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301B1 -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301B1
KR102595301B1 KR1020230008351A KR20230008351A KR102595301B1 KR 102595301 B1 KR102595301 B1 KR 102595301B1 KR 1020230008351 A KR1020230008351 A KR 1020230008351A KR 20230008351 A KR20230008351 A KR 20230008351A KR 102595301 B1 KR102595301 B1 KR 102595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top
window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미숙
Original Assignee
(주)중앙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중앙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3000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60)에 고정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내측에 내외측가이드레일(11,12)을 갖는 창문틀프레임(10)과, 중앙투명창(2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22,23)과 중앙창문좌우측단프레임(24,25)을 각각 갖고 정면에서 볼 때 창문틀프레임(10) 중심측에서 외측가이드레일(12)에 고정설치되는 중앙고정창틀(20)과, 좌측투명창(3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좌측창문상하단프레임(32,33)과 좌측창문좌우측단프레임(34,35)을 각각 갖고 창문틀프레임(10) 좌측에서 내측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좌측이동창틀(30)과, 우측투명창(4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우측창문상하단프레임(42,43)과 우측창문좌우측단프레임(44,45)을 각각 갖고 창문틀프레임(10) 우측에서 내측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우측이동창틀(40)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창문틀에 있어서, 상기 중앙고정창틀(20)의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22,23) 실내측면 중심부에 좌우측으로 일정간격 다수개의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가 각각 외부측으로 요부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이동창틀(30,40)의 좌측창문우측단프레임(35)과 우측창문좌측단프레임(44)의 상하단우측면과 좌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박스체로 내측면에 개방부(51)가 각각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 실내측 연장선상에서 선단이 반원을 이루는 봉형상으로 선단이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에 각각 삽입걸림되는 스톱바(52)가 실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스톱작동공(53a)을 갖는 스톱지지관(53)이 각각 형성되데, 스톱작동공(53a)은 스톱지지관(53)의 실외측에 통공형성되고, 스톱지지관(53)의 실내측에는 탄발스프링(54)이 위치되는 스프링작동공(53b)이 각각 형성되며, 스톱바(52) 외주연에는 스프링작동공(53a) 내에 위치되어 탄발스프링(54)의 탄성에 의해 스톱작동공(53a)측으로 밀착되는 스프링돌부(52a)가 각각 형성되고, 수직기립된 투명판체로 개방부(51) 내측단부에 좌우측단만이 고정결합되면서 내측면은 스톱지지관(53) 내측선단과 밀착되며 탄발스프링(54) 선단을 지지하면서 스톱바(52) 선단부가 내측으로 삽입통과되는 바공(55a)을 갖는 작동지지판(55)이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형상의 프레임으로 작동지지판(55)에 끼움결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하단걸림돌부(56a,56b)를 갖고 외측면에 손잡이(56c)를 갖으며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바공(55a)을 개폐시키는 잠금해제작동판(56)이 각각 형성되는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50a)와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b,50c)를 구비하는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창문의 열려있는 부분을 통해서 기구를 이용하더라도 손쉽게 창문을 개방할 수 없어 창문이 조금 열려 있는 경우에도 내부 침입이 불가능하여 도난 및 안전사고의 염려가 전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Interior stop device for window frame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고정창틀의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의 다수개 상하단반원걸림요부와 상하단반원걸림요부에 걸림고정되는 스톱바를 갖는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와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를 각각 구비하여, 잠금해제작동판을 작동지지판 상하단에서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바공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좌우측이동창틀을 이동시키면, 스톱바가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의 다수개 상하단반원걸림요부를 벗어나면서 바공을 통해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좌우측이동창틀이 손쉽게 슬라이딩 이동되며, 잠금해제작동판을 이동시켜 작동지지판의 바공을 폐쇄시키면, 스톱바가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의 다수개 상하단반원걸림요부에 고정되어 좌우측이동창틀이 잠김 고정됨에 따라 외부에서 창문의 열려있는 부분을 통해서 기구를 이용하더라도 손쉽게 창문을 개방할 수 없어 창문이 조금 열려 있는 경우에도 내부 침입이 불가능하여 도난 및 안전사고의 염려가 전혀 없는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등 건축물에는 환기와 채광을 위한 창호 시스템이 설치되고, 창호시스템은 창문틀과 창문으로 구분된다.
창문틀은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여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고, 창문틀은 2개 1조인 수평 문틀과 수직 문틀이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한편, 내부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다.
