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705B1 - 개구부 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개구부 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705B1
KR100407705B1 KR10-2000-0032149A KR20000032149A KR100407705B1 KR 100407705 B1 KR100407705 B1 KR 100407705B1 KR 20000032149 A KR20000032149 A KR 20000032149A KR 100407705 B1 KR100407705 B1 KR 10040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
collar
pedesta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532A (ko
Inventor
나카무라사토시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in the form of a crescent-shaped ca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핸들 및 크레센트형 칼라가 로크하여 되돌아가지 않고, 가령 문이나 덮개가 닫혀도 결합부가 충돌하지 않는 개구부 로크장치를 제공한다.
기대(10)에는 핸들로크피스(13)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은 핸들(12)을 당기고, 크레센트형 걸어맞춤 칼라(11)가 대좌(20)의 고정칼라(21)에서 이반한 위치에 핸들(12)을 고정하는 것으로, 항상 탄발적으로 핸들축부(14)의 직경방향으로 맞닿게하여 핸들축부(14)에 설치한 로크홈(15)에 걸어맞춤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핸들로크피스(13)는 핸들측 기대(10)와 대좌(20)를 접근시켰을 때 대좌(20) 일부와 맞닿아 상기 핸들로크피스(13)가 핸들(12)의 상기 로크홈(15)에서 빠져 나간다.

Description

개구부 로크 장치{LOCKING APPARATUS OF OPENING PART}
본 발명은 크레센트형 문, 덮개형 체결장치에 있어서 이들 문, 덮개등을 연 상태에서 닫을 때에 한쌍의 걸어맞춤칼라가 충돌하여 이들을 파손하지 않게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일반적인 크레센트형 자물쇠채움에 있어서는,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를 대좌의 고정칼라에서 이반한 상태에 있어,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를 갖는 핸들은 그 피벗축주위에 회전자유롭다.
따라서, 문이나 덮개가 열려 있을때 상기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가 문이나 덮개를 자물쇠채움할 때와 같은 자세로 되어 있는 것을 모르고 문이나 덮개를 힘차게 닫고자 하면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 외측끼리 충돌하여 이들 걸어맞춤칼라 한쪽 내지 양쪽을 손상시키는 염려가 있다.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쌍의 걸어맞춤부를 상호 이반시키고, 문이나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는 핸들 및 이와 일체인 크레센트형 칼라가 열린 상태로 로크되어 복귀하지 않는다. 가령 문이나 덮개가 닫혔을때 상기 걸어맞춤부가 충돌하지 않고 또 이들 문이나 덮개가 닫혔을때 상기 핸들의 로크가 해제되도록하는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개구부 로크장치의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와 고정칼라가 벗어지고, 이들을 이반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로크장치의 좌측면도,
도 3은 그 로크장치의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와 고정칼라를 걸어맞춤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로크장치의 좌측면도,
도 5는 그 로크장치의 핸들 배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절단전개단면도,
도 7은 그 로크장치의 크레센트형 핸들축부 및 기대의 분해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기대 11:걸어맞춤칼라
12:핸들 13:핸들로크피스
14:핸들축부 15:로크홈
16:소피벗축 17:경사캠면
18:스프링 20:대좌
21:고정칼라 30:자물쇠채움장치
31: 열쇠 35:데트볼트
