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047B1 - 방화 커튼 장치 - Google Patents

방화 커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047B1
KR101343047B1 KR1020120011638A KR20120011638A KR101343047B1 KR 101343047 B1 KR101343047 B1 KR 101343047B1 KR 1020120011638 A KR1020120011638 A KR 1020120011638A KR 20120011638 A KR20120011638 A KR 20120011638A KR 101343047 B1 KR101343047 B1 KR 101343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bar
case
blocking film
fire
fixing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478A (ko
Inventor
이광선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2001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0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방화 커튼 장치는, 개구부(4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차단막(12)이 수납되는 케이스(10)를 포함하고, 차단막(12)의 단부에는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차단막(12)을 상기 케이스(10) 밖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바텀바아(15)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바텀바아(15)를 지지하여 바텀바아(15)를 케이스(10)에 고정시키는 고정키(2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키(20)는 열과 화염에 의해 녹아내리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바텀바아(15)를 지지하고 있던 고정키(20)가 녹아내림에 따라 바텀바아(15)가 수직 하강하고 차단막(12)이 펼쳐지도록 된다. 이와 같은 방화 커튼 장치에 따르면 무동력으로 동작되는 것으로서 동작신뢰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으며, 구성이 간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방화 커튼 장치{Fire curtain assembly}
본 발명은 방화 커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에 창문이나 출입문 등의 개구부를 막아 화염과 연기가 다른 공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방화 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오피스와 같은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차 사다리의 접근이 쉽지 않고, 펌프로 발사되는 물줄기의 높이도 한계가 있어 화재진압이 매우 어렵다. 특히 고층부에서의 화재는 창문을 통해서 순식간에 윗층으로 불이 번지기 때문에 대규모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최근에는 화재 발생시에 창문을 통해 화염이 윗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화커튼을 고층건물의 창문에 설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화커튼은 롤러에 말려있는 상태에서 화재발생시에 펼쳐져 창문을 막는 방염막, 화재발생시에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방염막을 펼쳐지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화커튼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제어부 등이 전자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폭발을 동반하는 대형 화재가 발생하거나 창문 근처에서 갑작스런 불이 일어날 경우에 센서와 제어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방염막이 펼쳐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설치된 방화커튼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면 창문을 통해 화염이 윗층으로 전달되어 대형화재로 번지게 되므로 방화커튼의 동작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전기가 필요없는 무동력 방화 커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구부(4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4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40)를 차폐하는 차단막(12)과; 상기 차단막(12)의 단부에 결합되고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상기 차단막(12)을 상기 케이스(10) 밖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바텀바아(15);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바텀바아(15)를 지지하여 바텀바아(15)를 케이스(10)에 고정시키며, 열과 화염에 의해 녹아내리는 고정키(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키(20)는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파라핀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키(20)의 용융점이 50℃이상 60℃ 이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키(20)의 내부에는 얇은 그물망 형상의 보강부재(25)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키(20)는 상기 케이스(10)와 바텀바아(15)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막(12)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힌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차단막(12)의 일단부는 케이스(10)의 일측에 볼트(B)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차단막(12)의 타단부에 상기 바텀바아(15)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는 상기 차단막(12)이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하는 경사안내부(60)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막이 무동력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되므로 동작신뢰성이 확보되고, 사용편의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므로 제조공정 감소에 따른 제작비용 절감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방화 커튼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방화 커튼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키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 커튼 장치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창문에 본 발명에 의한 방화 커튼 장치가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키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방화 커튼 장치는 창문이나 출입문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재발생시에 개구부를 차단하여 화염이나 연기가 다른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방화 커튼 장치가 무동력으로 동작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 방화 커튼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는 개구부(40)의 가로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고, 개구부(40)의 상부 벽(W)에 브라켓(30)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양단부에는 후술할 차단막(12)과 바텀바아(15)의 수직하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50)가 상기 케이스(10)와 직교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좌우로 길게 롤러(11)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11)에는 방염(防焰)처리가 된 차단막(12)이 말려있다. 