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102B1 -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 Google Patents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102B1
KR100993102B1 KR1020100076839A KR20100076839A KR100993102B1 KR 100993102 B1 KR100993102 B1 KR 100993102B1 KR 1020100076839 A KR1020100076839 A KR 1020100076839A KR 20100076839 A KR20100076839 A KR 20100076839A KR 100993102 B1 KR100993102 B1 KR 10099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ixed
plate
scree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현
Original Assignee
윤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현 filed Critical 윤석현
Priority to KR102010007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는, 천정으로부터 하강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중앙에 구성되는 도어스크린을 이용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화재현장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스크린이 힌지체와 경첩체에 의해 대피자가 밀고 나갈 때 신속하게 열리도록 하고, 록킹체에 의해 대피자가 빠져나간 상태에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빠르게 복원되어 열려진 도어스크린이 닫힘으로써 화재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록킹체에 의해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강한 화풍압(火風壓)을 견고하게 견딜 수 있어 화풍압에 의해 도어스크린이 열려 유독가스나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고정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샤프트에 상단이 고정되어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되고 도어스크린이 중앙에 구성되는 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샤프트(11)의 외면에 상기 회전샤프트(11)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상부지지체(10)와; 상기 상부지지체(10)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자석(21)과 록킹돌기(22)가 각각 구성되는 지지프레임(23)이 상면에 수직입설되는 하부지지체(20)와; 상기 상부지지체(10)의 하부 양측에 상단이 각각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3)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2고정스크린(30)(30a)과; 상기 제1,2고정스크린(30)(30a)의 상부가 양측에 고정되는 상부지지체(10)의 중앙에 고정되는 가이드체(40)와; 상기 가이드체(40)에 상단이 연결되어 가이드체(40)를 따라 좌/우측으로 상부가 이동되고 하단에 제1/2고정판(51)(52)이 구성되는 도어스크린(50)과; 상기 도어스크린(50)의 하단에 구성되는 제1고정판(51)과 상기 지지프레임(23)을 힌지연결하는 힌지체(60)와; 상기 도어스크린(50)의 하단에 구성되는 제2고정판(52)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3)과 제2고정판(52) 사이에 위치되며 타단은 압축스프링(70a)에 의해 상기 제1고정판(51)의 후면과 연결되는 경첩체(70)와; 상기 힌지체(60)가 구성되는 제1고정판(51)과 상기 경첩체(70)가 구성되는 제2고정판(52)을 연결하는 연결판(81)과, 상기 연결판(81)의 전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힌지스프링(82)과, 이 힌지스프링(82)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판(81)의 전면과 힌지핀(83)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연결판(81)의 전면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3)에 구성되는 록킹돌기(22)에 록킹/언록킹 되는 록킹체(8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SCREEN SHUTTER FOR FIRE PREVENTION}
본 발명은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 셔터에 비상도어를 더 구성하되, 상기 비상도어의 열림동작이 쉽게 이루어지고, 열려진 비상도어의 빠른 복원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록킹장치에 의해 비상도어의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한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며, 화재 공간 및 방화 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제한 사용되는 비상탈출문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는, 통상 천정면에 설치되는 구동장치와 이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바닥면측으로 하강되는 셔터로 구성되는 바, 셔터의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진 철재셔터와 방화시트로 구성되는 스크린 셔터로 구분되는 바, 근자들어서는 방화시트로 구성되는 스크린 셔터가 주로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건물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는 스크린 셔터가 하강되어 건물의 내부 구획을 차단시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구역으로부터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이 번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재에 따른 인명사고 및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셔터에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비상도어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화재 발생시에 스크린 셔터가 내려오더라도 비상도어를 통해 사람들이 화재구역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발생에 의한 연기 및 유독가스 등으로 인하여 시야공간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는 상태의 화재구역 내에서는 방화셔터의 기능으로 위해요인의 진화를 방지되게 할 수는 있으나, 제한 사용되는 비상도어만으로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기에는 상당한 애로점이 많았다.