37:데트볼트 걸어맞춤구멍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11)를 갖는 핸들(12)을 구비한 핸들측 기대(10)와, 상기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11)와 걸어맞춤이반 가능한 고정칼라(21)를 갖는 대좌(台座)(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측 기대(10)에는 핸들로크피스(13)가 설치되어있고, 이는 핸들(12)을 당겨 상기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11)가 대좌(20)의 고정칼라(21)에서 이반위치에 상기 핸들(12)을 고정하는 것으로, 항상 탄발적으로 핸들축부(14)의 직경방향으로 설치한 로크홈(15)에 걸어맞춤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들로크피스(13)는 핸들축 기대(10)와 대좌(20)를 접근시켰을때 상기 대좌(20) 일부와 맞닿아 상기 핸들로크피스(13)가 핸들(12)의 상기 로크홈(15)에서 빠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로크장치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개구부 로크장치의 상기 핸들로크피스(13) 일단은 기대(10)에 대하여 소피벗축(16)에 의해 피벗부착되어 있고, 그 일부의 경사캠면(17)이 상기 대좌(20) 일부의 운동궤적내에 돌출해 있고, 상기 핸들로크피스(13)는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핸들(12)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개구부 로크장치의 상기 핸들(12)은 그 상기 걸어맞춤칼라(11)가 대좌(20)의 고정칼라(21)에 걸어맞춤한 상태로 열쇠(31)로 열게되는 자물쇠채움장치(30)가 상기 핸들(12)의 핸들축부(14)내에 설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개구부 로크장치의 상기 핸들(12)은 자물쇠채움장치(30)에 있어서 핸들기대(10) 및 대좌(20)를 개구부에 고정하는 고정나사(40)중 적어도 절반의 고정나사(40) 위를 덮은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개구부 로크장치의 상기 핸들(12)은 열림, 로크되는 상태가 그 개구부 가장자리선에서 대략 45° 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작용)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우선 대좌(20)를 문, 덮개 등의 고정측(50), 즉 문에 있어서는 문틀 또는 기둥측에 고정한다.
또, 핸들기대(10)는 상기 대좌(20)에 대응하는 위치의 문 또는 덮개(51) 측에 동일하게 고정나사(40)로 고정한다.
상기 기대(10)와 대좌(20)를 문, 덮개 등을 닫음으로써 상호 접근밀착시키면, 대좌(20) 일부에 의해 핸들로크피스(13)는 압입되고, 기대(10) 안으로 밀려 들어가서 핸들축부(14)는 핸들(12)과 함께 기대(10)에 대하여 핸들축부(14)의 축선주위에 회전자유로이 된다.
그리고 핸들(12)을 핸들축부(14) 주위에 회전시켜 그 걸어맞춤칼라(11)를 대좌의 고정칼라(21)에 걸어맞춤시킨다.
열때는 핸들(12)을 잡고, 이것을 핸들축부(14) 선주위에 회전시키면 걸어맞춤홈(11)과 고정칼라(21)는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그 해제된 위치에 핸들(12)이 도달하면 상기 핸들로크피스(13)와 로크홈(15)의 위치가 일치하고 핸들로크피스(13)는 로크홈(15)내에 스프링(18)의 탄발력으로 압출되고, 기대(10)와 핸들축부(14)는 로크되며, 핸들(12)은 그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 위치에서 문, 덮개 등은 개폐가 자유롭게 된다.
다음에 문, 덮개 등을 닫을때는 그대로 닫으나 상기 핸들(12)은 열린상태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기대(10)의 걸어맞춤칼라(11)와 대좌(10)의 고정칼라(21)는 충돌없이 닫히고, 대좌(10) 일부가 상기 핸들로크피스(13) 일부의 경사캠면(17)에 닿아 이것을 기대(10)내로 압입하여 핸들로크피스(13)를 로크홈(15)에서 해제하고, 핸들(12)은 그 핸들축부(14)와 함께 대좌(20)에 대하여 회전자유롭게 되고, 이 상태로 걸어맞춤칼라(11)를 고정칼라(21)에 걸어맞춤시킬 수 있어, 걸어맞춤칼라(11) 및 고정칼라(21)를 잘못하여 충돌시켜 손상시킬 염려가 없이 작용한다.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상기 핸들로크피스(13)는 기대(10)에 대하여 피벗부착하고 있고, 스프링력에 의해 핸들축부(14) 측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그 캠면(17)이 대좌(20) 일부의 운동궤적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핸들로크피스(13)의 움직임은 경쾌하고 문, 덮개 등의 닫히는 힘으로 간단하게 핸들(12)의 로크가 풀리는 작용을 하여 특히 핸들의 로크를 푸는 개별조작이 필요하지 않는다.
