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135B1 - 창틀프레임 - Google Patents

창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135B1
KR102533135B1 KR1020210185621A KR20210185621A KR102533135B1 KR 102533135 B1 KR102533135 B1 KR 102533135B1 KR 1020210185621 A KR1020210185621 A KR 1020210185621A KR 20210185621 A KR20210185621 A KR 20210185621A KR 102533135 B1 KR102533135 B1 KR 10253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re
window frame
window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국
김태균
Original Assignee
김병국
김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국, 김태균 filed Critical 김병국
Priority to KR102021018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유리가 설치됨과 창틀프레임 내부에 철부재가 삽입되어 방화시 프레임이 타는 것을 방지하는 창틀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틀프레임{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유리가 설치됨과 창틀프레임 내부에 철부재가 삽입되어 방화시 프레임이 타는 것을 방지하는 창틀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최근 유럽 등 선진 국가를 시작으로 건물분야에서의 에너지 소비량 저감문제와 더불어 눈앞의 현실로 다가온 지구온난화 방지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 문제를 매우 중요한 국가 에너지 정책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반영하듯이, 최근 선진 각국에서는 건축법령과 별도로 운영하던 에너지 성능인증 제도를 건축물 에너지절약 규정과 직접적으로 연계하면서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각종 법령과 지침을 권장에서 의무적 강제규정으로 전환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법적 지침과 시행규칙은 창호관련 업종에서도 예외없이 적용 되어지고 있으며, 고효율기자재에 고기밀성 창호를 채택하여 인증 제도와 창호의 환경 표지제를 함께 병행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창호의 에너지 성능 등급제를 실시할 계획에 있다. 업계에서는 이에 발맞추어 에너지 측면의 성능이 개선되면서 친환경적인 다양한 샤시 구조체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샤시 구조체는 채광(투시/투광)과 환기를 목적으로 건축물에 적용 설치되며, 건축물에 있어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만, 단열성이 좋은 플라스틱과 목재 창호의 경우 내구성과 화재(낮은 발화온도), 신축에 의한 변형, 취약한 강도 등 여러 이유로 고층화 되어가는 현대의 건축물에 적용이 쉽지가 않다. 반면 적용가능한 금속제 샤시 구조체의 경우 강도가 크며, 내구성이 좋고 발화점이 높아 각종 건축물에 적용이 수월하지만 창호 샤시 구조체를 구성하는 금속자재 자체의 열전도율이 높아 열에너지 성능면에서 취약하므로 건축물 적용시, 겨울에 열손실을 발생시키는 난방부하의 주원인이면서 여름철에는 원치 않는 열 취득을 통해 상당량의 냉방부하 가져오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1-0037123호
본 발명은 방화유리가 설치됨과 창틀프레임 내부에 철부재가 삽입되며, 석고재가 충진되도록 하여 방화시 프레임이 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철부재가 삽입되어 방화시 프레임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창틀프레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창틀프레임은, 벽체에 고정되도록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방화유리가 설치되고, 고정프레임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프레임과, 화재 발생시 고정프레임이 타지 않도록 고정프레임 내부 전체면에 1.2T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1철부재와, 화재 발생시 슬라이드프레임이 타지 않도록 슬라이드프레임 내부 전체면에 1.2T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2철부재와, 고정프레임 일측으로 유리창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커튼월외곽프레임과, 결합돌기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커튼월외곽프레임 일측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재와, 단열부재를 커튼월외곽프레임에 고정력을 높여주기 위해 커튼월외곽프레임 내부로 형성되는 고정철편과,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내기가 외기로 유출되지 않도록 커튼월외곽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결합 형성되는 단열부재와, 커튼월외곽프레임 일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유리창을 지지하도록 단열부재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내측프레임과, 단열부재를 커튼월외곽프레임과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부재와 탈부착가능하도록 단열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화재 발생시 커튼월외곽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이 타지 않도록 커튼월외곽프레임과 내측프레임 내부 전체면에 1.2T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3철부재와, 단열효과와 화재시 타지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고정프레임과 슬라이드프레임과 커튼월외곽프레임과 내측프레임 내부로 충진되는 석고충진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창틀프레임은, 창틀프레임에 삽입되는 슬라이드프레임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지진으로 인한 진동발생시 탄성을 갖도록 하여 창틀프레임에서 슬라이드프레임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슬라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유리창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탄성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잠금수단은, 슬라이드프레임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재와, 슬라이드프레임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안착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창틀프레임의 내부 홈에 위치되는 지지부재와, 슬라이드프레임의 무게를 지지하고, 지진으로 인해 발생되는 슬라이드프레임의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안착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스프링과, 탄성스프링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해 안착부재 하부로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돌기와, 탄성스프링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단과, 지지부재를 기준으로 안착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스토퍼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안착부재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위치감지센서와, 위치감지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작동되도록 지지부재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토퍼와, 스토퍼의 작동시 스토퍼에서 돌출되는 핀이 고정되도록 안착부재 하부로 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되는 핀고정돌기와, 슬라이드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며 창틀프레임 내부 홈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 하부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철부재와 석고재로 인해 방화시 창틀프레임이 타지 않도록 하여 화재로 인한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창틀프레임에 대한 도면이다.