즉, 연기나 유독가스 등에 의해 식별력이 떨어지거나 상실되는 요인 및 비상유도의 표시 부재(不在) 등으로 비상도어를 쉽게 찾을 수 없고 화재에 의해 당황하는 사람들이 비상도어를 빠르게 열고 탈출하기에는 비상도어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고 비상도어의 작동이 용이하지 못함으로써 비상도어를 이용하여 빠르고 신속하게 화재구역으로부터의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비상탈출을 위해 열려진 비상도어가 다시 닫힘으로써 화재구역에서 발생되는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요인이 타 구역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지만, 종래 스크린 셔터는 물론 철재셔터로 구성되는 방화 셔터의 비상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다시 닫히는 동작이 원활하지 못함으로써 방화셔터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0789767호인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스크린 셔터의 적소에 사각으로 관통되게 구성되는 피난통로와, 상기 피난통로의 일측 수직 변에 연결되어 회동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 하연부에 각각 금속으로 구성되는 상측 프레임과, 상기 스크린 셔터의 셔터하부프레임과 경첩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하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피난문과, 회동을 통해 피난문의 개방측 변을 덮어 밀폐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피난통로의 타측 수직 변에 일단이 연결되며 하연부에 스크린 셔터의 셔터하부프레임과 선택적인 양방향 인장력을 부여하는 공지의 텐션 경첩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하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측면 커버와, 상기 피난문의 상방의 스크린 셔터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조의 셔터상부프레임과, 상기 스크린셔터 하단의 셔터하부 프레임과 피난문 하단의 하측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며 피난문에 닫힘 방향으로의 상시 당김력을 부여하기 위한 피난문 인장부재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난문의 상측 프레임의 단부와 셔터상부프레임의 단부에 양단이 긴장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피난문 지지 와이어와, 상기 스크린 셔터에 일체로 부착되는 상연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피난문의 직상방에 설치되며 하연부에 커버 프레임을 일체로 구비하는 상부 커버대와, 상기 피난문의 상측 프레임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 커버대의 상방에 이격 상태로 고정 부착되는 고리를 통과하여 상기 커버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커버작동 와이어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844526호인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내화스크린에 비상문을 개폐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비상문을 상기 내화스크린에 중첩 가능하게 폐쇄하도록 한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의 양측과 중첩되게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상기 비상문에 지지하는 덮개패스너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스크린 셔터에 비상도어를 더 구성하여 비상도어를 빠르고 신속하게 열어 사람들이 화재구역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열린 비상도어의 빠른 닫힘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상도어가 닫혀진다 하더라도 비상도어와 스크린 셔터와의 밀폐성 및 기밀성이 크게 저하되어 화재구역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가 타 구역으로 번지는 것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 스크린 셔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크린 셔터에 비상도어를 더 구성하되, 비상도어를 탈출자가 밀었을 때 용이하게 개방되도록 하여 탈출자의 빠른 탈출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출자가 탈출하고 난 후의 개방된 비상도어가 신속하게 닫혀짐으로써 화재에 따른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화염에 의해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연기 및 유독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는, 천정에 설치고정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샤프트에 상단이 고정되어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되고 도어스크린이 중앙에 구성되는 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샤프트의 외면에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상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자석과 록킹돌기가 각각 구성되는 지지프레임이 상면에 수직입설되는 하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하부 양측에 상단이 각각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2고정스크린과; 상기 제1,2고정스크린의 상부가 양측에 고정되는 상부지지체의 중앙에 고정되는 가이드체와; 상기 가이드체에 상단이 연결되어 가이드체를 따라 좌/우측으로 상부가 이동되고 하단에 제1/2고정판이 구성되는 도어스크린과; 상기 도어스크린의 하단에 구성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힌지연결하는 힌지체와; 상기 도어스크린의 하단에 구성되는 제2고정판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제2고정판 사이에 위치되며 타단은 압축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고정판의 후면과 연결되는 경첩체와; 상기 힌지체가 구성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경첩체가 구성되는 제2고정판을 연결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전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힌지스프링과, 이 힌지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판의 