상기 롤러(11)는 상기 케이스(10)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12)은 상기 개구부(40)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차단막(12)의 단부가 상기 롤러(11)로부터 풀어져 바닥면에 근접하게 됨에 의해 차단막(12)이 펼쳐지게 된다. 상기 차단막(12)은 방염처리가 되어 있고 창문과 출입문과 같은 개구부를 차폐하여 개구부를 통해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롤러(11)에 말려있는 상태의 차단막(12)의 단부(13)에는 중력에 의해 수직하강이 가능한 바텀바아(15)가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상기 바텀바아(15)가 도 2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9)에 고정된 상태인데,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바텀바아(15)가 중력방향으로 수직 하강함으로써 상기 바텀바아(15)와 연결된 차단막(12)이 롤러(11)로부터 풀려 펼쳐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상기 바텀바아(15)의 양단부는 상기 가이드(50)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50)와 결합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고정키(20)는 상기 고정부(19)와 바텀바아(15)를 관통하여 상기 바텀바아(15)를 고정부(19)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고정부(19)에 걸어지는 고정키(20)가 상기 바텀바아(15)를 지지하여, 평상시에 상기 바텀바아(15)의 자유낙하를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키(20)가 상기 고정부(19)와 바텀바아(15)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도 1과 같이 고정부(19)에 다수개의 키삽입홀(21)이 형성되고, 도 2와 같이 상기 고정부(19)의 내측에 상기 키삽입홀(2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림턱(22)이 설치된다. 물론, 걸림턱(22)에도 상기 키삽입홀(21)과 대응되는 걸림홀(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바아(15)에도 관통홀(16)이 형성된다.
그러면 걸림턱(22)의 걸림홀(24), 바텀바아(15)의 관통홀(16)을 관통하는 고정키(20)의 양단부가 걸림턱(22)에 걸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바텀바아(15)가 고정부(19) 내부에 고정된다. 즉, 바텀바아(15)의 자유낙하가 방지된다.
여기에서, 고정키(20)가 바텀바아(15)를 관통하지 않고 고정키(20)의 상부에 바텀바아(15)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키(20)의 양단부가 걸림턱(22)에 걸어지는 방식으로 고정키(20)가 바텀바아(15)를 지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방화 커튼 장치는 화재로 인한 화염과 고온에 의해 고정키(20)가 녹아내림으로써 바텀바아(15)가 자유낙하하는 방식으로 무동력으로 동작되는 것이다.
즉, 고정키(20)는 화염과 고온에 의해 용융되는 재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고형으로 존재하고 용융점이 50℃이상 60℃ 이하의 범위로 된 파라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염과 고온으로 고정키(20)의 용융점에 이르게 되면, 바텀바아(15)를 지지하고 있던 고정키(20)가 녹아내려, 더이상 바텀바아(15)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므로, 바텀바아(15)가 수직낙하하게 된다.
하지만, 상온에서는 상기 고정키(20)가 상기 바텀바아(15)를 지지할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도 3에서와 같이 고정키(20)의 내부에 보강부재(25)가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재(25)는 도 3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그물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상기 고정키(20)가 어느 정도 녹아내렸을 때 상기 바텀바아(15)의 자유낙하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면 되고 스틸,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방화 커튼 장치의 설치상태 및 화재 발생시의 동작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방화 커튼 장치가 창문과 같은 개구부(40)의 상부 벽(W)에 설치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키(20)가 케이스(10)의 고정부(19)에 형성된 키삽입홀(21)을 통해 끼워진 상태인데, 이때 고정키(20)가 바텀바아(15)를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키(20)의 양단부가 걸림턱(22)에 걸어지므로, 바텀바아(15)가 고정키(20)에 의해 지지되어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고정키(20)의 내부에 보강부재(25)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고정키(20)가 바텀바아(15)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만약,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과 열에 의해 고정키(20)의 용융점에 이르게 되고, 상기 고정키(20)가 녹아내리게 된다. 고정키(20)가 녹아내리면 상기 보강부재(25)가 남는데, 보강부재(25)는 얇은 그물망 형상이어서 바텀바아(15)를 더이상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텀바아(15)를 지지하고 있던 고정키(20)가 녹아 없어지고, 보강부재(25)는 실질적으로 바텀바아(15)를 지지하지 못하므로, 바텀바아(15)는 자유낙하 하게된다. 그러면 바텀바아(15)에 연결된 차단막(12)이 롤러(11)에서 풀어지면서 바닥에 인접한 위치까지 펼쳐져 상기 개구부(40)를 차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차단막(12)은 방염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어서, 화염을 어느정도 견딜 수 있으며 개구부(40)를 통해 화염이 위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화 커튼 장치는 차단막이 무동력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되므로 동작신뢰성이 확보되며, 구성이 간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 방화 커튼 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주요구성을 공통으로 하고 있으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방화커튼 장치는 차단막(12)이 케이스(10) 내부에 지그재그 방향으로 접혀있는 상태이다. 차단막(12)의 일단부는 케이스(10)의 상부에 볼트(B)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차단막(12)의 타단부(13)는 바텀바아(15)와 결합된다. 그리고 차단막(12)의 펼쳐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는 경사안내부(60)가 형성된다. 경사안내부(60)는 상기 케이스(10)의 하부가 고정부(19)의 상부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참고로, 바텀바아(15)가 고정키(20)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과 화재발생시의 바텀바아(15)의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 방화 커튼 방치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화재발생시에 고정키(20)가 녹아내려 바텀바아(15)가 수직 하강하고, 케이스(10) 내부에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의 차단막(12)이 고정부(19)를 빠져나가면서 펼쳐져 개구부(40)를 차폐하게 된다. 이때, 차단막(12)이 케이스(10)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안내부(60)를 따라 상기 고정부(19)를 빠져나가면서 펴지게 되므로, 차단막(12)의 펼침동작에서 발생하는 마찰이 줄어들고, 펼침 동작도 원활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케이스 11: 롤러
12: 차단막 15: 바텀바아
16: 관통홀 19: 고정부
20: 고정키 21: 키삽입홀
22: 걸림턱 24: 걸림홀
30: 브라켓 40: 개구부
50: 가이드

