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500B1 -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 Google Patents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500B1
KR100963500B1 KR1020070060149A KR20070060149A KR100963500B1 KR 100963500 B1 KR100963500 B1 KR 100963500B1 KR 1020070060149 A KR1020070060149 A KR 1020070060149A KR 20070060149 A KR20070060149 A KR 20070060149A KR 100963500 B1 KR100963500 B1 KR 100963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ire
coupled
rota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782A (ko
Inventor
강해근
윤석민
Original Assignee
(주)예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건테크 filed Critical (주)예건테크
Priority to KR102007006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500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은 화재 발생시 설치장소의 일측벽을 따라 하강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과 함께 상기 일측벽과 대향되는 타측벽을 따라 하강되고, 상기 제1 스크린과 일부 중첩되는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에 결합되어, 화재 발생지역의 압력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화재 발생지역 반대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을 결속시키며, 결속된 상기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의 결속상태를 해제시키는 좌판부 를 구비함으로써, 분리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결속시키고,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의 결속 상태를 유지시키며, 결속상태가 해제된 스크린을 비상문으로 사용하므로 대피하는 사람들의 신체조건에 제약없이 한 번에 많은 사람들의 대피가 가능하여, 피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Firestop screen with built in exit do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도 1에 표기된 I-I'선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표기된 Ⅱ부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b는 도 5에 표기된 Ⅱ부의 화재 발생시 상태에서 제1 스크린을 당겼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일부를 간략하게 타나 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연 스크린 개폐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닫힐 때의 차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개방될 때의 차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차연 스크린 개폐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닫힐 때의 차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개방될 때의 차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방화 스크린 110 : 승강부
130 : 제1 스크린 150 : 제2 스크린
170 : 좌판부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결속시키고, 화재 발생시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의 결속 상태를 유지시키는 방화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통로를 차단하여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화셔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는 다수의 폭이 좁고 긴 금속판을 서로 물려 문틀 상부의 셔터박스에 마련된 구동장치로 감아 올려 여닫는 철제문으로, 소정부에 비상구를 만들고, 개방된 후에도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스프링힌지를 사용하여 비상문을 설치한다. 이는 방화셔터가 내려진 후에도 인명의 긴급구조 내지는 비상탈출을 위함이다.
이를 위해 건설교통부에서는 자동방화셔터 및 비상문의 기준;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5-232호를 고시함으로서, 방화셔터 및 비상문은 성능과 안전성의 평가 및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화재상황을 가정한 내화 시험과 차연성 시험 등을 통해 내화성, 내충격성, 차연성 등의 여러 요건을 충족시켜 제작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 셔터의 비상문은 셔터에 소정 크기의 비상구를 형성하고, 셔터의 비상구에 비상문을 결합하는 형태로 제작되어져, 화재 발생시, 피난 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 서로 분리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결속시키고,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의 결속 상태 를 유지시켜,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및 유독 가스 등을 차단하고,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들의 피난이 용이하도록 한 방화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은 화재 발생시 설치장소의 일측벽을 따라 하강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과 함께 상기 일측벽과 대향되는 타측벽을 따라 하강되고, 상기 제1 스크린과 일부 중첩되는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에 결합되어, 화재 발생지역의 압력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화재 발생지역 반대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을 결속시키며, 결속된 상기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의 결속상태를 해제시키는 좌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좌판부는 상기 제1 스크린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1 회동판과, 상기 제2 스크린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 회동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회동판 및 상기 제2 회동판 중 어느 하나에는 결속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회동판 및 상기 제2 회동판 중 상기 