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99Y1 - 창문 안전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안전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99Y1
KR200486599Y1 KR2020170005981U KR20170005981U KR200486599Y1 KR 200486599 Y1 KR200486599 Y1 KR 200486599Y1 KR 2020170005981 U KR2020170005981 U KR 2020170005981U KR 20170005981 U KR20170005981 U KR 20170005981U KR 200486599 Y1 KR200486599 Y1 KR 200486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ock
locking
key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선
Original Assignee
김봉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선 filed Critical 김봉선
Priority to KR2020170005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in the form of a crescent-shaped ca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96Springs actuated by c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 안전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열쇠를 사용해야만 창문의 잠금상태 해제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실내에서 어린이나 치매환자가 의도치 않게 창문을 여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창틀(100)에는 회동핸들(20)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부(10)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회동핸들(20)에는 걸림편(21)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창틀(100)과 대응되는 제2창틀(200)에는 걸림편(21)에 의한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가 제어되어지도록 걸림쇠(31)가 고정 구성된 창문 안전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핸들(20)에는 회동을 단속하기 위해 전면에 키홈(22a)이 형성된 자물쇠(22)가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자물쇠(22)에는 스프링(24)의 탄성작용에 의해 본체부(10)에 형성된 걸림홈(11a)에 걸려진 상태에서, 키홈(22a)에 열쇠(40)가 삽입되었을 상기 걸림홈(11a)으로 부터 이탈되어짐으로서 회동핸들(2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문 안전 잠금장치{WINDOW SAFETY LOCKING DEVICE}
본 고안은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의 개폐 단속이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창문을 통한 외부인 침입 및 의도치 않은 잠금 해제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기 위한 창문 안전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 주거용 주택은 물론 사무용 건물의 벽면에는 출입, 채광 및 환기를 위하여 건물의 크기와 형태에 맞추어 다수개의 창호(窓戶)가 설치된다.
한편, 건물에 미닫이 형태의 창호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통상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의 벽면에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 내주면에는 바닥면과 상부면에 레일(Rail)이 형성된 사각틀 형상의 창틀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창틀의 안쪽 바닥면과 상부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레일 사이에는 프레임에 유리나 투명의 합성수지패널이 끼워진 구조를 갖는 내외 한 쌍의 창문을 끼워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창호를 구성하는 내외측 각각의 창문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미닫이형태의 창호를 구성하는 창문의 경우 외부로 부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잠금장치가 설치되는데, 그 일 예로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2011-7765호에서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02818호에서는 외관을 미려하게 나타내어질 수 있는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94355호에서는 창문 잠금장치용 고리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창문 잠금장치는 내부에서 누구나 쉽게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치매환자가 있는 경우 의도치 않게 핸들을 돌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창문을 열게될 경우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창문 잠금장치의 손잡이 핸들 중앙에 자물쇠를 추가로 구성하여 키를 사용해야만 창문 잠금장치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제1창틀에는 회동핸들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부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회동핸들에는 걸림편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창틀과 대응되는 제2창틀에는 걸림편에 의한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가 제어되어지도록 걸림쇠가 고정 구성된 창문 안전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핸들에는 회동을 단속하기 위해 전면에 키홈이 형성된 자물쇠가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자물쇠에는 스프링의 탄성작용에 의해 본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진 상태에서, 키홈에 열쇠가 삽입되었을 상기 걸림홈으로 부터 이탈되어짐으로서 회동핸들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은 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 구성된 원통체의 내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원통체는 상기 자물쇠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창문 잠금장치는, 열쇠를 사용해야만 창문의 잠금상태 해제가 가능하게 됨으로 실내에서 어린이나 치매환자가 의도치 않게 창문을 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 장금장치 분리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의 창문 장금장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의 창문 잠금장치 설치상태 정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 창문 잠금장치의 본체부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창문 잠금장치의 본체부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의 스토퍼 부품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 창문 잠금장치의 본체부에 열쇠가 삽입된 상태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 창문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창문 잠금장치의 잠금해제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 본체부 단면 구조도.
