, 양면 테이프 등)로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고정블럭(21)과, 상기 고정블럭(21)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고정블럭(21)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2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럭(21)과 브라켓(25) 사이에는 고정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블럭(21)의 양측면에 형성된 설치용 홈(22)과, 상기 설치용 홈(22)에 대응되게 브라켓(25)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고정돌기(26)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용 홈(22)은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설치용 홈(22)과 브라켓(25)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고정돌기(26)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위치의 불일치에 의하여 결합이 안 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돌기(26)에는 도 6과 같이 삽입방향(고정블럭(21)이 삽입되는 개구부 쪽)으로 경사면(27)이 형성되어 고정블럭(21)에 브라켓(25)의 설치를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프레임용 브라켓(20)은 도 7과 같이 도어(1)의 도어 날개부(1a)에 설치된 도어 브레켓(10)에 대응되게 도어 프레임(2)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브레켓(10)에 불법도구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20)은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도어 브레켓(10) 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높이(h) 만큼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화문용 방범장치(A)는 크게 도어(방화문)(1)에 설치되는 도어용 브라켓(10)과, 도어 프레임(2)에 설치되는 프레임용 브라켓(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용 브라켓(10)은 도어 날개부(1a)가 삽입되는 삽입홀(13)과, 도어 날개부(1a) 내측에 밀착되는 내측보강편(11)과 도어 날개부(1a) 외측과 밀착되는 외측보강편(1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금속판을 절곡하여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도 9와 같이 상기 내측보강편(11)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부(18)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20)은 도어용 브라켓(10)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도어 프레임(2)에 고정설치하도록 도어(1) 방향으로 절곡되어 설치편(28)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편(28)은 도 9와 도 10과 같이 도어용 브라켓(10)에 형성된 절개부(18)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편(28)에 체결부재인 피스(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용 브라켓(20)을 도어 프레임(2)에 고정설치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방화문용 방범장치(A)의 프레임용 브라켓(20)이 도 11과 같이 설치편(28)에 피스(나사못)을 이용하여 도어 프레임(2)에 고정설치되어도 도 12와 같이 도어용 브라켓(10)의 내측보강편(11)에 형성된 절개부(18)에 의하여 간섭현상을 받지않으며, 도어용 브라켓(10)에 의하여 설치편(28)이 노출 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불법적으로 프레임용 브라켓(20)을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20)은 도 13과 같이 설치편(28)이 형성되도록 간단하게 금속판을 절곡하여 그 단면이 'L'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방화문용 방범장치의 설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방화문용 방범장치의 도어용 브라켓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방화문용 방범장치의 프레임용 브라켓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방화문용 방범장치의 프레임용 브라켓에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방화문용 방범장치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방화문용 방범장치의 도어용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방화문용 방범장치의 설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난 방화문용 방범장치의 구성도.
도 11와 도 12는 도 9에 나타난 방화문용 방범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도 9에 나타난 방화문용 방범장치의 프레임용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도어 프레임
10 : 도어용 브라켓 11 : 내측보강편
12 : 외측보강편 13 : 삽입홀
18 : 절개부
20 : 프레임용 브라켓 21 : 고정블럭
22 : 설치용 홈 25 : 브라켓
26 : 고정돌기 28 : 설치편

Claims (7)