결속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속 돌기와 동축을 갖는 결속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동판과 상기 제2 회동판은 상기 화재 발생지역의 압력팽창에 따라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 홀에 삽입되도록 회동되고, 상기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결속 홀에 삽입된 상기 결속 돌기가 빠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판 및 상기 제2 회동판 중 상기 결속 돌기가 형성되는 어느 하나는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회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은 화재 발생시 설치장소의 일측벽을 따라 화재 발생지역에서 하강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과 함께 상기 일측벽과 대향되는 타측벽을 따라 하강되고, 화재 발생지역 반대측에서 상기 제1 스크린과 일부 중첩되는 제2 스크린과, 일단부가 상기 제1 스크린에 접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 스크린과 중첩되는 차연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에 결합되어, 화재 발생지역의 압력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화재 발생지역 반대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을 결속시키며, 결속된 상기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의 결속상태를 해제시키는 좌판부 및 상기 제2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 상기 차연 스크린을 개폐시키는 차연 스크린 개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연 스크린 개폐부는 절곡부가 상기 좌판부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차연 스크린에 결합되는 차연 회동판과, 상기 제2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 상기 차연 회동판의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차연 회동판의 타측과 상기 좌판부에 결합되어 신축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상기 차연 스크린 개폐부는 제1 절곡부가 상기 좌판부에 힌지 결합되며, 제2 절곡부에 의해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차연 스크린에 결합되는 차연 회동판과,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 사이의 상기 차연 회동판과 상 기 좌판부에 결합되어 신축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연 스크린 개폐부는 상기 차연 스크린에 결합되는 차연 회동판과, 일단이 상기 차연 회동판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좌판부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화 스크린(100)은 사람이 지나는 통로 및 출입구와 같은 장소(이하, '설치장소'라 함.)에 설치되며, 승강부(110), 제1 스크린(130), 제2 스크린(150) 및 좌판부(170)를 구비한다.
승강부(110)는 권취축(111), 구동모터(113) 및 가이드 레일(115)을 구비한다.
구동모터(113)는 평상시 설치장소의 상부에서 권취축(111)이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을 감아 올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설치장소를 지나는 사람들의 통행을 보장하며, 화재 발생시 권취축(111)이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을 하강시켜 화재 발생지역을 차단하도록, 권취축(111)과 함께 설치장소의 상부에 구비된다.
가이드 레일(115)은 화재 발생시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이 설치장소에서 수직 하강되도록 설치장소의 일측벽 및 일측벽과 대향되는 타측벽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스크린(130)은 설치장소의 일측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15)을 따라 하강되도록 구비되며, 제2 스크린(150)은 설치장소의 일측벽과 대향되는 타측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15)을 따라 하강되도록 구비된다. 하강된 제1 스크린(130)은 화재 발생지역 측에 위치하며, 하강된 제2 스크린(150)은 화재 발생지역 반대측에서 제1 스크린(130)과 일부 중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은 내화성 및 차연성을 갖춘 직물소재로 채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을 직물 소재로 구비함으로써, 방화 스크린(100)의 건물과의 조화, 방화 스크린(100)의 제작공정의 단순화, 방화 스크린(100)의 경량화에 따른 장비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도 1에 표기된 I-I'선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좌판부(170)는 제1 회동판(171), 제2 회동판(173) 및 지지판(175)을 구비한다.
지지판(175)은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의 설치를 위한 격벽(175a)과,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이 하강됨에 따라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바닥판(175b)을 구비한다. 여기서, 격벽(175a)은 제1 회동판(171)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1 격벽(175aa)과, 제2 회동판(173)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2 격벽(175ab)과,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이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3 격벽(175a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3 격벽(175ac)의 두께는 제1 스크린(130)과 제2 스크린(150)이 중첩되어 접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동판(171)은 제1 스크린(130)을 사이에 두고 제1 회동판(171)과 제1 격벽(175aa)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체결판(171a)과 체결되어 제1 스크린(130)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1 회동판(171)의 일측은 제1 격벽(175aa)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경첩(177)에 의해 결합되어 화재 발생지역 및 화재 발생지역 반대 상측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판(175)에 결합된다. 제1 경첩(177)은 상부가 제3 격벽(175ac)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된다.
