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687B1 -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 Google Patents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687B1
KR101995687B1 KR1020190011666A KR20190011666A KR101995687B1 KR 101995687 B1 KR101995687 B1 KR 101995687B1 KR 1020190011666 A KR1020190011666 A KR 1020190011666A KR 20190011666 A KR20190011666 A KR 20190011666A KR 101995687 B1 KR101995687 B1 KR 101995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creen
screen
shaft
shutter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국
Original Assignee
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국 filed Critical 정국
Priority to KR1020190011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76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감지에 의해 모터가 작동하여 중앙부에 비상구가 관통된 메인스크린을 승하강 시키는 샤프트가 방화문틀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의 연기를 차단하면서 비상구를 통해 대피 시 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있어서, 방화문틀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샤프트의 하부 양측에 연결되어 메인스크린의 길이방향 양측을 커버하는 가이드부, 메인스크린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메인스크린이 일면 및 타면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지지부와 가이드부를 연결시키는 고정부 및 비상구의 일측에 절첩으로 연결되고 비상구의 타측에 일측변이 결합되어 비상구를 개폐시키는 비상문을 포함하는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NON-THRESHOLD FIREPROOF SCREEN SHUTTER}
본 발명은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틀의 상부에 설치된 샤프트에 의해 승하강 되는 메인스크린에 비상문을 형성하고, 화재발생 시 대피 중에 문턱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스크린의 하부에 문턱을 형성시키지 않은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며, 화재공간 및 방화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제한 사용되는 비상탈출문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는, 통상 천정면에 설치되는 구동장치와 이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바닥면측으로 하강되는 셔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셔터의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진 철재셔터와 방화시트로 구성되는 스크린 셔터로 구분되는바, 근래에는 방화시트로 구성되는 스크린 셔터가 주로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건물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는 스크린 셔터가 하강되어 건물의 내부 구획을 차단시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구역으로부터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이 번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재에 따른 인명사고 및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셔터에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비상도어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화재 발생시에 스크린 셔터가 내려오더라도 비상도어를 통해 사람들이 화재구역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발생에 의한 연기 및 유독가스 등으로 인하여 시야공간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는 상태의 화재구역 내에서는 방화셔터의 기능으로 위해요인의 진화를 방지되게 할 수는 있으나, 제한 사용되는 비상도어만으로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기에는 상당한 애로점이 많았다.
즉, 연기나 유독가스 등에 의해 식별력이 떨어지거나 상실되는 요인 및 비상유도의 표시 부재(不在) 등으로 비상도어를 쉽게 찾을 수 없고 화재에 의해 당황하는 사람들이 비상도어를 빠르게 열고 탈출하기에는 비상도어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고 비상도어의 작동이 용이하지 못함으로써 비상도어를 이용하여 빠르고 신속하게 화재구역으로부터의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비상탈출을 위해 열려진 비상도어가 다시 닫힘으로써 화재구역에서 발생되는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요인이 타 구역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지만, 종래 스크린 셔터는 물론 철재 셔터로 구성되는 방화 셔터의 비상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다시 닫히는 동작이 원활하지 못함으로써 방화셔터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9767호(2007.12.21. 등록)인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를 살펴보면, 스크린 셔터의 적소에 사각으로 관통되게 구성되는 피난통로와, 상기 피난통로의 일측 수직변에 연결되어 회동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 하연부에 각각 금속으로 구성되는 상측 프레임과, 상기 스크린 셔터의 셔터하부프레임과 경첩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하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피난문과, 회동을 통해 피난문의 개방측 변을 덮어 밀폐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피난통로의 타측 수직 변에 일단이 연결되며 하연부에 스크린 셔터의 셔터하부프레임과 선택적인 양방향 인장력을 부여하는 공지의 텐션 경첩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하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측면 커버와, 상기 피난문의 상방의 스크린 셔터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조의 셔터상부프레임과, 상기 스크린셔터 하단의 셔터하부 프레임과 피난문 하단의 하측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며 피난문에 닫힘 방향으로의 상시 당김력을 부여하기 위한 피난문 인장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난문의 상측 프레임의 단부와 셔터상부프레임의 단부에 양단이 긴장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피난문 지지 와이어와, 상기 스크린 셔터에 일체로 부착되는 상연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피난문의 직상방에 설치되며 하연부에 커버 프레임을 일체로 구비하는 상부 커버대와, 상기 피난문의 상측 프레임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 커버대의 상방에 이격 상태로 고정 부착되는 고리를 통과하여 상기 커버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커버작동 와이어를 각각 포함하는 구성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스크린 셔터에 비상도어를 더 구성하여 비상도어를 빠르고 신속하게 열어 사람들이 화재구역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열린 비상도어의 빠른 닫힘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상도어가 닫혀진다 하더라도 비상도어와 스크린 셔터와의 밀폐성 및 기밀성이 크게 저하되어 화재구역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가 타 구역으로 번지는 것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897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화문틀의 상부에 설치된 샤프트에 의해 승하강 되는 메인스크린에 비상문을 형성하고, 화재발생 시 대피중에 문턱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스크린의 하부에 문턱을 형성시키지 않은 새로운 구조의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 감지에 의해 모터가 작동하여 중앙부에 비상구가 관통된 메인스크린을 승하강 시키는 샤프트가 방화문틀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의 연기를 차단하면서 상기 비상구를 통해 대피 시 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틀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부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스크린의 길이방향 양측을 커버하는 가이드부,