전면과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연결판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록킹돌기에 록킹/언록킹 되는 록킹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는, 천정으로부터 하강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중앙에 구성되는 도어스크린을 이용하여 대피자가 신속하게 화재현장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스크린이 힌지체와 경첩체에 의해 대피자가 밀고 나갈 때 신속하게 열리도록 하고, 록킹체에 의해 대피자가 빠져나간 상태에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빠르게 복원되어 열려진 도어스크린이 닫힘으로써 화재현장에서 발생되는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록킹체에 의해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강한 화풍압(火風壓)을 견고하게 견딜 수 있어 화풍압에 의해 도어스크린이 열려 유독가스나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를 나타낸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를 나타낸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의 가이드체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의 가이드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의 가이드체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의 도어스크린의 하부가 개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성요부인 힌지체와 경첩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성요부인 힌지체와 경첩체의 구성을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의 도어스크린의 하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의 힌지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의 경첩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의 록킹체의 작동상태를 각각 나타낸 작동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는, 천정에 설치고정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샤프트에 상단이 고정되어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되고 도어스크린이 중앙에 구성된 것으로, 화재 발생시에 화재구역내의 유독가스나 화염이 타 지역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어스크린을 통해 대피자가 화재구역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샤프트(11)의 외면에 상기 회전샤프트(11)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상부지지체(10)와, 상기 상부지지체(10)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자석(21)과 록킹돌기(22)가 각각 구성되는 지지프레임(23)이 상면에 수직입설되는 하부지지체(20)와, 상기 상부지지체(10)의 하부 양측에 상단이 각각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3)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2고정스크린(30)(30a)과, 상기 제1,2고정스크린(30)(30a)의 상부가 양측에 고정되는 상부지지체(10)의 중앙에 고정되는 가이드체(40)와, 상기 가이드체(40)에 상단이 연결되어 가이드체(40)를 따라 좌/우측으로 상부가 이동되고 하단에 제1/2고정판(51)(52)이 구성되는 도어스크린(50)과, 상기 도어스크린(50)의 하단에 구성되는 제1고정판(51)과 상기 지지프레임(23)을 힌지연결하는 힌지체(60)와, 상기 도어스크린(50)의 하단에 구성되는 제2고정판(52)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3)과 제2고정판(52) 사이에 위치되며 타단은 압축스프링(70a)에 의해 상기 제1고정판(51)의 후면과 연결되는 경첩체(70) 및 록킹체(8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스크린(50)의 하단이 고정되는 제1/2고정판(51)(52) 중, 상기 지지프레임(23)에 구성되는 자석(21)에 부착되는 제2고정판(52)은, 자석(21)의 자력에 영향을 받는 금속철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록킹체(80)는, 화재발생시에 대피자가 도어스크린(50)을 밀면 도어스크린(50)이 개방되도록 하고, 대피자가 대피한 후에는 도어스크린(50)의 개방을 차단함으로써 화재구역내의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타 구역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록킹체(80)가 상기 힌지체(60)가 구성되는 제1고정판(51)과 상기 경첩체(70)가 구성되는 제2고정판(52)을 연결하는 연결판(81)과, 상기 연결판(81)의 전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힌지스프링(82)과, 이 힌지스프링(82)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판(81)의 전면과 힌지핀(83)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연결판(81)의 전면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3)에 구성되는 록킹돌기(22)에 록킹/언록킹 되기 때문에, 화재구역내에서 불어오는 강한 화풍압을 견고하게 견디어줄 수 있음으로써 도어스크린(50)이 열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2고정판(52)의 끝단에는 걸림편(52a)이 더 연장형성되고, 상기 걸림편(52a)이 걸어지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3)의 전면에는 걸림돌기(23a)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화재구역내에서 대피자가 상기 도어스크린(50)을 바깥측 다시 말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체(60)와 경첩체(70)를 상기 지지프레임(23)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도어스크린(50)을 밀면, 상기 제1고정판(51)과 제2고정판(52)을 연결하는 연결판(81)이 상기 지지프레임(23)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밀리게 되는 바, 이 때 상기 제2고정판(52)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52a)이 상기 지지프레임(23)의 걸림돌기(23a)에 걸리게 되면서, 연결판(81)이 더 이상 상기 지지프레임(23)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밀리지 않는다.