창문은 창문틀과 동일 재질로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창문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2개 1조인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각 프레임 내측에 유리가 결합되어 프레임과 유리가 일체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즉, 창문틀에는 다수개의 창문이 설치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 구조로, 창문에는 측면에 잠금쇠가 힌지회동되어 결합 및 해제되도록 설치된다.
그에 따라, 창문을 여는 경우 잠금쇠를 해제하여 내부 공간에 대한 환기를 하고, 창문을 닫는 경우 잠금쇠를 결합하여 잠금하게 된다.
그러나,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창문을 열고 외출하는 경우, 저층 세대인 경우 창문을 통해 도둑이 침입하여 도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세대에 거주자가 있는 경우에는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평 또는 수직 문틀이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창문틀의 가이드 레일에 창문이 밀착되어 개폐되고 상부수평 문틀의 하부에 톱니가 형성된 레일이 형성되며, 톱니에 스톱퍼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밀착되고 스톱퍼에 지지 수단이 결합되어 창문의 문틀 외측으로 노출된 손잡이에 의해 고정 및 해제 작동되도록 구성된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구조에 있어서, 상부 수평 문틀(100)에는 하부 창문(200)이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레일(110)에 톱니(112)가 형성되고, 상,하부 수평 문틀(100)(100') 사이에 설치되는 창문(200)의 좌측 또는 우측 의 수직 프레임(210)에는 일측에 스톱 장치틀(220)이 형성되며, 스톱 장치틀(220)은 창문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210)의 일측에 일체로 제작되고, 박스형으로 길이방향 전방이 오픈되며, 길이방향 상부에 브래킷 설치홀(221)이 형성되고, 전방이 오픈된 모서리 위치에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중앙에 원형홈(224)을 가지는 보강 리브(223)가 형성되며, 상부의 사각 모서리에 나사홀(222)이 형성되며, 브래킷(300)은 T자형 형태의 몸체(310) 중앙을 절개하여 중앙이 단턱이 형성되고, 브래킷 설치홀(221)에 몸체(310)가 삽입되어 양측 수평판1,2(320)(330)의 모서리에 형성된 나사홀(332)에 체결 나사(550)를 관통시켜 고정되며, 몸체(310) 상부에 연결 고리부(340)가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몸체(310)에 다른 나사홀(332')이 형성되며, 몸체(310)의 연결 고리부(340) 사이에 스톱퍼(500)가 힌지핀(350)으로 체결되며, 판 스프링(400)은 브래킷(300)의 나사홀(332')에 체결 나사(550')로 체결되고, 판(PLATE)을 수평, 수직 및 사면으로 절곡하여 제작되는 일체형 부재로, 수평판부에 나사홀(412)이 형성되며, 스톱퍼(5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로, 일측 하부에 강선 홀(512)이 형성된 강선 연결구(510)가 돌출되고, 타측에 핀홀(342)이 형성되며, 스톱퍼(500)의 강선 연결구(510)와 가이드 대(700)의 연결 고리부(710)에 원형 밴드로 강선(600)이 고정되며, 가이드 대(700)는 원통형 형태로 상부에 연결 고리부(7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부 내측으로 볼트홀(720)이 형성되며, 연결 고리부(710)에 강선홀(712)이 형성되며, 손잡이(800)는 가이드 대(700)의 볼트홀(720)에 채널 상부에 수직하게 돌출된 볼트(810)가 결합되며, 덮개판(900)은 판재의 모서리 위치에 각각 체결홀(910)이 형성되고, 판재의 길이방향 중앙 하부위치에 돌출 박스(920)가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 박스(920)에 손잡이 홈(922)과 가이드 홈(9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구조."가 특허등록 제10-0624168호(2006.09.13. 공고)로 개신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구조는, 내부에서는 손잡이와 연결된 강선, 스톱퍼 및 판 스프링이 연속적으로 작동되어 창문을 개폐할 수 있지만, 외부에서는 창문이 열려있는 경우에도 내부 침입이 불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나, 외부에서 창문의 열려있는 부분을 통해서 갈고리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내부의 손잡이(800)를 조금만 잡아 당기면 창문이 쉽게 개방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어 창문을 통한 도난의 우려가 많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24168호(2006.09.13.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고정창틀의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의 다수개 상하단반원걸림요부와 상하단반원걸림요부에 걸림고정되는 스톱바를 갖는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와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를 각각 구비하여, 잠금해제작동판을 작동지지판 상하단에서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바공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좌우측이동창틀을 이동시키면, 스톱바가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의 다수개 상하단반원걸림요부를 벗어나면서 바공을 통해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좌우측이동창틀이 손쉽게 슬라이딩 이동되며, 잠금해제작동판을 이동시켜 작동지지판의 바공을 폐쇄시키면, 스톱바가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의 다수개 상하단반원걸림요부에 고정되어 좌우측이동창틀이 잠김 고정됨에 따라 외부에서 창문의 열려있는 부분을 통해서 기구를 이용하더라도 손쉽게 창문을 개방할 수 없어 창문이 조금 열려 있는 경우에도 내부 침입이 불가능하여 도난 및 안전사고의 염려가 전혀 없는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60)에 고정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내측에 내외측가이드레일(11,12)을 갖는 창문틀프레임(10)과, 중앙투명창(2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22,23)과 중앙창문좌우측단프레임(24,25)을 각각 갖고 정면에서 볼 때 창문틀프레임(10) 중심측에서 외측가이드레일(12)에 고정설치되는 중앙고정창틀(20)과, 좌측투명창(3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좌측창문상하단프레임(32,33)과 좌측창문좌우측단프레임(34,35)을 각각 갖고 창문틀프레임(10) 좌측에서 내측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좌측이동창틀(30)과, 우측투명창(4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우측창문상하단프레임(42,43)과 우측창문좌우측단프레임(44,45)을 각각 갖고 창문틀프레임(10) 우측에서 내측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우측이동창틀(40)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창문틀에 있어서,