Claims (6)

  1. 개구부(4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4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40)를 차폐하는 차단막(12)과;
    상기 차단막(12)의 단부에 결합되고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하는 경우 상기 차단막(12)을 상기 케이스(10) 밖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바텀바아(15); 및
    상기 바텀바아(15)를 지지하여 상기 바텀바아(15)를 상기 케이스(10)에 고정시키고, 열 또는 화염에 의해 녹아내리는 경우 상기 바텀바아(15)가 자유낙하 되도록 하는 고정키(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키(20)는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바텀바아(15)를 관통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커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20)는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파라핀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커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20)의 용융점이 50℃ 이상 60℃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커튼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20)의 내부에는 그물망 형상의 보강부재(25)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커튼 장치.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12)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힌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차단막(12)의 일단부는 케이스(10)의 일측에 볼트(B)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차단막(12)의 타단부에 상기 바텀바아(15)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는 상기 차단막(12)이 빠져 나가도록 하는 경사안내부(60)가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커튼 장치.
KR1020120011638A 2012-02-06 2012-02-06 방화 커튼 장치 KR10134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638A KR101343047B1 (ko) 2012-02-06 2012-02-06 방화 커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638A KR101343047B1 (ko) 2012-02-06 2012-02-06 방화 커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478A KR20130090478A (ko) 2013-08-14
KR101343047B1 true KR101343047B1 (ko) 2013-12-18

Family

ID=4921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638A KR101343047B1 (ko) 2012-02-06 2012-02-06 방화 커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459B1 (ko) * 2021-08-31 2022-11-02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건축물 소방용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478A (ko)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369Y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0983342B1 (ko) 곡면의 개폐 궤적을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741522B1 (ko) 차열 방화셔터
KR100597058B1 (ko) 슬라이드식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KR101343047B1 (ko) 방화 커튼 장치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JP4875265B2 (ja) エレベータ用防災装置
KR100542792B1 (ko) 대형 건축물의 방화셔터 강화구조
JP3740332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20160110851A (ko)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KR101034714B1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100730797B1 (ko) 아파트 세대별 층간 외벽용 방화장치
JP3638826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102301994B1 (ko) 외벽 방화용 창호
KR101748346B1 (ko)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100859526B1 (ko) 수평 이동형 접이식 셔터
KR100695686B1 (ko)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JP2000110230A (ja) 建築物の延焼防止装置
JP5604082B2 (ja) シャッタ装置
CN212803007U (zh) 复合型防火卷帘门
JP3097543B2 (ja) 人が容易に通過できる防火・防煙区画構造
KR100682536B1 (ko) 아파트 화재발생시 화염 확산 차단장치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