이 때, 대피자가 도어스크린(50)을 더 밀면 도어스크린(50)의 하단에 구성된 제1/2고정판(51)(52)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바, 이와 같이 제1/2고정판(51)(52)이 벌어지면 대피자는 상기 도어스크린(50)을 가이드체(40)를 따라 옆으로 밀어 도어스크린(50)을 개방시킨 후 빠르고 신속하게 화재구역으로부터 대피하면 된다.
상기 가이드체(40)는, 상기 상부지지체(10)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에 외측으로 말린 형상의 제1힌지부(41a)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41)와, 상기 제1가이드(41)의 제1힌지부(41a)에 말아지는 제2힌지부(42a)가 상단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42)와, 상기 제2가이드(42)의 전면에 이 제2가이드(4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봉(43)과, 상기 가이드봉(43)에 상단이 끼워지고 하단은 상기 도어스크린(50)의 상단에 고정되는 다수의 슬라이더(44)와, 상기 다수의 슬라이더(44) 중 선측에 위치되는 슬라이더와 일측이 연결되는 가이드와이어(45)와, 상기 가이드와이어(45)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가이드(42)의 전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탄성스프링(4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대피자가 상기 도어스크린(50)을 옆으로 밀면, 상기 도어스크린(50)의 상단에 고정된 다수의 슬라이더(44)들이 가이드봉(43)을 타고 밀리면서 도어스크린(50)이 개방되는 바, 이 때 상기 도어스크린(50)의 개방동작시에 가이드봉(43)을 타고 옆으로 밀린 슬라이더 중, 선측에 위치 구성되는 슬라이더(44)와 상기 탄성스프링(46)이 가이드와이어(45)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슬라이더(44)들이 옆으로 밀려 도어스크린(50)이 개방될 때 상기 탄성스프링(46)이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스프링(46)이 늘어남으로써 대피자가 화재구역으로부터 대피한 후 밀고 있던 도어스크린(50)을 놓음으로써 도어스크린(50)을 개방할 때 작용하던 미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스프링(46)의 자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수축동작이 진행되는 바, 이 때 상기 탄성스프링(46)과 가이드와이어(45)에 의해 연결된 선측의 슬라이더(44)가 탄성스프링(46)의 수축동작에 의해 밀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다시 가이드봉(43)을 타고 이동되기 때문에, 열려진 도어스크린(50)이 다시 닫혀지게 된다.
또한, 닫혀진 도어스크린(50)은, 상기 지지프레임(23)에 구성된 자석(21)에 상기 제2고정판(52)이 부착되는 동작에 의해 도어스크린(50)의 하단이 상기 하부지지체(20)측으로 밀착된 후, 상기 록킹체(80)에 의해 록킹이 이루어져 견고하게 닫혀진다.