상기 중앙고정창틀(20)의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22,23) 실내측면 중심부에 좌우측으로 일정간격 다수개의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가 각각 외부측으로 요부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이동창틀(30,40)의 좌측창문우측단프레임(35)과 우측창문좌측단프레임(44)의 상하단우측면과 좌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박스체로 내측면에 개방부(51)가 각각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 실내측 연장선상에서 선단이 반원을 이루는 봉형상으로 선단이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에 각각 삽입걸림되는 스톱바(52)가 실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스톱작동공(53a)을 갖는 스톱지지관(53)이 각각 형성되데, 스톱작동공(53a)은 스톱지지관(53)의 실외측에 통공형성되고, 스톱지지관(53)의 실내측에는 탄발스프링(54)이 위치되는 스프링작동공(53b)이 각각 형성되며, 스톱바(52) 외주연에는 스프링작동공(53a) 내에 위치되어 탄발스프링(54)의 탄성에 의해 스톱작동공(53a)측으로 밀착되는 스프링돌부(52a)가 각각 형성되고, 수직기립된 투명판체로 개방부(51) 내측단부에 좌우측단만이 고정결합되면서 내측면은 스톱지지관(53) 내측선단과 밀착되며 탄발스프링(54) 선단을 지지하면서 스톱바(52) 선단부가 내측으로 삽입통과되는 바공(55a)을 갖는 작동지지판(55)이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형상의 프레임으로 작동지지판(55)에 끼움결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하단걸림돌부(56a,56b)를 갖고 외측면에 손잡이(56c)를 갖으며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바공(55a)을 개폐시키는 잠금해제작동판(56)이 각각 형성되는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50a)와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b,50c)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고정창틀의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의 다수개 상하단반원걸림요부와 상하단반원걸림요부에 걸림고정되는 스톱바를 갖는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와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를 각각 구비하여, 잠금해제작동판을 작동지지판 상하단에서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바공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좌우측이동창틀을 이동시키면, 스톱바가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의 다수개 상하단반원걸림요부를 벗어나면서 바공을 통해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좌우측이동창틀이 손쉽게 슬라이딩 이동되며, 잠금해제작동판을 이동시켜 작동지지판의 바공을 폐쇄시키면, 스톱바가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의 다수개 상하단반원걸림요부에 고정되어 좌우측이동창틀이 잠김 고정됨에 따라 외부에서 창문의 열려있는 부분을 통해서 기구를 이용하더라도 손쉽게 창문을 개방할 수 없어 창문이 조금 열려 있는 경우에도 내부 침입이 불가능하여 도난 및 안전사고의 염려가 전혀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의 장금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의 개방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의 잠금상태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의 개방상태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는, 벽체(60)에 고정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내측에 내외측가이드레일(11,12)을 갖는 창문틀프레임(10)과, 중앙투명창(2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22,23)과 중앙창문좌우측단프레임(24,25)을 각각 갖고 정면에서 볼 때 창문틀프레임(10) 중심측에서 외측가이드레일(12)에 고정설치되는 중앙고정창틀(20)과, 좌측투명창(3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좌측창문상하단프레임(32,33)과 좌측창문좌우측단프레임(34,35)을 각각 갖고 창문틀프레임(10) 좌측에서 내측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좌측이동창틀(30)과, 우측투명창(4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우측창문상하단프레임(42,43)과 우측창문좌우측단프레임(44,45)을 각각 갖고 창문틀프레임(10) 우측에서 내측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우측이동창틀(40)과, 상기 좌우측이동창틀(30,40)을 잠금상태 유지 및 해제시키는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50a) 및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b,50c)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고정창틀(20)의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22,23) 실내측면 중심부에는, 좌우측으로 일정간격 다수개의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가 각각 외부측으로 요부형성된다.
