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626B1 -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626B1
KR101081626B1 KR1020090094946A KR20090094946A KR101081626B1 KR 101081626 B1 KR101081626 B1 KR 101081626B1 KR 1020090094946 A KR1020090094946 A KR 1020090094946A KR 20090094946 A KR20090094946 A KR 20090094946A KR 101081626 B1 KR101081626 B1 KR 10108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utter
plate
doo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478A (ko
Inventor
유태유
Original Assignee
유태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0449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8162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유 filed Critical 유태유
Priority to KR102009009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6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15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profile memb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3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of one piece, e.g. of corrugate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슬래트에 각각 결합된 힌지부재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셔터가 권취되거나 펼쳐지더라도 힌지부재간의 연결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방화셔터용 비상도어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슬래트(18)를 상하로 결속시킨 셔터판(20)과 이 셔터판(2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비상도어(21)를 포함하는 방화셔터에서, 상기 셔터판(20)의 슬래트(18)와 비상도어(21)의 슬래트(18)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힌지핀(17), 스프링 등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힌지편(40, 50)으로 이루어진 방화셔터용 비상도어의 힌지부재(30)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힌지편(40, 50)은 슬래트(18)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41, 51)과, 이 고정판(41, 5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호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42, 52)와, 이 힌지결합부(42, 52)의 상단 및 하단에서 고정판(41, 51)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상부 및 하부차폐판(43, 53, 44, 54)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결합부(42, 52)의 상단에는 상부차폐판(43, 53)의 후방에서 상향돌출된 돌기(45, 55)가 상기 상부차폐판(43, 53)과 이격 형성되어, 상측 힌지부재(30)의 하부차폐판(44, 54)이 하측 힌지부재(30)의 상부차폐판(43, 53)과 돌기(45, 55)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가 제공된다.
방화셔터, 비상도어, 차폐, 힌지부재, 고정판