상기 힌지체(60)는, 상기 지지프레임(23)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1힌지판(61)과, 상기 제1힌지판(61)의 상부측에 일측이 제1힌지핀(62)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판(63)과, 상기 제2힌지판(63)의 타측과 일측이 제2힌지핀(64)에 의해 힌지결합되되 상기 제1힌지핀(6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고정판(51)에 고정되는 제3힌지판(6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대피자가 도어스크린(50)을 미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고정판(51)이 들어올려지면 제1고정판(51)과 연결된 제3힌지판(63)이 들어올려지는 동작이 진행되고 제3힌지판(63)의 들어올림 동작에 의해 상기 제2힌지판(63)이 제1힌지판(61)에 대하여 힌지회전됨으로써 도어스크린(50)의 하단의 개방동작이 수월하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도어스크린(50)의 하단이 바로 힌지회전되지 않고, 제3힌지판(63)의 들어올려지는 동작이 추가로 진행됨에 따라 닫혀진 도어스크린(50)이 화재구역내에서 불어오는 화풍압에 의해 열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경첩체(70)는, 상기 제2고정판(52)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1경첩판(71)과, 상기 제1경첩판(71)과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제2경첩판(72)과, 상기 제2경첩판(72)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힌지회전판(73)이 일측에 절곡형성된 제3경첩판(74)과, 상기 제3경첩판(74)의 타측과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절곡된 고정편(75)이 형성된 제4경첩판(76)과, 상기 제4경첩판(76)의 고정편(75)에 고정되는 와이어(77)와, 이 와이어(77)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1고정판(51)의 후면에 연결 고정되는 압축스프링(70a)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대피자가 밀었을 때 도어스크린(50)의 하단의 개방이 용이하고, 열려진 도어스크린(50)의 하단이 상기 압축스프링(70a)에 의해 바로 하부지지체(20)측으로 위치가 복원될 수 있어 대피자의 대피 후 열려진 도어스크린(50)의 빠르고 신속한 닫힘동작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상부지지체 11 : 회전샤프트
20 : 하부지지체 21 : 자석
22 : 록킹돌기 23 : 지지프레임
23a : 걸림돌기 30 : 제1고정스크린
30a : 제2고정스크린 40 : 가이드체
41 : 제1가이드 41a : 제1힌지부
42 : 제2가이드 42a : 제2힌지부
43 : 가이드봉 44 : 슬라이더
45 : 가이드와이어 46 : 탄성스프링
50 : 도어스크린 51 : 제1고정판
52 : 제2고정판 52a : 걸림편
60 : 힌지체 61 : 제1힌지판
62 : 제1힌지핀 63 : 제2힌지판
64 : 제2힌지핀 65 : 제3힌지판
70 : 경첩체 70a : 압축스프링
71 : 제1경첩판 72 : 제2경첩판
73 : 힌지회전판 74 : 제3경첩판
75 : 고정편 76 : 제4경첩판
77 : 와이어 80 : 록킹체
81 : 연결판 82 : 힌지스프링
83 : 힌지핀

Claims (5)

  1. 천정에 설치고정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샤프트에 상단이 고정되어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되고 도어스크린이 중앙에 구성되는 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샤프트(11)의 외면에 상기 회전샤프트(11)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상부지지체(10)와;
    상기 상부지지체(10)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자석(21)과 록킹돌기(22)가 각각 구성되는 지지프레임(23)이 상면에 수직입설되는 하부지지체(20)와;
    상기 상부지지체(10)의 하부 양측에 상단이 각각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3)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2고정스크린(30)(30a)과;
    상기 제1,2고정스크린(30)(30a)의 상부가 양측에 고정되는 상부지지체(10)의 중앙에 고정되는 가이드체(40)와;
    상기 가이드체(40)에 상단이 연결되어 가이드체(40)를 따라 좌/우측으로 상부가 이동되고 하단에 제1/2고정판(51)(52)이 구성되는 도어스크린(50)과;
    상기 도어스크린(50)의 하단에 구성되는 제1고정판(51)과 상기 지지프레임(23)을 힌지연결하는 힌지체(60)와;
    상기 도어스크린(50)의 하단에 구성되는 제2고정판(52)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3)과 제2고정판(52) 사이에 위치되며 타단은 압축스프링(70a)에 의해 상기 제1고정판(51)의 후면과 연결되는 경첩체(70)와;
    상기 힌지체(60)가 구성되는 제1고정판(51)과 상기 경첩체(70)가 구성되는 제2고정판(52)을 연결하는 연결판(81)과, 상기 연결판(81)의 전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힌지스프링(82)과, 이 힌지스프링(82)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판(81)의 전면과 힌지핀(83)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연결판(81)의 전면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3)에 구성되는 록킹돌기(22)에 록킹/언록킹 되는 록킹체(8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판(52)의 끝단에는 걸림편(52a)이 더 연장형성되고, 상기 걸림편(52a)이 걸어지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3)의 전면에는 걸림돌기(23a)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40)는,
    상기 상부지지체(10)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에 외측으로 말린 형상의 제1힌지부(41a)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41)와;
    상기 제1가이드(41)의 제1힌지부(41a)에 말아지는 제2힌지부(42a)가 상단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42)와;
