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510B1 -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510B1
KR100666510B1 KR1020050032803A KR20050032803A KR100666510B1 KR 100666510 B1 KR100666510 B1 KR 100666510B1 KR 1020050032803 A KR1020050032803 A KR 1020050032803A KR 20050032803 A KR20050032803 A KR 20050032803A KR 100666510 B1 KR100666510 B1 KR 10066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iece
fixing member
fire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372A (ko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050032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51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은 방화셔터(100)의 개구부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측에 돌출편(121)이 형성된 차단편(123)이 부착된 고정부재(120)와, 비상탈출문(102)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삽입되는 삽입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차단편(123)에 대응되는 차단편(133)이 부착된 차단부재(130)이 구성된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차단편(12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24)가 부착되고, 돌출편(121)에 한 개 이상의 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130)는 차단편(13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34)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삽입되는 삽입홈(131)이 절곡 형성되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에 형성된 홈(122)과 대응되어 삽입되는 돌기(132)가 형성되어,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원활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재지역과의 차단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고,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자유상태에서 맞물려 차단 상태를 유지하여 화염에 따른 고열이 발생하더라도 견고하게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Emergency escape door of fireproof shutt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결합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닫힌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열린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닫힌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열린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화셔터 101 : 문틀
102 : 비상탈출문 103 : 표시부
104 : 셔터박스 105 : 경첩
106 : 하부프레임 110 : 셔터부재
111 : 연결고리 120 : 고정부재
121 : 돌출편 122 : 홈
123 : 차단편 124 : 불연소수지
130 : 차단부재 131 : 삽입홈
132 : 돌기 133 : 차단편
134 : 불연소수지 135 : 결합편
본 발명은 방화용 셔터의 비상탈출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가 예상되는 건축물의 통로에 설치되는 방화용 셔터의 비상탈출문이 닫힌 상태에서 완전하게 차단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화재에 따른 고열에도 견고하게 화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재가 건축물 내부 전체에 번지지 않도록 건축물의 내화구조는 바닥, 벽 및 방화문 또는 방화셔터 등이 설치된다.
이중 방화셔터는 특정 공간 내부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발화지점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안에 의하면, 화재시 발생되는 화염 및 유독가스의 차폐성을 보다 극대화시키지 못하여 부분적으로 화염 및 유독가스의 유출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없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차폐성의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특히 방화셔터의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화재가 번지는 경우에는 800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게되고 이로 인하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설치부분이 뒤틀어지면서 차단효과가 현격하게 떨어지거나 이로 인하여 방화셔터로서의 구실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원활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재지역과의 차단효과가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자유상태에서 견고하게 차단되어 화염에 따른 고열이 발생하더라도 견고하게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면 애치렌 초산비닐계 수지도장시리카크로스제 스크린으로된 불연소수지를 적용하여 유독가스를 배출을 억제하도록 시키지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은 개구된 방화셔터 상부에 차단편을 부착하되 차단편의 하측에 돌출편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끼우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비상탈출문의 상측에 부착되는 차단부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결합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닫힌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열린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닫힌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열린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100)의 비상탈출문(102)은 방화셔터(100)의 개구부 상부에 차단편(123)을 부착하되 차단편(123)의 하측에 돌출편(121)이 형성된 고정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을 끼우는 삽입홈(131)이 형성되고 차단편(123)과 대응되는 차단편(133)이 형성되되 비상탈출문(102)의 상측에 부착되는 차단부재(130)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차단편(12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24)를 부착하고 돌출편(121)에 형성하되 돌출편(121)에 한 개 이상의 홈(122)을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과 홈(122)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재(130)는 절곡하여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을 삽입하는 삽입홈(131)을 형성시키되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에 형성된 홈(122)에 대응되 어 삽입되는 돌기(132)을 형성한다.
여기서 차단부재(130)의 삽입홈(131)과 돌기(132)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되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과 홈(122)에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그 크기를 약간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차단부재(130)는 삽입홈(131)과 돌기(132)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여 상호 대응되게하되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홈(122)에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삽입홈(131)과 홈(122)의 크기를 돌출편(121)과 돌기(132) 보다 크게 형성한다.
더불어 차단부재(130)는 차단편(13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34)를 부착하여 차단력이 향상되게 형성한다.
나아가 차단부재(130)의 하부에는 비상탈출문(102)의 상측에 부착하는 결합편(135)을 형성한다.
한편 고정부재(120)와 차단부재(130)는 그 결합위치는 셔터부재(110)의 연결고리(111)와 수평선상으로 일치되게 한다.
더불어 고정부재(120)와 차단부재(130)의 결합상태 크기는 셔터부재(110)의 연결고리(111)의 결합부분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권회가 원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120)의 차단편(123)과 차단부재(130)의 차단편(133)에 부착되는 불연소수지(124,134)는 에칠렌 초산비닐계 수지도장시리카크로스제 스크린으로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화셔터(100)의 개구부 상측에 불연소수지(124)가 부착된 차단편(123)를 형성한 고정부재(120)를 볼트링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한다.
