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969A -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 Google Patents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969A
KR20150056969A KR1020130139687A KR20130139687A KR20150056969A KR 20150056969 A KR20150056969 A KR 20150056969A KR 1020130139687 A KR1020130139687 A KR 1020130139687A KR 20130139687 A KR20130139687 A KR 20130139687A KR 20150056969 A KR20150056969 A KR 2015005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ocking
crescent
fixing
lock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8856B1 (ko
Inventor
최재혁최재혁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최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혁 filed Critical 최재혁
Priority to KR102013013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85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만큼 창문이 열려지도록 하여 실내 환기를 효과적으로 시킴과 아울러 창문이 열려진 상태에서 잠금기능을 배가시켜 외부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Locking apparatus windows for crescent}
본 발명은 크리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개선된 크리센트를 설치하여 창문을 환기효과를 기대함과 아울러 창문이 열려진 상태에서 잠금기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창호 잠금 장치용 크리센트 브라켓은 창짝 또는 문짝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몸체와, 몸체의 끝단에서 몸체 내부를 향해 굽힘되어 크리센트의 잠금부와 맞물리는 고리부를 포함하며, 몸체로부터 걸림쇠가 몸체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크리센트와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크리센트 브라켓은 몸체의 내부를 향해 걸림쇠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잠금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지만, 일정한 힘을 가해 내부,외부 창짝을 잡아당기면서 이격된 틈새로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몸체의 걸림쇠를 바깥쪽으로 꺽을 수 있어 몸체의 걸림쇠의 기능이 상실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창문용 크리센트는 창문(1)의 수직프레임(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반원형의 결속부(11a)가 형성된 잠금레버(11)와, 상기 결속부(11a)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2)를 포함하는 창문용 크리센트(10)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2)는 일측방향으로 상기 잠금레버(11)의 결속부(11)가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되는 걸이부(12a)(12b)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12a)(12b)의 간격은 창문(1)의 개방되는 길이에 따라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잠금레버를 고정구에 마련된 2개의 걸이부에 선택적으로 결속함으로서 일반적인 잠금작용과, 또는 통풍을 이루면서 잠금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창문용 크리센트는 고정구에 마련된 2개의 걸이부를 선택적으로 결속함에 있어, 집이나 사무실 등을 비우게 되는 상황에서 통풍을 필요로 하는 경우,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고정구에 2번째 걸이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정구가 길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 고정구의 2번째 걸이구에 걸려진 상태에서 열려진 창문을 안쪽으로 밀거나 잡아당기면 고정구의 휨현상이 발생되어 잠금레버의 결속부가 고정구의 걸이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701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1639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만큼 창문이 열려지도록 하여 실내 환기를 효과적으로 시킴과 아울러 창문이 열려진 상태에서 잠금기능을 배가시켜 외부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크리센트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리로 이루어진 제1,2창문과; 상기 제1창문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창문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로 이루어진 제1크리센트와; 상기 제1창문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창문의 유리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벤딩된 양측 절곡면과,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제2잠금부를 고정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된 막음판을 포함하는 제2고정부로 이루어진 제2크리센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크리센트는 제1,2창문에 일정간격을 두고 제2크리센트를 설치하여 환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창문이 열려진 상태에서 창문의 잠금이 한층 더 견고하게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침입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종래의 창호 잠금 장치용 크리센트 브라켓을 보인 간략도,
도 3,4은 종래의 창문용 크리센트를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리센트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리센트의 고정부를 보인 사시도,
도 7a,b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리센트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리센트는 수직프레임(101)과 수평프레임(102)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및 수평프레임(101,102)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리(150)로 이루어진 제1,2창문(100,110)과; 상기 제1창문(100)의 수직프레임(101)에 설치되는 제1잠금부(121)와, 상기 제2창문(110)의 수직프레임(111)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122)로 이루어진 제1크리센트(120)와; 상기 제1창문(100)의 수직프레임(101)에 설치되는 제2잠금부(131)와, 상기 제2잠금부(13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창문(110)의 수평프레임(112)과 유리(150) 사이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140)를 포함하는 제2크리센트(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크리센트(120)의 제1고정부(122)와 제1,2잠금부(121,131)는 통상적인 구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제2크리센트(130)의 제2고정부(140)는 뼈다귀 또는 나비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제2고정부(144)는 제2창문(110)의 유리(150)와 수평프레임(112)에 구비되는 고정판(141)과, 상기 고정판(141)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벤딩된 양측 절곡면(142)과, 일측면 중앙에 서로 대응되게 걸림편(143)과 막음판(144)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143)은 고정판(141)의 일부를 따내어 대략 'ㄷ' 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막음판(144)은 고정판(141)의 일부를 따내어 원 또는 타원, 사각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143)과 막음판(144)은 2개가 한조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판(141)에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편(143)과 막음판(144)은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창문이 열리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잠금부(131)의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절곡면(142)에는 제2창문(110)의 수평프레임(112)에 고정수단이 결합되도록 결합공(14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41)은 유리(150)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상기 제2창문(110)의 유리(150)와 수평프레임(112)에 제2고정부(140)를 위치시켜 상기 제1창문(100)이 열려지는 간격을 정한 후, 고정수단을 결합공(145)에 삽입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12)에 고정함과 아울러 접착제에 의해 유리(150)에 고정판(141)을 설치한다. 이어 상기 제2고정부(140)의 걸림편(143)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2잠금부(131)를 상기 제1창문(100)의 수직프레임(101)에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제1크리센트(120)의 잠금을 해지하고, 상기 제1창문(100)을 잡아당기면 제1창문(100)이 이동되며 상기 제1창문(100)에 설치된 제2잠금부(131)의 잠금레버(132)를 돌리면 잠금레버(132)의 잠금편(133)이 도 7a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140)의 안쪽 걸림편(143)에 결합,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제2창문(110)의 유리(150)와 수평프레임(112)에 상기 제2고정부(140)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제1창문(100)을 강제로 열더라도 상기 제2고정부(140)와 제2잠금부(131)의 잠김이 손쉽게 해지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창문(100)이 소정간격으로 열려진 상태로서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침입하고 하는 자가 상기 제1,2창문(100,110) 틈새로 드라이버 등을 넣어 상기 제2잠금부(131)를 잠금을 해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2창문(100,110)의 틈새로 드라이버를 넣어도 도 7a,b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140)의 바깥쪽 걸림편(143)과 막음판(144)에 의해 드라이버 등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제2고정부(140)의 안쪽 막음판(144)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제2고정부(140)의 바깥쪽 걸림편(143)과 막음판(144)을 제거하지 않고는 안쪽 걸림편(143)을 제거할 수 없는 것으로 외부로 부터 침입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크리센트(130)는 제1,2창문(100,1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1,2창문(100,110)이 유동되는 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창문이 열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1,2창문(100,110) 사이의 간격이 넓어 외부에서 드라이버 등을 넣어 상기 제2잠금부(131)를 해지하기 어려운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130: 제2크리센트 140: 제2고정부
141: 고정판 142: 절곡면
143: 걸림편 144: 막음판

