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060A -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 Google Patents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060A
KR20240028060A KR1020220106108A KR20220106108A KR20240028060A KR 20240028060 A KR20240028060 A KR 20240028060A KR 1020220106108 A KR1020220106108 A KR 1020220106108A KR 20220106108 A KR20220106108 A KR 20220106108A KR 20240028060 A KR20240028060 A KR 2024002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ttom bar
screen
cover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국
Original Assignee
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국 filed Critical 정국
Priority to KR102022010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060A/ko
Publication of KR2024002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a roller situa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8Sealings f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틀의 상부에 설치된 셔터구동부에 권취된 차열 스크린의 하단의 양면을 수용하여 압착하고, 중앙을 절곡한 클립부에 결합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일면에 삽입홀을 형성하여 클립부의 일측을 삽입홀을 통해 메인프레임의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지지부와 지지부를 수용하는 내측프레임부와 내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외측프레임부 및 외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BOTTOM BAR FOR FIRE SCREEN SHUTTER}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열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된 클립부를 수용하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지지부를 수용하는 내측프레임부와 내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외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형성하여 용접 및 볼트 없이도 결합할 수 있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 스크린셔터는 지하상가, 지하철 역사의 보도, 학교 및 백화점과 같은 각종 건축물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하면 롤러 구동으로 스크린 셔터가 하강하여 복도나 도로를 차단한다.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지역의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셔터 반대편으로 확산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방화 스크린셔터는 평상시에는 천정에 롤 형태로 감겨져 있다가 화재 발생시에는 감아져 있던 스크린이 바닥까지 펼쳐지면서 복도나 보도 등의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능성이나 제조 측면을 고려하여 불연성, 방염성 또는 난연성의 재질 및 천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채택하여 적용하고 있다.
또한, 방화스크린셔터는 단순히 방화(防火) 및 방연 기능뿐 아니라, 탈출자 또는 구조자가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셔터에 비상구가 함께 설치되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2219호(2008.06.24. 등록)인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를 살펴보면, 피난문의 상,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 조의 지지레일을 설치하고 피난문의 상, 하변부에는 지지레일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로울러를 구비한다.
그리고 피난문에 닫힘방향으로의 탄성 당김력을 부여하기 위한 인장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대피자의 탈출 시 손잡이를 옆으로 밀면 피난문이 레일 커튼과 같이 슬라이드 되면서 주름진 형태로 접어져 피난통로를 형성하고 당김력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펼쳐져 닫혀지도록 한다.
또한, 피난문의 우측변에 인장용 와이어를 긴장되게 고정 설치하여 피난문의 개방 시 당김력이 우측변의 상, 하단에 고르게 부여되고 우측변을 상시 평평한 직선으로 유지시키며, 포켓타입의 상부 및 측면커버를 두되 피난문의 우측변과 측면 커버의 내부에 상호 자력을 통해 접착될 수 있는 밀접 수단을 두어 피난문의 닫힘 시, 측면 커버가 우측변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 방화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를 제안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07917호(2008.01.23. 공개)인 방화 스크린 장치를 살펴보면,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전롤러와 회전롤러에 권취되는 내화 스크린과 내화 스크린이 권취되는 회전롤러를 수용하는 회전롤러 수용케이스와 회전롤러로부터 내화 스크린이 풀려 내려오거나 권취될 때 그 내화 스크린의 양 측단을 가이드 및 고정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비한다.