고정부재(120)의 결합이 완료되면 불연소수지(134)가 부착된 차단편(133)를 형성한 차단부재(130)의 결합편을 비상탈출문(102)의 상측에 볼트링 등으로 결합한다.
불연소수지(124,134)가 구비된 고정부재(120)와 차단부재(130)의 결합이 완료되어 비상탈출문(102)을 닫으면 고정부재(120)의 차단편(123)에 부착된 불연소수지(123)와 차단부재(130)의 차단편(133)에 부착된 불연소수지(134)가 상호 밀착된다.
이때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차단부재(130)의 삽입홈(131)에 끼워져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게된다.
나아가,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에 홈(122)으로 차단부재(130)의 삽입홈(131)에 형성된 돌기(132)가 끼워져 더욱 더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러한 밀착력은 통상의 방화셔터(100)에 설치되는 비상탈출문(102)의 자동 닫힘을 유지하는 탄력설치된 경첩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고열에 의한 뒤트림이 발생하더라도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차단부재(130)의 삽입홈(131)에 끼워져 있고 돌출편(121)의 홈(122)에 삽입홈(131)의 돌기(132)가 끼워져 더욱 더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므로 고열에의한 뒤틀림을 억제하고 설령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화염을 지속적으로 차단하여 방화셔터(100)의 본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더욱이, 고정부재(120)는 돌출편(121)과 홈(122)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단부재(130)는 삽입홈(131)과 돌기(132)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고열에 의한 튀틀림 발생시 돌출편(121)과 돌기(132)가 더욱 더 삽입홈(131)과 홈(122)의 모서리에 견고하게 걸리게 되므로 화염을 지속적으로 차단하여 방화셔터(100)의 본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은 방화셔터(100)에 고정부재(120)가 구비되고, 비상탈출문(102)에 차단부재(130)가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120)는 차단편(12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24)가 부착되고, 돌출편(121)에 한 개 이상의 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130)는 차단편(13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34)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삽입되는 삽입홈(131)이 절곡 형성되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에 형성된 홈(122)과 대응되어 삽입되는 돌기(132)가 형성되어,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원활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화재지역과의 차단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자유상태에서 맞물려 차단 상태를 유지하여 화염에 따른 고열이 발생하더라도 견고하게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방화셔터(100)의 개구부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측에 돌출편(121)이 형성된 차단편(123)이 부착된 고정부재(120)와, 비상탈출문(102)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삽입되는 삽입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차단편(123)에 대응되는 차단편(133)이 부착된 차단부재(130)이 구성된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차단편(12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24)가 부착되고, 돌출편(121)에 한 개 이상의 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130)는 차단편(13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34)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삽입되는 삽입홈(131)이 절곡 형성되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에 형성된 홈(122)과 대응되어 삽입되는 돌기(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과 홈(122)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130)의 삽입홈(131)과 돌기(132)가 테이퍼 형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차단부재(130)의 삽입홈(131)에 원활하게 삽입되고, 고정부재(120)의 홈(122)이 차단부재(130)의 돌기(132)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삽입홈(131)과 홈(122)의 크기를 돌출편(121)과 돌기(132) 보다 크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의 차단편(123)과 차단부재(130)의 차단편(133)에 부착되는 불연소수지(124, 134)는 에칠렌 초산비닐계 수지도장시리카크로스제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20050032803A 2005-04-20 2005-04-20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066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803A KR100666510B1 (ko) 2005-04-20 2005-04-20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803A KR100666510B1 (ko) 2005-04-20 2005-04-20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372A KR20060028372A (ko) 2006-03-29
KR100666510B1 true KR100666510B1 (ko) 2007-01-09

Family

ID=3713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803A KR100666510B1 (ko) 2005-04-20 2005-04-20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10B1 (ko) * 2006-04-18 2006-12-28 주식회사 명성건업 방화셔터의 비상구용 차연부재 및 그를 이용한 방화셔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139A (ko) * 1999-12-18 2001-07-04 이형도 마이크로센서의 밀봉 패캐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139A (ko) * 1999-12-18 2001-07-04 이형도 마이크로센서의 밀봉 패캐지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57139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372A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683B2 (en) Shutter
KR101101935B1 (ko)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66510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2126939B1 (ko) 전후방 결로방지부가 구비된 방화문
KR200402137Y1 (ko)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KR20190003132U (ko) 매립형 방화문
KR101580874B1 (ko) 창호시스템
KR200395943Y1 (ko) 방화셔터의 차연성(기밀성)을 향상시킨 난연가스켓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100666499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0618537B1 (ko)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
JP7240964B2 (ja) 防火建具
KR100656854B1 (ko) 공동주택의 개폐가능한 방범창
KR20160000197U (ko) 방화문 결합 구조물
JP6975517B2 (ja) 排煙突出し窓
KR200407042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20060005311A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20050065469A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브래킷
KR200403227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KR200497704Y1 (ko)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KR200154820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KR101624802B1 (ko)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KR101985630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2533135B1 (ko) 창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