제2 회동판(173)은 제2 스크린(150)을 사이에 두고 제2 회동판(173)과 제2 격벽(175ab)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체결판(173a)과 체결되어 제2 스크린(150)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2 회동판(173)의 일측은 제2 격벽(175ab)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경첩(179)에 의해 결합되어 화재 발생지역 및 화재 발생지역 반대 상측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판(175)에 결합된다. 제2 경첩(179)은 제2 회동판(173)이 상부가 제3 격벽(175ac)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은 제1 스크린(130)과 제2 스크린(150)이 중첩되는 영역과 마찬가지로 제1 회동판(171)의 타측과, 제2 회동판(173)의 타측이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된다. 제1 회동판(171)의 타측 하부와, 제2 회동판(173)의 타측 하부에는 평상시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이 자기력에 의해 제3 격벽(175ac)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흡착되도록 제1 자기부재(171b)와, 제2 자기부재(173b)가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회동판(171)의 타측 하부에는 제1 자기부재(171b)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171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회동판(173)의 타측 하부에는 제2 자기부재(173b)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173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격벽(175ac)의 일면과 타면에는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이 정렬위치에서 제3 격벽(175ac)에 흡착되도록 제1 정렬돌기(175c)와 제2 정렬돌기(175d)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자기부재(171b)와 제2 자기부재(173b)에는 제1 정렬돌기(175c)와 제2 정렬돌기(175d)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정렬홈(171b')과, 제2 정렬홈(173b')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동판(171)의 타단에는 제2 회동판(173) 측으로 연장되고, 제1 회동판(171)의 상측으로 절곡되는 결속 돌기(171d)가 형성되며, 제2 회동판(173)의 타측 상부에는 결속 돌기(171d)와 대향되는 위치에 결속 돌기(171d)와 동축을 갖는 결속 홀(173d)이 형성된다. 이때, 결속 홀(173d)은 제1 회동판(171)이 제1 자기부재(171b)에 의해 격벽(175a)의 정렬위치에 흡착되고, 제2 회동판(173)이 제2 자기부재(173b)에 의해 격벽(175a)의 정렬위치에 흡착될 때, 결속 돌기(171d)가 삽입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화재 발생시 제1 스크린(130)을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당김으로써 제1 스크린(130)이 개방되도록 하여 제1 스크린(130)을 피난을 위한 비상문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술된 설명과 도시된 도면에서 제1 경첩(177)과 제2 경첩(179)은 각각 상부가 제3 격벽(175ac)측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으나, 제1 경첩(177)과 제2 경첩(179)은 상부가 설치장소의 일측벽과, 타측벽으로 각각 기울어지도록 설치되어도 구성과 작용은 유사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된 설명과 도시된 도면에서 결속 돌기(171d)는 제1 회동판(171)의 타단에 형성되고, 결속 홀(173d)은 제2 회동판(173)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으나, 결속 돌기(171d)와 결속 홀(173d)이 형성되는 위치는 화재 발생지역의 압력 팽창에 따라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이 화재 발생지역 반대측으로 회동될 때, 결속 돌기(171d)가 결속 홀(173d)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위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작동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지역을 차단시키기 위해 좌판부(170)와 결합된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은 자중에 의해 가이드 레일(115)을 따라 설치장소에 대해 수직 하강된다. 이때,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은 제1 자기부재(171b)와 제2 자기부재(173b)에 의해 제3 격벽(175ac)에 흡착되어 있으며, 결속 돌기(171d)는 결속 홀(173d)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화재가 발생되고 점차 시간이 흐르면, 화재 발생지역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화재 발생지역의 압력이 팽창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 재 발생지역의 반대방향으로 압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지역을 차단하고 있는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은 화재 발생지역의 반대방향으로 그 중심부가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휘어진다.
이때,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은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의 휘어짐에 따라 제1 자기부재(171b)와 제2 자기부재(173b)에 의한 흡착이 해제되고, 격벽(175a)을 뛰어넘어 화재 발생지역 반대방향 상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6a는 도 5에 표기된 Ⅱ부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a 를 참조하면, 평상시 및 설치장소에서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이 수직하강되었을 때, 결속 홀(173d)에 삽입되지 않았던 결속 돌기(171d)는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이 화재 발생지역 반대 상측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결속 홀(173d)에 삽입되어, 제2 스크린(150)으로부터 제1 스크린(130)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1 회동판(171)은 제1 자기부재(171b)에 의해 제3 격벽(175ac)의 정렬위치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고 점차 시간이 흐르면,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이 화재 발생지역의 반대측으로 휘어짐에 따라 상부가 제3 격벽(175ac) 측으로 기울어진 제1 경첩(177)에 의해 화재 발생지역 반대 상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동판(173)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결속 홀(173d)에 결속 돌기(171d)가 삽입되어, 제1 스크린(130)이 제2 스크린(150)으로부터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화재 발생지역에서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사람들은 제1 스크린(130)을 화재 발생지역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비상문으로 사용한다.