도 11은 도 10의 A부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 안전 잠금장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창문 안전 잠금장치는, 제1창틀(100)에 회동핸들(20)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부(10)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회동핸들(20)에는 걸림편(21)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창틀(100)과 대응되는 제2창틀(200)에는 걸림편(21)에 의한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가 제어되어지도록 걸림쇠(31)가 구비된 걸림구(30)가 고정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회동핸들(20)에 회동 단속을 위해 전면에 키홈(22a)이 형성된 자물쇠(22)가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자물쇠(22)에는 스프링(24)의 탄성작용에 의해 본체부(10)에 형성된 걸림홈(11a)에 걸려진 상태에서, 키홈(22a)에 열쇠(4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11a)으로부터 이탈되어짐으로서 회동핸들(2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23)가 구비된다.
또한, 걸림홈(11a)은 본체부(1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 구성된 원통체(11)의 내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원통체(11)는 자물쇠(22)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자물쇠(22)의 일단부에는 본체부(10)로 부터 이탈 방지를 위한 록킹와셔(25)가 결합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에는 록킹와셔(2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격벽(12)이 일정 높이로 구성된다.
또한, 스토퍼(23)는 스프링(24)의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는 돌기부(23a)가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는 키홈(22a)과 대응되어 열쇠(40)의 진입이 가능한 통공부(23b)가 형성된 상태에서 자물쇠(22) 내부에서 승하강 유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의 일측에는 보조걸쇠(13)가 내부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가운데 걸쇠 핸들(14)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걸림구(30) 측에는 보조걸쇠(13)의 록킹이 이루어지는 보조 걸림쇠(32)가 구성되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6은 배면커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창문 안전 잠금장치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창문 잠금장치는 열쇠(40)를 자물쇠(22)의 키홈(22a)에 삽입해야만 회동핸들(20)을 회동시켜서 창문을 잠금상태 또는 잠금 해제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걸림편(21)이 걸림쇠(31)에 걸려져서 창문이 잠금상태를 이루는 가운데, 창문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서 창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열쇠(40)를 키홈(22a)에 삽입시킨다.
이때, 열쇠(40)가 삽입되어짐에 따라 열쇠(40)가 스토퍼(23)의 통공부(23b)를 통과하면서 도 7에서와 같이 스토퍼(23)를 하향으로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23)가 걸림홈(11a)으로 이탈되면서 회동핸들(20)의 회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핸들(20)을 도 9에서와 같이 180도 돌려주게 되면 걸림쇠(31)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걸쇠 핸들(14)을 밀어서 보조걸쇠(13)에 의한 보조걸림쇠(32)와의 걸림상태를 함께 해제시킴으로서 창문을 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물쇠(22)로 부터 열쇠(40)를 빼게 되면 스프링(24)의 탄성 작용에 의해 스토퍼(23)가 다시 원위치로 상승되어지면서 원통체(11)의 걸림홈(11a)에 삽입되어지게 되어 회동핸들(20)의 회동이 방지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창문 잠금장치는 열쇠(40)를 사용해야만 회동핸들(20)을 이용한 창문의 잠금상태 해제가 가능하게 됨으로, 실내에서 어린이나 치매환자가 의도치 않게 창문을 여는 것을 방지하여 도난 또는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에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부(10)의 배면에는 록킹와셔(25) 및 지지격벽(12)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배면커버(26)가 구성되며, 상기 배면커버(26)에는 록킹와셔(25)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7)이 구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7)의 선단부에는 록킹와셔(25)와의 점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슬 형상의 지지구(28)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록킹와셔(25)에는 지지격벽(12)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25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록킹와셔(25)에 탄성스프링(27)의 탄성 지지력이 가해짐으로서 자물쇠(22)의 회동이 록킹와셔(25)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구슬 형상의 지지구(28)의 점접촉으로 인해 록킹와셔(25)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화 되어짐으로서 록킹와셔(25)와 탄성스프링(27)의 직접 접촉에 따른 손상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착홈(25a)에 지지격벽(12)의 일단부가 안착 지지되어짐으로서 록킹와셔(25)의 위치 지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창문 잠금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1 : 원통체
11a: 걸림홈 12 : 지지격벽
13 : 보조걸쇠 14 : 걸쇠 핸들
20 : 회동핸들 21 : 걸림편
22 : 자물쇠 22a: 키홈
23 : 스토퍼 24 : 스프링
25 : 록킹와셔 26 : 배면커버
30 : 걸림구 31 : 걸림쇠