Description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A hinge structure for a door of fire shutter}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에 구비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구비되어 힌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슬래트에 각각 결합된 힌지부재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셔터가 권취되거나 펼쳐지더라도 힌지부재간의 연결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건축물 내부의 통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사람의 출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화재시에는 화염이나 유독가스 등이 통로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방화셔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그 중 힌지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가 내장설치된 셔터박스(1)와, 이 셔터박스(1)에 권취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로 결속된 다수의 슬래트(3)로 이루어진 셔터판(2)으로 구성되어, 이 셔터판(2)은 셔터박스(1) 내로 권취되어 수납되 거나 인출되어 건물의 통로 등을 차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셔터판(2)의 차단시에 비상탈출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도어(4)가 설치된다.
이때, 이 도어(4)는 셔터판(2)과 동일하게 다수의 슬래트(3)를 상하방향으로 결속하여 이루어지고, 도어(4)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재(5)에 의해가 셔터판(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재(5)는 도어(4)의 개폐를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유독가스를 차단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상기 힌지부재(5)는 셔터판(2)에 고정 설치되는 제1힌지편(6)과 도어(4)에 고정 설치되는 제2힌지편(7)이 도시안된 스프링과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힌지편(6, 7)의 상단에는 결합홈(8)이 각각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결합홈(8)에 삽입되는 각각 결합돌기(9)가 형성되어, 상측 힌지부재(5)와 하측 힌지부재(5)간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8)은 전후면이 개방되어 셔터판(2)과 도어(4)가 동시에 권취될 때 결합돌기(9)가 결합홈(8)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 및 제2힌지편(6, 7)의 상하단에는 화염을 차단하는 차폐판(10)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결합홈(8)의 전후면이 개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로 구비된 슬래트(3)가 전후방향으로 상호 어긋날 수 있도록 슬래트(3)가 결합되므로, 권취시에 상측 힌지부재(5)의 결합돌기(9)가 하측 힌지부재(5)의 결합홈(8)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권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권취되었던 셔터판(2)을 인출할 때에도 셔터박스(1) 내부에 걸리는 등 인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결합돌기(9)가 결합홈(8)에서 이탈되므로 도어(4)의 슬래트(3)에 고정설치된 제2힌지편(7)에 상기 슬래트(3)의 하중이 하측으로 가해져서 상측 힌지부재(5)가 하측 힌지부재(5)의 측방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처럼 힌지부재(5)간의 결합이 어긋나게 되어 힌지부재(5)들 간에 틈이 발생하므로 유독가스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에 배치된 힌지부재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여 셔터판의 권취시에도 힌지부재간의 결합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어 권취가 용이하면서도 차폐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다수의 슬래트(18)를 상하로 결속시킨 셔터판(20)과 이 셔터판(2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비상도어(21)를 포함하는 방화셔터에서, 상기 셔터판(20)의 슬래트(18)와 비상도어(21)의 슬래트(18)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힌지핀(17), 스프링 등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힌지편(40, 50)으로 이루어진 방화셔터용 비상도어의 힌지부재(30)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힌지편(40, 50)은 슬래트(18)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41, 51)과, 이 고정판(41, 5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호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42, 52)와, 이 힌지결합부(42, 52)의 상단 및 하단에서 고정판(41, 51)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상부 및 하부차폐판(43, 53, 44, 54)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결합부(42, 52)의 상단에는 상부차폐판(43, 53)의 후방에서 상향돌출된 돌기(45, 55)가 상기 상부차폐판(43, 53)과 이격 형성되어, 상측 힌지부재(30)의 하부차폐판(44, 54)이 하측 힌지부재(30)의 상부차폐판(43, 53)과 돌기(45, 55)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 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차폐판(44, 54)의 측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측부차폐판(46, 5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화셔터용 비상도어(21)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힌지편(40, 50)이 상호 힌지결합된 힌지부재(30)에서, 제1 및 제2힌지편(40, 50)의 상단에는 슬래트(18)에 고정되는 고정판(41, 51)과 평행한 상부차폐판(43, 53) 및 이와 이격된 돌기(44, 55)를 형성하고 하단에는 고정판(41, 51)과 평행한 하부차폐판(44, 54)을 구비하여, 