도 6b는 도 5에 표기된 Ⅱ부의 화재 발생시 상태에서 제1 스크린을 당겼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결속 돌기(171d)가 결속 홀(173d)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스크린(130)을 화재 발생지역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 스크린(130)의 하단에 결합된 제1 회동판(171)은 화재 발생지역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결속 돌기(171d)는 결속 홀(173d)에서 빠져나와, 제1 스크린(130)과 제2 스크린(150)의 결속상태가 해제되고, 제1 스크린(130)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방화 스크린(100)은 화재 발생시 결속 돌기(171d)가 결속 홀(173d)에 삽입되어, 제1 스크린(130)과 제2 스크린(150)의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염 및 연기를 차단시킨다. 반면, 화재 발생지역에서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사람들이 제1 스크린(130)을 당김으로써, 결속 홀(173d)에 삽입된 결속 돌기(171d)가 빠지게 되어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또한 방화 스크린(100)은 제1 스크린(130) 전체를 비상문으로 사용함으로써, 한 번에 많은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100a)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100a)의 구성 중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100)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 중 상술된 본 발 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100)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일부를 간략하게 타나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방화 스크린(100a)은 차연 스크린(210)및 차연 스크린 개폐부(230)를 구비한다.
차연 스크린(210)은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재로 인한 연기가 화재 발생 지역 반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단이 제1 스크린(130)에 접합되고, 타측단은 제2 스크린(150)과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제2 스크린(150)의 제1 스크린(130)과 중첩되는 끝단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연 스크린 개폐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연 스크린 개폐부(230)는 절곡부(231a)를 갖는 차연 회동판(231), 탄성부재(233) 및 가이드 바(235)를 구비한다. 차연 회동판(231)은 절곡부(231a)에 의해 제1 바(231b)와 제2 바(231c)로 구분될 수 있다.
절곡부(231a)는 차연 회동판(231)이 제2 회동판(173)의 접촉에 따라 회동되도록 좌판부(170)의 격벽(175a)에 힌지 결합된다. 제1 바(231b)는 절곡부(231a)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제2 회동판(173)의 접촉에 따라 차연 회동판(231)을 제2 스크린(150) 측으로 회동 시킬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2 바(231c)는 절곡부(231a)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격벽(175a)에 설치되는 탄성부재(233)에 의해 차연 회동판(231)을 제2 스크린(150)의 반대 측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제1 바(231b)는 제1 바(231b)의 회동에 따라 차연 스크린(210)이 개폐되도록 차연 스크린(210)의 하단에 결합된다.
가이드 바(235)는 일단이 차연 회동판(231)에 결합되며, 타단이 격벽(175a)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235a)을 따라 왕복되도록 설치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닫힐 때의 차연 스크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2 스크린(150)이 닫힐 때, 제2 회동판(173)의 타단은 가이드 바(235)에 접촉되며, 가이드 바(235)를 가압한다. 이때, 제2 회동판(173)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 바(235)의 타단은 차연 회동판(231)의 절곡부(231a) 측으로 이동되며, 가이드 바(235)의 일단은 가이드 바(235)의 타단이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가이드 바(235)의 타단과 결합된 제1 바(231b)는 가이드 바(235)의 타단의 이동에 따라 제2 스크린(150) 측으로 회동되며, 제1 바(231b)에 결합된 차연 스크린(210)은 제2 스크린(150)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화재 발생지역의 반대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개방될 때의 차연 스크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2 스크린(150)이 개방될 때, 탄성부재(233)는 제2 스크린(150)의 반대 측으로 압축되어 제2 바(231c)를 격벽(175a) 측으로 당긴다. 제1 바(231b)는 제2 바(231c)와 연동되며, 제2 스크린(150)의 반대 측으로 회동된다. 제1 바(231b)에 결합된 차연 스크린(210)은 제1 바(231b)의 회동에 따라 개방된다. 이때, 가이드 바(235)는 일단이 제1 바(231b)를 따라 이동되며, 가이드 바(235)의 타단은 가이드 바(235)의 일단이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차연 스크린 개폐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방화 스크린(100a)은 차연 스크린(210)과, 차연 스크린 개폐부(240)를 구비한다.