  1. 방화문 도어에 형성된 도어 날개부(1a)를 보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어용 브라켓(10)과;
    상기 도어용 브라켓(10)에 대응되게 도어 프레임(2)에 설치되는 프레임용 브라켓(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20)은 도어 프레임(2)에 고정설치되고, 양측면에 설치용 홈(22)이 형성된 고정블럭(21)과; 상기 고정블럭(21)의 설치용 홈(2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6)가 내측에 형성된 브라켓(25)으로 구성되고, 도어용 브라켓(10)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방범장치.
  2. 방화문 도어에 형성된 도어 날개부(1a)를 보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어용 브라켓(10)과;
    상기 도어용 브라켓(10)에 대응되게 도어 프레임(2)에 설치되는 프레임용 브라켓(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용 브라켓(10)은 도어 날개부(1a)가 삽입되는 삽입홀(13)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도어 날개부(1a) 내측에 밀착되는 내측보강편(11)과 도어 날개부(1a) 외측과 밀착되며 적어도 내측보강편(11)보다 폭이 넓은 외측보강편(12)이 일체화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보강편(11)에 체결부재(15)를 사용하여 도어 날개부(1a)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20)은 도어용 브라켓(10)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도어(1) 방향으로 설치편(28)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보강편(11)에는 프레임용 브라켓(20)의 설치편(28)과 대응되게 절개부(1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방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브라켓(1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구성되며, 도어 날개부(1a)가 삽입되는 삽입홀(13)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도어 날개부(1a) 내측에 밀착되는 내측보강편(11)과 도어 날개부(1a) 외측과 밀착되며 적어도 내측보강편(11)보다 폭이 넓은 외측보강편(12)이 일체화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보강편(11)에 체결부재(15)를 사용하여 도어 날개부(1a)에 고정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방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26)에는 설치가 용이하도록 삽입방향으로 경사면(2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방범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강편(12)의 폭은 도어용 손잡이에 따라 가변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방범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용 브라켓(20)은 도어용 브라켓(10)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더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방범장치.
  7. 삭제
KR20090008746U 2009-07-07 2009-07-07 방화문용 방범장치 KR200447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8746U KR200447069Y1 (ko) 2009-07-07 2009-07-07 방화문용 방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8746U KR200447069Y1 (ko) 2009-07-07 2009-07-07 방화문용 방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069Y1 true KR200447069Y1 (ko) 2009-12-22

Family

ID=4608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8746U KR200447069Y1 (ko) 2009-07-07 2009-07-07 방화문용 방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0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88Y1 (ko) * 2011-06-08 2012-03-13 정종환 출입문용 무단침입 방지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311A (en) 1976-04-16 1978-12-19 Sushan Frank M Door jamb guard
KR200397197Y1 (ko) * 2005-06-11 2005-09-29 이용화 강화문용 안전브라켓
KR20070013202A (ko) * 2006-05-08 2007-01-30 이장근 도어 파손 방지 방화문
KR100907799B1 (ko) 2009-02-17 2009-07-15 유수형 출입문용 무단침입 방지기구 및 이를 이용한 경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311A (en) 1976-04-16 1978-12-19 Sushan Frank M Door jamb guard
KR200397197Y1 (ko) * 2005-06-11 2005-09-29 이용화 강화문용 안전브라켓
KR20070013202A (ko) * 2006-05-08 2007-01-30 이장근 도어 파손 방지 방화문
KR100907799B1 (ko) 2009-02-17 2009-07-15 유수형 출입문용 무단침입 방지기구 및 이를 이용한 경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88Y1 (ko) * 2011-06-08 2012-03-13 정종환 출입문용 무단침입 방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9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inforcing door jambs
KR101370516B1 (ko) 유리문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770277B1 (ko) 도어유닛
KR200447069Y1 (ko) 방화문용 방범장치
KR100693352B1 (ko) 도어 자석 스토퍼
US20080110218A1 (en) Shutter Assembly With Sliding T-Lock
KR100924624B1 (ko)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
KR101024304B1 (ko) 출입문용 안전 고리
KR200421490Y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100737824B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200397843Y1 (ko) 조립식 문틀 구조
KR20090007126U (ko) 침입 방지용 현관문 보조 기구
KR100656274B1 (ko) 모티스록 고정장치
KR20150056969A (ko)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KR20090046755A (ko)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KR20100052719A (ko) 문의 측면 마감부재
US20040164565A1 (en) Door strike and method therefor
KR20130086419A (ko) 보안형 방화문
KR200458588Y1 (ko) 출입문용 무단침입 방지기구
JP3224740U (ja) 補助錠
KR101333647B1 (ko) 현관문용 침입방지장치
KR101816167B1 (ko) 벌레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프레임
KR200390363Y1 (ko) 도어 파손 방지 장치
US20140319856A1 (en) Angled security plate
KR100318694B1 (ko) 문선고정용 문선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