도 2a, 도 2b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창틀프레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탄성잠금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창틀프레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디스플레이알림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창틀프레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강제환기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창틀프레임(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창틀프레임(100)은 내부에 철부재가 삽입되어 방화시 프레임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틀프레임(100)은 고정프레임(110), 슬라이드프레임(111), 제1철부재(112), 제2철부재(113), 커튼월외곽프레임(114), 결합부재(115), 고정철편(116), 단열부재(117), 내측프레임(118), 결합돌기(119), 제3철부재(120), 석고충진재(121)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벽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11)은 방화유리가 설치되고, 고정프레임(11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철부재(112)는 화재 발생시 고정프레임(110)이 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철부재(112)는 고정프레임(110) 내부 전체면에 1.2T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철부재(113)는 화재 발생시 슬라이드프레임(111)이 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철부재(113)는 슬라이드프레임(111) 내부 전체면에 1.2T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튼월외곽프레임(114)은 고정프레임(110) 일측으로 유리창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115)는 결합돌기(119)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115)는 커튼월외곽프레임(114) 일측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철편(116)은 단열부재(117)를 커튼월외곽프레임(114)에 고정력을 높여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철편(116)은 커튼월외곽프레임(114)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부재(117)는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내기가 외기로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단열부재(117)는 커튼월외곽프레임(114)과 내측프레임(118) 사이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프레임(118)은 커튼월외곽프레임(114) 일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유리창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프레임(118)은 단열부재(117)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기(119)는 단열부재(117)를 커튼월외곽프레임(114)과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119)는 결합부재(115)와 탈부착가능하도록 단열부재(117)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철부재(120)는 화재 발생시 커튼월외곽프레임(114)과 내측프레임(118)이 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3철부재(120)는 커튼월외곽프레임(114)과 내측프레임(118) 내부 전체면에 1.2T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고충진재(121)는 단열효과와 화재시 타지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석고충진재(121)는 고정프레임(110)과 슬라이드프레임(111)과 커튼월외곽프레임(114)과 내측프레임(118) 내부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창틀프레임(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탄성잠금수단(2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잠금수단(200)은 창틀프레임(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탄성잠금수단(200)은 창틀프레임(10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프레임(111)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지진으로 인한 진동발생시 탄성을 갖도록 하여 창틀프레임(100)에서 슬라이드프레임(11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슬라이드프레임(111)에 결합되는 유리창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잠금수단(200)은 안착부재(210), 지지부재(211), 탄성스프링(212), 스프링고정돌기(213), 스프링고정단(214), 위치감지센서(215), 스토퍼(216), 핀고정돌기(217), 슬라이드바퀴(2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재(210)는 슬라이드프레임(111)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211)는 슬라이드프레임(111)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211)는 안착부재(2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창틀프레임(100)의 내부 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스프링(212)은 슬라이드프레임(111)의 무게를 지지하고, 지진으로 인해 발생되는 슬라이드프레임(111)의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스프링(212)은 안착부재(210)와 지지부재(211)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고정돌기(213)는 탄성스프링(212)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고정돌기(213)는 안착부재(21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고정단(214)은 탄성스프링(212)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고정단(214)은 지지부재(211)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215)는 지지부재(211)를 기준으로 안착부재(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스토퍼(216)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위치감지센서(215)는 안착부재(210)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216)는 위치감지센서(215)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216)는 지지부재(211)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고정돌기(217)는 스토퍼(216)의 작동시 스토퍼(216)에서 돌출되는 핀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고정돌기(217)는 안착부재(210) 하부로 스토퍼(216)와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바퀴(218)는 