32 : 보조걸림쇠 40 : 열쇠
100 : 제1창틀 200 : 제2창틀

Claims (5)

  1. 제1창틀(100)에는 회동핸들(20)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부(10)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회동핸들(20)에는 걸림편(21)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창틀(100)과 대응되는 제2창틀(200)에는 걸림편(21)에 의한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가 제어되어지도록 걸림쇠(31)가 고정 구성된 창문 안전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핸들(20)에는 회동을 단속하기 위해 전면에 키홈(22a)이 형성된 자물쇠(22)가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자물쇠(22)에는 스프링(24)의 탄성작용에 의해 본체부(10)에 형성된 걸림홈(11a)에 걸려진 상태에서, 키홈(22a)에 열쇠(4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11a)으로부터 이탈되어 회동핸들(20)이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23)가 구비되며,
    상기 자물쇠(22)의 일단부에는 본체부(10)로부터의 이탈 방지를 위한 록킹와셔(25)가 결합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에는 록킹와셔(2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격벽(12)이 일정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0)의 배면에는 록킹와셔(25) 및 지지격벽(12)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배면커버(26)를 구비하며,
    상기 배면커버(26)에는 록킹와셔(25)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7)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7)의 선단부에는 록킹와셔(25)와의 점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슬 형상의 지지구(28)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록킹와셔(25)에는 지지격벽(12)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25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안전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11a)은 본체부(1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 구성된 원통체(11)의 내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원통체(11)는 자물쇠(22)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안전 잠금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3)는 스프링(24)의 탄성 지지가 이루어지는 돌기부(23a)가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는 키홈(22a)과 대응되어 열쇠(40)의 진입이 가능한 통공부(23b)가 형성된 상태에서 자물쇠(22) 내부에서 승하강 유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안전 잠금장치.
  5. 삭제
KR2020170005981U 2017-11-23 2017-11-23 창문 안전 잠금장치 KR200486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981U KR200486599Y1 (ko) 2017-11-23 2017-11-23 창문 안전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981U KR200486599Y1 (ko) 2017-11-23 2017-11-23 창문 안전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599Y1 true KR200486599Y1 (ko) 2018-06-11

Family

ID=6259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981U KR200486599Y1 (ko) 2017-11-23 2017-11-23 창문 안전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9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705B1 (ko) * 1999-08-12 2003-12-01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개구부 로크 장치
JP2017110396A (ja)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内田洋行 錠前装置、および錠前装置の内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705B1 (ko) * 1999-08-12 2003-12-01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개구부 로크 장치
JP2017110396A (ja)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内田洋行 錠前装置、および錠前装置の内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9268A1 (en) Night latch
JP5031706B2 (ja) 建具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JP4410777B2 (ja) 非表示型打掛錠の非常解錠構造
KR200486599Y1 (ko) 창문 안전 잠금장치
KR101787667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JP6113765B2 (ja) 打掛錠
JP4654222B2 (ja)
KR200461180Y1 (ko) 회전 잠금 타입 창문용 잠금장치
KR102347158B1 (ko) 도어손잡이 안전 잠금장치
KR200453991Y1 (ko)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JP2016075134A (ja) 屋内側施錠装置
KR20090081802A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101053339B1 (ko) 창문의 잠금장치
JP7353896B2 (ja) クレセント錠
JP2020111899A (ja) 建具
JPWO2005031096A1 (ja) 乳幼児用フェンス
JP2007063962A (ja) 引き戸用施錠鍵
JP4126022B2 (ja) 収納家具扉の安全装置
JP4528649B2 (ja) 建具
KR102032901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의 걸림부재
KR200376153Y1 (ko)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 잠금장치.
JP2002250189A (ja) シャッターの施錠装置
KR100552178B1 (ko) 도난 방지를 위한 차량 도어 키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