특히, 내화 스크린은 방염커튼과 방염커튼의 끝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3개의 웨이트바와 방염커튼의 상단 중앙부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3개의 중간바로 이루어지고, 중앙의 웨이트바 및 중간바의 일측은 힌지를 각각 개재하여 인접하는 웨이트바 및 중간바에 각각 고정되고, 힌지로 고정된 중간바의 타측은 신축부재에 의하여 인접하는 중간바에 연결되고, 힌지로 고정된 중간바 및 웨이트바가 힌지의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상기 힌지로 고정된 중간바 및 웨이트바 영역의 방염커튼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절개되어 구성된 방화스크린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방화 스크린 셔터는 재질의 특성상 중량이 가볍고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에 쉽게 날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풍압에 의해 스크린셔터의 아래 부분이 조금만 들리어도 틈으로 고온의 화염을 비롯하여 유독가스가 새기 때문에 스크린셔터가 풍압에 의해서 개방되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들의 방화 스크린셔터는 화재에 따른 온도차 또는 화염 폭발 등으로 발생하는 풍압에 의해 셔터가 쉽게 들리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차폐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2219호(2008.06.24.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07917호(2008.01.2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열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된 클립부를 수용하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지지부를 수용하는 내측프레임부와 내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외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형성하여 용접 및 볼트 없이도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이 상부방향으로 이동 시, 클립부가 상향하여 삽입홀의 상부를 지지하여 지지부를 상향시키고, 지지부의 상향으로 내측프레임부와 외측프레임부 및 커버부를 순차적으로 지지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부의 높이를 커버부의 일면보다 높게하여 진입홀로 슬라이딩되어 위치하는 지지부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삽입홀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된 클립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화문틀의 상부에 설치된 셔터구동부에 권취된 차열 스크린의 하단의 양면을 수용하여 압착하고, 중앙을 절곡한 클립부에 결합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면에 삽입홀을 형성하여 상기 클립부의 일측을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는 내측프레임부;
상기 내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외측프레임부; 및
상기 외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크린이 상부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클립부가 상향하여 상기 삽입홀의 상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단차를 형성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상부 일단이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차를 형성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교차하여 서로 만나는 상기 단차의 사이를 개구시켜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를 삽입시키는 체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체결홀로 삽입된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부는 상기 내측프레임부를 둘러싸며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절곡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이 상기 내측프레임부의 외측면을 적어도 한 면 이상 밀착되게 한 절곡부; 상기 지지부의 단부면의 넓이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면을 개구시킨 슬라이딩홀; 및 상기 슬라이딩홀로부터 수직한 벽체를 형성하여 상기 내측프레임부에 수용된 상기 지지부의 상부를 둘러싸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 커버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부의 서로 이격된 넓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프레임의 일면을 개구시킨 진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진입홀이 위치한 상기 커버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부로 수용된 상기 본체프레임의 절곡부가 상기 경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밀착되게 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용접 및 볼트없이 결합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이 상부방향으로 이동 시 지지부, 내측프레임부, 외측프레임부 및 커버부가 순차적으로 상향되어 각각의 무게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는 내측프레임부에 수평부를 형성하여 내측프레임부로 슬라이딩 수용된 지지부의 하부를 지지하여 지지부가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동하거나 외압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부의 높이를 커버부의 일면보다 높게하여 진입홀로 슬라이딩되어 위치하는 지지부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삽입홀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된 클립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의 지지부에 차열 스크린의 하단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를 지지부를 내측프레임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내측프레임부를 외측프레임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외측프레임부를 커버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의 지지부에 차열 스크린의 하단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를 지지부를 내측프레임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내측프레임부를 외측프레임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외측프레임부를 커버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10)는 지지부(100), 내측프레임부(200), 외측프레임부(300) 및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10)는 방화문틀의 상부에 설치된 셔터구동부에 권취된 차열 스크린(11)의 하단의 양면을 수용하여 압착하고, 중앙을 절곡한 클립부(12)에 결합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의 일면에 삽입홀(120)을 형성하여 클립부의 일측을 삽입홀을 통해 메인프레임의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지지부(100), 지지부를 수용하는 내측프레임부(200), 내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외측프레임부(300) 및 외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스크린(11)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화셔터용 셔터로 방화문틀의 수직한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레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10)의 양측을 수용하여 스크린(11)이 셔터구동부에 권취 또는 권출 시 하단바(10)가 외압 또는 풍압에 흔들리는 것을 줄여준다.
클립부(12)는 스크린(11)의 하단의 양면을 수용하여 압착되어 판으로 형성되고, 판의 중앙을 축으로 곡선형으로 절곡되어 U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지지부(1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스크린(11)의 하단에 지지부(100)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00)는 메인프레임(110) 및 삽입홀(120)을 더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납작한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납작한 면이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스크린(11)의 하단에 결합된 클립부(12)를 수용하여 결합된다.
이를 위해, 메인프레임(110)의 일면에 삽입홀(120)을 형성하여 U자 형상의 클립부(12)의 일측이 삽입홀(120)을 통해 메인프레임(110)의 내부로 위치한다.