이 하부차폐판(44, 54)이 상기 상부차폐판(43, 53)과 돌기(45, 55)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셔터판(20)과 비상도어(21)를 권취할 때 상하로 결합된 힌지부재(30)간의 상호 이탈이 방지되어 수납 및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힌지부재(30)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차폐효과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하부차폐판(44, 54)의 측면에는 측부차폐판(46, 56)이 형성되어 슬래트(18)의 연결부(19)를 차폐함으로써, 차폐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돌기(45, 55)가 측부차폐판(46, 56)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측 힌지부재(30)가 하측 힌지부재(30)의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도 방지되므로 셔터판(20)과 비상도어(21)의 수납 및 인출 이 용이함은 물론 차폐효과가 보다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비상도어의 힌지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화셔터용 비상도어의 힌지구조는 셔터판(20)에 비상도어(21)가 힌지부재(30)로 결합되어 힌지회동될 때, 상기 힌지부재(30)의 구조를 개선하여 셔터판(20)을 권취하더라도 상하로 배치된 힌지부재(30)끼리 어긋나지 않도록 하여 차폐효과를 증진시킨 것이다.
우선, 방화용셔터는 건축물 내부의 통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권취장치가 구비된 셔터박스가 통로의 상단에 설치되고, 셔터판(20)이 셔터박스에 권취되어 수납되거나 셔터박스에서 인출되도록 된 것이다. 이때, 셔터판(20)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슬래트(18)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연결부(19)를 통해 상하로 결합한 것으로 종래부터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셔터판(20)의 내측 일부가 절개되며, 이 절개된 부분에 역시 다수의 슬래트(18)를 상하로 결속시켜 이루어진 비상도어(21)가 힌지부재(3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비상시에 출입할 수 있도록 되며, 본 발명은 상기 힌지부재(30)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힌지부재(30)는 제1 및 제2힌지편(40, 50)으로 구성되며, 제1힌지편(40)은 셔터판(20)의 슬래트(18)에 고정 설치되고 제2힌지편(50)은 비상도어(21)의 슬래트(18)에 고정 설치된다. 제1 및 제2힌지편(40, 50)에는 각각 슬래트(18)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41, 51)과, 이 고정판(41, 5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호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42, 52)가 구비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이 힌지결합부(42, 52)는 힌지핀(17)에 의해 결합되며, 도시안된 스프링이 힌지결합부(42, 52)에 구비되어 각 고정판(41, 51)이 힌지핀(17)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힌지편(40, 50)의 힌지결합부(42, 52)의 상단 및 하단에는 고정판(41, 51)과 평행한 상부 및 하부차폐판(43, 53, 44, 54)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각 고정판(41, 51)이 평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힌지편(40, 50)의 각 상부차폐판(43, 53)이 서로 접하여 하나의 판 형상을 이루며, 각 하부차폐판(44, 54)도 마찬가지다. 이때, 하부차폐판(44, 54)은 상부차폐판(43, 53)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그 전면에는 걸림턱(53a)이 형성되어, 상측 힌지부재(30)의 하부차폐판(44, 54)이 하측 힌지부재(30)의 상부차폐판(43, 53)의 후면에 면접촉되며 상부차폐판(43, 53)의 선단이 걸림턱(53a)에 걸려진다.
그리고, 상기 각 힌지결합부(42, 52)의 상단에는 돌기(45, 55)가 상부차폐판(43, 53)의 후방에서 돌출 형성되는데, 이 돌기(45, 55)는 상부차폐판(43, 53)과 소정간격 이격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하부차폐판(44, 54)의 측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측부차폐판(46, 56)이 구비되어 슬래트(18)의 연결부(19) 측면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각 돌기(45, 55)는 각 측부차폐판(46, 56)의 내측면에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제2힌지편(50) 고정판(51)에 슬래트(18)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측부차폐판(56)이 돌기(55)에 걸려지므로 상측 힌지부재(30)가 하측 힌지부재(30)의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힌지결합부(42, 52) 및 제2힌지편(50)의 상부차폐판(53)에는 제1 및 제2힌지편(40, 50)의 회동을 각각 제한하는 스토퍼(57, 58)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힌지부재(30)는 고정판(41, 51)이 슬래트(18)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로 복수개가 결합설치되어 셔터판(20)에서 비상도어(21)가 힌지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양 측부차폐판(46, 56) 사이에 돌기(45, 55)가 배치되도록 하부차폐판(44, 54)이 상부차폐판(43, 53)과 돌기(45, 55) 사이로 삽입된다. 따라서, 측부차폐판(46, 56)이 슬래트(18)의 연결부(19)를 차폐하고, 상측차폐판(43, 53)이 외부공간을 차폐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셔터판(20)과 비상도어(21)를 셔터박스에 수납하기 위해서 권취시킬 때, 상측 힌지부재(30)가 하측 힌지부재(30)에서 회동되더라도 종래와 달리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셔터판(20)의 수납 및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힌지부재(30)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서 차폐효과가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방화셔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방화셔터 중 힌지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의 평면도