슬라이드프레임(111)의 하중을 지지하며 창틀프레임(100) 내부 홈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바퀴(218)는 지지부재(211)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창틀프레임(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디스플레이알림수단(3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알림수단(300)은 창틀프레임(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알림수단(300)은 창측으로 진입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접근상태를 알려주고,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발생 상태를 유리창에 발산하여 알려주도록 창틀프레임(10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알림수단(300)은 발산디스플레이(310), 빛반사미러(311), 인체감지센서(312), 화재감지센서(313), 알람기(3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산디스플레이(310)는 인체감지센서(312)에 의해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대한 문구 또는 화재감지센서(313)에 의해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대한 문구 중 어느 하나의 문구를 빛반사미러(311) 측으로 발산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발산디스플레이(310)는 창틀프레임(10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빛반사미러(311)는 발산디스플레이(310)로부터 제공받는 빛을 유리창 측으로 반사시켜 표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빛반사미러(311)는 발산디스플레이(310)의 반대측 창틀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312)는 창틀프레임(100) 측으로 진입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발산디스플레이(310)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체감지센서(312)는 창틀프레임(10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313)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발산디스플레이(310)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화재감지센서(313)는 창틀프레임(10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람기(314)는 인체감지센서(312)에서 감지되는 감지정보와 화재감지센서(313)에서 감지되는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소리를 통해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알람기(314)는 창틀프레임(10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창틀프레임(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강제환기수단(4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강제환기수단(400)은 창틀프레임(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강제환기수단(400)은 실내에서 화재발생시 연기와 유독가스를 외부로 강제배출시키기 위해 창틀프레임(10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제환기수단(400)은 제1팬결합부재(410), 제2팬결합부재(411), 걸림홈(412), 걸림볼(413), 스프링홈(414), 스프링단(415), 볼스프링(416), 환기구(417), 스프링힌지(418), 개폐판(419), 환기팬(420), 모드제어기(421), 환기설정버튼(422), 화재설정버튼(423), 가스감지센서(4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팬결합부재(410)는 환기팬(42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팬결합부재(410)는 창틀프레임(100) 일측면에서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팬결합부재(411)는 제1팬결합부재(41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팬결합부재(411)는 창틀프레임(100) 타측면에서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홈(412)은 걸림볼(413)이 걸려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홈(412)은 제2팬결합부재(4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볼(413)은 걸림홈(412)에 걸려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볼(413)은 제1팬결합부재(410)에 형성되는 스프링홈(414)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홈(414)은 볼스프링(416)이 내장되며, 걸림볼(413)의 일부가 삽입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홈(414)은 제1팬결합부재(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단(415)은 볼스프링(416)이 스프링홈(41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단(415)은 스프링홈(414) 일측방향 제1팬결합부재(4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스프링(416)은 제1팬결합부재(410)와 제2팬결합부재(411)의 결합시 걸림볼(413)이 스프링홈(414) 상에서 밀려 걸림홈(412)에 걸려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볼스프링(416)은 스프링홈(414)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구(417)는 환기팬(420)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환기구(417)는 제1팬결합부재(410)와 제2팬결합부재(411)의 결합시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힌지(418)는 개폐판(419)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힌지(418)는 개폐판(419) 일측으로 제2팬결합부재(411) 내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판(419)은 공기 배출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판(419)은 스프링힌지(418)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팬(420)은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환기팬(420)은 제1팬결합부재(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제어기(421)는 환기모드 또는 화재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드제어기(421)는 창틀프레임(10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기설정버튼(422)은 실내 환기를 위한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환기설정버튼(422)은 모드제어기(42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재설정버튼(423)은 화재 감지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화재설정버튼(423)은 모드제어기(421)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감지센서(424)는 화재발생시 유독가스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정보를 환기팬(42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감지센서(424)는 창틀프레임(10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창틀프레임(100)에 탄성잠금수단(200)과 디스플레이알림수단(300)과 강제환기수단(400)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이 선택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창틀프레임