여기서, 삽입홀(120)은 클립부(12)의 높이의 1/2의 높이로 메인프레임(110)의 일면을 개구하여 메인프레임(110)의 내부로 수용된 클립부(12)의 일측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부(100)는 스크린(11)이 상부방향으로 이동 시, 클립부(12)가 상향하여 삽입홀(120)의 상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게 하여 메인프레임(110)에 클립부(12)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측프레임부(200)는 지지부(110)를 수용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내측프레임부(200)는 바디프레임(210), 수직부(220), 수평부(230) 및 체결홀(240)을 더 포함한다.
바디프레임(21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단차를 형성한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특히, 바디프레임(210)은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지지부(110)를 슬라이딩 결합시키기 위해, 사긱기둥형상에서 일측을 단차지게 형성하고, 단차에 후술하는 체결홀(240)을 형성하는 것이다.
수직부(220)는 바디프레임(210)의 상부 일단이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단차를 형성한다.
또한, 수직부(22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 지지부(100)의 일측을 진입시켜 슬라이딩하여 체결하는 경우,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된 삽입홀(120)의 하부가 바디프레임(210)에 형성된 체결홀(240)의 하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삽입홀(120)을 마주보는 방향의 메인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수직부(220)의 일면이 서로 인접하거나 접촉하여 메인프레임(110)을 바디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진입을 용이하게 해준다.
수평부(230)는 수직부(220)의 일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된다.
특히, 수평부(230)는 체결홀(240)로 삽입된 메인프레임(110)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홀(240)은 수평부(230)와 수직부(220)를 교차하여 서로 만나는 단차의 사이를 개구시켜 메인프레임(110)의 하부를 삽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측프레임부(300)는 내측프레임부(200)를 수용하는 바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외측프레임부(300)는 본체프레임(310), 절곡부(320), 슬라이딩홀(330) 및 가이드부(340)를 더 포함한다.
본체프레임(310)은 내측프레임부(200)를 둘러싸며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절곡부(320)는 본체프레임(310)의 외측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절곡하여 본체프레임(310)의 내측면이 내측프레임부(200)의 외측면을 적어도 한 면 이상 밀착되게 한다.
즉, 본체프레임(310)의 일단으로 내측프레임부(200)를 형성하는 바디프레임(210)이 슬라이딩되어 수용된 경우, 본체프레임(310)을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320)가 바디프레임(210)의 어느 한면에 밀착된다.
이때, 바디프레임(210)에 형성된 단차 중 높이가 높은 상면과 상면의 말단으로부터 절곡된 측면에 본체프레임(310)의 내측면이 각각 인접하거나 접촉되도록 절곡부(320)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차열 스크린(11)의 상부 이동 시, 지지부(110)를 수용한 내측프레임부(200)의 상향으로 내측프레임부(200)의 단차가 높은 상면이 본체프레임(310)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외??프레임부(300)도 상향될 수 있게 한다.
슬라이딩홀(330)은 지지부(100)의 단부면의 넓이에 대응하여 본체프레임(310)의 일면을 개구시킨 홀이다.
이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12)를 결합시킨 지지부(100)를 내측프레임부(200)에 체결하기 전 슬라이딩홀(330)을 통해 본체프레임(310)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위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후, 내측프레임부(200)를 외측프레임부(300)의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내측프레임부(200)의 내측으로 지지부(100)를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도 있다.
가이드부(340)는 슬라이딩홀(330)로부터 수직한 벽체를 형성하여 내측프레임부(200)에 수용된 지지부(100)의 상부를 둘러싸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이드부(34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를 내측프레임부(200)에 체결하기 전 슬라이딩홀(330)을 통해 본체프레임(310)의 내측으로 삽입시킬 때, 가이드하는 역할도 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커버부(400)는 외측프레임부(300)를 수용하는 바로 형성된 것으로 외측프레임부(300)를 둘러싸는 마감재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커버부(400)는 커버프레임(410) 및 진입홀(420)을 더 포함한다.
커버프레임(410)은 본체프레임(310)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 것으로 차열 스크린(11)의 하단에 노출되어 위치한다.
진입홀(420)은 가이드부(340)의 서로 이격된 넓이에 대응하여 커버프레임(410)의 일면을 개구시킨 홀이다.