차연 스크린 개폐부(240)는 제1 절곡부(241a) 및 제2 절곡부(241b)를 갖는 차연 회동판(241)과, 탄성부재(243)를 구비한다. 차연 회동판(241)은 제1 절곡부(241a)와 제2 절곡부(241b)에 의해 제1 바(241c), 제2 바(241d) 및 제3 바(241e)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절곡부(241a)는 차연 회동판(241)이 제2 회동판(173)의 접촉에 따라 회동되도록 좌판부(170)의 격벽(175a)에 힌지 결합된다. 제1 바(241c)는 제1 절곡부(241a)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제2 회동판(173)의 접촉에 따라 차연 회동판(241)을 제2 스크린(150) 측으로 회동 시킬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2 바(241d)는 제1 절곡부(241a)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격벽(175a)에 설치되는 탄성부재(243)에 의해 차연 회동판(241)을 제2 스크린(150)의 반대 측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제3 바(241e)는 제2 바(241d)로부터 제2 절곡부(241b)에서 절곡 연장되고, 제3 바(241e)의 회동에 따라 차연 스크린(210)이 개폐되도록 차연 스크린(210)의 하단에 결합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닫힐 때의 차연 스크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2 스크린(150)이 닫힐 때, 제2 회동판(173)의 타단은 제1 바(241c)에 접촉되며, 제1 바(241c)를 가압한다. 이때, 제2 회동판(173)의 가압에 의해 제1 바(241c)는 격벽(175a) 측으로 회동된다. 제1 바(241c)의 회동에 따라 제2 바(241d)와, 제3 바(241e) 또한 제2 스크린(150) 측으로 회동된다.
제3 바(241e)의 회동에 따라 제3 바(241e)에 결합된 차연 스크린(210)은 제2 스크린(150)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화재 발생지역의 반대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개방될 때의 차연 스크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2 스크린(150)이 개방될 때, 탄성부재(243)는 격벽(175a) 측으로 압축되어 제2 바(241d)를 격벽(175a) 측으로 당긴다. 제1 바(241c)와, 제3 바(241e)는 제2 바(241d)와 연동되며, 제2 스크린(150)의 반대 측으로 회동된다. 제3 바(241e)에 결합된 차연 스크린(210)은 제3 바(241e)의 회동에 따라 개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연 스크린 개폐부는 은 제1 절곡부(241a)와 제2 절곡부(241b)로 구분되는 제1 바(241c), 제2 바(241d) 및 제3 바(241e)를 구비하는 차연 회동판(241)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절곡되지 않은 하나의 바로 구비되며, 차연 스크린(210)이 결합되는 차연 회동판(미도시)과, 일단이 차연 회동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격벽(175a)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더라도 그 구성과 작용은 유사하다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은 분리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의 결속시키고,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의 결속을 유지시며, 제1 스크린을 비상문으로 사용하므로 대피하는 사람들의 신체조건에 제약없이 한 번에 많은 사람들의 대피가 가능하여, 피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은 차연 스크린을 구비하여,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화재 발생시 설치장소의 일측벽을 따라 하강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과 함께 상기 일측벽과 대향되는 타측벽을 따라 하강되고, 상기 제1 스크린과 일부 중첩되는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에 결합되어, 화재 발생지역의 압력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화재 발생지역 반대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을 결속시키며, 결속된 상기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의 결속상태를 해제시키는 좌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는 상기 제1 스크린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1 회동판과, 상기 제2 스크린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 회동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회동판 및 상기 제2 회동판 중 어느 하나에는 결속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회동판 및 상기 제2 회동판 중 상기 결속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속 돌기와 동축을 갖는 결속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동판과 상기 제2 회동판은 상기 화재 발생지역의 압력팽창에 따라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 홀에 삽입되도록 회동되고, 상기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결속 홀 에 삽입된 상기 결속 돌기가 빠지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판 및 상기 제2 회동판 중 상기 결속 돌기가 형성되는 어느 하나는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4. 화재 발생시 설치장소의 일측벽을 따라 하강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과 함께 상기 일측벽과 대향되는 타측벽을 따라 하강되고, 상기 제1 스크린과 일부 중첩되는 제2 스크린과,
    일단부가 상기 제1 스크린에 접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 스크린과 중첩되는 차연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에 결합되어, 화재 발생지역의 압력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화재 발생지역 반대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을 결속시키며, 결속된 상기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화재 발생지역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의 결속상태를 해제시키는 좌판부 및
    상기 제2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 상기 차연 스크린을 개폐시키는 차연 스크린 개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 스크린 개폐부는