110 : 고정프레임 111 : 슬라이드프레임
112 : 제1철부재 113 : 제2철부재
114 : 커튼월외곽프레임 115 : 결합부재
116 : 고정철편 117 : 단열부재
118 : 내측프레임 119 : 결합돌기
120 : 제3철부재 121 : 석고충진재
200 : 탄성잠금수단 210 : 안착부재
211 : 지지부재 212 : 탄성스프링
213 : 스프링고정돌기 214 : 스프링고정단
215 : 위치감지센서 216 : 스토퍼
217 : 핀고정돌기 218 : 슬라이드바퀴
300 : 디스플레이알림수단 310 : 발산디스플레이
311 : 빛반사미러 312 : 인체감지센서
313 : 화재감지센서 314 : 알람기
400 : 강제환기수단 410 : 제1팬결합부재
411 : 제2팬결합부재 412 : 걸림홈
413 : 걸림볼 414 : 스프링홈
415 : 스프링단 416 : 볼스프링
417 : 환기구 418 : 스프링힌지
419 : 개폐판 420 : 환기팬
421 : 모드제어기 422 : 환기설정버튼
423 : 화재설정버튼 424 : 가스감지센서

Claims (3)

  1. 내부에 철부재가 삽입되어 방화시 프레임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창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은,
    벽체에 고정되도록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방화유리가 설치되고, 고정프레임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프레임과,
    화재 발생시 고정프레임이 타지 않도록 고정프레임 내부 전체면에 1.2T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1철부재와,
    화재 발생시 슬라이드프레임이 타지 않도록 내부 전체면에 1.2T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2철부재와,
    고정프레임 일측으로 유리창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커튼월외곽프레임과,
    결합돌기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커튼월외곽프레임 일측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재와,
    단열부재를 커튼월외곽프레임에 고정력을 높여주기 위해 커튼월외곽프레임 내부로 형성되는 고정철편과,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내기가 외기로 유출되지 않도록 커튼월외곽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결합 형성되는 단열부재와,
    커튼월외곽프레임 일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유리창을 지지하도록 단열부재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내측프레임과,
    단열부재를 커튼월외곽프레임과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부재와 탈부착가능하도록 단열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화재 발생시 커튼월외곽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이 타지 않도록 커튼월외곽프레임과 내측프레임 내부 전체면에 1.2T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3철부재와,
    단열효과와 화재시 타지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고정프레임과 슬라이드프레임과 커튼월외곽프레임과 내측프레임 내부로 충진되는 석고충진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창틀프레임은,
    창틀프레임에 삽입되는 슬라이드프레임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지진으로 인한 진동발생시 탄성을 갖도록 하여 창틀프레임에서 슬라이드프레임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슬라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유리창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탄성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잠금수단은,
    슬라이드프레임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재와,
    슬라이드프레임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안착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창틀프레임의 내부 홈에 위치되는 지지부재와,
    슬라이드프레임의 무게를 지지하고, 지진으로 인해 발생되는 슬라이드프레임의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안착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스프링과,
    탄성스프링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해 안착부재 하부로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돌기와,
    탄성스프링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단과,
    지지부재를 기준으로 안착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스토퍼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안착부재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위치감지센서와,
    위치감지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작동되도록 지지부재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토퍼와,
    스토퍼의 작동시 스토퍼에서 돌출되는 핀이 고정되도록 안착부재 하부로 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되는 핀고정돌기와,
    슬라이드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며 창틀프레임 내부 홈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 하부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바퀴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틀프레임은,
    창측으로 진입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접근상태를 알려주고,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발생 상태를 유리창에 발산하여 알려주도록 창틀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알림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알림수단은,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대한 문구 또는 화재감지센서에 의해 제공받은 감지정보에 대한 문구 중 어느 하나의 문구를 빛반사미러 측으로 발산하도록 창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발산디스플레이와,
    발산디스플레이로부터 제공받는 빛을 유리창 측으로 반사시켜 표출하도록 발산디스플레이의 반대측 창틀프레임에 형성되는 빛반사미러와,