    상기 제2가이드(42)의 전면에 이 제2가이드(4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봉(43)과;
    상기 가이드봉(43)에 상단이 끼워지고 하단은 상기 도어스크린(50)의 상단에 고정되는 다수의 슬라이더(44)와;
    상기 다수의 슬라이더(44) 중 선측에 위치되는 슬라이더와 일측이 연결되는 가이드와이어(45)와;
    상기 가이드와이어(45)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가이드(42)의 전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탄성스프링(46)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체(60)는,
    상기 지지프레임(23)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1힌지판(61)과;
    상기 제1힌지판(61)의 상부측에 일측이 제1힌지핀(62)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판(63)과;
    상기 제2힌지판(63)의 타측과 일측이 제2힌지핀(64)에 의해 힌지결합되되 상기 제1힌지핀(6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고정판(51)에 고정되는 제3힌지판(65)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첩체(70)는,
    상기 제2고정판(52)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1경첩판(71)과;
    상기 제1경첩판(71)과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제2경첩판(72)과;
    상기 제2경첩판(72)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힌지회전판(73)이 일측에 절곡형성된 제3경첩판(74)과;
    상기 제3경첩판(74)의 타측과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절곡된 고정편(75)이 형성된 제4경첩판(76)과;
    상기 제4경첩판(76)의 고정편(75)에 고정되는 와이어(77)와, 이 와이어(77)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1고정판(51)의 후면에 연결 고정되는 압축스프링(70a)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0100076839A 2010-08-10 2010-08-10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993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839A KR100993102B1 (ko) 2010-08-10 2010-08-10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839A KR100993102B1 (ko) 2010-08-10 2010-08-10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102B1 true KR100993102B1 (ko) 2010-11-08

Family

ID=4340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839A KR100993102B1 (ko) 2010-08-10 2010-08-10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08A (ko) 2015-08-18 2017-02-28 공창석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감아올리는 비상문장치
WO2019033258A1 (zh) * 2017-08-15 2019-02-21 谢育廷 铁卷门逃生装置与应用于铁卷门逃生装置的制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117Y1 (ko) * 2004-08-23 2005-01-10 주식회사 예건 도어스 시스템 방화 스크린의 비상구 차단장치
JP2008061722A (ja) * 2006-09-06 2008-03-21 Unitika Ltd 防火区画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117Y1 (ko) * 2004-08-23 2005-01-10 주식회사 예건 도어스 시스템 방화 스크린의 비상구 차단장치
JP2008061722A (ja) * 2006-09-06 2008-03-21 Unitika Ltd 防火区画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08A (ko) 2015-08-18 2017-02-28 공창석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감아올리는 비상문장치
WO2019033258A1 (zh) * 2017-08-15 2019-02-21 谢育廷 铁卷门逃生装置与应用于铁卷门逃生装置的制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219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
KR101757466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KR100993102B1 (ko)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200428452Y1 (ko) 방화 스크린 장치
KR100695878B1 (ko) 방화스크린장치
KR100789767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KR100987888B1 (ko) 방화용 스크린 셔터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101995687B1 (ko)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200331193Y1 (ko) 화이어 가드 장치
KR20080007917A (ko) 방화 스크린 장치
KR20140103223A (ko) 방화 스크린셔터
KR102106786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KR20120126507A (ko) 피난용 사다리
KR20210128692A (ko) 방화기능이 향상된 방화장치
KR20090110530A (ko) 새로운 비상구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KR100722970B1 (ko) 건축물에 설치하는 비상탈출이 가능한 방범창
KR101013794B1 (ko)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KR100963500B1 (ko)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JP4791081B2 (ja) 防火用スクリーン
KR20120013001A (ko) 비상문을 갖는 방화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