상기 메인스크린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메인스크린이 일면 및 타면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비상구의 일측에 절첩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상구의 타측에 일측변이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를 개폐시키는 비상문을 포함하는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크린은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부재에 착탈되도록 버튼방식의 연결클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스크린이 승하강 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메인스크린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사각 관 형상의 상부지지대, 상기 메인스크린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건축물의 바닥에 접촉하는 사각 관 형상의 하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하는 홈부 및 상기 홈부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어 상기 홈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축부, 상기 축부의 양단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홀더부 및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기 연장부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메인스크린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홀더부 및 상기 돌기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연장부를 수직한 중심으로부터 5도 내지 10도의 각도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메인스크린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건축물의 바닥에 접촉하는 사각 관 형상의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홀이 형성된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축부, 상기 하단축부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단연장부 및 상기 하단축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단축부를 축으로 회전된 상기 하단연장부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연장부는 상기 메인스크린의 하강에 따라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는 메인스크린의 하단에 문턱을 형성시키지 않음으로써, 화재 발생 시 대피중에 문턱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는 메인스크린이 샤프트에 착탈 되는 버튼방식의 연결클립에 의해 기존의 용접방식보다 화재 위험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수평으로 시공하기 용이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는 지지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고정부에 형성된 홀더부의 결합으로 메인스크린이 일면 및 타면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단순한 구조임에도 방화 스크린셔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는 메인스크린을 승강하여 완전개방 시 연장부가 토션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회전 이동하여 미관이 깔끔한 방화 스크린셔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를 정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지지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고정부를 나타내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지지부 및 고정부의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를 정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지지부 및 고정부의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를 정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지지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고정부를 나타내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지지부 및 고정부의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10)는 가이드부(100), 지지부(200), 고정부(300) 및 비상문(4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10)는 화재 감지에 의해 모터가 작동하여 중앙부에 비상구(2)가 관통된 메인스크린(1)을 승하강 시키는 샤프트(4)가 방화문틀(3)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의 연기를 차단하면서 비상구를 통해 대피 시 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있어서, 방화문틀(3)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샤프트(4)의 하부 양측에 연결되어 메인스크린(1)의 길이방향 양측을 커버하는 가이드부(100), 메인스크린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200), 메인스크린이 일면 및 타면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가이드부와 지지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고정부(300) 및 비상구의 일측에 절첩으로 연결되고 비상구의 타측에 일측변이 결합되어 비상구를 개폐시키는 비상문(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스크린(1)은 샤프트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부재에 착탈되도록 버튼방식의 연결클립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10)는 메인스크린(1)을 샤프트(4)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시공하기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에 메인스크린을 용접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화재 위험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버튼방식의 연결크립을 형성시켰다.
또한, 메인스크린(1)은 내열성을 가진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00)는 메인스크린(1)의 양측을 커버하고, 샤프트(4)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하는 메인스크린(1)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이드부(100)는 메인스크린(1)의 일면 및 타면이 접촉되는 부분에 패킹(P)을 형성하여 화재 발생으로 인하 연기가 대피하는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 및 가이드레일(120)을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부(110)는 방화문틀(3)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샤프트(4)의 하부에 결합되어 샤프트(4)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하는 메인스크린(1)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레일(120)은 프레임부(110)의 일측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어 메인스크린(1)이 승하강 하도록 형성된다.
즉, 가이드레일(120)은 메인스크린(1)의 양측이 삽입되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110)의 일측이 높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홈은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공간이 넓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개념을 나타내기 위한 것 일뿐 메인스크린(1)의 두께만큼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메인스크린(1)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된다. 즉, 지지부(200)는 메인스크린(1)을 밑으로 당김으로써 표면을 팽팽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상부지지대(210), 하부지지대(220), 홈부(230) 및 돌기부(240)를 포함한다.