    절곡부가 상기 좌판부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차연 스크린에 결합되는 차연 회동판과,
    상기 제2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 상기 차연 회동판의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차연 회동판의 타측과 상기 좌판부에 결합되어 신축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 스크린 개폐부는
    제1 절곡부가 상기 좌판부에 힌지 결합되며, 제2 절곡부에 의해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차연 스크린에 결합되는 차연 회동판과,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 사이의 상기 차연 회동판과 상기 좌판부에 결합되어 신축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연 스크린 개폐부는
    상기 차연 스크린에 결합되는 차연 회동판과,
    일단이 상기 차연 회동판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좌판부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KR1020070060149A 2007-06-19 2007-06-19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KR100963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49A KR100963500B1 (ko) 2007-06-19 2007-06-19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49A KR100963500B1 (ko) 2007-06-19 2007-06-19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782A KR20080111782A (ko) 2008-12-24
KR100963500B1 true KR100963500B1 (ko) 2010-06-17

Family

ID=4036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149A KR100963500B1 (ko) 2007-06-19 2007-06-19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6484B (zh) * 2021-01-12 2021-12-21 安徽享德窗饰材料有限公司 一种自动感应调节双帘升降速度的消防防火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295A (ja) 1997-01-31 1998-08-11 Bunka Shutter Co Ltd 耐火スクリーン装置
JPH11280356A (ja) 1998-03-31 1999-10-12 Nichias Corp 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2000297572A (ja) 1999-04-13 2000-10-24 Ohbayashi Corp ウオークスルー型耐火スクリーン構造
JP2000303753A (ja) 1999-04-23 2000-10-31 Toyo Shutter Co Ltd シートシャッター
JP2002291915A (ja) * 2001-03-30 2002-10-08 Nichias Corp 耐火性シートを用いた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2005180032A (ja) 2003-12-19 2005-07-07 Sanwa Shutter Corp 防火防煙用の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防火防煙用の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シート開閉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295A (ja) 1997-01-31 1998-08-11 Bunka Shutter Co Ltd 耐火スクリーン装置
JPH11280356A (ja) 1998-03-31 1999-10-12 Nichias Corp 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2000297572A (ja) 1999-04-13 2000-10-24 Ohbayashi Corp ウオークスルー型耐火スクリーン構造
JP2000303753A (ja) 1999-04-23 2000-10-31 Toyo Shutter Co Ltd シートシャッター
JP2002291915A (ja) * 2001-03-30 2002-10-08 Nichias Corp 耐火性シートを用いた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2005180032A (ja) 2003-12-19 2005-07-07 Sanwa Shutter Corp 防火防煙用の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防火防煙用の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シート開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782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640A (en) Walk-through type waterproof screen apparatus
JP2001012174A (ja) シートシャッターおよび該シートシャッターに用いるガイドブロック
KR100844525B1 (ko)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KR100963500B1 (ko)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KR102389924B1 (ko) 수평이동 비상탈출구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200428452Y1 (ko) 방화 스크린 장치
JP4789763B2 (ja) ウォークスルー耐火スクリーン
KR102521344B1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101013794B1 (ko)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JP3357844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20080007917A (ko) 방화 스크린 장치
KR100993102B1 (ko)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KR100987888B1 (ko) 방화용 스크린 셔터
JP3939105B2 (ja) 耐火性シートを用いた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2000308691A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3457908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3999246B2 (ja) 開閉体の閉鎖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030504B1 (ko) 방화문 연동셔터
JP2000274158A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2007224723A (ja) 開閉体の閉鎖装置
KR20240028060A (ko)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02

Effective date: 201002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