    창틀프레임 측으로 진입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발산디스플레이 측으로 제공하도록 창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인체감지센서와,
    실내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발산디스플레이 측으로 제공하도록 창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화재감지센서와,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감지정보와 화재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소리를 통해 알려주도록 창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알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틀프레임은,
    실내에서 화재발생시 연기와 유독가스를 외부로 강제배출시키기 위해 창틀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강제환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강제환기수단은,
    환기팬을 지지하도록 창틀프레임 일측면에서 삽입 결합되는 제1팬결합부재와,
    제1팬결합부재와 결합되도록 창틀프레임 타측면에서 삽입 결합되는 제2팬결합부재와,
    걸림볼이 걸려 고정되도록 제2팬결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걸림홈과,
    걸림홈에 걸려지도록 제1팬결합부재에 형성되는 스프링홈 내부로 형성되는 걸림볼과,
    볼스프링이 내장되며, 걸림볼의 일부가 삽입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제1팬결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프링홈과,
    볼스프링이 스프링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홈 일측방향 제1팬결합부재 상에 형성되는 스프링단과,
    제1팬결합부재와 제2팬결합부재의 결합시 걸림볼이 스프링홈 상에서 밀려 걸림홈에 걸려지도록 스프링홈 내부에 형성되는 볼스프링과,
    환기팬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1팬결합부재와 제2팬결합부재의 결합시 내부로 형성되는 환기구와,
    개폐판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개폐판 일측으로 제2팬결합부재 내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힌지와,
    공기 배출시 개폐가능하도록 스프링힌지에 연결 형성되는 개폐판과,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제1팬결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환기팬과,
    환기모드 또는 화재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창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드제어기와,
    실내 환기를 위한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모드제어기 일측으로 형성되는 환기설정버튼과,
    화재 감지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모드제어기 타측으로 형성되는 화재설정버튼과,
    화재발생시 유독가스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정보를 환기팬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창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스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
  2. 삭제
  3. 삭제
KR1020210185621A 2021-12-23 2021-12-23 창틀프레임 KR102533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621A KR102533135B1 (ko) 2021-12-23 2021-12-23 창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621A KR102533135B1 (ko) 2021-12-23 2021-12-23 창틀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135B1 true KR102533135B1 (ko) 2023-05-17

Family

ID=8654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621A KR102533135B1 (ko) 2021-12-23 2021-12-23 창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1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3930A (ja) * 2009-09-15 2011-03-31 Kuretoishi Kk 防火性樹脂サッシ
KR20140030810A (ko) * 2012-09-04 2014-03-12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의 단열 및 강도 보강구조
JP2017096013A (ja) * 2015-11-26 2017-06-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部材
KR101932573B1 (ko) * 2018-06-19 2018-12-27 성우판금 주식회사 진동 흡수형 단열 창호 시스템
KR20210037123A (ko) 2019-09-27 2021-04-06 (주)엘지하우시스 방화 창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3930A (ja) * 2009-09-15 2011-03-31 Kuretoishi Kk 防火性樹脂サッシ
KR20140030810A (ko) * 2012-09-04 2014-03-12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의 단열 및 강도 보강구조
JP2017096013A (ja) * 2015-11-26 2017-06-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部材
KR101932573B1 (ko) * 2018-06-19 2018-12-27 성우판금 주식회사 진동 흡수형 단열 창호 시스템
KR20210037123A (ko) 2019-09-27 2021-04-06 (주)엘지하우시스 방화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2108B2 (en) Magnetically actuated auto-closing air vent
US7427147B2 (en) Lighting assemblies
JP2015190753A (ja) サッシ窓用の換気装置及びサッシ窓
KR102533135B1 (ko) 창틀프레임
KR20070071802A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KR102477848B1 (ko) 커튼월창틀프레임
KR200396315Y1 (ko)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US9518422B2 (en) Fire door stop system
JP3365609B2 (ja) 窓框の窓体取付構造
JP2009162451A (ja) 通気口構造
KR102089940B1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KR20190012440A (ko) 철제 방화문
JP5209956B2 (ja) 換気装置
KR101580874B1 (ko) 창호시스템
KR102460991B1 (ko) 신속한 화재차단기능의 내화충전구조를 가진 슬리브
KR20220001850U (ko) 비연속 내화충전재 일체형 방화덕트 시스템
JP5283416B2 (ja) 軒天換気見切金物用カバープレート、軒天換気見切金物構造体及び軒天換気構造
KR102015217B1 (ko) 방화문의 방화벽장치
KR100666510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JP6975517B2 (ja) 排煙突出し窓
KR200424828Y1 (ko)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CN208605097U (zh) 一种防火门密封装置
KR102241481B1 (ko) 배연 유리창
CN208934569U (zh) 一种隔热防火门
KR200464519Y1 (ko)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