상부지지대(210)는 메인스크린(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지지대(220)는 메인스크린(1)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건축물의 바닥에 접촉하는 사각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홈부(230)는 상부지지대(210)와 하부지지대(220)의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홈부(230)는 후술하는 돌기부(240)가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상부지지대(210)와 하부지지대(220)의 외측면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돌기부(240)는 홈부(23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과 스프링에 연결되어 홈부(2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특히, 돌기부(240)는 후술하는 홀더부(330)와 서로 결합되어 메인스크린(1)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돌기부(24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23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과 연결되어 홀더부(330)와 결합 시 홈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고, 홀더부(330)와 서로 해제 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옮으로써, 직선 왕복이동을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300)는 메인스크린(1)이 일면 및 타면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가이드부(100)와 지지부(200)를 서로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고정부(300)는 축부(310), 연장부(320), 홀더부(330) 및 토션스프링(340)을 포함한다.
축부(310)는 프레임부(110)의 상부와 프레임부(11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축부(310)는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막대형상의 축으로 형성되어 메인스크린(1)의 일면 및 타면에 대응하여 프레임부(110)의 일면 및 타면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연장부(320)는 축부(310)의 양단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메인스크린(1)의 일면 및 타면의 중앙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홀더부(330)는 연장부(320)의 일단에 돌기부(24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홀더부(330)는 돌기부(240)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돌기부(24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곡면을 이루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돌기부(240)의 외측면이 수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모터의 작동으로 샤프트(4)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메인스크린(1)이 하강하는 경우, 돌기부(240)가 하강하면서 홀더부(330)의 내측으로 수용되기 위해서이다.
토션스프링(340)은 축부(3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축부(310)를 중심으로 회전된 연장부(320)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토션스프링(340)은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축부(3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하고, 프레임부(110)의 내부벽에 밀착되어 축부(310)의 회전을 제어한다.
특히, 토션스프링(340)은 메인스크린(1)이 하강하는 경우, 홀더부(330) 및 돌기부(240)의 결합을 위해, 연장부(320)를 수직한 중심으로부터 5도 내지 10도의 각도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토션스프링(340)은 연장부(320)를 프레임부(110)의 수직한 직선을 기준으로 5도 내지 10도의 각도에 위치시킴으로써, 메인스크린(1)이 하강하면서 돌기부(240)의 외주면이 홀더부(330)의 내부로 수용되게 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비상문(400)은 비상구(2)의 일측에 절첩으로 연결되고 비상구(2)의 타측에 일측변이 결합되어 비상구(2)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비상문(400)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10)는 화재가 없는 경우 메인스크린(1)이 샤프트(4)의 회전축에 권취되어 있다가 화재 시에 모터가 작동하여 자동으로 메인스크린(1)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200)는 메인스크린(1)의 하강에 따라 하부지지대(220)에 형성된 돌기부(240)가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위치한 홀더부(330)에 일시적으로 수용되었다가, 지속적 하락으로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위치한 홀더부(330)로부터 이탈하여 프레임부(110)의 하단에 위치한 홀더부(330)에 수용되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지지대(210)에 형성된 돌기부(240)는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위치한 홀더부(330)에 수용되며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메인스크린(1)은 모터의 움직임에 따라 하강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메인스크린(1)은 고정부(300)에 의해 가이드부(1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20)에 삽입 결합되어 화재 연기가 대피하는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메인스크린(1)에 형성된 비상문(400)으로 대피 중에 문턱에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문턱이 없는 구조로 형성하여 대피 중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10')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를 정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의 지지부 및 고정부의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10')는 지지부(200') 및 고정부(300')의 형상을 변형하였다.
이에 따라, 변형된 지지부(200') 및 고정부(3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지지부(200')는 전술한 상부지지대(210)가 동일하여 응용예에서는 생략하였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하부지지대(220') 및 수용홀(250)을 포함한다.
하부지지대(220')는 메인스크린(1)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건축물의 바닥에 접촉하는 사각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홀(250)은 하부지지대(220')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홀이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하단연장부(360)를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고정부(300')는 프레임부(110)의 하단에 위치한 형태가 병형되어 전술한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위치한 고정부(3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고정부(300')는 하단축부(350), 하단연장부(360) 및 토션스프링(340')을 포함한다.
하단축부(350)는 프레임부9110)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막대형상의 축으로 형성된다.
하단연장부(360)는 하단축부(350)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메인스크린(1)의 하강에 따라 수용홀(250)에 수용된다.
다시 설명하면, 하단연장부(360)는 전술한 연장부(320)와 같이 프레임부(110)의 수직한 중심선으로부터 5도 내지 10도의 각도로 위치하여 메인스크린(1)의 하강에 따라 수용홀(250)의 일면에 일단이 접촉하여 하단축부(350)를 축으로 회전한다.