Claims (3)

  1. 수직프레임(101)과 수평프레임(102)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및 수평프레임(101,102)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리(150)로 이루어진 제1,2창문(100,110)과;
    상기 제1창문(100)의 수직프레임(101)에 설치되는 제1잠금부(121)와, 상기 제2창문(110)의 수직프레임(111)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122)로 이루어진 제1크리센트(120)와;
    상기 제1창문(100)의 수직프레임(101)에 설치되는 제2잠금부(131)와, 상기 제2잠금부(13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창문(110)의 유리(150)에 고정되는 고정판(141)과, 상기 제2창문(110)의 수평프레임(112)에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판(141)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벤딩된 양측 절곡면(142)과, 상기 고정판(141)의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제2잠금부(131)를 고정되는 걸림편(143)과, 상기 걸림편(143)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된 막음판(144)을 포함하는 제2고정부(140)로 이루어진 제2크리센트(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41)에는 2개가 한조인 걸림편(143)과 막음판(144)이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143)과 막음판(144)은 고정판(141)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KR1020130139687A 2013-11-18 2013-11-18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KR101538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87A KR101538856B1 (ko) 2013-11-18 2013-11-18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87A KR101538856B1 (ko) 2013-11-18 2013-11-18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969A true KR20150056969A (ko) 2015-05-28
KR101538856B1 KR101538856B1 (ko) 2015-07-24

Family

ID=5339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687A KR101538856B1 (ko) 2013-11-18 2013-11-18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8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915A (ko) * 2019-12-11 2021-06-21 양태희 창문 잠금장치
US20220112745A1 (en) * 2020-10-14 2022-04-14 Emtek Products, Inc. Privacy Lock And Flush Pull With Integrated Strike Lockse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013U (ko) * 1998-12-30 1999-03-25 류근요 샤시창문의 걸림구
KR200313493Y1 (ko) * 2003-02-14 2003-05-16 임병학 창문의 환기용 걸림고리부재
KR200316701Y1 (ko) * 2003-03-28 2003-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 잠금 장치용 크리센트 브라켓
KR200381639Y1 (ko) * 2005-01-27 2005-04-14 강대업 창문용 크리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915A (ko) * 2019-12-11 2021-06-21 양태희 창문 잠금장치
US20220112745A1 (en) * 2020-10-14 2022-04-14 Emtek Products, Inc. Privacy Lock And Flush Pull With Integrated Strike Lock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856B1 (ko) 201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342Y1 (ko) 창문형 에어컨 보조 창문 틀
US20140186103A1 (en) Connection System For Meeting Rail Of Window
KR101538856B1 (ko)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KR20140023725A (ko) 유리문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및 이의 설치방법
US20110132556A1 (en) Curtain frame
KR101478309B1 (ko) 멀티 창호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668607B1 (ko) 에너렉스 자동도어
US11228167B2 (en) Adjustable insert system for wall-mounted enclosures
US20090300990A1 (en) Shutter assembly with latch mechnism and catch plate
KR101754956B1 (ko) 방범방충창
KR101579526B1 (ko) 창호용 손잡이
KR101211696B1 (ko) 문틀 결합구조
KR101562619B1 (ko) 창짝 프레임 이탈 방지 부재를 갖는 미닫이 창호 장치
JP6933932B2 (ja) カーテンレール用ブラケットの取り付け方法
JP6749833B2 (ja) 建具
KR20160020856A (ko) 방범방충창
JP2008008035A (ja) 引戸サッシ
KR101561266B1 (ko) 방범방충창
KR20150118313A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KR102595301B1 (ko)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KR102429191B1 (ko) 창호
JPS6022218Y2 (ja) 多本格子引戸の構造
KR200447069Y1 (ko) 방화문용 방범장치
JP3155232U (ja) サッシ窓
KR20130142385A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미닫이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