청구항 3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앞의 다른 청구항 기재의 작용외에 핸들(12)의 핸들축부(14)내에 자물쇠채움장치(3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핸들(12)의 걸어맞춤칼라(11)를 고정칼라(21)에 걸어맞춤한 상태로 핸들(12)과 핸들기대(10)와 자물쇠채움되고, 문, 창 등의 내측에서 뿐만아니라 외측에서의 개구부의 개폐 자물쇠채움장소 내지 용도에 사용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에 있어서는 핸들의 자물쇠채움장치(30)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핸들기대(10) 및 대좌(20)를 개구부에 고정하는 고정나사(40) 중 적어도 절반의 상면을 덮고 있으므로 불법으로 개구부를 열고자하여 고정나사(40)를 해제하려고 해도 절반의 고정나사(40)를 해제할수 없어 개구부를 열지 못하거나 또는 이 작업을 상당히 곤란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청구항 5에 있어서는 핸들(12)의 걸어맞춤칼라(11)를 고정칼라(21)에서 해제했을 때에 핸들(12)은 대략 45°방향이기 때문에 가까이를 지나는 사람에게도 위험성이 없이 안전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으로, 모든 청구항 기재의 발명을 포함한다.
도면에 있어서,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11)를 갖는 핸들(12)을 구비한 핸들측 기대(10)와, 상기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11)와 걸어맞춤이반 가능한 고정칼라(21)를 갖는 대좌(20)로 구성된다.
상기 기대(10)에는 핸들로크피스(13)가 핸들(12)의 회전축부(14)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소피벗축(16)에 의해 피벗부착되어 있고, 항상 스프링(18)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14)에 설치한 반경방향으로 설치한 로크홈(15)에 걸어맞춤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로크피스(13) 일부에는 경사캠면(17)이 돌설되어 있고, 이 경사캠면(17)은 기대(10)와 대좌(20)가 상대적으로 접근했을때, 대좌(20) 일부와 맞닿고 상기 핸들로크피스(13)는 소피벗축(16)을 회전중심으로하여 회전하고, 이것을 핸들부(12)의 로크홈(15)에서 해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기대(10)와 대좌(20)가 이반, 즉 개구부의 창, 문등을 열면 상기 핸들로크피스(13)는 스프링(18)에 의해 바깥쪽으로 압출되고, 핸들부(12)가 45°에 합치한 곳에서 로크홈(15)에 걸어맞춤하고, 핸들부(12)를 그 각도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핸들(12)의 핸들축부(14)에는 실린더 자물쇠로되는 자물쇠채움장치(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칼라(11)가 고정칼라(21)에 걸어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열쇠(31)로 상기 실린더 열쇠의 실린더(33)를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샘(34)이 핸들축부(14)내에 설치되어 있는 데트볼트(35)가 이 직경방향으로 안내홈(36)내를 이동하고, 기대(10)에 설치되어 있는 데트볼트 걸어맞춤구멍(37)에 끼워맞춤하여 핸들(12)의 회전을 확실하게 자물쇠채움할수 있게 하고 있다. 열때는 열쇠(31)에 의해 상기 실린더(33)를 역전시키면 된다.
또, 상기 핸들(12)을 자물쇠채움했을때에는 핸들(12) 일부에 의해 기대(10) 및 대좌(20)를 고정하고 있다. 고정나사(40)의 각각 적어도 절반은 덮혀 있다.
이들 기대(10) 및 대좌(20)를 개구부 고정틀이나 문, 덮개 등에 부착하고 또는 새것과 교환할때는 상기 걸어맞춤칼라(11) 및 고정칼라(21)가 벗겨져 있는 상태로 하여 핸들(12)을 45°내지 90°으로 일으킨 상태로하고 핸들(12) 일부로 상기 고정나사 구멍부를 덮지 않는 상태로 하여 행한다.