특히, 진입홀(420)은 지지부(100)에 결합된 클립부(12)를 내부에 위치시키는 가이드부(340)를 형성한 본체프레임(310)을 슬라이딩하여 수용하는 커버프레임(410)을 커버프레임(410)의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수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10)에 있어서, 커버부(400)는 경사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430)는 진입홀(420)이 위치한 커버프레임(410)의 양측으로부터 경사를 형성하여 커버프레임(410)의 내부로 수용된 본체프레임(310)의 절곡부(320)가 경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10)는 차열 스크린(11)의 하단에 결합된 클립부(12)를 슬라이딩으로 체결한 지지부(100)를 형성하고, 지지부(100)를 내측프레임부(200)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수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측프레임부(200)를 외측프레임부(300)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수용시킨 후, 외측프레임부(300)를 커버부(400)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수용하여 마감한다.
이로 인해, 차열 스크린(11)의 하부에 하단바를 결합시키기 위해 용접 또는 볼트로 결합하는 대신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신속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방화문틀의 상부에 설치된 셔터구동부의 작동으로 차열 스크린(11)을 권취하여 상향 시키는 경우, 각 구성들이 서로 안착되어 중력에 의한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여 화재로 인한 외압 및 풍압에도 차열 스크린(11)이 구겨지거나 흔들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11 : 스크린 12 : 클립부
100 : 지지부 110 : 메인프레임
120 : 삽입홀 200 : 내측프레임부
210 : 바디프레임 220 : 수직부
230 : 수평부 240 : 체결홀
300 : 외측프레임부 310 : 본체프레임
320 : 절곡부 330 : 슬라이딩홀
340 : 가이드부 400 : 커버부
410 : 커버프레임 420 : 진입홀
430 : 경사부

Claims (6)

  1. 방화문틀의 상부에 설치된 셔터구동부에 권취된 차열 스크린의 하단의 양면을 수용하여 압착하고, 중앙을 절곡한 클립부에 결합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면에 삽입홀을 형성하여 상기 클립부의 일측을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는 내측프레임부;
    상기 내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외측프레임부; 및
    상기 외측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크린이 상부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클립부가 상향하여 상기 삽입홀의 상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단차를 형성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상부 일단이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차를 형성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교차하여 서로 만나는 상기 단차의 사이를 개구시켜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를 삽입시키는 체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체결홀로 삽입된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부는
    상기 내측프레임부를 둘러싸며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절곡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이 상기 내측프레임부의 외측면을 적어도 한 면 이상 밀착되게 한 절곡부;
    상기 지지부의 단부면의 넓이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면을 개구시킨 슬라이딩홀; 및
    상기 슬라이딩홀로부터 수직한 벽체를 형성하여 상기 내측프레임부에 수용된 상기 지지부의 상부를 둘러싸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 커버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부의 서로 이격된 넓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프레임의 일면을 개구시킨 진입홀을 더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진입홀이 위치한 상기 커버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부로 수용된 상기 본체프레임의 절곡부가 상기 경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밀착되게 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KR1020220106108A 2022-08-24 2022-08-24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KR20240028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108A KR20240028060A (ko) 2022-08-24 2022-08-24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108A KR20240028060A (ko) 2022-08-24 2022-08-24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060A true KR20240028060A (ko) 2024-03-05

Family

ID=9029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108A KR20240028060A (ko) 2022-08-24 2022-08-24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06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917A (ko) 2006-07-19 2008-01-23 김태운 방화 스크린 장치
KR100842219B1 (ko) 2008-01-21 2008-06-30 이세일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917A (ko) 2006-07-19 2008-01-23 김태운 방화 스크린 장치
KR100842219B1 (ko) 2008-01-21 2008-06-30 이세일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5265B2 (ja) エレベータ用防災装置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20240028060A (ko)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KR100542792B1 (ko) 대형 건축물의 방화셔터 강화구조
KR101995687B1 (ko)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KR100859527B1 (ko)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20080109160A (ko)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방화스크린셔터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411903Y1 (ko) 방화 스크린 셔터
JPH0611343B2 (ja) 洞道等における防火扉を構成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20180026115A (ko) 방화스크린셔터 고정장치
KR100987888B1 (ko) 방화용 스크린 셔터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JP2015140542A (ja) 遮熱シート防火設備
JP3854259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20110096308A (ko) 띠장의 덧댐 구조에 의하여 비상문의 임의 벌어짐을 방지토록 되는 방화셔터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JP3048993B2 (ja) 耐火スクリーン装置
CN212803007U (zh) 复合型防火卷帘门
KR101343047B1 (ko) 방화 커튼 장치
KR100963500B1 (ko)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JP3589862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2004244806A (ja) 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