상기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50a) 및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b,50c)는, 상기 좌우측이동창틀(30,40)의 좌측창문우측단프레임(35)과 우측창문좌측단프레임(44)의 상하단우측면과 좌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박스체로 내측면에 개방부(51)가 각각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 실내측 연장선상에서 선단이 반원을 이루는 봉형상으로 선단이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에 각각 삽입걸림되는 스톱바(52)가 실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스톱작동공(53a)을 갖는 스톱지지관(53)이 각각 형성되데, 스톱작동공(53a)은 스톱지지관(53)의 실외측에 통공형성되고, 스톱지지관(53)의 실내측에는 탄발스프링(54)이 위치되는 스프링작동공(53b)이 각각 형성되며, 스톱바(52) 외주연에는 스프링작동공(53a) 내에 위치되어 탄발스프링(54)의 탄성에 의해 스톱작동공(53a)측으로 밀착되는 스프링돌부(52a)가 각각 형성되고, 수직기립된 투명판체로 개방부(51) 내측단부에 좌우측단만이 고정결합되면서 내측면은 스톱지지관(53) 내측선단과 밀착되며 탄발스프링(54) 선단을 지지하면서 스톱바(52) 선단부가 내측으로 삽입통과되는 바공(55a)을 갖는 작동지지판(55)이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형상의 프레임으로 작동지지판(55)에 끼움결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하단걸림돌부(56a,56b)를 갖고 외측면에 손잡이(56c)를 갖으며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바공(55a)을 개폐시키는 잠금해제작동판(56)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중앙고정창틀(20)의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22,23)의 다수개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와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에 걸림고정되는 스톱바(52)를 갖는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b,50c)와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50a)를 각각 구비하여, 실내측에서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b,50c)와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50a)의 잠금해제작동판(56)을 작동지지판(55) 상하단에서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바공(55a)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좌우측이동창틀(30,40)을 내측가이드레일(11)상에서 이동시키면, 스톱바(52) 외측선단이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22,23)의 다수개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를 벗어나면서 바공(55a)을 통해 내측선단부가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좌우측이동창틀(30,40)이 손쉽게 내측가이드레일(11)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실내측에서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b,50c)와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50a)의 잠금해제작동판(56)을 이동시켜 작동지지판(55)의 바공(55a)을 폐쇄시키면, 스톱바(52)가 잠금해제작동판(56)과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22,23)의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 사이에서 고정되어 좌우측이동창틀(30,40)이 잠김 고정됨에 따라, 외부에서 창문의 열려있는 부분을 통해서 기구를 이용하더라도 손쉽게 창문을 개방할 수 없어 창문이 조금 열려 있는 경우에서도 내부 침입이 불가능하여 도난 및 안전사고의 염려가 전혀 없게 된 상태에서 실내환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창문틀프레임
20 : 중앙고정창틀
30 : 좌측이동창틀
40 : 우측이동창틀
50,50a :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
50b,50c :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
60 : 벽체

Claims (1)

  1. 벽체(60)에 고정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내측에 내외측가이드레일(11,12)을 갖는 창문틀프레임(10)과, 중앙투명창(2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22,23)과 중앙창문좌우측단프레임(24,25)을 각각 갖고 정면에서 볼 때 창문틀프레임(10) 중심측에서 외측가이드레일(12)에 고정설치되는 중앙고정창틀(20)과, 좌측투명창(3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좌측창문상하단프레임(32,33)과 좌측창문좌우측단프레임(34,35)을 각각 갖고 창문틀프레임(10) 좌측에서 내측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좌측이동창틀(30)과, 우측투명창(41)을 사방에서 감싸 고정설치하는 우측창문상하단프레임(42,43)과 우측창문좌우측단프레임(44,45)을 각각 갖고 창문틀프레임(10) 우측에서 내측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우측이동창틀(40)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창문틀에 있어서,