이 실시형태의 작용은 발명의 작용의 항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고 그외 도 7에 있어서, 핸들기대(10)를 문, 창틀(51) 등에 죔너트(52), 각종 워셔인 평 링워셔(33), 스프링워셔(54), 제2 평링워셔(55)가 모든 청구항 기재 발명의 작용을 아울러 행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하기 때문에 걸어맞춤칼라와 고정칼라가 벗겨진 상태에 있어서는 반드시 핸들부는 45°경사된 위치로, 핸들로크피스가 로크홈에 걸어맞춤하여 고정되고, 걸어맞춤칼라가 고정턱에 충돌하지 않는 위치로 되어 있고, 문이나 덮개를 닫을 때 이것을 충돌시켜 파손 내지 굽혀져서 걸어맞춤을 불가능하게할 염려가 없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효과외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핸들로크피스가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문이나 덮개가 열려있을때에는 핸들부를 연 상태로 고정하고, 이들을 닫으면 대좌(20) 일부에 의해 상기 핸들로크피스를 로크홈에서 해제하는 효과를 가져오며, 다시, 별개로 핸들로크피스를 해제하는 조작을 할 필요가 없어 조작성이 더욱 효과적이 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의 효과외에 상기 자물쇠채움장치가 붙어있기 때문에 핸들부를 제삼자가 왕래하는 외부측에 설치할 수도 있어, 이 장치의 사용용도가 넓어지는 효과도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3 기재의 효과외에 자물쇠채움한 상태에 있어서는 핸들부 일부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의 적어도 절반을 덮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고정나사 일부를 해제했다 하더라도 나머지 절반을 해제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칼라와 고정칼라를 해제하기는 불가능하거나 극히 곤란하여 불법한 접근부 욕심을 감쇄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핸들부가 45°로 로크되는 상태이거나 대략 45°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사 로크상태에 있어서도 그 근방을 지나는 사람에게 위험한 정도는 아니고, 작업범위도 대략 45°로 취급이 손쉽다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5)

  1.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11)를 갖는 핸들(12)을 세우고 눕힘 자유로이 구비한 기대(10)와, 상기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11)와 걸어맞춤 이반 가능한 고정칼라(21)를 갖는 대좌(20)로 구성되고,
    상기 기대(10)에는 핸들로크피스(13)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은 핸들(12)을 당겨 상기 크레센트형 걸어맞춤칼라(11)가 대좌(20)의 고정칼라(21)에서 이반하는 위치에 상기 핸들(12)을 고정하는 것으로, 항상 탄발적으로 핸들축부(14)의 직경방향으로 맞닿게하고, 상기 핸들축부(14)에 설치한 로크홈(15)에 걸어맞춤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들로크피스(13)는 핸들측의 기대(10)와 대좌(20)를 접근시켰을때 상기 대좌(20) 일부와 맞닿아 상기 핸들로크피스(13)가 핸들(12)의 상기 로크홈(15)에서 빠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로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로크피스(13)의 일단은 기대(10)에 대하여 소피벗축(16)에 의해 피벗부착되어 있고, 그 일부의 경사캠면(17)이 상기 대좌(20)의 일부의 운동궤적내에 돌출해 있고, 상기 핸들로크피스(13)는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핸들(12) 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로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2)은 그 상기 걸어맞춤칼라(11)가 대좌(20)의 고정칼라(21)에 걸어맞춤한 상태로, 열쇠(31)로 자물쇠채움할 수 있는 자물쇠채움장치(30)가 상기 핸들(12)의 핸들축부(14)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로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2)은 자물쇠채움장치(30)에 있어서, 핸들기대(10) 및 대좌(20)를 개구부에 고정하는 고정나사(40) 중 적어도 절반의 고정나사(40) 위를 덮은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로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2)은 열림 로크되는 상태가 그 개구부의 가장자리선에서 대략 45°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로크장치.