이때, 하부지지대(220')의 하면이 건축물의 바닥에 접촉하면 하단연장부(360)는 외측면이 건축물 바닥에 접촉하면서 수용홀(250)에 수용된다. 이로 인해, 하단연장부(360)는 하부지지대(22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메인스크린(1)이 일면 및 타면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토션스프링(340')은 하단축부(35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하단축부(350)를 축으로 회전된 하단연장부(360)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100 : 가이드부
110 : 프레임부
120 : 가이드레일
200, 200' : 지지부
210 : 상부지지대
220, 220' : 하부지지대
230 : 홈부
240 : 돌기부
250 : 수용홀
300, 300' : 고정부
310 : 축부
320 : 연장부
330 : 홀더부
340, 340' : 토션스프링
350 : 하단축부
360 : 하단연장부
400 : 비상문

Claims (7)

  1. 화재 감지에 의해 모터가 작동하여 중앙부에 비상구가 관통된 메인스크린을 승하강 시키는 샤프트가 방화문틀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의 연기를 차단하면서 상기 비상구를 통해 대피 시 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틀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부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스크린의 길이방향 양측을 커버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스크린이 승하강 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형성된 가이드부;
    상기 메인스크린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사각 관 형상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메인스크린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건축물의 바닥에 접촉하는 사각 관 형상의 하부지지대;와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하는 홈부; 및 상기 홈부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어 상기 홈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지지부;
    상기 메인스크린이 일면 및 타면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비상구의 일측에 절첩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상구의 타측에 일측변이 결합되어 상기 비상구를 개폐시키는 비상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축부;
    상기 축부의 양단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홀더부; 및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기 연장부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메인스크린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홀더부 및 상기 돌기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연장부를 수직한 중심으로부터 5도 내지 10도의 각도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크린은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부재에 착탈되도록 버튼방식의 연결클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메인스크린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건축물의 바닥에 접촉하는 사각 관 형상의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홀이 형성된 수용홀을 포함하는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축부;
    상기 하단축부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단연장부; 및
    상기 하단축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단축부를 축으로 회전된 상기 하단연장부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연장부는 상기 메인스크린의 하강에 따라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KR1020190011666A 2019-01-30 2019-01-30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KR10199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66A KR101995687B1 (ko) 2019-01-30 2019-01-30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66A KR101995687B1 (ko) 2019-01-30 2019-01-30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687B1 true KR101995687B1 (ko) 2019-07-02

Family

ID=6725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666A KR101995687B1 (ko) 2019-01-30 2019-01-30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6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807B1 (ko) 2022-06-23 2022-12-07 김태진 방화 스크린 셔터의 하장바 고정장치
KR102635779B1 (ko) * 2023-09-06 2024-02-13 (주)이루텔럭키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960A (ja) * 1996-08-02 1998-02-17 Seiki Juko Kk 建物開口部用スクリーン装置
JP2000179254A (ja) * 1998-12-18 2000-06-27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KR100789767B1 (ko) 2007-06-21 2008-01-03 이세일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JP2010222790A (ja) * 2009-03-19 2010-10-07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ブラインドの生地取付装置及び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960A (ja) * 1996-08-02 1998-02-17 Seiki Juko Kk 建物開口部用スクリーン装置
JP2000179254A (ja) * 1998-12-18 2000-06-27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KR100789767B1 (ko) 2007-06-21 2008-01-03 이세일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JP2010222790A (ja) * 2009-03-19 2010-10-07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ブラインドの生地取付装置及びキャ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807B1 (ko) 2022-06-23 2022-12-07 김태진 방화 스크린 셔터의 하장바 고정장치
KR102635779B1 (ko) * 2023-09-06 2024-02-13 (주)이루텔럭키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08453B2 (en) Self-closing door sealing structure
KR101995687B1 (ko)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KR100842219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JP2006200343A (ja) 遮煙用避難扉付袖扉連動シャッター開閉装置
KR100789767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KR20210041760A (ko) 자동 방화문 장치
KR100962490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411903Y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100987888B1 (ko) 방화용 스크린 셔터
KR20190117951A (ko) 계단실을 통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 구조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100993102B1 (ko)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JP2004251021A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060040092A (ko) 방화셔터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KR102106786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JP2003320045A (ja) 遮煙シャッター
KR0124252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텨
KR200372117Y1 (ko) 방화 스크린의 비상구 차단장치
KR200154820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JP2002177410A (ja) 防火防煙装置
KR101757467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가림천 개폐장치
KR20240028060A (ko) 방화 스크린셔터용 하단바
KR20170021608A (ko)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감아올리는 비상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