Claims (2)

  1. 다수의 슬래트(18)를 상하로 결속시켜 이루어지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셔터판(20)과, 다수의 슬래트(18)를 상하로 결속시켜 이루어지며 상기 셔터판(20)의 개구부를 회동개폐하는 비상도어(21)를 포함하는 방화셔터에서, 일측이 상기 셔터판(20)의 슬래트(18)에 결합되며 타측에 힌지핀(17)이 구비된 제1힌지편(40)과, 일측이 상기 비상도어(21)의 슬래트(18)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1힌지편(40)의 힌지핀(1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힌지편(50)으로 구성된 방화셔터용 비상도어의 힌지부재(30)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힌지편(40, 50)은 슬래트(18)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41, 51)과, 이 고정판(41, 5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호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42, 52)와, 이 힌지결합부(42, 52)의 상단 및 하단에서 고정판(41, 51)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상부 및 하부차폐판(43, 53, 44, 54)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결합부(42, 52)의 상단에는 상부차폐판(43, 53)의 후방에서 상향돌출된 돌기(45, 55)가 상기 상부차폐판(43, 53)과 이격 형성되어, 상측 힌지부재(30)의 하부차폐판(44, 54)이 하측 힌지부재(30)의 상부차폐판(43, 53)과 돌기(45, 55)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차폐판(44, 54)의 양측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측부차폐판(46, 5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1020090094946A 2009-10-07 2009-10-07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10108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946A KR101081626B1 (ko) 2009-10-07 2009-10-07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946A KR101081626B1 (ko) 2009-10-07 2009-10-07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478A KR20110037478A (ko) 2011-04-13
KR101081626B1 true KR101081626B1 (ko) 2011-11-09

Family

ID=4404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946A KR101081626B1 (ko) 2009-10-07 2009-10-07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6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239B1 (ko) * 2015-11-26 2018-05-08 (주)대주기업 셔터 커넥터
KR20220121666A (ko) 2021-02-25 2022-09-01 김광선 방화 개폐 장치
KR102598076B1 (ko) 2023-03-03 2023-11-03 주식회사 거원산업 셔터형 차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651Y1 (ko) 1995-01-28 1999-06-01 강연구 방화셔터문용 비상구
KR200232703Y1 (ko) 1995-06-05 2001-10-25 임동현 방화샷다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KR200242468Y1 (ko) 2001-05-23 2001-10-29 심상민 방화용 셔터의 경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651Y1 (ko) 1995-01-28 1999-06-01 강연구 방화셔터문용 비상구
KR200232703Y1 (ko) 1995-06-05 2001-10-25 임동현 방화샷다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KR200242468Y1 (ko) 2001-05-23 2001-10-29 심상민 방화용 셔터의 경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239B1 (ko) * 2015-11-26 2018-05-08 (주)대주기업 셔터 커넥터
KR20220121666A (ko) 2021-02-25 2022-09-01 김광선 방화 개폐 장치
KR20220167367A (ko) 2021-02-25 2022-12-20 김광선 방화 개폐 장치
KR102598076B1 (ko) 2023-03-03 2023-11-03 주식회사 거원산업 셔터형 차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478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CN106536847B (zh) 用于翼,门,大门,上翻门,窗,气窗的防坠落安全系统
KR102092506B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200413716Y1 (ko) 현관 방화문과 그 문틀의 구조
KR200418295Y1 (ko) 일체형 자동방화셔터
KR20190003132U (ko) 매립형 방화문
KR200407042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20120016878A (ko) 도어 잠금장치
KR101119980B1 (ko) 추락방지 방범 안전창호 구조물
ES2812571T3 (es) Hoja de puerta cortafuegos para una puerta cortafuegos de una o varias hojas
KR100766456B1 (ko) 일체형 자동방화셔터
KR102356043B1 (ko) 끼움 방식의 순차 접이 방화문
KR102415580B1 (ko) 방화문 변형 방지구 및 이를 적용한 방화문 작동 시스템
JP5391179B2 (ja) 建具
KR101624802B1 (ko)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KR101002238B1 (ko) 다굴절 자물쇠 잠금장치
KR100666510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200423391Y1 (ko) 방화 셔터
KR200408161Y1 (ko) 수직펼침 연결수단이 구비된 방화셔터
KR100655153B1 (ko) 수직펼침 연결수단이 구비된 방화셔터
KR10226012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181664B1 (ko)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JP6083996B2 (ja) 開閉装置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20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416

Effective date: 20191127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500002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00324

Effective date: 2020060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130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116

Effective date: 2020081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20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1026

Effective date: 2021012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300011318;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910

Effective date: 202012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1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121

Effective date: 20210222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056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223

Effective date: 2021070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455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806

Effective date: 20220428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300010272;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517

Effective date: 202209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3000008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1011

Effective date: 20230102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175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512

Effective date: 2023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