KR10-2000-0032149A 1999-08-12 2000-06-12 개구부 로크 장치 KR100407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28929A JP2001049910A (ja) 1999-08-12 1999-08-12 開口部ロック装置
JP99-228929 1999-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532A KR20010049532A (ko) 2001-06-15
KR100407705B1 true KR100407705B1 (ko) 2003-12-01

Family

ID=1688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149A KR100407705B1 (ko) 1999-08-12 2000-06-12 개구부 로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049910A (ko)
KR (1) KR100407705B1 (ko)
CN (1) CN1284600A (ko)
TW (1) TW47011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599Y1 (ko) * 2017-11-23 2018-06-11 김봉선 창문 안전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2909B2 (ja) * 2012-05-30 2014-04-0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筐体の密閉扉用ハンドル装置
JP2017022829A (ja) * 2015-07-08 2017-01-26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機器収納用箱体
CN106979651B (zh) * 2016-01-15 2022-06-10 冰山松洋生物科技(大连)有限公司 低温冰箱的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6985U (ko) * 1993-05-04 1994-12-09 향상산업 주식회사 창문의 좌 · 우측면중 어느쪽이나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크레센트정
JPH09217537A (ja) * 1996-02-08 1997-08-19 Nakanishi Kinzoku Kogyo Kk クレセント錠
JPH1181766A (ja) * 1997-09-02 1999-03-26 Fujikin:Kk スライドウイングロック装置
US5887916A (en) * 1997-09-25 1999-03-30 Kason Industries, Inc. Safety door latch for pressurized ove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6985U (ko) * 1993-05-04 1994-12-09 향상산업 주식회사 창문의 좌 · 우측면중 어느쪽이나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크레센트정
JPH09217537A (ja) * 1996-02-08 1997-08-19 Nakanishi Kinzoku Kogyo Kk クレセント錠
JPH1181766A (ja) * 1997-09-02 1999-03-26 Fujikin:Kk スライドウイングロック装置
US5887916A (en) * 1997-09-25 1999-03-30 Kason Industries, Inc. Safety door latch for pressurized ov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599Y1 (ko) * 2017-11-23 2018-06-11 김봉선 창문 안전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4600A (zh) 2001-02-21
JP2001049910A (ja) 2001-02-20
TW470116U (en) 2001-12-21
KR20010049532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3172A (en) High security deadbolt lock
US6427501B2 (en) Swivelling lever control that can be locked after being swivelled inwards and for closing switchboard cabinet doors or the like
EP1778938B1 (en) Compression latch mechanism
US6263712B1 (en) Swivelling lever control that can be padlocked for closing switchboard cabinet doors or the like
JP3314238B2 (ja) 動くことができるようにして枠に取付けられている閉鎖部材の動く範囲を制限する制限装置
US5015019A (en) Locking mechanism for equipment cabinet
US6564602B2 (en) Shielded pushbutton lock
US6293130B1 (en) Swivelling lever control that can be padlocked for closing switchboard cabinet doors or the like
US20200347639A1 (en) Device for securing deadbolt latch
KR100407705B1 (ko) 개구부 로크 장치
KR100750580B1 (ko) 문짝용 핸들의 로크 장치
JPH09125758A (ja) 防水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US5931515A (en) Locking device for doors
US6564603B1 (en) Security cam for a cylinder lock
JP2002512327A (ja) 回転掛け金錠
SE543487C2 (en) Catch mechanism with a first and a second connector for a bolt and a locking device
KR200318699Y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3258949B2 (ja) 係止解除機構付き施錠装置
KR970005083Y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도어록 장치
US20240018801A1 (en) Safety Device
KR0137312Y1 (ko) 키박스를 보호하는 자동차 도어잠금장치
JP2589503B2 (ja) ロック装置
KR19990033829U (ko) 도어용보조키
KR950003943Y1 (ko) 점검 커버의 스프링 로크장치
KR900001480B1 (ko) 배전반 도어로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