    상기 중앙고정창틀(20)의 중앙창문상하단프레임(22,23) 실내측면 중심부에 좌우측으로 일정간격 다수개의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가 각각 외부측으로 요부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이동창틀(30,40)의 좌측창문우측단프레임(35)과 우측창문좌측단프레임(44)의 상하단우측면과 좌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박스체로 내측면에 개방부(51)가 각각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 실내측 연장선상에서 선단이 반원을 이루는 봉형상으로 선단이 상하단반원걸림요부(22a,23a)에 각각 삽입걸림되는 스톱바(52)가 실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스톱작동공(53a)을 갖는 스톱지지관(53)이 각각 형성되데, 스톱작동공(53a)은 스톱지지관(53)의 실외측에 통공형성되고, 스톱지지관(53)의 실내측에는 탄발스프링(54)이 위치되는 스프링작동공(53b)이 각각 형성되며, 스톱바(52) 외주연에는 스프링작동공(53a) 내에 위치되어 탄발스프링(54)의 탄성에 의해 스톱작동공(53a)측으로 밀착되는 스프링돌부(52a)가 각각 형성되고, 수직기립된 투명판체로 개방부(51) 내측단부에 좌우측단만이 고정결합되면서 내측면은 스톱지지관(53) 내측선단과 밀착되며 탄발스프링(54) 선단을 지지하면서 스톱바(52) 선단부가 내측으로 삽입통과되는 바공(55a)을 갖는 작동지지판(55)이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형상의 프레임으로 작동지지판(55)에 끼움결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하단걸림돌부(56a,56b)를 갖고 외측면에 손잡이(56c)를 갖으며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바공(55a)을 개폐시키는 잠금해제작동판(56)이 각각 형성되는 우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50a)와 좌측상하단스톱작동박스(50b,50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KR1020230008351A 2023-01-19 2023-01-19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KR102595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351A KR102595301B1 (ko) 2023-01-19 2023-01-19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351A KR102595301B1 (ko) 2023-01-19 2023-01-19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301B1 true KR102595301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351A KR102595301B1 (ko) 2023-01-19 2023-01-19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3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98A (ko) * 2000-01-04 2001-07-23 김영수 개방된 미닫이 문의 잠금장치
KR100591881B1 (ko) * 2005-11-23 2006-06-22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건축물 창문틀 내부잠금구조
KR100624168B1 (ko) 2006-02-10 2006-09-13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구조
KR102268230B1 (ko) * 2020-10-28 2021-06-23 (주)한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KR102489096B1 (ko) * 2022-01-27 2023-01-17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98A (ko) * 2000-01-04 2001-07-23 김영수 개방된 미닫이 문의 잠금장치
KR100591881B1 (ko) * 2005-11-23 2006-06-22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건축물 창문틀 내부잠금구조
KR100624168B1 (ko) 2006-02-10 2006-09-13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구조
KR102268230B1 (ko) * 2020-10-28 2021-06-23 (주)한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KR102489096B1 (ko) * 2022-01-27 2023-01-17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678B1 (ko) 구조 변경이 용이한 창호장치
KR100624168B1 (ko)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구조
KR102595301B1 (ko)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JP3513439B2 (ja) 引き戸
KR100943028B1 (ko)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JP2015232218A (ja) サッシ
JP2018105103A (ja) 戸車及び建具
JP6647928B2 (ja) 建具
JP6749833B2 (ja) 建具
KR101583536B1 (ko)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
JP6652395B2 (ja) 建具と網戸の自走防止方法
JP6675034B2 (ja) 建具
KR100663700B1 (ko) 가구용 잠금장치
KR102107513B1 (ko) 공동주택의 외부침입을 예방하는 창호 구조물
JP7260152B2 (ja) 建具の付け枠構造
JP5580039B2 (ja) 引き戸用換気装置
JP2000120338A (ja) 引き戸
JP2007254963A (ja) 建具
JPS6035757Y2 (ja) 防犯扉
JP6035526B2 (ja) 門扉の配線構造
KR200200350Y1 (ko) 슬라이딩 창호의 잠금장치
JP2022074664A (ja) 内窓
JP2022074663A (ja) 内窓
JP2016089531A (ja) ガイドレール取付部材
JP2022118518A (ja) 後付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